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536Y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536Y1
KR200312536Y1 KR20-2002-0038462U KR20020038462U KR200312536Y1 KR 200312536 Y1 KR200312536 Y1 KR 200312536Y1 KR 20020038462 U KR20020038462 U KR 20020038462U KR 200312536 Y1 KR200312536 Y1 KR 200312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enter
section
sleep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준
Original Assignee
노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준 filed Critical 노승준
Priority to KR20-2002-0038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5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5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면(12a) 및 하면(12b)이 평탄하게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상면(12a) 중앙측 전후방향에 취침시 취침자의 뒤통수가 안치되도록 전방구간(14a), 후방구간(14b), 중앙구간(14c)의 높낮이가 다르게 완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받침부(14)와, 상기 상면(12a) 중앙측 좌우방향에 취침시 취침자의 양쪽 귀가 안치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16)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취침자가 등으로 눕거나 옆으로 되돌아 누워서 베었을 때 인체에 미치는 압력 분포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적정각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척추와 목 근육에 무리한 압력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양쪽 귀가 짓눌리는 현상과 압박감을 없애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베개{A PILLOW}
본 고안은 폴리우레탄(PU) 또는 폴리에틸렌(PE), 라텍스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된 스폰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개를 취침자가 천정을보고 등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또는 벽을 보고 옆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베개의 높이가 다르게 적용되면서 취침자의 양쪽 귀가 베개에 짓눌리거나 압박감을 주지않도록 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베개는 모양이 여러 가지로서 대표적으로는 천으로 구성된 주머니모양의 내부에 충진물인 솜, 곡물(겨,조, 메밀, 깨등), 곡물껍질, 목재입자, 합성수지, 숯 입자, 광물 입자, 오리털, 양모, 발포스폰지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채워 넣어서 형성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베개들은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1-99097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61500호와 같이 베개의 높이를 연령대별(예컨대, 유아용, 청소년용, 성인용 등)로 세분화하여 인체에 적합하도록 여러종류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류의 베개들은 그 상면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높이차가 다르게 구분되어 있지 않고 모두 동일한 높이차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취침자가 등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에는 적합하지만 취침자가 옆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통상적으로 베개의 높이는 취침자가 등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사용이 적합하도록 연령대별로 외형적 크기만으로 고려하여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취침자가 옆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에는 베개의 높이가 당연히 낮을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편안한 잠자리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편한 잠자리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척추 및 목 근육에 무리가 발생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함은 물론, 일상의 생활이 피곤하여 활동의 능률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베개는 취침자의 머리가 닿는 면적과 귀가 닿는 면적이 동일한 높이차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취침자가 등으로 누워서 베거나 또는 옆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취침자의 양쪽 귀가 베개에 짓눌리거나 압박감을 주게 되고, 이에 따라 귀에 작용하는 짓눌림현상과 압박감에 의해 숙면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베개의 상면에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높이차를 다르게 구분하여 취침자가 등으로 눕거나 옆으로 되돌아 누워서 베었을 때 인체에 미치는 압력 분포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적정각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척추와 목 근육에 무리한 압력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양쪽 귀의 짓눌림과 압박감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베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베개는 베개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상면 중앙측 전후방향에 취침시 취침자의 뒤통수가 안치되도록 전방구간, 후방구간, 중앙구간의 높낮이가 다르게 완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받침부와, 상기 상면 중앙측 좌우방향에 취침시 취침자의 양쪽 귀가 안치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는 그 상면,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 머리받침부의 수순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머리받침부는 그 전방구간, 후방구간, 중앙구간의 수순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완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머리받침부와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의 중앙에서 십자형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고, 그들 양끝단은 상기 몸체의 측면까지 연결되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베개를 등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베개를 옆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2a : 상면
12b : 하면 14 : 머리받침부
14a : 전방구간 14b : 후방구간
14c : 중앙구간 16 : 귀받침부(16)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베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12a) 및 하면(12b)이 평탄하게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상면(12a) 중앙측 전후방향에 취침시 취침자의 뒤통수가 용이하게 안치되도록 전방구간(14a), 후방구간(14b), 중앙구간(14c)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완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받침부(14)와, 상기 상면(12a) 중앙측 좌우방향에 취침시 취침자의 양쪽 귀가 짓눌리거나 압박되지 않게 안치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그 상면(12a),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16), 머리받침부(14)의 수순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받침부(14)는 그 전방구간(14a), 후방구간(14b), 중앙구간(14c)의 수순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완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받침부(14)와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16)는 상기 몸체(10)의상면(12a)의 중앙에서 십자형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고, 그들 양끝단은 상기 몸체(10)의 측면까지 연결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재질에 의해 도 1과 같이 발포 성형된 베개를 사용하여 취침자가 도 3과 같이 등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취침자의 뒤통수는 베개의 몸체(10)에 대하여 상면(12a)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받침부(14)에 자연스럽게 안치된다.
즉, 머리받침부(14)는 그 전방구간(14a), 후방구간(14b), 중앙구간(14c)의 수순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완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침자의 머리가 머리받침부(14)에 안치될 때 머리받침부(14)의 완만한 곡선과 인체의 뒤통수에서 경추까지 이어지는 곡선이 자연스럽게 일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뒤통수가 중앙구간(14c)에 위치될 때 경추부분이 중앙구간(14c)보다 높은 전방구간(14a)에 위치된 상태에서 베개의 재질에 따른 스폰지의 경도 및 탄력에 의해 일정한 압력분포를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취침자는 등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경추의 위치가 가장 자연스러운 곡선을 이루게 됨은 물론 척추와 목 근육에 무리한 압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머리받침부(14)의 후방구간(14b)은 취침자가 등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머리가 닿지 않도록 몸체(10)의 후방측으로 완전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취침자가 베개의 머리받침부(14)에 뒤통수가 안치되도록 등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양쪽 귀는 머리받침부(14)의 중앙측 좌우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16)에 안치됨으로써 양쪽 귀가 짓눌림현상과 압박감을 주지 않게 되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취침자가 도 4와 같이 상면(12a)을 이용하여 옆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에는 얼굴 옆부분이 상면(12a)에 안치됨과 동시에 한쪽 귀가 귀받침부(16)내에 안치된다.
즉, 베개의 상면(12a) 높이는 머리받침부(14)의 높이보다 상향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취침자가 옆으로 누워서 얼굴 옆부분을 상면(12a)에 안치시킬 때 어깨폭과 상면(12a)의 높이가 서로 대응되게 일치되므로, 경추의 위치가 가장 자연스러운 곡선을 이루게 됨은 물론 척추와 목 근육에 무리한 압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베개를 취침자가 옆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상면(12a)에 오목하게 형성된 귀받침부(16)내에 안치됨으로써 귀가 짓눌림현상과 압박감을 주지 않게 되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베개는 취침자가 등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베개의 높이와 옆으로 누워서 베었을 때 베개의 높이가 다르도록 베개의 상면 중앙에 머리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머리받침부를 중심으로 상면 좌우에 귀받침부를 각각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취침자가 등으로 눕거나 옆으로 되돌아 누워서 베었을 때 인체에 미치는 압력 분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정각도로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척추와 목 근육에 무리한 압력이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 귀의 짓눌림현상과 압박감을 없애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베개에 있어서,
    상면(12a) 및 하면(12b)이 평탄하게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상면(12a) 중앙측 전후방향에 취침시 취침자의 뒤통수가 안치되도록 전방구간(14a), 후방구간(14b), 중앙구간(14c)의 높낮이가 다르게 완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받침부(14)와,
    상기 상면(12a) 중앙측 좌우방향에 취침시 취침자의 양쪽 귀가 안치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그 상면(12a),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16), 머리받침부(14)의 수순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14)는 그 전방구간(14a), 후방구간(14b), 중앙구간(14c)의 수순으로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완만한 곡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14)와 좌우 한쌍의 귀받침부(16)는 상기 몸체(10)의 상면(12a)의 중앙에서 십자형상으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고, 그들 양끝단은 상기 몸체(10)의 측면까지 연결되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2002-0038462U 2002-12-26 2002-12-26 베개 KR200312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462U KR200312536Y1 (ko) 2002-12-26 2002-12-26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462U KR200312536Y1 (ko) 2002-12-26 2002-12-26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536Y1 true KR200312536Y1 (ko) 2003-05-13

Family

ID=4940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462U KR200312536Y1 (ko) 2002-12-26 2002-12-26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5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262B1 (ko) * 2005-05-23 2007-02-01 최현채 기능성 베개
KR100903846B1 (ko) 2007-07-11 2009-06-24 강직원 경추 받침 베개
KR101444056B1 (ko) 2014-01-09 2014-09-23 정영찬 기능성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262B1 (ko) * 2005-05-23 2007-02-01 최현채 기능성 베개
KR100903846B1 (ko) 2007-07-11 2009-06-24 강직원 경추 받침 베개
KR101444056B1 (ko) 2014-01-09 2014-09-23 정영찬 기능성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3194A (en) Adjustable cervical pillow
US5638564A (en) Therapeutic pillow
US7082633B1 (en) Pillow
US6629324B1 (en) Therapeutic pillow
KR100675262B1 (ko) 기능성 베개
KR102084281B1 (ko) 치료용 베개
CN102421336A (zh) 枕头
JP2012090982A (ja)
US20090126117A1 (en) Conforming multi-position pillow with pressure dispersal system
US6061857A (en) Hugging mattress with holes for a user's arms
US20050050637A1 (en) Air pillow with four adjustable air pressure chambers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KR200312536Y1 (ko) 베개
KR101520403B1 (ko) 경추교정 및 코골이 개선에 효과적인 자가 높이 조절식 기능성 숙면 베개
JP3116515U (ja) 頸椎当接箇所の形状が可変な枕
WO1998007358A1 (en) Pillow
KR100523002B1 (ko) 다경도 ·다탄성 기능을 갖는 숙면용 건강베개
KR200404139Y1 (ko) 기능성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200443835Y1 (ko) 기능성 베개
KR20040101584A (ko) 높이 조절용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CN219020749U (zh) 一种多功能颈椎枕
KR20040101583A (ko) 잠자는 자세에 따라 머리 요입부와 목 받침부의 높이를각각 달리하는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CN2870644Y (zh) 软硬保健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