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422Y1 -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422Y1
KR200342422Y1 KR20-2003-0037757U KR20030037757U KR200342422Y1 KR 200342422 Y1 KR200342422 Y1 KR 200342422Y1 KR 20030037757 U KR20030037757 U KR 20030037757U KR 200342422 Y1 KR200342422 Y1 KR 200342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ir
fastening
fram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20-2003-0037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된 의자의 등받이 양측 프레임에 고정판이 체결되고, 이 고정판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홈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돌기가 고정되며, 이 이동돌기와 일체로 형성된 탄성판의 체결판이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분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판의 양측단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분을 상기 의자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판이 지지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THE BACK OF A CHAI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받이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의자용의 허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좌판과, 이 좌판을 지면으로부터 소정폭 이격시키는 봉 형상의 다리 및 상기 좌판에 앉는 사용자가 등 또는 허리를 기대어 사용자의 상체를 쉬도록 상기 좌판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좌판의 후방 끝단에 접해 형성된 등받이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근래에 상기 등받이는 사용자가 등을 기대어 보다 편안한 감을 느끼도록 플라스틱이나 천 등의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들이 개발되었으며, 상기 등받이에 상기 사용자의 등이 밀착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등에 대한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등받이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을 통해 상기 등받이에 접한 사용자 등의 통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의 개발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가 유연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등이 상기 등받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력이 미약하게 되어 상기 사용자의 등이 의자의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등받이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대한 지지력이 미약하여 상기 사용자의 허리부분이 상기 의자의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허리가 불편하게 됨은 물론, 상기 사용자의 올바른 착좌자세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상기 의자에 앉는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상의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상기 의자에 앉는 상용자의 허리 및 등 부분을 더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의 분리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지지장치 20 - 지지판
21 - 체결홈 30 - 탄성판
31 - 체결판 32 - 이동돌기
33 - 슬릿 34 - 리브
35 - 체결공 40 - 고정판
41 - 안내대 42 - 고정홈
43 - 안내홈 50 - 등받이
51 - 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허리 또는 등 부분이 접하도록 판형상을 이룬 지지판이 의자 등받이의 양측 프레임에 그 양단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판 형상을 이루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양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탄성판, 이 탄성판의 일면에서 돌출된 이동돌기, 이 이동돌기가 끼워져 의자의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돌기의 상/하 길이 보다 긴 길이를 이루고 함몰된 안내홈, 이 안내홈을 의자의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안내홈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고정판이 의자의 프레임 후면에 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탄성판에 일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판이 탄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10)가 의자의 등받이(50) 후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10)의 각 구성품을 나타낸 것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10)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판(20)과, 탄성판(30)과, 고정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지지판(20)은 체결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허리 또는 등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판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사용자의 허리 또는 등이 접해 지지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등받이(50) 프레임(51)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등받이(50) 양측 프레임(51)의 폭과 유사한 폭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은 사용자의 허리 및 등을 지지할 정도의 폭을 이루도록 상기 의자의 상/하방향으로 소정폭 이상의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20)의 상/하방향 폭은 사용자의 허리 및 등에 대한 통기성을 차단하지 않는 범위와, 상기 사용자의 등 및 허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홈(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0)의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체결판(31)이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판(3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판(30)은 체결판(31)과 이동돌기(32)와 슬릿(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판(30)은 상기 지지판(20)의 양측 끝단에서 후술하는 고정판(40)에 이르도록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의자의 등받이(50) 및 프레임(51)의 구조에 따라 다수부에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판(30)의 중앙부에서 외측부가 상기 의자의 등받이(50) 방향으로 더 밀착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판(31)은 상기 한 쌍의 탄성판(30) 내측에서 상기 한 쌍의 탄성판(30) 중앙방향으로 상기 탄성판(30)에서 연장된 판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2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홈(20)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체결판(31)은 그 전면에 걸쳐 상기 의자의 상/하방향으로 리브(34)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20)의 내부에서 상기 다수개의 리브(34)가 상기 체결홈(21)의 내측벽에 걸쳐 고정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체결판(31)의 전면에 걸쳐 체결공(35)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20) 또는 지지판(20)의 체결홈(20) 내부가 고온에서 액상를 이루어 상기 체결공(35)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상기 체결공(35)의 내부에서 굳어 상기 체결홈(20)의 내주 일부가 상기 체결판(31)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돌기(32)는 상기 탄성판(30)의 후면, 즉 상기 의자 등받이(50) 방향의 반대방향 상기 탄성판(30)의 외측부에서 상기 의자의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격벽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이동돌기(32)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의 격벽형상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후술하는 슬릿(33)에 의해 다수개로 절단된 격벽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슬릿(33)은, 상기 탄성판(30)의 전면에 걸쳐 일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의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판(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이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탄성판(30)의 상부에 슬릿(33)으로 구획된 다수개의 판재가 굴곡되고, 하부에 슬릿(33)으로 구획된 다수개의 판재가 상기 상부 탄성판(30)의 판재와 상이한 방향으로 굴곡되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판(30)은 그 전/후방향으로 비틀림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40)은 안내대(41)와, 고정홈(42)과, 안내홈(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40)은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의자 등받이(50)의 양측 프레임(51)에 접하도록 상기 프레임(51)의 굴곡형상을 따라 상기 의자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원호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51)과 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되도록 볼트홀이 개구된다.
상기 안내대(41)는 상기 프레임(51)에 고정된 양측 고정판(40)의 중앙방향 선단에 상기 고정판(40)의 상/하방향 폭 보다 큰 폭을 이루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판(30)의 이동돌기(32)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안내대(41)는 상기 의자의 등받이(50) 양측부분에 접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50)의 후면형상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의자의 등받이(50)가 의자의 전방으로 원호형상을 이루고 굴곡된 형상을 이룸에 따라 상기 안내대(41)는 그 중앙부가 상기 등받이의 방향으로 돌출된 원호단면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2)은 상기 고정판(40)이 상기 프레임(51)에 접하는 면이 내측으로 상기 프레임(51)의 후면형상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의자의 프레임(51)이 타원형 막대형상을 이룸에 따라 상기 고정홈(42)은 상기 타원형의 프레임(51) 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등받이(50) 방향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타원형 단면형상을 이루고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43)은 상기 안내대(41)의 상기 등받이(50) 방향 일면에서 내측으로 상기 이동돌기(32)가 삽입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내대(41)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이루도록 상기 의자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안내홈(43)은 상기 격벽 형상을 이루는 이동돌기(32)가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43)의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도록 자유로이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돌기(32)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의자의 등받이(50) 중앙지점에 지지판(20)이 위치되고, 이 지지판(20)의 양측단에 함몰된 체결홈(20)에 체결판(31)이 끼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체결판(31)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판(30)의 이동돌기(32)가 상기 의자 등받이(50)의 양측프레임(51)에 근접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지지판(20)과 탄성판(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판(30)에서 돌출된 이동돌기(32)가 수용되도록 고정판(40)의 안내홈(43)을 상기 이동돌기(32)에 덮어씌운다.
상기 양측의 이동돌기(32)가 상기 양측의 고정판(40) 안내홈(4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40)의 볼트홀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판(40)을 상기 프레임(51)에 고정하여 조립작업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판(40)을 상기 프레임(51)에 먼저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51)에 고정된 고정판(40)의 안내홈(43)에 상기 지지판(20)에 결합된 탄성판(30)의 이동돌기(32)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장치(10)의 조립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20)이 탄성판(30)을 매개로 고정판(40)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51)에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판(20)이 상기 의자의 등받이(50) 후면에 밀착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의자의 등받이(50) 후면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의자의 등받이(50)에 등 또는 허리를 기대는 사용자의 등 또는 허리부분이 상기 등받이(50)에 접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20)에 접하면서 상기 지지판(20)의 지지력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사용자의 허리 및 등이 가압하는 압력이 전달되고, 상기 지지판(20)에 가해진 압력은 상기 지지판(20)의 양측단에 체결된 탄성판(30)에 상기 압력이 전달되며, 상기 탄성판(30)에 가해진 압력은 상기 이동돌기(32)가 안내홈(43)에 고정된 고정력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43)은 상기 의자 프레임(51)에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의 가압이 지지된다.
또,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지지판(20)의 의자에 대한 높이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지지판(20)을 파지하여 상기 의자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지지판(20)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상기 지지판(20)에 가해진 압력은 상기 지지판(20)의 양측단에 체결된 탄성판(30)에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판(30)의 이동돌기(32)가 상기 안내홈(43)의 내부에서 상기 의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판(20)의 높이가 수정된다.
또한, 상기 이동돌기(32)는 상기 안내홈(43)의 상/하방향 길이 폭 범위에서 자유로이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판(20)이 상기 안내홈(43)의 길이 범위에서 자유로이 이동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51)의 형상에 따라 굴곡된 안내대(41) 및 안내홈(43)에 걸쳐 고정된 탄성판(30) 및 이동돌기(32)는 상기 탄성판(30)에 개구된 슬릿(33)에 의해 구획된 다수개의 판재들이 상기 굴곡부를 따라 각각 이동되면서 비틀림 변형되어 상기 이동돌기(32) 전체가 상기 안내홈(43)의 내부에 밀착됨과 더불어 견고히 고정된다.
본 고안의 본 실시예는 의자의 등받이(50)가 천 등의 유연한 재질로 구성된 의자에 지지장치(10)가 체결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통상의 등받이(50) 중에서 등받이(50)의 전체 또는 후면부가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 및 허리로 인한 가압에 따라 상기 의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등받이(50)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의자 등받이(50)의 지지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됨은 물론이다.
또, 상기 지지장치(10)가 프레임(51)만으로 구성된 의자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의자의 등받이(50) 역할을 이루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앉는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통상의 등받이에 지지장치가 부착되어 상기 등받이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의자에 앉는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분에 접하도록 상기 의자의 등받이 양측 프레임 사이에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양측단에서 내측으로 박스형상을 이루고 함몰된 체결홈;
    상기 체결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판형상을 이루는 체결판;
    상기 체결판의 외측단에서 외측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상기 체결판과 일체로 형성된 탄성판;
    상기 탄성판의 상기 의자 등받이 프레임 반대방향 일면 외측에서 상기 의자의 상/하방향으로 격벽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이동돌기;
    상기 이동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방향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안내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이동돌기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이루고 형성된 막대형상의 안내대;
    상기 안내대의 외측단에서 외측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상기 안내대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방향 일면에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접하도록 함몰된 고정홈이 함몰 형성된 고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의 전면에 걸쳐 상기 의자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판이 비틀림 변형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의 전체면에 걸쳐 상기 의자의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체결판의 전체면에 걸쳐 다수개의 체결공이 개구되어 상기 체결판이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브가 상기 체결홈의 내주에 걸쳐 고정되고, 상기 체결홈의 내주 일부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홈과 체결판이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20-2003-0037757U 2003-12-03 2003-12-03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KR200342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757U KR200342422Y1 (ko) 2003-12-03 2003-12-03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757U KR200342422Y1 (ko) 2003-12-03 2003-12-03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422Y1 true KR200342422Y1 (ko) 2004-02-21

Family

ID=4942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757U KR200342422Y1 (ko) 2003-12-03 2003-12-03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4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585A (ko) 2018-10-04 2020-04-14 조효석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CN114916774A (zh) * 2022-06-16 2022-08-19 张献伟 一种预防小学生近视和脊柱弯曲用的座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585A (ko) 2018-10-04 2020-04-14 조효석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CN114916774A (zh) * 2022-06-16 2022-08-19 张献伟 一种预防小学生近视和脊柱弯曲用的座椅
CN114916774B (zh) * 2022-06-16 2023-11-03 天津市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预防小学生近视和脊柱弯曲用的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601B2 (en) Back structure for a chair
KR20080037029A (ko) 의자
JP4183084B2 (ja) 椅子及びその背もたれ
KR101730020B1 (ko)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KR102382087B1 (ko) 의자의 탄성력 있는 굴곡조절모듈
KR101873721B1 (ko) 의자
KR200342422Y1 (ko)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KR20090053341A (ko) 프레임 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101129229B1 (ko) 메쉬형 의자
US20190281988A1 (en) Auxiliary backrest for a chair
KR200323370Y1 (ko) 기능성 사무용의자
JP4255804B2 (ja) 椅子
JPH0795913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5132917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0381388Y1 (ko) 통풍 의자
KR100563270B1 (ko) 등받이 쿳션장치를 갖는 학생용 의자
KR200405813Y1 (ko) 좌식의자
KR200340462Y1 (ko) 도서관용 열람의자
KR200347144Y1 (ko) 의자 등받이에 결합되는 척추받침의 높낮이 조절기구
KR102275536B1 (ko) 의자 좌판의 레그 서포터 구조
KR200379704Y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458497Y1 (ko)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200277730Y1 (ko) 의자의 팔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