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462Y1 - 도서관용 열람의자 - Google Patents

도서관용 열람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462Y1
KR200340462Y1 KR20-2003-0035097U KR20030035097U KR200340462Y1 KR 200340462 Y1 KR200340462 Y1 KR 200340462Y1 KR 20030035097 U KR20030035097 U KR 20030035097U KR 200340462 Y1 KR200340462 Y1 KR 200340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backrest
library
reading chair
ch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동성 Naiki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 Naiki filed Critical (주)동성 Naiki
Priority to KR20-2003-0035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4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46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서관용 열람의자에 관한 것으로, 열람의자의 등받이부재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의자의 등받이부재가 전ㆍ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므로서 열람의자에 착석한 이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한 도서관용 열람의자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상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그 상측에 이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후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재에 착석한 이용자가 인체의 등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서관용 열람의자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재의 각 단부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후면 양측에 위치하여 삽입홀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삽입홀 상측의 상기 등받이부재 후면 양측에는 각각 결합홀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 및 삽입홀을 통해서는 그 가운데 부분에 스프링이 구비된 탄성부재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등받이부재에 쿠션력을 부여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서관용 열람의자{CHAIR FOR LIBRARY}
본 고안은 도서관용 열람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서관에 구비되는 열람의자의 등받이부재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열람의자의 등받이부재가 선택적으로 전ㆍ후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이용자에게 쿠션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도서관용 열람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관에서 사용되는 열람의자는 대략 그 상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그 상측에 사용자의 둔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착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재의 후단부로부터 그 수직방향을 향해서는 상기 안착부재에 착석한 사용자가 인체의 등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안착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안착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위치시키기 위한 받침부재가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도서관용 열람의자에 있어서는 상기 안착부재의 후단부 측에 수직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상기 등받이부재가 일정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프레임 등을 통하여 고정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등받이부재에 쿠션력을 부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열람의자의 이용자는 의자에 장기간 착석함에 따라 그 피로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열람의자의 등받이부재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의자의 등받이부재가 전ㆍ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므로서 열람의자에 착석한 이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한 도서관용 열람의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 상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그 상측에 이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후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재에 착석한 이용자가 인체의 등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서관용 열람의자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재의 각 단부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후면 양측에 위치하여 삽입홀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삽입홀 상측의 상기 등받이부재 후면 양측에는 각각 결합홀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 및 삽입홀을 통해서는 그 가운데 부분에 스프링이 구비된 탄성부재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등받이부재에 쿠션력을 부여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의 중심에는 상ㆍ하방향으로 관통홀이 천공된 후,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는 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재의 쿠션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후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재는 각각 안착부재 양측 상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한 쌍의손잡이부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후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일체로 연장 결합되어 멈춤부재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의자의 등받이부재 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통하여 등받이부재가 일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복원되도록 하여 열람의자에 쿠션력을 부여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관용 열람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관용 열람의자를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분리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관용 열람의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도서관용 열람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안착부재, 20: 등받이부재,
22: 결합홀, 30: 받침부재,
32: 손잡이부, 34: 멈춤부재,
36: 삽입홀, 40: 탄성부재,
42: 스프링, 44: 걸림턱,
46: 관통홀, 48: 고정부재,
50: 커버부재.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관용 열람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서관용 열람의자를 나타내는 도 1의 A부 확대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도서관용 열람의자는 대략 안착부재(10)와 등받이부재(20) 및 받침부재(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상태에서, 도서관 등의 일정 장소에 설치되는 도서관용 열람의자의 상기 등받이부재(20)에 소정 쿠션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에는 이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재(10)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부재(10)의 후단부 측에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됨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10)에 착석한 이용자에게 등받이 역할을 하는 등받이부재(20) 및, 상기 안착부재(1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상기 안착부재(1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서관용 열람의자에서, 상기 안착부재(1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30) 각각의 단부는 상기 등받이부재(20)의 양측 후면 하단부 측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그 단부에는 상측을 향하도록 각각 삽입홀(36)이 천공됨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삽입홀(36)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등받이부재(20)의 후면 양측에는 상ㆍ하방향을 따라 홀이 구비된 결합홀(22)이 나사 등을 통하여 부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서관용 열람의자에는 탄성부재(40)가 구비된 후, 상기 결합홀 (22) 및 삽입홀(36)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40)가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재(20)가 일정 각도만큼 선택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된 후 복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용자에게 소정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40)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중앙부분에는 스프링(42)이 형성되는 한편, 그 상단부 측에는 걸림턱(4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22)의 상단부 측에 단속된 상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10)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재(30)는 각각 상기 안착부재(10)의 양측 상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손잡이부(32)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각각의 손잡이부(32) 단부는 각각 상기 등받이부재(20)의 후면을 향해 절곡된 후 상호 일체가 되도록 수평상태로 연장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재(20)와 일정 간격(대략 수십 밀리미터(mm) 정도) 이격된 지점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재(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멈춤부재(34) 역할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탄성부재(40)의 중심에는 상ㆍ하방향을 따라 관통홀(46)이 천공된상태에서, 상기 관통홀(46)을 통해서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 강도를 갖는 고정부재(48)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관통홀(46)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48)를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을 저감시키면서 상기 열람의자의 등받이부재(20)에 부여되는 쿠션력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40)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일정 간격으로 주름이 형성된 후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50)를 결합시켜 상기 열람의자가 보다 깔끔한 외관을 갖도록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40)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을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도서관용 열람의자를 이용하여 의자의 등받이부재 (20)에 전ㆍ후방향으로 소정 쿠션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상기 열람의자의 등받이부재(20) 후면 양측에 형성된 결합홀(22) 및 그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36)을 매개로 그 중앙부분에 스프링(42)이 형성된 탄성부재(40)를 삽입하여 고정된 상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0)는 그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4)이 상기 결합홀 (22)의 상단부 측에 단속됨과 동시에 그 하단부가 상기 삽입홀(36)에 삽입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열람의자에 착석한 이용자가 상기 등받이부재(20)의 전면에 인체의 등부분을 기댄 상태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 힘 이상의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0)에 형성된 스프링(42)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재(20)는 그 후측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멈춤부재(34)와의 간격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열람의자에 소정 쿠션력을 부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람의자의 등받이부재(20)가 일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열람의자에 착석한 이용자가 상기 등받이부재(20)에 인가한 가압력을 해제시키게 되면, 상기 등받이부재(20)는 상기 탄성부재(40)에 구비된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 상기 열람의자의 이용자가 상기 탄성부재(40)가 결합된 상기 등받이부재(20)의 유동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40)의 중심에 천공된 관통홀(46) 내에 고정부재(48)를 삽입 결합시켜 상기 탄성부재(40)의 스프링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이용자는 상기 열람의자에 구비된 등받이부재(20) 쿠션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도서관용 열람의자의 등받이부재 후면에 탄성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등받이부재에 전ㆍ후방향으로 쿠션력을 부여할 수가 있으므로, 매우 간단한 구조의 변경만으로도 보다 고품질을 갖는 도서관용 열람의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도서관용 열람의자의 이용자는 보다 안락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이에 따라 열람의자의 장시간 사용시에도 그 피로도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4)

  1. 그 상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그 상측에 이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후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재에 착석한 이용자가 인체의 등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서관용 열람의자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재의 각 단부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후면 양측에 위치하여 삽입홀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삽입홀 상측의 상기 등받이부재 후면 양측에는 각각 결합홀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 및 삽입홀을 통해서는 그 가운데 부분에 스프링이 구비된 탄성부재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등받이부재에 쿠션력을 부여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용 열람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중심에는 상ㆍ하방향으로 관통홀이 천공된 후,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는 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재의 쿠션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용 열람의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후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용 열람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재는 각각 안착부재 양측 상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후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일체로 연장 결합되어 멈춤부재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용 열람의자.
KR20-2003-0035097U 2003-11-10 2003-11-10 도서관용 열람의자 Expired - Fee Related KR200340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097U KR200340462Y1 (ko) 2003-11-10 2003-11-10 도서관용 열람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097U KR200340462Y1 (ko) 2003-11-10 2003-11-10 도서관용 열람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462Y1 true KR200340462Y1 (ko) 2004-01-31

Family

ID=4934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097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0462Y1 (ko) 2003-11-10 2003-11-10 도서관용 열람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4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900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
JP4183084B2 (ja) 椅子及びその背もたれ
KR100972233B1 (ko) 프레임 의자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JP2011101762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200340462Y1 (ko) 도서관용 열람의자
CN115067702B (zh) 一种基于人体工学的椅背及座椅
JP511694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4255804B2 (ja) 椅子
KR101635091B1 (ko) 의자의 등받이 구조
ES2119351T3 (es) Sillon.
JPH0795913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JP5600151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0428245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200342422Y1 (ko)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KR100563270B1 (ko) 등받이 쿳션장치를 갖는 학생용 의자
KR200381385Y1 (ko) 텐션을 갖는 의자용 좌판
KR200375178Y1 (ko) 의자용 이중 등받이 결합구조
KR200395856Y1 (ko) 의자 등받이 요추받침 장치
KR200175127Y1 (ko) 의자
KR200379704Y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204839Y1 (ko) 팔걸이와 등받이가 가변 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11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1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1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92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