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585A -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585A
KR20200038585A KR1020180117981A KR20180117981A KR20200038585A KR 20200038585 A KR20200038585 A KR 20200038585A KR 1020180117981 A KR1020180117981 A KR 1020180117981A KR 20180117981 A KR20180117981 A KR 20180117981A KR 20200038585 A KR20200038585 A KR 20200038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er
support
pad
block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940B1 (ko
Inventor
조효석
Original Assignee
조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효석 filed Critical 조효석
Priority to KR102018011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9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resilient bloc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럼버패드의 받침점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럼버패드의 휨 변형량을 조절함으로써, 신체조건에 맞도록 또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측프레임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다단 가이드홈이 구비된 등판프레임; 다단 가이드홈내로 일측이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럼버블록; 럼버블록의 일측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럼버샤프트에 의해 결합되고 럼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럼버패드 밀 럼버블록에 접촉지지되는 럼버노브; 럼버블록의 지지홀내로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등판에 접촉되도록 등판과 럼버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럼버패드;를 포함하여,
럼버노브의 미작동시에는 제1지지점(P1)을 받침점으로 하여 럼버패드의 패드플레이트와 제1탄성대가 전달되는 허리 하중을 지지하며 휨변형되고, 럼버노브의 작동시에는 가변지지점(P4)을 받침점으로 하여 럼버패드의 패드플레이트가 전달되는 허리 하중을 지지하며 휨변형되어, 럼버노브 작동시의 탄성변형범위(L2)가 럼버노브 미작동시의 탄성변형범위(L1) 보다 휨 량이 축소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더 강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Chairs with adjustable lumbar support}
본 발명은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럼버노브의 작동여부에 따라 럼버패드를 지지하는 받침점의 위치가 변형되어 럼버패드의 탄성변형량(휨 변형량)이 조절될 수 있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석부,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 등으로 구성되며, 좌석부 및 등받이부에는 착석자의 안락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쿠션이 설치된다.
그러나, 의자에 앉아 사무를 보는 일이 많은 현대인들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업무를 볼때 필연적으로 허리를 구부리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시간 업무를 봄에 따라 허리의 통증을 많이 호소하게 된다.
이것은 허리를 구부린 자세로 장시간 있게 되면 아주 완만한 'C'자 형태를 취하는 척추 하부가 비교적 곧은 직선의 상태로 되면서 상체의 하중이 척추 전반에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척추 하부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허리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별도로 방석이나 쿠션을 구입한 후 방석이나 작은 쿠션 등을 허리에 대고 앉아 허리를 지지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석이나 쿠션 등은 의자에 고정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적절히 허리를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추 지지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그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하기가 쉽지 않고, 부품 수가 많아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요추지지장치는 직물 또는 메쉬재질로 이루어진 등판을 전방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등판의 장력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요추지지장치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된 등판에 대한 마모발생이 증가 즉,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진 등판에 국부적으로 강한 힘이 발생되어 장기간 사용시 등판에 손상이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35091 (2016.06.24)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99857 (2000.08.04)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42422 (2004.02.06)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59097 (2011.08.18)
본 발명의 목적은 럼버패드의 받침점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럼버패드의 휨 변형량을 조절함으로써, 신체조건에 맞도록 또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측프레임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다단 가이드홈이 구비된 등판프레임; 다단 가이드홈내로 일측이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럼버블록; 럼버블록의 일측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럼버샤프트에 의해 결합되고 럼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럼버패드 밀 럼버블록에 접촉지지되는 럼버노브; 럼버블록의 지지홀내로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등판에 접촉되도록 등판과 럼버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럼버패드;를 포함하여,
럼버노브의 미작동시에는 제1지지점(P1)을 받침점으로 하여 럼버패드의 패드플레이트와 제1탄성대가 전달되는 허리 하중을 지지하며 휨변형되고, 럼버노브의 작동시에는 가변지지점(P4)을 받침점으로 하여 럼버패드의 패드플레이트가 전달되는 허리 하중을 지지하며 휨변형되어, 럼버노브 작동시의 탄성변형범위(L2)가 럼버노브 미작동시의 탄성변형범위(L1) 보다 휨 량이 축소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더 강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럼버노브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럼버패드의 탄성변형량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럼버패드의 휨변형이 이루어지는 받침점 위치를 조절하여 럼버패드의 탄성변형범위(럼버패드의 후단방향 휨 변형범위)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또는 사용자의 편의성에 맞추어 사용자의 허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럼버패드의 지지 위치와 휨변형량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지지강도를 통합적으로 쉽게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도록 되어 있어, 종래 의자의 등판프레임의 구조적 변화없이도 장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등판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럼버패드의 휨변형이 이루어지는 받침점의 위치조절을 통해, 허리에 대한 지지력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시에도 등판에 대한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노브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패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조립단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도 7 의 'C' 및 'D' 의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노브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패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의 조립단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도 7 의 'C' 및 'D' 의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양측프레임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다단 가이드홈(11)이 구비된 등판프레임(10);
다단 가이드홈(11)내로 일측이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럼버블록(20);
럼버블록(20)의 일측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럼버샤프트에 의해 결합되고 럼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럼버패드 및 럼버블록에 접촉지지되는 럼버노브(30);
럼버블록(30)의 지지홀내로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등판(60)에 접촉되도록 등판(60)과 럼버블록(20) 사이에 설치되는 럼버패드(40);를 포함하여,
럼버노브(30)와 럼버패드(40)의 미접촉 또는 접촉지지에 따라, 럼버패드의 밤침점이 럼버블록(20)에서 럼버노브(30)로 이동되어, 럼버패드(40)의 탄성변형범위(럼버패드의 후단방향 휨 변형범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등판프레임(10)은 등판(60)이 탄성지지되도록 내부에 중공홀(12)을 구비하고 하단프레임(13)에 좌판프레임 또는 다리지지부(도시없음)에 연결되는 결합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프레임(15)의 전면(15a)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다단 가이드홈(11)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일예로, 상기 등판프레임(10)은 상단프레임(16)과 양측 프레임(15) 및 하단프레임(13)에 의해 내부에 중공홀(12)을 구비하고, 하단프레임(13)에 결합프레임(14)이 결합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등판프레임(10)은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내구성이 뛰어나고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하며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일예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등판(60)은 메쉬소재 또는 직물소재 또는 스폰지와 직물의 복합소재 등등 소정의 신축성(탄력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통풍이 이루어지는 소재 특히 메쉬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판프레임(10)에 대한 등판(60)의 설치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다단 가이드홈(11)은 등판프레임의 양측 프레임(15)에 서로 대칭되도록 또한, 등판(60)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럼버패드(40) 및 럼버노브(30)가 연결설치된 럼버블록(20)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단 가이드홈(11)은 럼버패드의 끝단이 연결설치된 럼버블록의 일측이 삽입되는 상부가이드홈(17)과, 상기 상부가이드홈(17)내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하부가이드홈(18)을 포함한다. 이때, 하부가이드홈의 폭(W2)은 상부가이드홈의 폭(W1)보다 좁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럼버블록(20)은 럼버패드(40) 및 럼버노브(30)를 지지하면서 다단 가이드홈(11)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것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패드(40)가 일측에 연결지지되고 럼버노브(30)에 타측에 연결설치되는 블록본체(21)와,
럼버패드(40)의 끝단이 지지홀내로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등판(60)을 향하는 블록본체의 일측면(21a) 끝단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22)와,
다단 가이드홈(11)의 하부가이드홈(18)내로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블록본체의 타측면(21b) 일측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23)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본체(21)는 지지돌기 및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다단가이드홈(11)의 상부가이드홈(17)내에 일측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메인본체(24)와, 등판프레임의 중공홀(12)내에 위치하도록 메인본체(24)에서 연장형성되어 럼버샤프트(50)에 의해 럼버노브(30)가 결합되는 힌지본체(2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힌지본체(25)는 럼버샤프트(50)를 중심으로 럼버노브(30)가 회전될 시, 회전따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원기둥 타입 또는 소정의 곡률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21)는 일측에 럼버패드에 접촉된 럼버노브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는 지지면(21c)을 구비한다.
즉, 상기 지지면(21c)는 블록본체의 일측면(21a)에 연장되어 힌지본체(25)의 외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경사면 또는 곡선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럼버노브(30)의 일측이 면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블록본체(21)는 다단가이드홈의 단차면(19)에 가이드돌기(23)가 형성된 타측면(21b)이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일측면(21a)의 끝단에 럼버노브의 일측이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면(25a)이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23)는 블록본체의 타측면(21b)에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다단 가이드홈(11)의 하부가이드홈(18)내로 삽입되어, 럼버패드의 상하이동시, 럼버블록(20)을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3)는 럼버블록(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도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조립공차범위를 구비하며 하부가이드홈(18)내로 끼움설치된다.
상기 지지돌기(22)는 블록본체의 일측면(21a) 끝단에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면(22a)과 제2측면(22b)을 관통하는 지지홀(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홀(26)은 제1측면(22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홀(26a)과, 제2측면(22b)에 연결되고 제1지지홀(26a)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2지지홀(26b)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홀(26b)은 럼버패드의 일측이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확장내면(26c)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홀(26)은 확장내면(26c)을 구비하는 제2지지홀(26b)과 제1지지홀(26a)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확장내면(26c)에 의해 제1지지홀(26a)에서 제2지지홀(26b)의 내부공간이 확장되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내면(26c)은 지지홀(26)내로 삽입된 럼버패드의 일측이 면접촉되어 지지될 시, 럼버패드의 또다른 일측이 지지홀(26)과 제1측면(22a)의 연결지점 즉, 모서리에 의해 접촉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θ)을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일예로, 상기 럼버패드의 탄성지지대 두께가 약 2㎜를 구비하고, 제1측면에서 제2측면까지의 거리가 약 10㎜를 구비하도록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확장내면(26c)의 경사각(θ)은 약 10°∼20°, 바람직하게는 14°∼18°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확장내면(26c)을 구비하는 지지홀(26)내로 럼버패드의 일측이 삽입될 경우, 지지홀과 제2측면의 연결지점에 대한 럼버패드의 접촉, 확장내면(26c)과 럼버패드의 면접촉 및, 지지홀과 제1측면의 연결지점에 대한 럼버패드의 접촉에 의해 럼버패드의 일측이 다중 접촉되어 지지되게 되므로, 럼버패드의 탄성변형시 럼버패드의 유격현상없이 안정적인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각(θ)은 지지홀의 일측 내면에서 연장되는 연장선(27)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럼버패드로부터 지지돌기(22)에 전달되는 등판의 신축탄성력(F)이 가이드돌기(23)에 전달될 수 있도록 지지돌기(22)와 가이드돌기(23)가 연속하여 어긋나도록 블록본체(2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돌기(22)와 가이드돌기(23)가 형성될 경우, 등판의 신축탄성력이 럼버패드를 통해 지지돌기(22)의 일측에 전달되면, 힘의 전달방향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23)에도 신축탄성력이 전달되고 이로인해, 가이드돌기(23)에 다단 가이드홈의 하부가이드홈(18)내로 삽입되어지는 힘이 발생되어, 별도의 결속수단없이도, 다단 가이드홈(11)으로부터 럼버블록(20)의 이탈이 방지될 뿐 아니라, 다단 가이드홈(11)내에서 럼버블록(20)의 위치가 지지되게 된다.
상기 럼버노브(30)는 럼버샤프트(50)에 의해 럼버블록의 일측 즉, 블록본체의 힌지본체(25)에 좌우방향으로 수평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럼버패드의 탄성변형범위(럼버패드의 후단방향 휨 변형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지지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럼버노브(3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에 손잡이(32)를 구비하는 노브몸체(31)와, 럼버패드(4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도록 노브몸체(31)의 타측단에 돌출형성된 노브돌기(33)와, 노브돌기(33)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럼버블록(20)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34)과, 상기 삽입홈(34)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럼버샤프트(50)가 삽입설치되는 샤프트홀(35)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34)은 럼버노브(30)의 회전작동시 럼버블록의 힌지본체(25)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곡면을 구비하는 회전면(34a)과, 상기 회전면(34a)에 연장형성되고 럼버노브의 회전작동시, 럼버블록의 힌지본체에 형성된 지지면(25a)에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접촉면(34b)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2), 노브돌기(33), 삽입홈(34) 및 샤프트홀(35)은 모두 노브몸체(3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32)와 노브돌기(33)는 샤프트홀(35)을 중심으로 시소작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럼버노브(30)는 럼버샤프트(50)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도 8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돌기(33)가 럼버패드의 패드플레이트에 접촉지지(이하 '가변지지점(P4)'이라 칭함)되어 럼버패드의 탄성변형량(휨 변형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럼버노브(30)는 럼버패드에 접촉지지될 뿐 아니라, 럼버블록의 지지면(25a)에 접촉면(34b)이 면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럼버패드(4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패드플레이트(41)와, 상기 패드플레이트(4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럼버블록의 지지돌기에 형성된 지지홀(26)내로 각각 끼움결합되는 탄성지지대(42)를 포함하며, 소정의 탄성변형력을 구비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패드플레이트(41)는 사용자의 허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으며, 등판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탄성지지대(42)는 패드플레이트(41)로부터 럼버블록의 지지돌기(22)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제1탄성대(43)와, 상기 제1탄성대(43)로부터 소정의 경사각(θ1)을 구비하도록 연장형성되어 럼버블록 지지돌기의 지지홀(26)내로 삽입설치되는 제2탄성대(44)와, 제2탄성대(44)의 끝단에 돌출형성되어 럼버블럭 지지돌기의 제2측면(26b)에 걸림지지되는 걸림대(4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럼버패드(40)는, 도 8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대의 제2탄성대(44) 일측면이 럼버블록 지지돌기의 지지홀내 확장내면(26c)에 면접촉(이하 '면지지점(P3)'이라 칭함)되고, 걸림대(45)가 럼버블록 지지돌기의 제2측면에 접촉지지(이하 '제2지지점(P2)'이라 칭함)되며, 탄성지지대의 제2탄성대(44) 타측면 일측이 지지홀과 제1측면의 연결부위 즉, 모서리 부위에 접촉지지(이하 '제1지지점(P1)'이라 칭함)되도록 패드플레이트(41)의 양측에 위치하는 탄성지지대(42)가 럼버블록의 지지홀(26)내로 끼움설치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조립단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도 2 의 E-E 단면)를,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도 7 의 'C' 및 'D' 의 상세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럼버노브의 작동에 따른 럼버패드의 움직임(탄성변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의 (a)는 도 7 의 'C' 부분에 대한 상세예시도이고, (b) 는 도 7 의 'D'부분에 대한 상세예시도이다.
럼버노브 미작동(럼버패드에 럼버노브 노브돌기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
럼버노브의 미작동시, 럼버패드(40)는, 도 7 의 (a) 및 도 8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대의 제2탄성대(44) 일측면이 럼버블록 지지돌기의 지지홀내 확장내면(26c)에 면접촉(이하 '면지지점(P3)'이라 칭함)되고, 걸림대(45)가 럼버블록 지지돌기의 제2측면에 접촉지지(이하 '제2지지점(P2)'이라 칭함)되며, 탄성지지대의 제2탄성대(44) 타측면 일측이 지지홀과 제1측면의 연결부위 즉, 모서리 부위에 접촉지지(이하 '제1지지점(P1)'이라 칭함)되도록 패드플레이트(41)의 양측에 위치하는 탄성지지대(42)가 럼버블록의 지지홀(26)내로 끼움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럼버패드(40)에 사용자의 허리 하중(F)이 전달될 시, 럼버패드(40)는 제1지지점(P1)을 받침점으로 하고, 면지지점(P3)와 제2지지점(P2)을 고정점으로 하여, 등판프레임이 휨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탄성지지대(42)는 제2탄성대(44)를 기준으로 제1탄성대(43)가 경사각(θ1)이 확장되도록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럼버패드(40)는 럼버노브(30)의 미작동시에는 제1지지점(P1)과 제1지지점(P1) 사이에서 패드플레이트(41)와 탄성지지대의 제1탄성대(43)가 휨변형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럼버노브 작동(럼버패드에 럼버노브 노브돌기가 접촉된 상태)
도 7 의 (b) 및 도 8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노브의 노브돌기(33)가 럼버패드의 패드플레이트(41)에 접촉지지되도록 등판프레임의 중공홀내 양측에 위치하는 럼버노브(3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럼버블록의 회전에 의해 럼버패드의 패드플레이트에 노브돌기가 접촉지지되게 되면, 럼버블록의 삽입홈에 구비된 접촉면(34b)이 럼버블록의 힌지본체 지지면(25a)에 면접촉되어 지지되고, 면접촉 부위에 노브돌기(33)와 패드플레이트의 접촉지지점 즉, 가변지지점(P4)이 위치하게 되므로, 럼버패드를 통해 전달되는 등판의 신축탄성력(F)에 의해 럼버노브는 럼버블럭에 위치가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럼버노브의 노브돌기가 럼버패드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하중이 전달되면, 럼버패드(40)는 가변지지점(P4)을 받침점으로 하고, 제1,2지지점(P1,P2)과 면지지점(P3)을 고정점으로 하여, 등판프레임의 후단방향(B)으로 휨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럼버패드는 럼버노브(30)의 작동시에는 등판프레임의 중공홀내 양측에 위치하는 가변지지점(P4)과 가변지지점(P4) 사이에서 패드플레이트(41)가 휨변형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럼버노브의 미작동시에는 제1지지점(P1)을 받침점으로 하여 럼버패드의 패드플레이트와 제1탄성대가 전달되는 허리 하중을 지지하며 휨변형되고, 럼버노브의 작동시에는 가변지지점(P4)을 받침점으로 하여 럼버패드의 패드플레이트가 전달되는 허리 하중을 지지하며 휨변형되어, 럼버노브 작동시의 탄성변형범위(L2)가 럼버노브 미작동시의 탄성변형범위(L1) 보다 축소되어 사용자의 허리가 좀 더 강력하게 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등판프레임 (11) : 다단 가이드홈
(12) : 중공홀 (13) : 하단프레임
(14) : 결합프레임 (15) : 양측 프레임
(16) : 상단프레임 (17) : 상부가이드홈
(18) : 하부가이드홈 (19) : 단차면
(W1) : 상부가이드홈 폭 (W2) : 하부가이드홈 폭
(20) : 럼버블록 (21) : 블록본체
(21a) : 일측면(전면) (21b) : 타측면(후면)
(22) : 지지돌기 (23) : 가이드돌기
(24) : 메인본체 (25) : 힌지본체
(25a) : 지지면 (26) : 지지홀
(26a) : 제1측면 (26b) : 제2측면
(26c) : 확장내면 (27) : 연장선
(30) : 럼버노브 (31) : 노브몸체
(32) : 손잡이 (33) : 노브돌기
(34) : 삽입홈 (34a) : 회전면
(34b) : 접촉면 (35) : 샤프트홀
(40) : 럼버패드 (41) : 패드플레이트
(42) : 탄성지지대 (43) : 제1탄성대
(44) : 제2탄성대 (45) : 걸림대
(50) : 럼버샤프트 (60) : 등판
(P1) : 제1지지점 (P2) : 제2지지점
(P3) : 면지지점 (P4) : 가변지지점
(B) 후단방향

Claims (9)

  1. 양측프레임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는 다단 가이드홈(11)이 구비된 등판프레임(10);
    다단 가이드홈(11)내로 일측이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럼버블록(20);
    럼버블록(20)의 일측단에 회전가능하도록 럼버샤프트에 의해 결합되고 럼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럼버패드 밀 럼버블록에 접촉지지되는 럼버노브(30);
    럼버블록(30)의 지지홀내로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등판(60)에 접촉되도록 등판(60)과 럼버블록(20) 사이에 설치되는 럼버패드(40);를 포함하여,
    럼버노브(30)와 럼버패드(40)의 미접촉 또는 접촉지지에 따라, 럼버패드의 받침점이 럼버블록(20)에서 럼버노브(30)로 이동되어, 럼버패드(40)의 탄성변형범위(럼버패드의 후단방향 휨 변형범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다단 가이드홈(11)은,
    럼버패드의 끝단이 연결설치된 럼버블록의 일측이 삽입되는 상부가이드홈(17)과, 상기 상부가이드홈(17)내에 소정깊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하부가이드홈(18)을 포함하되, 하부가이드홈의 폭(W2)은 상부가이드홈의 폭(W1)보다 좁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3. 청구항 1 에 있어서;
    럼버블록(20)은,
    럼버패드(40)가 일측에 연결지지되고 럼버노브(30)에 타측에 연결설치되는 블록본체(21)와,
    럼버패드(40)의 끝단이 지지홀내로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등판(60)을 향하는 블록본체의 일측면(21a) 끝단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22)와,
    다단 가이드홈(11)의 하부가이드홈(18)내로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블록본체의 타측면(21b) 일측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지지돌기(22)는 제1측면(22a)과 제2측면(22b)을 관통하는 지지홀(26)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홀(26)은, 제1측면(22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홀(26a)과, 제2측면(22b)에 연결되고 제1지지홀(26a)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2지지홀(26b)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홀(26b)에는 럼버패드의 일측이 면접촉되어 지지되는 확장내면(26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5. 청구항 4 에 있어서;
    확장내면(26c)은, 지지홀(26)내로 삽입된 럼버패드의 일측이 면접촉되어 지지될 시, 럼버패드의 또다른 일측이 지지홀(26)과 제1측면(22a)의 연결지점 즉, 모서리에 의해 접촉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θ)을 구비하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6. 청구항 3 에 있어서;
    지지돌기(22)와 가이드돌기(23)는,
    럼버패드로부터 지지돌기(22)에 전달되는 등판의 신축탄성력(F)이 가이드돌기(23)에 전달될 수 있도록 서로 연속하여 어긋나도록 블록본체(2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7. 청구항 1 에 있어서;
    럼버노브(30)는, 일측단에 손잡이(32)를 구비하는 노브몸체(31)와, 럼버패드(4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도록 노브몸체(31)의 타측단에 돌출형성된 노브돌기(33)와, 노브돌기(33)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럼버블록(20)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34)과, 상기 삽입홈(34)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럼버샤프트(50)가 삽입설치되는 샤프트홀(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에 있어서;
    럼버노브(30)는, 노브돌기가 럼버패드의 일측에 접촉지지되어 가변지지점(P4)이 형성할 시, 럼버블록의 지지면(25a)에 삽입홈내의 접촉면(34b)이 면접촉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9. 청구항 1 에 있어서;
    럼버패드(40)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패드플레이트(41)와, 상기 패드플레이트(4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럼버블록의 지지돌기에 형성된 지지홀(26)내로 각각 끼움결합되는 탄성지지대(42)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지지대(42)는, 패드플레이트(41)로부터 럼버블록의 지지돌기(22)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제1탄성대(43)와, 상기 제1탄성대(43)로부터 소정의 경사각(θ1)을 구비하도록 연장형성되어 럼버블록 지지돌기의 지지홀(26)내로 삽입설치되는 제2탄성대(44)와, 제2탄성대(44)의 끝단에 돌출형성되어 럼버블럭 지지돌기의 제2측면(26b)에 걸림지지되는 걸림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KR1020180117981A 2018-10-04 2018-10-04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KR10216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81A KR102166940B1 (ko) 2018-10-04 2018-10-04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81A KR102166940B1 (ko) 2018-10-04 2018-10-04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585A true KR20200038585A (ko) 2020-04-14
KR102166940B1 KR102166940B1 (ko) 2020-10-30

Family

ID=7029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981A KR102166940B1 (ko) 2018-10-04 2018-10-04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699B1 (ko) * 2023-03-09 2023-06-30 (주)베스툴 요추지지 조절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57Y1 (ko) 2000-05-15 2000-10-16 차석출 허리받침대를 부설한 의자등받이
KR200342422Y1 (ko) 2003-12-03 2004-02-21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JP2007135641A (ja) * 2005-11-14 2007-06-07 Takano Co Ltd 椅子類のランバーサポート
KR101059097B1 (ko) 2009-06-15 2011-08-24 주식회사 코아스웰 의자의 허리받침용 시트
KR101635091B1 (ko) 2014-12-04 2016-06-30 정상진 의자의 등받이 구조
KR101679795B1 (ko) * 2016-06-29 2016-11-28 부호체어원(주)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JP2018012029A (ja) * 2017-10-26 2018-01-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
JP2018075853A (ja) * 2016-11-07 2018-05-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57Y1 (ko) 2000-05-15 2000-10-16 차석출 허리받침대를 부설한 의자등받이
KR200342422Y1 (ko) 2003-12-03 2004-02-21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JP2007135641A (ja) * 2005-11-14 2007-06-07 Takano Co Ltd 椅子類のランバーサポート
KR101059097B1 (ko) 2009-06-15 2011-08-24 주식회사 코아스웰 의자의 허리받침용 시트
KR101635091B1 (ko) 2014-12-04 2016-06-30 정상진 의자의 등받이 구조
KR101679795B1 (ko) * 2016-06-29 2016-11-28 부호체어원(주)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JP2018075853A (ja) * 2016-11-07 2018-05-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2018012029A (ja) * 2017-10-26 2018-01-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940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8957B2 (en) Chair with back tilt adjustment structure
JP5906289B2 (ja) シーティングユニット用の同調背もたれ
US20100244521A1 (en) Chair
JP6770585B2 (ja) 椅子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US20150102648A1 (en) Tilting type chair
JP2005152087A (ja) 椅子及びその背もたれ
KR101730020B1 (ko)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KR102111209B1 (ko) 등쿠션
KR102166940B1 (ko)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JP511694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090053341A (ko) 프레임 의자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JP4721182B2 (ja) 椅子
KR101852110B1 (ko) 후렉시블 등판부를 구비한 의자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JPH07155232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200323370Y1 (ko) 기능성 사무용의자
JP6440307B2 (ja) 椅子
JPH07275078A (ja) 椅子のシェル
KR102032781B1 (ko) 리클라이닝 체어
WO2017183635A1 (ja) 椅子の背凭れ
KR101446461B1 (ko) 의자 조립체
JP7312010B2 (ja) 折り畳み式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