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699B1 - 요추지지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요추지지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699B1
KR102549699B1 KR1020230031045A KR20230031045A KR102549699B1 KR 102549699 B1 KR102549699 B1 KR 102549699B1 KR 1020230031045 A KR1020230031045 A KR 1020230031045A KR 20230031045 A KR20230031045 A KR 20230031045A KR 102549699 B1 KR102549699 B1 KR 10254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upling
lumbar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베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툴 filed Critical (주)베스툴
Priority to KR102023003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는 등판시트가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는 메쉬형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석자의 요추 지지부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등판시트의 후방에서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요추패드와, 걸림조절부를 포함하는 패드유닛; 상기 등판프레임의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및 상기 패드유닛과 상기 결합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링크구조에 의한 회전 이동으로 상기 걸림조절부에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부위를 가변시키는 링크무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추지지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UPPORT POSITION AND STRENGTH OF LUMBAR}
본 발명은 메쉬형 의자에 장착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착탈식 결합 구조를 통하여 장치 확장성을 높임은 물론, 착석자의 요추 등이 지지되는 부위 및 강도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쉬형(Mesh type) 의자는 착석자의 등이 닿는 등판 시트를 통기성이 좋은 천, 직물의 시트를 설치한 의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메쉬형 의자는 통풍이 원활하고 독자적인 미감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어 근래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메쉬형 의자는 등판 지지가 플라스틱 등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다른 일반 의자와는 달리 직물시트의 장력(텐션, tension)에 의하여 착석자의 등 부위가 지지되므로 직물시트가 등판프레임에 강하게 고정된다고 하여도 직물 시트의 본질적인 특성상 착석자의 요추 부위에 플라스틱 등의 구조물에 상응하는 강한 지지력이 전달되기는 어렵다.
메쉬형 의자의 이러한 일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착석자의 요추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의자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4195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의자들은 상당히 복잡한 구성을 가지는 장치 내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쉽게 이용하기 어려우며, 복잡한 제조·조립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공정 효율성이 낮음은 물론, 가격 경쟁력에도 상당히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의자들은 의자 전체 내지 등판프레임 전체의 새로운 구조적 변화를 통하여 요추 지지를 위한 구성이 구현되므로 일반적인 메쉬형 의자를 그대로 활용할 수 없다는 장치 확장성 측면의 한계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41957호(2006.10.2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4987호(2014.04.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적용만으로도 메쉬형 의자의 요추지지 부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 메쉬형 의자의 구조 변화를 거의 수반하지 않는, 더욱 높은 장치 확장성을 구현할 수 있는 요추지지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는, 등판시트가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는 메쉬형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석자의 요추 지지부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등판시트의 후방에서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요추패드와, 걸림조절부를 포함하는 패드유닛; 상기 등판프레임의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및 상기 패드유닛과 상기 결합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링크구조에 의한 회전 이동으로 상기 걸림조절부에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부위를 가변시키는 링크무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패드유닛은, 제1링크핀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링크무빙유닛은, 상기 걸림조절부에 걸림결합되는 서포터와, 제2링크핀이 결합되는 제2링크결합부를 포함하는 레버노브; 상기 제1링크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링크로드; 및 상기 제2링크핀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에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지지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걸림조절부는 상기 요추패드와 상기 제1링크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조절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복수 개 홈부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복수 개 홈부 중 하나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링크로드의 상기 제2링크부는 가운데 제1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로 이원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링크핀에 의하여 상기 제2링크결합부 및 제2링크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홈부레일이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지지커넥터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부레일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홈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버노브의 제2링크결합부는 상기 패드유닛의 제1링크결합부를 기준으로 내측 방향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링크로드는, 외측 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링크결합부와 내측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2링크결합부를 연결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착석자의 체형, 착석 습관, 피로감이 누적되는 부위 등에 따라 요추 등이 지지되는 위치와 강도를 인체공학적으로 쉽고 편리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메쉬형 의자 및 등판프레임의 구조 변화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도 메쉬형 의자에 설치 내지 장착될 수 있어 장치 확장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사용자가 간단하면서도 명확하게 작동하는 메카니즘을 통하여 요추가 지지되는 부위를 더욱 용이하게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 및 의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의 상세 구성과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드암의 상세 구성과 그 결합 관게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결합프레임과 지지커넥터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레버노브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요추패드의 지지부위가 가변되는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1000) 및 의자(5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의자의 등판프레임(510)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1000)가 적용되는 의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500)의 등판프레임(510)에 결합되는 등판시트(520)가 직물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쉬형 의자(500)에 해당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메쉬형 의자(500)는 물리적 플레이트(가죽, 직물 등으로 커버링)가 착석자의 등판을 지지하는 의자와는 달리, 직물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등판시트(520)의 외주 부분이 등판프레임(5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등판시트(520) 자체의 텐션에 의하여 착석자의 등, 요추 등이 지지된다.
이러한 메쉬형 의자(500)는 통기성 등에서 뛰어난 성능을 가지며 요추 부분을 유연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장시간 착석하는 경우 요추 부위 등에 피로감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요추지지 조절장치(1000)는 착석자의 후방이 직물소재로 이루어지는 등판시트(520)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메쉬형 의자(500)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착석자의 요추부위에 대한 물리적 지지를 보강하되, 물리적 지지가 이루어지는 부위 또는 강도 등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요추지지 조절장치(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시트(52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등판프레임(510), 구체적으로 등판프레임(510)의 사이드프레임(511)에 간단한 결합구조(나사결합, 끼움결합 등)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등판프레임(510)이 포함되어 있다면 거의 모든 메쉬형 의자(500)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10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1000)는 패드유닛(100), 결합프레임(200) 및 링크무빙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유닛(100)은 등판시트(520)의 후방에서 착석자의 요추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후술되는 본 발명의 고유한 메카니즘을 통하여 전후방으로 그리고 위아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1000)의 일 구성인 결합프레임(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패드유닛(100)을 가운데에 두고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200A, 200B)으로서, 등판프레임(510), 구체적으로 등판프레임(510)의 사이드프레임(511)에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면에는 이에 대한 하나의 예시로 나사,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A)에 의하여 결합프레임(200)이 사이드프레임(511)에 결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좌측 결합프레임(200A)과 우측 결합프레임(200B)은 상호 대칭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이들 중 하나를 기준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링크무빙유닛(300)은 고정체로 기능하는 결합프레임(200)과 이동체로 기능하는 패드유닛(10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이동체인 패드유닛(100)을 물리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링크결합 등에 의한 복합 이동을 구현하는 본 발명만의 고유한 구성을 통하여 패드유닛(100)이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위치 등을 가변시켜 착석자의 요추지지 부위의 강도 등이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링크무빙유닛(300A, 300B) 또한, 패드유닛(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 대칭을 이루는 형상적 차이 이외, 주요 기능이 상호 대응되므로 결합프레임(200)과 같이 좌측 및 우측 중 하나의 링크무빙유닛(300)을 기준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축, 그 축을 지칭하는 용어 및 해당 축을 기준으로 설명되는 상부, 하부, 전방, 후방, 수직 등과 같은 방향을 의미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대적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을 뿐, 절대적 기준에서 어떤 방향이나 위치 등을 특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자명하며, 대상이 되는 객체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바라보는 방향(view direction) 등에 따라 상대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Z축을 상하 또는 수직 방향의 기준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와 상응하는 관점에서 Y축을 전방 또는 후방의 기준으로, X축을 좌측 또는 우측의 기준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정의된 방향 기준에 의할 때, XY평면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평면이 되며, +Y축 방향이 후방, -Y축 방향이 전방이며, +X축 방향이 좌측, -X축 방향이 우측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1000)의 상세 구성과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링크로드(320)의 상세 구성과 그 결합 관게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추지지 조절장치(1000)는 패드유닛(100), 결합프레임(200) 및 링크무빙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 본 발명의 패드유닛(100)은 요추패드(110), 제1링크결합부(120) 및 걸림조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요추패드(110)는 착석자의 요추 부위를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길이 방향(x축 기준)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인체공학적 구조를 위하여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되, 상부(Z축 기준)가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기울어진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유닛(100)의 최외측(좌측 및 우측 기준)에는 제1링크핀(LP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결합부(120)가 구비된다. 제1링크핀(LP1) 등에 의한 결합관계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링크결합부(120)와 요추패드(110) 사이에는 도 5(도 5의 확대도 참조)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복수 개 홈부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걸림조절부(130)가 구비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레버노브(310)의 서포터(311)는 이 걸림조절부(130)를 구성하는 복수 개 홈부 중 하나에 걸림결합되어 그 위치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링크무빙유닛(300)은 패드유닛(100)과 결합프레임(200) 사이에서 이들을 상호 매개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레버노브(310), 링크로드(320) 및 지지커넥터(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이들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레버노브(310)는 사용자의 작동력이 직접 작용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패드유닛(100)의 걸림조절부(130)에 결림결합되는 서포터(311)가 일단에 구비되며, 그 반대 방향으로는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한 작동력이 가해지는 노브(knob)(315)가 구비된다. 노브(315)는 레버러지(leverage)에 의하여 작은 힘으로도 서포터(3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포터(311)보다 외측으로 더 길게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311)와 노브(315)의 가운데 부분에는, 제2링크핀(LP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결합부(313)가 구비되므로 노브(315)에 외력이 가해지면 본 발명의 레버노브(310)는 제2링크결합부(313) 또는 제2링크결합부(313)에 결합되는 제2링크핀(LP2)을 회전축(R1, 도 6참조)으로 노브(315)에 가해진 외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고 그에 따라 노브(315)의 반대 방향에 구비된 서포터(311)가 회전 이동한다.
본 발명의 링크로드(320)는 링크구조에 의한 복합 이동을 구현하는 구성으로서, 제2링크핀(LP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부(323)가 일단에 구비되며, 타단으로는 제1링크핀(LP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부(32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지지커넥터(330)는 등판프레임(510)에 착탈식으로 고정결합되는 결합프레임(20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제2링크핀(LP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331) 및 결합프레임(200)에 결합되는 몸체부(3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결합프레임(200)은 등판프레임(510)에 고정 결합되므로 고정체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지지커넥터(330)는 이 결합프레임(200)에 결합되므로 지지커넥터(330) 또한, 상대적 고정체로 기능한다.
상기 지지커넥터(330)의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331)는 제2링크핀(LP2)과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핀(LP2)은 레버노브(310)의 제2링크결합부(313)와도 결합된다. 즉, 레버노브(310)를 기준으로 환언하면, 레버노브(310)는 제2링크핀(LP2)을 통하여 지지커넥터(33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지지커넥터(330)는 등판프레임(510)에 고정되는 결합프레임(200)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레버노브(310)는 이러한 물리적 결합관계를 통하여 고정체로 기능하는 지지커넥터(330)로부터 물리적으로 지지되면서 제2링크핀(LP2)을 회전축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링크로드(320)의 일단에 구비된 제2링크부(323)는 제2링크핀(LP2)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구비된 제1링크부(321)는 제1링크핀(LP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링크로드(320)는 양단 모두에서 제1 및 제2링크핀(LP1, LP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링크핀(LP1)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패드유닛(100)의 제1링크결합부(120)와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1링크핀(LP1)은 패드유닛(100) 및 링크로드(320) 모두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2링크핀(LP2)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레버노브(310)의 제2링크결합부(313) 및 지지커넥터(330)의 결합부(33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제2링크핀(LP2)은 레버노브(310), 링크로드(320) 및 지지커넥터(330) 모두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환언하면 상기 링크로드(320)의 일단은 제1링크핀(LP1)을 통하여 패드유닛(100)의 제1링크결합부(1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로드(320)의 타단은 제2링크핀(LP2)을 통하여 고정체인 지지커넥터(3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패드유닛(100)의 제1링크결합부(120)는 링크로드(320)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링크로드(320)의 타단은 고정체로 기능하는 지지커넥터(33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본 발명의 패드유닛(100)은 외부 이탈이 억제되며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대적 이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링크로드(320)의 제2링크부(3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제1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로 이원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커넥터(330)의 결합부(331)는 상기 제1공간(S)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링크핀(LP2)에 의하여 레버노브(310)의 제2링크결합부(313) 및 링크로드(320)의 제2링크부(323)와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구성에 의하면, 물리적 이동은 고정되되, 상대적 회전 이동이 이루어지는 구성들이 동일한 하나의 제2링크핀(LP2)과 동축으로 결합될 수 있어 물리적 결합 관계는 물론, 회전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2링크핀(LP2)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결합부(313)는 제1링크핀(LP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드유닛(100)의 제1링크결합부(120)를 기준으로 내측 방향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구조(제1링크부(321), 제2링크부(323))를 통하여 이동체 및 고정체 모두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 발명의 링크로드(320)는 상대적 관점에서 외측 전방에 위치한 제1링크결합부(120)와 내측 후방에 위치한 제2링크결합부(313)를 연결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대적 위치 고정, 각 구성의 회전 이동 및 레버노브(310)의 회전 이동에 따른 서포터(311)의 이동, 링크로드(320)의 링크구조에 의한 물리적 지지와 회전 이동 등이 더욱 유연하고 입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 개 홈부라인 내지 요철라인으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걸림조절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패드(110)와 제1링크결합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패드유닛(100)의 회전 이동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구성 즉, 제1링크핀(LP1)이 결합되는 패드유닛(100)의 제1링크결합부(120) 및 링크로드(320)의 제1링크부(321)를 외측 부분에 배치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그 내측 부분에서 레버노브(310)의 서포터(311)가 걸림조절부(130)의 홈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패드유닛(100)의 물리적 지지, 레버노브(310)의 회전 이동 그리고 레버노브(310)의 회전 이동에 따른 서포터(311)와 홈부 사이의 물리적 걸림 구조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결합프레임(200)과 지지커넥터(330)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커넥터(330)는 제2링크핀(LP2)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331) 및 결합프레임(200)에 결합되는 몸체부(3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지커넥터(3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33)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더(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커넥터(330)는 이 가이더(335)를 통하여 결합프레임(200)과 결합하되, 결합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결합프레임(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부분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홈부레일(21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커넥터(330)의 가이더(335)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이더(335)를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걸림 결합시키면 결합프레임(200)에 형성된 홈부레일(210)에 가이더(335)가 안착된다.
가이더(335)가 홈부레일(210)의 가이딩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 가이더(335)가 구비된 지지커넥터(330)는 물론, 이 지지커넥터(330)와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레버노브(310) 그리고 패드유닛(100) 등이 전체적으로 승강이동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가이더(335)가 구비된 지지커넥터(330) 등은 패드유닛(100)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에 구비되므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결합프레임(200)의 외측 방향에 구비된 홈부레일(210)에 걸림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더(335) 또한, 양측에 모두 구비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패드유닛(100)을 기준으로 양측 모두에서,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가이더(335)가 구비되므로 물리적 결합을 위한 추가 구성 없이도 상술된 본 발명의 링크무빙유닛(300)과 패드유닛(100) 전체가 더욱 효과적으로 결합프레임(200) 즉, 등판프레임(5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레버노브(310)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요추패드(110)의 지지부위가 가변되는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의 상부 도면은 레버노브(310)의 서포터(311)가 걸림조절부(130)의 복수 개 홈부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경우(도 8의 (a))부터 가운데(도 8의 (b)) 그리고 가장 내측(도 8의 (c))에 위치한 모습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레버노브(310)에 사용자 등의 외력(예를 들어 시계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레버노브(31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링크핀(LP2) 또는 제2링크핀(LP2) 결합되는 제2링크결합부(313)를 회전축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이동에 의하여 걸림조절부(130)의 홈부에 걸림결합된 레버노브(310)의 서포터(31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서포터(311)에 가해지는 시계방향 성분의 외력이, 걸림조절부(130)를 구성하는 홈부와의 물리적 걸림을 유지하는 임계치 힘을 넘어서게 되면 서포터(311)는 현재 위치한 홈부에서 이탈하여 우측 홈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상응하는 측면에서, 반사계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서포터(311)는 현재 위치한 홈부에서 이탈하여 좌측 홈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걸림조절부(130)에 걸림결합되는 서포터(311)의 위치가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패드유닛(100)의 좌우측 단부가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전진하고 이를 통하여 요추패드(110) 또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또한, 서포터(311)가 내측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요추패드(11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부위가 내측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요추패드(110)의 물리적 지지력 내지 강도를 상대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측면에서, 걸림조절부(130)에 걸림결합되어 패드유닛(10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서포터(311)의 위치가 바깥으로 이동하면, 패드유닛(100)의 좌우측 단부와 요추패드(110)는 이에 연동하여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또한, 요추패드(110)를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부위(서포터(311))가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원거리에서 요추패드(110)가 물리적으로 지지되므로 그에 따라 요추패드(110)가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물리적 강성을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서포터(311)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패드유닛(100)의 걸림조절부(130)는 ABS 수지 등과 같이 강성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요추패드(110)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성형 과정 등에서 특정되는 형상적 특징을 이용하여 요추패드(110)가 적절한 탄력을 가지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휘어짐 특성을 통하여 서포터(31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곡률반경이 줄어들거나 증가하는 방향으로 요추패드(110)가 변형되도록 즉, 그 휘어짐의 정도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의 요추를 감싸는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측 링크무빙유닛(300A)과 우측 링크무빙유닛(300B)이 구비되는 경우, 좌측 및 우측 각각마다 서포터(311)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좌측 및 우측 걸림조절부(130)의 홈부가 각각 3개로 구성되는 경우 9가지의 지지부위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500 : 메쉬형 의자
510 : 등판프레임 511 : 사이드프레임
1000 : 본 발명에 의한 요추지지 조절장치
100 : 패드유닛 110 : 요추패드
120 : 제1링크결합부 130 : 걸림조절부
200 : 결합프레임 210 : 홈부레일
300 : 링크무빙유닛
310 : 레버노브 311 : 서포터
313 : 제2링크결합부 315 : 노브
320 : 링크로드 321 : 제1링크부
323 : 제2링크부
330 : 지지커넥터 331 : 결합부
333 : 몸체부
S : 제1공간 LP1 : 제1링크핀
LP2 : 제2링크핀 A : 결합수단

Claims (7)

  1. 등판시트가 직물 소재로 이루어지는 메쉬형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석자의 요추 지지부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등판시트의 후방에서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요추패드와, 걸림조절부를 포함하는 패드유닛;
    상기 등판프레임의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및
    상기 패드유닛과 상기 결합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링크구조에 의한 회전 이동으로 상기 걸림조절부에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부위를 가변시키는 링크무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유닛은,
    제1링크핀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무빙유닛은,
    상기 걸림조절부에 걸림결합되는 서포터와, 제2링크핀이 결합되는 제2링크결합부를 포함하는 레버노브;
    상기 제1링크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링크로드; 및
    상기 제2링크핀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프레임에 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지지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조절부는,
    상기 요추패드와 상기 제1링크결합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조절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복수 개 홈부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복수 개 홈부 중 하나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의 상기 제2링크부는,
    가운데 제1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로 이원화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링크핀에 의하여 상기 제2링크결합부 및 제2링크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홈부레일이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커넥터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홈부레일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홈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노브의 제2링크결합부는,
    상기 패드유닛의 제1링크결합부를 기준으로 내측 방향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링크로드는, 외측 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링크결합부와 내측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2링크결합부를 연결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KR1020230031045A 2023-03-09 2023-03-09 요추지지 조절장치 KR10254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045A KR102549699B1 (ko) 2023-03-09 2023-03-09 요추지지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045A KR102549699B1 (ko) 2023-03-09 2023-03-09 요추지지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699B1 true KR102549699B1 (ko) 2023-06-30

Family

ID=8695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045A KR102549699B1 (ko) 2023-03-09 2023-03-09 요추지지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6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957B1 (ko) 2001-06-15 2006-11-02 에이치엔아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요추지지체를 가진 의자용 등받이
KR101384987B1 (ko) 2013-12-26 2014-04-14 (주) 파트라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101679795B1 (ko) * 2016-06-29 2016-11-28 부호체어원(주)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KR102166940B1 (ko) * 2018-10-04 2020-10-30 연봉흠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957B1 (ko) 2001-06-15 2006-11-02 에이치엔아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요추지지체를 가진 의자용 등받이
KR101384987B1 (ko) 2013-12-26 2014-04-14 (주) 파트라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101679795B1 (ko) * 2016-06-29 2016-11-28 부호체어원(주)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KR102166940B1 (ko) * 2018-10-04 2020-10-30 연봉흠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31706B (zh) 具有波状弹性靠背的座椅结构
EP2233043A1 (en) Chair
US20070228799A1 (en) Chair
JP2000079034A5 (ko)
JP2015529144A5 (ko)
US20150102648A1 (en) Tilting type chair
KR101885598B1 (ko) 착석자의 하부 지지력이 조절되는 메쉬 의자용 좌판
KR102549699B1 (ko) 요추지지 조절장치
KR102632982B1 (ko) 팔걸이 패드 및 시트 팔걸이
JP511694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6465525B2 (ja) 椅子
JP505988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2010063821A (ja) 椅子
JP6235303B2 (ja) 椅子
JP2003289984A (ja) 椅 子
JP6793414B1 (ja) 椅子
KR102166940B1 (ko)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JP5600151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6705879B2 (ja) 椅子
KR102616682B1 (ko)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JP4551918B2 (ja) 椅子
JP5636230B2 (ja) 背凭れ撓み量調整機構
JP2002119347A (ja) 椅 子
JP2013236770A (ja) 椅子
JP2020116461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