KR101444056B1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056B1
KR101444056B1 KR1020140060075A KR20140060075A KR101444056B1 KR 101444056 B1 KR101444056 B1 KR 101444056B1 KR 1020140060075 A KR1020140060075 A KR 1020140060075A KR 20140060075 A KR20140060075 A KR 20140060075A KR 101444056 B1 KR101444056 B1 KR 101444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ain body
user
pillow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찬
정현식
Original Assignee
정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찬 filed Critical 정영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056B1/ko
Priority to PCT/KR2014/00971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052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라 머리를 지지하는 높낮이가 다른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삽입홈의 상측 전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삽입홈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측 전측에 보조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측 후측에 지지체가 형성되고, 중단에 수평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라 머리를 지지하는 높낮이가 다른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취침시 사용자의 후두부를 받쳐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숙면을 보장하기 위한 보조물로서, 직물재 등의 겉피에 다양한 종류의 베개속을 넣은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베개는 직물재, 목재, 폴리우레탄재 등 그 소재가 다양하고, 그 형태도 역시 단순한 평면 또는 자루 형태에서부터 후두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인체공학적 형태로까지 다양하며,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여 숙면을 보장하는 일반적인 베개의 기능 이외에, 사용자의 숙면은 물론 취침중 사용자의 건강까지 고려한 건강 보조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이 제안된 바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14224호에 기재된 고안인 "향기요법을 이용한 베개"는 베개의 내피 내부에 감국 및 메밀피를 내장함으로써, 수면중에 감국 및 메밀피의 향기를 흡입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향기요법을 이용한 베개는 내부에 감국 또는 메밀피로 이루어진 발산부재가 충진되는 수납주머니를 가지며, 이 수납주머니의 외부를 감싸는 내피 및 내피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향기요법을 이용한 베개에 의하여서는. 수면시에 수면자의 머리무게에 의해 베개속에 담겨진 감국과 메밀피들이 짓눌려져 쉽게 망가져 버리는 결점으로 인하여 수시로 향기 발산부재들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베개의 내피속에 충진되는 기능성 물질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부패되어 오히려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자주 교환해 줘야 하는데, 이 경우 재봉된 외피 및 내피를 개봉하고 다시 밀봉하는 과정에서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2005년 10월 21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29990호(건강베개)가 제안되었고, 이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방홀 및 개구부가 상면 및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수용공간에 내장 보관되는 기능성 물질 및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마개로 구성되며, 몸체에 기능성 물질을 내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베개를 사용할 경우 기능성 물질에서 방출되는 방향입자와 원적외선 등으로 인하여 충분한 수면 및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베개의 상면에 지압돌기를 구비하여 뒷목의 뭉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강베개에 의하여서는 물질이나 지압에 의해 인체에 유익하도록 하는 기능에 의한 효과는 있지만, 베개를 사용하는 중에 주름이 잡히게 되는 현상을 전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2003년 6월 19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19382(눈가 주름방지 미용베개)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인체의 뒷머리인 후두부가 위치하는 부분은 오목한 공간부를, 목 부분인 경추부가 위치한 부분은 볼록한형상의 도우넛형으로 베개를 구성하여 목 부분이 높고 후두부가 낮아 베개 사용 시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은 물론 취침 시 모로 누워 자는 경우 눈가 주변이 공간부에 위치토록 함으로서 압박에 의한 피부 표면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베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눈가 주름방지 미용베개에 의하여서는 단순히 목 부위가 높고 후두 부위가 낮은 구조에다 공간부로 인한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똑 바로 누웠을 때에는 얼마간 효과가 있지만 옆으로 누웠을 경우에는 전혀 효과를 볼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3163호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56654호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라 머리를 지지하는 높낮이가 다른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중단에 길이 연장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삽입홈의 상측 전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삽입홈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측 전측에 보조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측 후측에 지지체가 형성되고, 중단에 수평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중앙에 귀가 삽입되는 귀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귀가 삽입되는 귀삽입홈이 형성되고, 정면상 중단에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결합부와, 상기 본체, 지지부, 돌출부 및 결합부의 외측면 전체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와 돌출부의 상측면에는 별도로 구성되는 쿠션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대응되는 결합체가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체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연장부는 별도로 형성되는 연장체가 결합되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에 다수의 높이 조절판을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면시 베는 베개를 수면 자세에 따라 다른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게 함으로 사용자의 목 디스크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상하측면에 결합부와 베개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하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삽입홈(11)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삽입홈(11)의 상측면 전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지지부(20)와, 삽입홈(11) 좌우에 형성되는 돌출부(30)와,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부(4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전후 방향으로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하고, 삽입홈(11)의 상측면 전측에는 지지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는 삽입홈(11)의 상측면 전측에 상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삽입홈(11)에 삽입되어 안착되면 목을 지탱한다.
상기 지지부(20)는 상측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사용자 목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본체(10)의 삽입홈(11) 좌우측에 형성되는 돌출부(30)는 삽입홈(11)의 벽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면 전측에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누울 경우 목을 지탱할 수 있도록 낮은 높이의 보조 지지부(20)(31)가 형성되며, 돌출부(30)의 후측에 지지체(32)가 형성되어 본체(10)와 돌출부(30)에 별도로 구성되는 쿠션(50) 또는 베개(50)가 결합될 경우 쿠션(50) 또는 베개(50)가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의 중단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연장부(13)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길이 연장부(13)는 본체(10)의 전후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본체(10)의 좌우 길이를 조절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연장체(14)가 별도로 형성되어 길이 연장부(13)에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30)의 중단에는 본체(10)의 수평 방향으로 홈(33)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돌아 누울때 사용자의 귀가 홈(33)에 삽입되어 눌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홈(33)은 측면상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또는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33)의 중앙에는 사용자의 귀가 삽입되어 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귀홈(35)이 형성되며, 홈(33)의 측면인 돌출부(30)의 내측면에 귀삽입홈(34)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정자세로 누울 경우 귀가 꺽여지지 않도록 귀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0)의 정면상 중단에는 높이 조절부(36)가 형성되어 돌출부(30)의 높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높이 조절부(36)에는 돌출부(30)의 형태로 형성되는 높이 조절판(37)이 다수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깨 넓이에 따른 사용자의 머리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에 맞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체(10)와 돌출부(30)의 상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되는 쿠션(50) 또는 베개(50)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개(50) 또는 쿠션(50)이 결합되지 않을 때 본체(10)의 높이가 낮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부(40)를 결합하여 본체(10)의 높이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40)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에 결합체(41)가 형성되어 본체(1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33)(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40)는 다수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 지지부(20), 돌출부(30) 및 결합부(40)의 외측면 전체에는 커버(60)가 결합되어 전체를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본체(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결합부(40)를 본체(10) 하부에 결합하여 적층한뒤 사용자가 베고 눕게 된다.
이때는 본체(10)와 돌출부(30) 상측에 별도로 형성되는 쿠션(50) 또는 베개(50)가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본체(10)와 돌출부(30)의 상측에 쿠션(50) 또는 베개(50)를 적층하여 결합하면,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부(40)는 결합시키지 않고,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본체(10)와 돌출부(30) 상측에 쿠션(50) 또는 베개(50)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그냥 본체(10)와 돌출부(30) 상측에 쿠션(50) 또는 베개(50) 대신 하측에 결합부(4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본체(10)와 돌출부(30)의 상측에 쿠션(50) 또는 베개(50)를 결합하고 본체(10)의 하측에 결합부(40)를 결합하는 구성을 둘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삽입홈(11)에 사용자가 머리를 지지할때 사용자의 머리크기가 클 경우 본체(10)의 넓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연장부(13)가 본체(10)의 중단에 형성되어 연장체(14)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한 기능성 베개를 사용자가 베고 누우면 정자세일 경우 삽입홈(11)에 머리가 삽입되어 안착 됨으로서 사용자의 목을 지지부(20)가 지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돌아 누었을땐 돌출부(30)가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보조 지지부(20)(31)가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0)는 정면상 중단에 높이 조절부(36)가 형성되어 높이 조절판(37)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돌출부(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0)의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정자세로 누울 경우 귀가 돌출부(30)의 내측면에 의해 눌리지 않도록 귀삽입홈(34)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돌아눕게 되면, 사용자의 귀는 홈(33)에 삽입되어 눌리지 않게 되며, 귀홈(35)에 귀가 삽입되어 귀의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누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면시 베는 베개를 수면 자세에 따라 다른 위치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게 함으로 사용자의 목 디스크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성 베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본체 11 : 삽입홈
12 : 결합홈 13 : 길이 연장부
14 : 연장체
20 : 지지부
30 : 돌출부 31 : 보조 지지부
32 : 지지체 33 : 홈
34 : 귀삽입홈 35 : 귀홈
36 : 높이 조절부 37 : 높이 조절판
40 : 결합부 41 : 결합체
50 : 베개, 쿠션 60 : 커버

Claims (5)

  1.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중단에 길이 연장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삽입홈의 상측 전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본체의 삽입홈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측 전측에 보조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측 후측에 지지체가 형성되고, 중단에 수평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중앙에 귀가 삽입되는 귀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귀가 삽입되는 귀삽입홈이 형성되고, 정면상 중단에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결합부; 및
    상기 본체, 지지부, 돌출부 및 결합부의 외측면 전체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돌출부의 상측면에는 별도로 구성되는 쿠션이 결합될 수 있는 기능성 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대응되는 결합체가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기능성 베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 연장부는 별도로 형성되는 연장체가 결합되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에 다수의 높이 조절판을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140060075A 2014-01-09 2014-05-20 기능성 베개 KR101444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9711 WO2015105264A1 (ko) 2014-01-09 2014-10-16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764 2014-01-09
KR20140002764 2014-0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056B1 true KR101444056B1 (ko) 2014-09-23

Family

ID=5176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075A KR101444056B1 (ko) 2014-01-09 2014-05-20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4056B1 (ko)
WO (1) WO201510526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586Y1 (ko) * 2014-12-22 2015-06-29 정영찬 기능성 베개
KR20160056619A (ko) * 2014-11-12 2016-05-20 (주)대성글로비즈 높이조절이 가능한 라텍스 베개
WO2016200110A1 (ko) * 2015-06-09 2016-12-15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기능성 베개
KR200482254Y1 (ko) * 2015-07-22 2017-01-17 김혜경 충전부재 교체식 경추보호,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 및 코골이 방지용 베개
CN108451270A (zh) * 2018-07-08 2018-08-28 梁奕冰 一种可调节枕头
KR20230018164A (ko) * 2021-07-29 2023-02-07 신우열 베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5401B1 (en) 1999-09-21 2002-02-12 Larry G. Frydman Neck support pillow
KR200312536Y1 (ko) 2002-12-26 2003-05-13 노승준 베개
KR101056654B1 (ko) 2011-03-21 2011-08-18 정병옥 기능성 베개
US20130326816A1 (en) 2012-06-11 2013-12-12 Sunfar Computer Co., Ltd. Pillow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231A (en) * 1990-08-27 1991-05-28 Jason Wang Neck guard pillow
KR100839364B1 (ko) * 2007-06-21 2008-06-19 혜진 리 코리아 안면 쿠션
KR101021347B1 (ko) * 2008-08-04 2011-03-14 (주)마디공학 티형 지지구가 내장된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5401B1 (en) 1999-09-21 2002-02-12 Larry G. Frydman Neck support pillow
KR200312536Y1 (ko) 2002-12-26 2003-05-13 노승준 베개
KR101056654B1 (ko) 2011-03-21 2011-08-18 정병옥 기능성 베개
US20130326816A1 (en) 2012-06-11 2013-12-12 Sunfar Computer Co., Ltd. Pillow assembly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619A (ko) * 2014-11-12 2016-05-20 (주)대성글로비즈 높이조절이 가능한 라텍스 베개
KR101641303B1 (ko) * 2014-11-12 2016-07-21 (주)대성글로비즈 높이조절이 가능한 라텍스 베개
KR200477586Y1 (ko) * 2014-12-22 2015-06-29 정영찬 기능성 베개
WO2016200110A1 (ko) * 2015-06-09 2016-12-15 주식회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기능성 베개
CN106235820A (zh) * 2015-06-09 2016-12-21 雷高凯生物科学公司 功能性枕头
KR200482254Y1 (ko) * 2015-07-22 2017-01-17 김혜경 충전부재 교체식 경추보호,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 및 코골이 방지용 베개
CN108451270A (zh) * 2018-07-08 2018-08-28 梁奕冰 一种可调节枕头
KR20230018164A (ko) * 2021-07-29 2023-02-07 신우열 베개
KR102503202B1 (ko) * 2021-07-29 2023-02-23 신우열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5264A1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056B1 (ko) 기능성 베개
KR200474197Y1 (ko) 지압 베개
US8726436B2 (en) Back sleeping only pillow
CA3068810C (en)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101912076B1 (ko) 기능성 숙면 베개
KR20160028191A (ko) 경추 맛사지 기구가 내장된 기능성 베개
US20110231999A1 (en) Pillow
US20160100701A1 (en) Pillow
WO2014082463A1 (zh) 枕头
KR101930643B1 (ko) 베개
KR101418696B1 (ko) 베개
KR200477586Y1 (ko) 기능성 베개
KR102152448B1 (ko) 숙면 유도용 기능성 베개
US9168177B2 (en) Slip-over light blocking sleep mask
KR101549384B1 (ko)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KR101665115B1 (ko) 기능성 경추 베개
KR200469631Y1 (ko) 안면 주름방지용 베개
KR101787439B1 (ko) 기능성 베개
KR101557145B1 (ko)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KR101322103B1 (ko) 수면 유도 베개
KR101488605B1 (ko) 기능성 베개
KR200453477Y1 (ko) 목받침 베개
KR200491545Y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2629541B1 (ko) 수면자세 맞춤기능 교정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