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734B1 -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 Google Patents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734B1
KR102475734B1 KR1020210119695A KR20210119695A KR102475734B1 KR 102475734 B1 KR102475734 B1 KR 102475734B1 KR 1020210119695 A KR1020210119695 A KR 1020210119695A KR 20210119695 A KR20210119695 A KR 20210119695A KR 102475734 B1 KR102475734 B1 KR 10247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sound unit
coupling
width direction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식
김승환
Original Assignee
이송식
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송식, 김승환 filed Critical 이송식
Priority to KR102021011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6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soun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5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dishwashers
    • G10K2210/1053Hi-fi, i.e. anything involving music, radios 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폭방향 양가장자리 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과,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 양가장자리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3가이드홈 및 제4가이드홈을 구비하는 하단부와; 좌측벽과, 상기 좌측벽의 하부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삽입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1길이조절바 및 제2길이조절바와, 상기 좌측벽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결합되며 폭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좌측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좌측 중단부와; 우측벽과, 상기 베이스판의 우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삽입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3길이조절바 및 제4길이조절바와, 우측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우측 중단부와; 메모리폼 또는 솜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상기 제1길이조절바 내지 상기 제4길이조절바와 상기 하단부의 결합부위를 덮도록 구비되는 상단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Pillow having positionable sound units}
본 발명은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간편하고, 폭방향 및 길이방향 조절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을 편안하게 잘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장 중요한 취침도구라 할 수 있다.
베개는 머리부분을 적당 높이로 받쳐주며, 편안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쿠션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피의 내부에 솜이나 라텍스 계열의 합성수지 폼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에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것들 중에 하나가 스마트폰이다.
상기 스마트폰은 현대인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물품으로써, 항상 몸에 지니게 되거나, 언제든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신체에 근접한 곳에 놓여지게 되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해 베개를 베고 있는 상태에서, 장시간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장시간 청취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을 머리와 어깨 사이에 휴대폰을 끼운 상태로 통화를 하거나 팔을 여러번 번갈아가며 스마트폰을 들고 통화를 하게 되어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장착하기도 하나, 베개와 일체형 구조가 아니어서 사용이 불편하고 이어폰이나 헤드폰 때문에 머리를 돌리거나 옆으로 눕는 동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음이 심한 환경인 경우에 소음에 의해 수면에 장애를 받거나 이어폰 또는 헤드폰 사용시에 청취에 제약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0930호(2021.01.2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폭방향 양가장자리 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과,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 양가장자리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과 소통하도록 형성되는 제3가이드홈 및 제4가이드홈과, 상기 제3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결합스프링과, 상기 제4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2결합스프링과, 상기 제1결합스프링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스프링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제3결합돌기 및 제4결합돌기를 구비하는 하단부와; 좌측벽과, 상기 좌측벽의 하부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1결합홈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좌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삽입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1길이조절바 및 제2길이조절바와, 상기 좌측벽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결합되며 폭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좌측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좌측 중단부와; 우측벽과, 상기 우측벽의 하부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결합돌기와 상기 제4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우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삽입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3길이조절바 및 제4길이조절바와, 상기 좌측 사운드 유닛와 대향하도록 상기 우측벽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결합되며 폭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우측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우측 중단부와; 메모리폼 또는 솜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상기 제1길이조절바 내지 상기 제4길이조절바와 상기 하단부의 결합부위를 덮도록 구비되는 상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길이조절바 내지 상기 제4길이조절바는, 상기 우측벽 및 상기 좌측벽을 상기 베개의 길이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함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는 구조로,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과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좌측벽의 상단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우측벽의 상단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은 상기 제1관통홀을 따라 상기 베개의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벽과 결합되고,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은 상기 제2관통홀을 따라 상기 베개의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우측벽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사운드 유닛 및 상기 우측 사운드 유닛 각각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스피커이고, 내부에 장착된 충전가능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머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정 힘을 가해 양쪽 사운드 유닛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양쪽 사운드 유닛이 양측 귀에 밀착 또는 접촉되도록 길이방향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양측 사운드 유닛의 결합부위를 이동시킴에 의해 폭방향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의 따른 대응이 가능하고, 머리를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음악이나 동영상 시청을 안하는 경우에는 양쪽 귀로 전달되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여 조용한 수면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단부와 중단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단부와 중단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이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500)는 하단부(100), 좌측중단부(200), 우측중단부(300) 및 상단부(400)를 구비한다.
상기 하단부(100)는 상부면을 제외하고 외부가 소프트한 폼 재질로 둘러싸인 베이스판(11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폭방향 양가장자리 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가이드홈(112) 및 제2가이드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112) 및 제2가이드홈(114)은 상기 베이스판(11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게 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112)은 폭방향 후방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114)은 폭방향 전방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면에는 제3가이드홈(122) 및 제4가이드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3가이드홈(122) 및 상기 제4가이드홈(124)은 상기 베이스판(110)의 길이방향 양가장자리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112) 및 상기 제2가이드홈(114)과 소통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가이드홈(122)은 상기 베이스판(110)의 길이방향 좌측 가장자리측에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112) 및 상기 제2가이드홈(114)과 소통하도록 형성된다. 제3가이드홈(122)의 일단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112)과 소통하고, 상기 제3가이드홈(122)의 타단부는 상기 제2가이드홈(114)와 소통하도록 형성되게된다. 또한, 상기 제4가이드홈(124)은 상기 베이스판(110)의 길이방향 우측 가장자리측에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112) 및 상기 제2가이드홈(114)과 소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가이드홈(124)의 일단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112)과 소통하고, 상기 제4가이드홈(122)의 타단부는 상기 제2가이드홈(114)과 소통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3가이드홈(122)에는 제1결합스프링(130)이 삽입되고 상기 제1결합스프링(130)의 양단부에는 제1결합돌기(132) 및 제2결합돌기(134)가 각각 결합되어 돌출되게 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132)는 상기 제1가이드홈(112)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134)는 상기 제2가이드홈(114)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제4가이드홈(124)에는 제2결합스프링(140)이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스프링(140)의 양단부에는 제3결합돌기(142) 및 제4결합돌기(144)가 각각 결합되어 돌출되게 된다. 상기 제3결합돌기(142)는 상기 제1가이드홈(112)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4결합돌기(144)는 상기 제2가이드홈(114)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결합스프링(130) 및 상기 제2결합스프링(140)은 수축이나 팽창시에 상기 제3가이드홈(122) 또는 상기 제4가이드홈(12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케이스(150)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3가이드홈(122) 또는 상기 제4가이드홈(12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중단부(200)는 좌측벽(260), 제1길이조절바(210) 및 제2길이조절바(220), 및 좌측 사운드 유닛(250)을 구비한다.
상기 좌측벽(260)은 사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이나 원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부분에는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250)이 결합되어 폭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베개(5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제1관통홀(24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길이조절바(210) 및 상기 제2길이조절바(220)는 각각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좌측벽(260)의 하부 내측으로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132) 및 상기 제2결합돌기(134)가 삽입되기 위한 제1결합홈(230)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길이조절바(210) 및 상기 제2길이조절바(220)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좌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112) 및 상기 제2가이드홈(114)으로 삽입되는 구조, 즉 상기 베개(500)의 길이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1결합돌기(132) 및 상기 제2결합돌기(134)가 상기 제1결합홈(230)들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길이조절바(210)는 상기 제1가이드홈(112)에 삽입되고, 상기 제2길이조절바(220)는 상기 제2가이드홈(114)에 삽입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132)가 상기 제1길이조절바(210)의 제1결합홈(230)에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134)가 상기 제2길이조절바(220)의 제1결합홈(23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길이조절바(210) 및 상기 제2길이조절바(220)가 상기 하단부(100)와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1길이조절바(210) 및 상기 제2길이조절바(220)는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예를 들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길이조절바(210) 및 상기 제2길이조절바(220)가 상기 제1가이드홈(112) 및 상기 제2가이드홈(114)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상기 좌측벽(260)과 상기 하단부(100)와의 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결합스프링(130)은 적절한 탄성력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결합돌기(132) 및 상기 제2결합돌기(134), 상기 제1결합홈(230)은 길이조절을 위해 상기 좌측벽(260)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예를 들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결합돌기(132) 및 상기 제2결합돌기(134)가 상기 제1결합홈(230)으로부터 이탈과 결속이 용이하도록 둥근 모서리 구조 등 길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가져야 할 것이다.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250)은 상기 좌측벽(260)에 결합되며 폭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좌측 사운드 유닛(250)는 상기 좌측벽(26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홀(240)에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내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관통홀(240)을 따라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외에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250)은 상기 좌측벽(260)에 관절형 구조로 결합되어 폭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결합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250)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스피커이고, 내부에 장착된 충전가능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우측 중단부(300)는 상기 좌측중단부(200)와 대칭구조로, 우측벽(360), 제3길이조절바(310) 및 제4길이조절바(320), 및 우측 사운드 유닛(350)을 구비한다.
상기 우측벽(360)은 사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이나 원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부분에는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350)이 결합되어 폭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베개(5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제2관통홀(34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3길이조절바(310) 및 상기 제4길이조절바(320)는 각각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우측벽(360)의 하부 내측으로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결합돌기(142) 및 상기 제4결합돌기(144)가 삽입되기 위한 제2결합홈(330)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3길이조절바(310) 및 상기 제4길이조절바(320)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우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112) 및 상기 제2가이드홈(114)으로 삽입되는 구조, 즉 상기 베개(500)의 길이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제3결합돌기(142) 및 상기 제4결합돌기(144)가 각각 상기 제2결합홈(330)들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3길이조절바(310)는 상기 제1가이드홈(112)에 삽입되고, 상기 제4길이조절바(320)는 상기 제2가이드홈(114)에 삽입되며, 상기 제3결합돌기(142)가 상기 제3길이조절바(310)의 제2결합홈(330)에 삽입되고, 상기 제4결합돌기(144)가 상기 제4길이조절바(320)의 제2결합홈(33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3길이조절바(310) 및 상기 제4길이조절바(320)가 상기 하단부(100)와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3길이조절바(310) 및 상기 제4길이조절바(320)는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예를 들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3길이조절바(310) 및 상기 제4길이조절바(320)가 상기 제1가이드홈(112) 및 상기 제2가이드홈(114)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상기 우측벽(360)과 상기 하단부(100)와의 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즉 상기 우측벽(360)과 상기 좌측벽(260)의 이격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이에 따라 베개에 머리가 접촉되었을 때, 상기 우측벽(360)과 상기 좌측벽(260) 각각에 장착된 사운드 유닛(250,350)가 귀에 접촉되도록 하거나 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길이조절 동작을 위해 상기 제2결합스프링(140)은 적절한 탄성력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3결합돌기(142) 및 상기 제4결합돌기(144), 상기 제2결합홈(330)은 길이조절을 위해, 상기 우측벽(360)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예를 들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3결합돌기(142) 및 상기 제4결합돌기(144)가 상기 제2결합홈(330)으로부터 이탈과 결속이 용이하도록 둥근 모서리 구조 등 길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가져야 할 것이다.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350)은 상기 우측벽(360)에 결합되며 폭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우측 사운드 유닛(350)은 상기 우측벽(36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홀(340)에 별도의 브라켓(352)을 통해 내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관통홀(340)을 따라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외에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350)은 상기 우측벽(360)에 관절형 구조로 결합되어 폭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수도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결합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350)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스피커이고, 내부에 장착된 충전가능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단부(400)는 메모리폼 또는 솜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상기 제1길이조절바 내지 제4길이조절바(210,220,310,320)와 상기 하단부(100)의 결합부위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좌측 중단부(200)와 상기 우측 중단부(300)는 상기 하단부(100)와 착탈가능한 구조(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좌측 중단부(200)와 상기 우측 중단부(300)가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단부(100)와 상기 상단부(400) 만으로 결합되어 일반 경추베개로 사용가능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500)는 사용자가 머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좌측벽(260)과 상기 우측벽(360)에 힘을 가해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260)와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360)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260)와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360)가 양측 귀에 밀착 또는 접촉되도록 길이방향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좌측벽(260) 및 상기 우측벽(360)의 관통홀들(240,340)을 통해 폭방향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의 따른 대응이 가능하고, 머리를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음악이나 동영상 시청을 안하는 경우에는 양쪽 귀로 전달되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여 조용한 수면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하단부 110 : 베이스판
200: 좌측중단부 210 : 제1길이조절바
220: 제2길이조절바 250 : 좌측 사운드 유닛
300 : 우측 중단부 310 : 제3길이조절바
320 : 제4길이조절바 350 : 우측 사운드 유닛
400 : 상단부

Claims (4)

  1.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에 있어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폭방향 양가장자리 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과,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 양가장자리측에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과 소통하도록 형성되는 제3가이드홈 및 제4가이드홈과, 상기 제3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결합스프링과, 상기 제4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2결합스프링과, 상기 제1결합스프링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스프링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제3결합돌기 및 제4결합돌기를 구비하는 하단부와;
    좌측벽과, 상기 좌측벽의 하부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1결합홈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좌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삽입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1길이조절바 및 제2길이조절바와, 상기 좌측벽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결합되며 폭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좌측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좌측 중단부와;
    우측벽과, 상기 우측벽의 하부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결합돌기와 상기 제4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우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삽입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제3길이조절바 및 제4길이조절바와,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와 대향하도록 상기 우측벽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결합되며 폭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우측 사운드 유닛을 구비하는 우측 중단부와;
    메모리폼 또는 솜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며, 상기 제1길이조절바 내지 상기 제4길이조절바와 상기 하단부의 결합부위를 덮도록 구비되는 상단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조절바 내지 상기 제4길이조절바는, 상기 우측벽 및 상기 좌측벽을 상기 베개의 길이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함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와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벽의 상단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우측벽의 상단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사운드 유닛은 상기 제1관통홀을 따라 상기 베개의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벽과 결합되고, 상기 우측사운드 유닛은 상기 제2관통홀을 따라 상기 베개의 폭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우측벽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사운드 유닛 및 상기 우측 사운드 유닛 각각은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스피커이고, 내부에 장착된 충전가능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KR1020210119695A 2021-09-07 2021-09-07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KR10247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95A KR102475734B1 (ko) 2021-09-07 2021-09-07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95A KR102475734B1 (ko) 2021-09-07 2021-09-07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734B1 true KR102475734B1 (ko) 2022-12-07

Family

ID=8444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695A KR102475734B1 (ko) 2021-09-07 2021-09-07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7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8695U (ko) * 1988-01-18 1989-07-24
KR19980023757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페달
KR200470672Y1 (ko) * 2012-10-23 2014-01-15 춘-라이 추 다기능 베개
WO2015142287A1 (en) * 2014-03-17 2015-09-24 Sci-Wave Pte Ltd Sound and vib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CN207492917U (zh) * 2017-03-14 2018-06-15 北京大学深圳医院 眼科用小儿头部固定枕
US20190182593A1 (en) * 2016-08-18 2019-06-13 Sound6d S.r.l. Head support incorporating loudspeakers and system for playing multi-dimensional acoustic effects
KR102210930B1 (ko) 2018-11-27 2021-02-02 김용국 노이즈 캔슬링 베개에서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 및 노이즈 캔슬링 베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8695U (ko) * 1988-01-18 1989-07-24
KR19980023757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페달
KR200470672Y1 (ko) * 2012-10-23 2014-01-15 춘-라이 추 다기능 베개
WO2015142287A1 (en) * 2014-03-17 2015-09-24 Sci-Wave Pte Ltd Sound and vib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US20190182593A1 (en) * 2016-08-18 2019-06-13 Sound6d S.r.l. Head support incorporating loudspeakers and system for playing multi-dimensional acoustic effects
CN207492917U (zh) * 2017-03-14 2018-06-15 北京大学深圳医院 眼科用小儿头部固定枕
KR102210930B1 (ko) 2018-11-27 2021-02-02 김용국 노이즈 캔슬링 베개에서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 및 노이즈 캔슬링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415B2 (en) Headphones with a foam material body
US7391878B2 (en) Earphone device having composite functions
JP3375135B2 (ja) 耳甲介ヘッドホン安定装置
TW202002675A (zh) 耳機
US5655026A (en) Ear receiver
EP2606658B1 (en) Earpiece positioning and retaining structure
US10009680B2 (en) Retaining structure for an earpiece
US10820085B1 (en) Skirt attachment
US20020131585A1 (en) In-the-ear headset
TWM544746U (zh) 自由調節的人體工學骨導耳機架及其骨導耳機
US11496836B1 (en) Headset with improved headband
US20210227311A1 (en) Ear-worn device
KR102475734B1 (ko)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US20210306748A1 (en) Headphones
JP2009088607A (ja) ヘッドホン
JP4135042B2 (ja) ヘッドホン
JPS6228154Y2 (ko)
US7379557B2 (en) Communication headset with auxiliary positioning device
AU2004228309B2 (en) Telephone transmitter/receiver
KR20060004136A (ko) 스피커를 내장한 베개
JP2016015609A (ja) ヘッドホン
KR20190003156U (ko) 블루투스 스피커가 탑재된 접이식 베개
EP0779763A1 (en) Improved headphone including split earphones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it to the ears
EP1622419A1 (en) Headphone
JP2005269075A (ja) ヘッド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