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631Y1 - 세발용 쿠션구 - Google Patents

세발용 쿠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631Y1
KR940005631Y1 KR92015498U KR920015498U KR940005631Y1 KR 940005631 Y1 KR940005631 Y1 KR 940005631Y1 KR 92015498 U KR92015498 U KR 92015498U KR 920015498 U KR920015498 U KR 920015498U KR 940005631 Y1 KR940005631 Y1 KR 940005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ycle
cushion
hair
hea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919U (ko
Inventor
임종문
Original Assignee
임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문 filed Critical 임종문
Priority to KR92015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631Y1/ko
Publication of KR9400049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10Head-rests; Neck-rest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발용 쿠션구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흡착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사용 상태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쿠션구 2 : 쿠션체
3 : 지지판 4 : 절곡편
5 : 받침판 6 : 대공
7 : 소공 8 : 흡착구
9 : 삽입돌기 10 : 세발대
11 : 요홈
본 고안은 세발용 쿠션구의 중앙으로 쿠션체를 내장하여, 미장원이나 이용실 등지에서 머리를 세발할때, 상기의 쿠션구를 세발대의 요홈으로 장착한뒤 이에 뒷머리를 지지시켜 세발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세발대와 머리간의 접촉으로 인한 통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세발용 쿠션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용실이나 이용실 등지에서 머리를 깎은뒤 머리를 감게 되는바, 대부분 소파를 뒤로 재쳐서 머리를 감게 된다.
즉, 사람이 소파에 앉아 있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뒷머리가 세발대에 닿은 상태로 세발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세발대는 대부분이 상기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의 머리와 접촉시 통증을 트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수단으로는 수건이나 스폰지 등을 사람의 머리와 세발대의 접촉부 사이에 위치시켜 세발하는 사람의 머리에 통증이 적게 작용하도록 배려하고 있는바, 수건이나 스폰지 등은 일정한 부피로 눌려져 있을뿐 세발하는 사람의 머리에 일정한 쿠션력을 주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발시의 쿠션을 세발자의 머리도 전달할 수 있도록 쿠션구의 중앙으로 쿠션체를 내장함으로서 세발시 특히 머리의 흔들림에 대응하여 적당한 쿠션력을 줌으로서 세발자의 머리에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쿠션구(1)의 중앙 내부로 유동성 수지로 된 쿠션체(2)를 내장하고, 쿠션체(2)의 상측에는 지지역할을 하는 지지판(3)을 내설하되, 지지판(3)의 양단에는 절곡편(4)을 형성시켜 세발대(10)에 지지가 용이토록 한 다음, 쿠션체(2)의 하측에 내설되어 있는 받침판(5)에는 대공(6)과 소공(7)을 겹치어 천공시킴으로서, 흡착구(8)의 삽입돌기(9)가 결합고정되도록 한 구성이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Ⅱ은 세발대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용실이나 이용실 등지에서 이발을 한뒤 머리를 세발하게 되는바, 세발시에는 본 고안의 세발용 쿠션구(1)를 세발대(10)에 중앙에 형성된 요홈(11)으로 부착 결합을 하게 된다.
즉, 쿠션구(1)의 쿠션체(2)의 하측으로 내설 되어 있는 받침판(5)의 흡착구(8)를 세발대(10)의 외면으로 제2도와 같이 흡착시키고 지지판(3)이 내설 되어 있는 쿠션체(2)의 상측부위를 세발대(10)의 내면으로 접어 넘기면 제3도와 같이 지지판(3)의 절곡편(4)에 의해 세발대(10)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쿠션체(2)는 세발대(10)의 요홈(11) 내에서 꺽인 상태로 유지를 하게 되는 것이므로 제4도와 같은 상태의 세발대(10)를 얻을수 있게 된다.
이때, 세발자는 소파에 앉은 상태에서 머리를 뒤로 재치면 세발자의 뒷머리가 세발대(10)의 요홈(11)내에 내삽되어 있는 쿠션구(1)의 쿠션체(2)와 접촉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세발자의 머리에 통증이 작용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발을 할때에는 세발자의 머리를 문질러야 하기 때문에 세발자의 머리가 흔들리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쿠션체(2)가 뒷머리를 받치고 있는 상태이므로 머리가 흔들려도 쿠션체(2)의 반력, 즉, 탄성력이 전달될뿐 통증이 유발되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쿠션체(2)는 유동성 수지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흔들림 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을 하면서 세발자의 머리에 탄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므로 매우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 세발을 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받침판(5)에 결합되어 있는 흡착구(8)는 필요에 따라 분리 및 조립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결합된 흡착구(8)를 분리할때 즉, 2개의 흡착구(8)만으로도 상당한 흡착력을 얻을 수 있을때에는 본 고안의 받침판(5) 소공(7)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흡착구(8)를 대공(6) 방향으로 밀어 재치면 흡착구(8)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반대로 2개의 흡착구(8)로서는 흡착력이 약할때에는 또 다른 2개의 흡착구(8)를 대공(6)으로 끼운 뒤 소공(7) 방향으로 밀어재쳐서 결합을 하면 흡착구(8)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므로 세발대(10)의 조건에 맞춰서 선택적인 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지지판(3)은 일정 무게로 이루어진 금속재판으로 쿠션체(2)가 세발대(10)의 요홈(11)내에서 유동이 없도록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쿠션구의 중앙으로 유동성 수지로 이루어진 쿠션체를 내장함으로서, 매우 부드럽고 거부감이 없는 감촉을 연출하게 함으로서 친근감 있는 사용을 하기 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탁월한 쿠션력에 의해 뒷머리에 통증이 두발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것이므로 미용실이나 이용실 등지에서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쿠션구(1)의 중앙 내부로 유동성 수지로 된 쿠션체(2)를 내장하고, 쿠션체(2)의 상측에는 지지역할을 하는 지지판(3)을 내설하되, 지지판(3)의 양단에는 절곡편(4)을 형성시켜 세발대(10)에 지지가 용이토록 한 다음, 쿠션체(2)의 하측에 내설되어 있는 받침판(5)에는 대공(6)과 소공(7)을 겹치어 천공시킴으로서 흡착구(8)의 삽입돌기(9)가 결합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용 쿠션구.
KR92015498U 1992-08-18 1992-08-18 세발용 쿠션구 KR940005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98U KR940005631Y1 (ko) 1992-08-18 1992-08-18 세발용 쿠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98U KR940005631Y1 (ko) 1992-08-18 1992-08-18 세발용 쿠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19U KR940004919U (ko) 1994-03-16
KR940005631Y1 true KR940005631Y1 (ko) 1994-08-20

Family

ID=1933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498U KR940005631Y1 (ko) 1992-08-18 1992-08-18 세발용 쿠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6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370B1 (ko) * 2002-05-03 2005-08-31 이영희 세발용 목뒷덜미 지지쿠션
KR101749810B1 (ko) 2015-08-11 2017-07-03 지종수 세발대용 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19U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0010A (ja) いす
US5707108A (en) Cushioning device
KR940005631Y1 (ko) 세발용 쿠션구
JP3687267B2 (ja) 椅子
KR900010588Y1 (ko) 의자용 등 받침구
KR100499339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KR200381388Y1 (ko) 통풍 의자
JPH0523085Y2 (ko)
KR200340131Y1 (ko) 목 받침대를 구비한 소파
CN218304137U (zh) 颈枕
KR200230537Y1 (ko) 의자의 등받이 쿠션장치
CN213344980U (zh) 多功能扶手及座椅
JP3095997U (ja) 手すりを持つ便器用のシートペッドおよびカバーの結構
JP2541683Y2 (ja) 手持形電動マッサージャーの取付台
JPH0336301Y2 (ko)
KR200342422Y1 (ko)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KR200269729Y1 (ko) 의자 등받이용 탄성지지부재
KR920005144Y1 (ko) 휴대용 방석
JP3012735U (ja) 車椅子の背もたれ補助具
KR200256821Y1 (ko) 지압용 의자
KR200282699Y1 (ko) 의자 팔걸이
KR200279968Y1 (ko) 운전석의 머리받침 보조구
KR200232516Y1 (ko) 노약자용 변기 커버
KR200290142Y1 (ko) 피씨방용 좌석
KR0116303Y1 (ko) 등받이가 부설된 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