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349Y1 -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 Google Patents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349Y1
KR200450349Y1 KR2020080003412U KR20080003412U KR200450349Y1 KR 200450349 Y1 KR200450349 Y1 KR 200450349Y1 KR 2020080003412 U KR2020080003412 U KR 2020080003412U KR 20080003412 U KR20080003412 U KR 20080003412U KR 200450349 Y1 KR200450349 Y1 KR 200450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eep
sides
backre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415U (ko
Inventor
하장수
Original Assignee
하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장수 filed Critical 하장수
Priority to KR2020080003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34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3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72Pillows for lying in reclined position, e.g. for rea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면을 취할 시 주변의 소음이나 빛을 차단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하고, 티비 시청 및 독서 등의 휴식시 등을 기대고 편안하게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는 측판(20), 지지판(30), 등받이판(40) 및 커튼(50)을 구비한다. 측판(20)은 양측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므로써, 그 사이에 내부공간(22)을 형성된다. 지지판(30)은 양측의 측판(20)을 연결하여 지지한다. 등받이판(40)은 양측의 측판(20)의 뒤측에서 결합되고,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
Figure 112008018892921-utm00001
" 형태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커튼(50)은 양측의 측판(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앞측으로 연장되므로써, 내부공간(22)을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면 보조구, 등받이

Description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APPARATUS FOR CURING INSOMNIA WHICH COMBINES THE BACK OF A CHAIR}
본 고안은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면을 취할 시 주변의 소음이나 빛을 차단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하고, 티비 시청 및 독서 등의 휴식시 등을 기대고 편안하게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을 취할 시 빛에 방해받지 않고 수면을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수면 안대를 착용하여 수면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면 안대는 통상 눈을 가리는 눈 가림부와 눈 가림부와 연결되어 귀에 걸리도록 하는 귀 걸림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통상의 수면 안대는 빛을 차단하는 기능만 있어 주변의 소리를 차단하지 못한다. 또한, 귀에 걸어 사용하므로 귀가 불편하거나 장시간 착용시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빛의 차단뿐 아니라 주변 소리를 차단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실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17551호 "개인용휴식캡슐"이 고안된 바 이와 같은 기술에 따르면, 프레임과 커버로 이루어지는데, 커버는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방향 개폐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그 커버에는 내부공간의 습도와 청정 공기의 공급을 위한 습도조절수단과 공기정화수단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장소가 협소한 곳에는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티비 시청 및 독서 등을 하면서 등을 기대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기 위해 별도의 제품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수면을 취할 시 주변의 소음이나 빛을 차단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하고, 티비 시청 및 독서 등의 휴식시 등을 기대고 편안하게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양측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므로써, 그 사이에 내부공간(22)을 형성하는 측판(20)과; 상기 양측의 측판(2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판(30)과; 상기 양측의 측판(20)의 뒤측에서 결합되고,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만곡 형태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등받이판(40)과; 상기 양측의 측판(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앞측으로 연장되므로써, 상기 내부공간(22)을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튼(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10)에서 상기 양측의 측판(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뒤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등받이판(40)을 덮으면서 길게 연장되는 착석 원단(5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10)에서 상기 양측의 측판(20) 각각은 하측의 앞단으로부터 뒷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절개홈(2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에 의하면, 수면을 취할 시 주변의 소음이나 빛을 차단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하고, 티비 시청 및 독서 등의 휴식시 등을 기대고 편안하게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판에 공기조절장치를 구비하므로써, 원활하게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커튼이 측판 및 등받이판을 덮도록 하므로써 외풍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도시한 커튼이 결합되는 것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의 단면도(A-A')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10)는 측판(20), 지지판(30), 등받이판(40) 및 커튼(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판(20)은 양측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므로써, 그 사이에 내부공간(22)이 형성되고, 상측으로부터 뒤측으로 만곡 형태의 곡률형상(하부가 오목하고, 상부가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중심측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공기 유통홀(26)을 갖는다. 그리고, 양측의 측판(20) 각각은 하측의 앞단으로부터 뒷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절개홈(24)을 더 구비한다.
한편, 측판(20)에 형성되는 공기 유통홀(26)에는 사용자에 의해 공기의 유입·유출이 조절 가능한 공기조절장치를 비롯한 건강을 위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을 발산하는 가열기(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판(30)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놓여지도록 평판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지지판(30)은 측판(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형성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등받이판(40)은 양측 측판(20)과 대응되는 만곡 형태의 곡률을 갖고, 양측 측판(20)에 결합되고, 뒤측에서 측판(20)의 내부공간(22)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풍홀(42)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겸용 수면 보조구(10)에서 측판(30) 및 등받이판(40)의 형상을 만곡 형태의 곡률형상을 갖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등을 기대고 앉으면 척추의 형태와 대응되기 때문에 자세 교정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등받이판(40)에 통풍홀(42)을 형성하므로써 사용자가 수면을 취할 시 머리 부분에 외부의 공기가 들어와 숙면을 취하는데 효과적인 것이다.
커튼(50)은 통상의 천 등의 원단 재질로 이루어져 양측 측판(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앞측으로 연장되므로써, 측판(20)의 내부공간(22)을 덮거나 개방시키는 것으로, 양측 측판(20)의 상측에서 고정부재(52)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한편, 커튼(50)은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기 위해 머리를 측판(20)의 내부공간(22)에 위치하였을 때, 목 부분이 편하도록 하기 위해 홀(56)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커튼(50)은 양측 측판(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뒤측으로 연장되는 착석원단(5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착석원단(54)은 쿠션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튼(50)과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10)에서 커튼(50)은 측판(20) 및 등받이판(40)을 덮으므로써, 외풍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착석원단(54)을 연장하여 설치하므로써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시 등을 기대었을 때 착석원단(54)에 사용자가 앉게되므로 본원 고안인 수면 보조구(10)가 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10)의 결합 과정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살펴 보면, 먼저, 지지판(30)의 양끝단에 측판(20)이 결합되고, 양측 측판(20)의 뒤측에서 등받이판(40)이 결합되어 진다. 이후, 커튼(50)이 등받이판(40)을 덮고 측판(20)의 상측에서 고정부재(52)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측판(20)의 공기 유통홀(26)에 공기조절장치를 비롯한 건강을 위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을 발산하는 가열기(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10)에서 측판(20), 지지판(30), 등받이판(40) 및 커튼(50)의 결합에서 각각은 피스 및 못 등과 같은 통상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인 수면 보조구(10)의 내측에 머리를 위치시키면 커튼(50)에 의해 앞측이 가려지게 되어 빛을 차단하여 효과적으로 수면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측판(20) 및 등받이판(40)의 형상을 곡률형상으로 하므로써 티비 시청 및 독서 등의 휴식을 취할 시 등을 기대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식을 취할 때 별도의 쿠션부재(58)을 구비하여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쿠션부재(58)는 통상의 쿠션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공기 주입이 가능한 에어쿠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의 단면도(A-A')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등받이 겸용 수면 보조구 20 : 측판
22 : 내부공간 24 : 절개홈
30 : 지지판 40 : 등받이판
50 : 커튼 54 : 착석원단

Claims (3)

  1. 양측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므로써, 그 사이에 내부공간(22)을 형성하는 측판(20)과;
    상기 양측의 측판(2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판(30)과;
    상기 양측의 측판(20)의 뒤측에서 결합되고,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
    Figure 112009079751978-utm00006
    " 형태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등받이판(40)과;
    상기 양측의 측판(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앞측으로 연장되므로써, 상기 내부공간(22)을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튼(50)과;
    상기 양측의 측판(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뒤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등받이판(40)을 덮으면서 길게 연장되는 착석 원단(54)을 포함하되;
    상기 양측의 측판(20) 각각은 하측의 앞단으로부터 뒷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절개홈(2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2. 삭제
  3. 삭제
KR2020080003412U 2008-03-14 2008-03-14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KR200450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412U KR200450349Y1 (ko) 2008-03-14 2008-03-14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412U KR200450349Y1 (ko) 2008-03-14 2008-03-14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15U KR20090009415U (ko) 2009-09-17
KR200450349Y1 true KR200450349Y1 (ko) 2010-09-27

Family

ID=4153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412U KR200450349Y1 (ko) 2008-03-14 2008-03-14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3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89Y1 (ko) * 2018-03-30 2018-09-27 정민모 개인용 수면 보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5054A1 (en) * 1994-06-20 1995-12-28 Rdi Products, Inc. Multiple position support cushion
JPH10137094A (ja) 1996-11-07 1998-05-26 Noboru Ogushi 肩こり治療用背もたれ付き枕
KR200315175Y1 (ko) 2003-02-20 2003-06-09 정병준 등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5054A1 (en) * 1994-06-20 1995-12-28 Rdi Products, Inc. Multiple position support cushion
JPH10137094A (ja) 1996-11-07 1998-05-26 Noboru Ogushi 肩こり治療用背もたれ付き枕
KR200315175Y1 (ko) 2003-02-20 2003-06-09 정병준 등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15U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6282B2 (en) Universal pillow
US10076189B2 (en) Attachable headrest with eye cover
US20120079659A1 (en) Neck support pillow
KR10199618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US20110131728A1 (en) Ergonomic pillow
US20060282952A1 (en) Arched pillow assembly
KR102280491B1 (ko) 경추 서포트가 구비된 이중 베개
KR200450349Y1 (ko)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US9168177B2 (en) Slip-over light blocking sleep mask
KR101561197B1 (ko) 유동식 통풍형 지압 베개
KR20110063946A (ko) 목 보호대
KR102313494B1 (ko)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KR101053093B1 (ko) 높이 조절 베개
KR101491029B1 (ko) 다기능 베개
KR101322103B1 (ko) 수면 유도 베개
KR101312256B1 (ko) 높이 조절 베개
KR101978253B1 (ko) 애완동물과 함께 사용하는 소파
KR20120006946U (ko) 고정 선택형 여행용 목 베개
KR101704781B1 (ko) 여행용 목베개
KR20170116714A (ko) 머리 착용식 베개
KR101860055B1 (ko) 베개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KR101626219B1 (ko) 여러 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2580243B1 (ko) 옆면 잠 베개
KR200491545Y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