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494B1 -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 Google Patents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494B1
KR102313494B1 KR1020200070741A KR20200070741A KR102313494B1 KR 102313494 B1 KR102313494 B1 KR 102313494B1 KR 1020200070741 A KR1020200070741 A KR 1020200070741A KR 20200070741 A KR20200070741 A KR 20200070741A KR 102313494 B1 KR102313494 B1 KR 102313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patch
main body
user
headgear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환
강명주
이용준
최준혁
김예진
박진세
정소영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6Ear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0V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며 전방으로 개방되고,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귀대응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눈을 커버하는 안대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목받침과; 상기 귀대응구멍을 커버하며 이어폰을 내장한 귀커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는, 머리를 완전히 감싸며, 목받침은 물론 안대(眼帶)와 귀커버(ear cover)를 구비하여, 외부 소음이나 빛을 차단함으로써 짧은 시간이라도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온 기능을 가져, 눈과 귀와 목을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동절기 야외 활동 시 방한모자를 대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Headgear type smart pillow}
본 발명은 헤드기어형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를 완전히 감쌀 수 있으며, 목받침은 물론 안대(眼帶)와 귀커버를 가질 수 있어, 소음이 심하거나 밝은 장소에서도 쉽게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에 관한 것이다.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해 머리를 받치는 베개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보통, 베개는 머리의 하중을 감당하는 쿠션과, 쿠션을 감싸는 외피로 구성된다. 쿠션과 외피는 여러 가지 재질 및 형태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는 종류의 베개를 선택한다. 또한, 최근에는, 가령, 경추를 인장한다거나, 코골이를 방지 한다거나, 지압효과를 제공하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성 베개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베개 중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목 베개도 포함된다. 목 베개는, 단부가 오므라진 대략 U자의 형태를 취하며, 목의 뒤쪽과 양측부를 감싸 목이 옆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한다. 목 베개는 차량이나 비행기를 이용한 장거리 이동 시, 또는 사무실에서 의자에 앉아 잠깐 눈 붙일 때 요긴하게 사용되며, 이 또한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목 베개는, 단지,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기능만 할 뿐, 주변의 소음이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은 갖추고 있지 않다. 사실, 목 베개를 사용하는 곳이 어두운 침실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함께 이용하는 공간이므로, 주변의 크고 작은 소음이나 빛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별도의 안대를 착용한다거나 귀에 이어폰을 꼽는다거나 하여 외부 자극을 최대한 차단하기도 한다.
목 베개와 관련된 선행 기술의 하나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30386호를 통해, 두개 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목 베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 어깨누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 후방지지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경추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사용자의 후두기저를 자극하여 근막이완을 유도하는 자극돌기를 포함하고, 자극돌기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자극돌기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통풍 골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30386호 (두개 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2428호 (여행용 베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4189호 (여행용 베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외부 소음이나 빛을 차단함으로써 짧은 시간이라도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고, 보온 기능을 가져 동절기 야외 활동 시 방한모자를 대신할 수 있으며, 안마 기능을 가져 휴식에 도움을 주는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며 전방으로 개방되고,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귀대응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눈을 커버하는 안대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목받침과; 상기 귀대응구멍을 커버하며 이어폰을 내장한 귀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대의 상측부에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양단부가 고정탭부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인장시트와, 상기 인장시트의 내향면에 고정되며 이마에 접하는 전방쿠션을 구비한 이마써포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대가, 사용하지 않을 때 당겨져 상기 인장시트에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안대는; 사용자의 우측눈을 커버하는 우안안대, 상기 우안안대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사용자의 좌측 눈을 커버하는 좌안안대, 상기 우안안대와 좌안안대를 연결시키는 결합수단, 우안안대 및 좌안안대를 상기 본체에 각기 고정시키는 신축성 연결탭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안안대 및 좌안안대는, 사용하지 않을 때 서로에 대해 분리된 상태로 본체에 결합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목받침 상부에 해당하는 지점에는, 본체의 전방으로 개방되고, 사용자가 머리를 뒤로 재낄 때 벌어지는 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마써포터와 안대와 귀커버와 목받침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열선이 배선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외부로부터 본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는 완충부가 더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는, 머리를 완전히 감쌀 수 있으며, 목받침은 물론 안대(眼帶)와 귀커버(ear cover)를 구비하여, 외부 소음이나 빛을 차단함으로써 짧은 시간이라도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온 기능을 가져, 눈과 귀와 목을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동절기 야외 활동 시 방한모자를 대신할 수 있다.
아울러, 안마 기능을 포함하여, 휴식 시 피로를 풀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안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안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안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본체에 대한 귀커버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의 일부 절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스마트 베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안대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안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6은 도 1의 본체에 대한 귀커버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a 및 7b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10)는, 본체(20), 이마써포터(50), 안대(60), 목받침(70), 완충부(40)를 포함한다.
본체(20)는,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을 제공한다. 수용공간(21)은 전방과 상하부로 개방된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20)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다. 말하자면 착용자의 정수리부분도 커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본체(20)는, 착용자의 뒷통수와 얼굴 좌우측부를 커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체(20) 자체는 스폰지를 내장하여 쿠션을 가질 수 있다.
본체(20)의 양측부에는 귀대응구멍(22)이 마련되어 있다. 귀대응구멍(22)은, 사용자(베개 착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형 구멍이다. 말하자면, 사용자가 본체(20)를 착용한 상태에서 귀가 위치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구멍이다. 귀대응구멍(22)의 사이즈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귀대응구멍(22)의 외측부에는 귀커버(3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귀커버(30)는, 부분 구형의 형상을 취하며 본체(20)를 향하는 면에 다수의 접착천(도 6의 36)을 갖는다. 또한 귀대응구멍(22)의 주변에도 다수의 접착천(22a)이 고정되어 있다. 귀커버(30)의 접착천(36)을 본체(20)의 접착천(22a)에 결합함으로써 귀커버(3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모든 접착천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벨크로(velcro)천을 의미한다. 또한, 상호 대응하는 대상을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한, 접착천 이외의 다른 고정수단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천을 대신하여 스냅단추나 지퍼 또는 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귀커버(30)는, 탄성력을 갖는 쿠션(32)과 쿠션(32)을 감싸는 외피(31)를 포함한다. 쿠션(32)은 스펀지 일 수 있다. 외피(31)는 쿠션(32)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서, 재질이나 칼라는 매우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가령, 가죽이나 레자 또는 직조물이나 편직물로 제작할 수 있다. 귀커버(30)는 귀대응구멍(22)을 완전히 차단하여, 외부 소음이 귀대응구멍(22)으로 유입하지 않게 한다.
아울러 귀커버(30)의 내부에는 이어폰(33)과 배터리(35)가 내장된다. 이어폰(33)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에 연동하는 무선형 이어폰 일 수 있다. 배터리(35)는 이어폰(33)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폰(33)과 배터리(35)는 유지보수를 위해 귀커버(30)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어폰(33)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귀대응구멍(22)을 통과해 귀에 도달한다. 배터리(35)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한, 본체(20)나 목받침(70)이나 이마써포터(50)에 내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20)의 하단부에는 목받침(70)이 고정된다. 목받침(70)은 본체(20)에 대해 지퍼나 접착천으로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다. 목받침(70)은 본체(20)를 착용한 사용자의 목을 감싸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목받침(70) 자체의 기능을 일반적인 목받침과 같다.
목받침(7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73)과 외피(71)로 구성된다. 쿠션(73)은 귀커버(30)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펀지 일 수 있다. 또한, 외피(71)는 쿠션(73)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으로서, 피부에 접하는 것이니 만큼 면소재로 제작함이 좋다.
아울러, 본체(20)에서의 목받침(70) 상부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슬릿(26)이 마련되어 있다. 슬릿(26)은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는 개방되고 후방으로는 막혀 있는 형상을 갖는다. 슬릿(26)은 착용자가 머리를 뒤쪽, 즉 도 7b의 화살표 c방향으로 재낄 때 벌어진다. 말하자면, 착용자가 턱을 들어 올릴 때 벌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릿(26)을 적용함으로써 본체(20)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고개의 움직임이 자유롭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체(20)의 내측면 좌우에는 접착천(24a,24b)가 상하로 고정되어 있다. 상측 접착천(24a)은 이마써포터(50)를, 하측 접착천(24b)은 안대(60)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체(20)의 외측면 좌우에는 제1안대접착천(25)이 구비된다. 제1안대접착천(25)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분리된 상태로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시킨 우안안대(61)와 좌안안대(62)를 고정한다. 우안안대(61)와 좌안안대(62)를 분리하여 옆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안대(60)를 잠시 사용하지 않을 때에 안대가 너덜거리지 않는다.
본체(20)의 후방에는 완충부(40)가 위치한다. 완충부(40)는 착용자의 뒤통수 부위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본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차량 이동 중, 베개(10)를 착용한 상태로, 머리를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중 올라오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40)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43)과 외피(41)로 이루어진다. 쿠션(43)은 탄성 스펀지이고. 외피는 가죽이나 레자 또는 섬유 일 수 있다. 완충부(40)의 위치나 두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완충부(40)를 본체(2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마써포터(50)는, 인장시트(51), 고정탭부(53), 전방쿠션(54)을 갖는다. 이마써포터(50)는 착용자의 이마를 커버함과 동시에 본체(20)의 전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인장시트(51)는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띠형 부재로서, 전면에 제2안대접착천(52)을 갖는다. 인장시트(51)는 비신축성 섬유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탭부(53)은 인장시트(51)의 양단부에 연결된 것으로서, 신축띠(53a), 연결탭(53b), 접착천(53c)으로 구성된다. 신축띠(53a)는 탄성을 갖는 시트형 부재로서 고무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탭(53b)은 신축띠(53a)에 고정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비신축성 부재로서 외측면에 접착천(53c)을 갖는다.
접착천(53c)은 위에 설명한 다른 접착천(24a)에 부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마써포터(50)가 접착천을 통해 고정되므로, 착용자의 편리에 따라 이마써포터(50)의 위치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는, 경우에 따라 이마써포터(50)를 분리하여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신축띠(53a)의 작용에 의해 인장시트(51)는 수용공간(21) 측으로 당겨져 이마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전방쿠션(54)은 인장시트(51)의 후면에 고정된 부재로서, 이마에 쿠션을 제공한다. 말하자면 인장시트(51)가 이마를 눌러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쿠션(54)에도 스펀지가 내장된다.
상기 제2안대접착천(52)은, 안대(60)에 고정되어 있는 제2접착천(65)과 대응하며, 안대(60)를 뒤집어진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방향으로 뒤집어 올린 안대(60)의 제2접착천(65)과 결합하여 안대(60)를 고정하는 것이다. 안대가 일시적으로 불필요할 때에는, 안대(60)를 상부로 걷어 올려 이마써포터(50)에 고정시켜 놓는 것이다. 물론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우안안대(61)와 좌안안대(62)를 분리하여 옆으로 붙여 놓을 수도 있다.
안대(60)는 도 3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대(60)는 우안안대(61), 좌안안대(62), 결합수단, 연결탭부(63)를 포함한다. 우안안대(61)는 우측 눈을, 좌안안대(62)는 좌측 눈을 커버한다. 또한, 우안안대(61)와 좌안안대(62)는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결합수단은, 우안안대(61)의 외측면에 고정된 중앙접착천(67b), 좌안안대(62)에 구비된 자체연결탭(67) 및 중앙접착천(67a)으로 이루어진다. 자체연결탭(67)은 좌안안대(62)의 단부에 고정되며, 우안단대(61)의 중앙접착천(67b) 측으로 연장되어 중앙접착천(67b)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접착천(67a)은 자체연결탭(67)에 고정된 상태로, 마주하는 중앙접착천(67b)에 대해 결합한다.
아울러, 우안안대(61) 및 좌안안대(62)의 외측면에는 제1접착천(64)과 제2접착천(65)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접착천(65)은 이마써포터(50)의 제2안대접착천(52)에 부착 고정이 가능하다. 제1접착천(64)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안안대(61)와 좌안안대(62)를 분리하여 화살표 e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제1안대접착천(25)에 각각 부착 고정된다.
연결탭부(63)는, 우안안대(61) 및 좌안안대(62)의 바깥쪽 단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고무밴드(63a), 연장띠(63b), 접착천(63c)으로 이루어진다. 고무밴드(63a)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의 시트로서, 우안안대(61)와 좌안안대(62)에 고정된 상태로 연장띠(63b)와 결합한다.
연장띠(63b)는 비신축성 부재로서 외측면에 접착천(63c)을 갖는다. 접착천(63c)은 도 1에 도시한 접착천(24b)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 고정된다. 접착천(63c,24b)을 고정함으로써 본체(20)에 대한 안대(60)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스마트 베개(10)는, 완충부(40)가 에어백(45)으로 구현되어 있다. 참고로, 도 7을 통해 설명한 완충부(40)는, 쿠션(43)과 외피(41)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백(45)의 일측에는 마개(46)가 구비된다. 마개(46)는 에어백(45)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공기주입구(46a)와, 공기주입구(46a)를 막는 플러그(46b)로 이루어진다. 플러그(46b)를 열고 공기주입구(46a)에 공기를 주입한 후 공기주입구(46a)에 플러그(46b)를 끼우면 에어백이 팽창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목받침(70)은 받침튜브(75)와 마개(77)로 이루어진다. 받침튜브(75)는 공기를 채워 사용하는 빈 튜브로서, 그 형상은 도 7의 쿠션형 목받침과 동일하다. 마개(77)는 공기주입구(77a)와 플러그(77b)를 구비하며, 플러그(77b)를 뺀 상태로 공기주입구(77a)를 통해 공기를 주입한 후 플러그(77b)를 다시 끼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스마트 베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베개(10)는, 우안안대와 좌안안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20), 이마써포터(50), 안대(60), 목받침(70), 귀커버(30) 내에 열선(22,55,66,79,37)이 각각 내장되어 있다. 각 열선은 전력선(85)에 연결되며, 전원(87)의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한다. 열선이 발열함에 따라, 본체(20), 이마써포터(50), 안대(60), 목받침(70), 귀커버(30)가 가열되어, 보다 따뜻한 환경에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20), 이마써포터(50), 목받침(70)에는 안마기(78)가 추가로 더 설치되어 있다. 안마기(78)는 전원(87)의 전력을 받아 진동을 발생하여, 착용자의 뒷머리, 이마, 목부위를 안마한다. 안마기(78) 자체의 안마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전원(87)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배터리거나, 비행기의 경우 좌석에 마련되어 있는 파워아웃렛 일 수 있다. 아울러 전원(87)과 전력선(85)의 사이에는 제어부(81)와 커텍터부(83)가 구비된다.
커넥터부(83)는 전력공급 케이블(미도시)이 끼워지는 부분이다. 커넥터부는, 스마트폰 충전용 단자를 끼울 수 있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제어부(81)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것으로서, 온오프버튼(81c)과 온도조절버튼(81a,81b)을 포함한다. 온오프버튼(81c)은 열선에 대한 전력 공급을 결정하는 버튼이다. 가령, 온오프버튼(81c)을 한 번 누르면 전력이 공급되고, 한 번 더 누르면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온도조절버튼(81a,81b)은 열선의 온도를 조절하는 버튼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스마트베개 20:본체 21:수용공간
22:귀대응구멍 22a:접착천 23:안마기
24a,24b:접착천 25:제1안대접착천 26:슬릿
28:열선 30:귀커버 31:외피
32:쿠션 33:이어폰 35:배터리
36:접착천 37:열선 40:완충부
41:외피 43:쿠션 45:에어백
46:마개 46a:공기주입구 46b:플러그
50:이마써포터 51:인장시트 52:제2안대접착천
53:고정탭부 53a:신축띠 53b:연결탭
53c::접착천 54:전방쿠션 55:열선
57:안마기 60:안대 61:우안안대
62:좌안안대 63:연결탭부 63a:고무밴드
63b:연장띠 63c:접착천 64:제1접착천
65:제2접착천 66:열선 67:자체연결탭
67a,67b:중앙접착천 70:목받침 71:외피
73:쿠션 75:받침튜브 77:마개
77a:공기주입구 77b:플러그 78:안마기
79:열선 81:제어부 81a,81b:온도조절버튼
81c:온오프버튼 83:커넥터부 85:전력선
87:전원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며 전방으로 개방되고,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귀대응구멍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눈을 커버하는 안대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목받침과; 상기 귀대응구멍을 커버하며 이어폰을 내장한 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안대의 상측부에, 띠의 형태를 취하며 양단부가 고정탭부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인장시트와, 상기 인장시트의 내향면에 고정되며 이마에 접하는 전방쿠션을 구비한 이마써포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대가, 사용하지 않을 때 당겨져 상기 인장시트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안대는; 사용자의 우측눈을 커버하는 우안안대, 상기 우안안대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사용자의 좌측 눈을 커버하는 좌안안대, 상기 우안안대와 좌안안대를 연결시키는 결합수단, 우안안대 및 좌안안대를 상기 본체에 각기 고정시키는 신축성 연결탭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안안대 및 좌안안대는, 사용하지 않을 때 서로에 대해 분리된 상태로 본체에 결합 되는,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목받침 상부에 해당하는 지점에는,
    본체의 전방으로 개방되고, 사용자가 머리를 뒤로 재낄 때 벌어지는 슬릿이 형성된,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이마써포터와, 안대와, 귀커버와, 목받침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열선이 배선된,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부로부터 본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는 완충부가 더 장착된,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KR1020200070741A 2020-06-11 2020-06-11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KR102313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41A KR102313494B1 (ko) 2020-06-11 2020-06-11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41A KR102313494B1 (ko) 2020-06-11 2020-06-11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494B1 true KR102313494B1 (ko) 2021-10-14

Family

ID=7811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741A KR102313494B1 (ko) 2020-06-11 2020-06-11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61Y1 (ko) * 2023-05-19 2024-01-22 주식회사 국제탑헬스케어 수면성능이 우수하게 향상된 친환경 수면베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032Y1 (ko) * 1991-09-17 1993-11-30 성규열 베개일체형 취침용 헤드폰
KR20030037000A (ko) * 2001-11-01 200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2단 접이식 시트
KR200448833Y1 (ko) * 2009-08-25 2010-05-27 이문희 베개
KR20130084555A (ko) * 2012-01-17 2013-07-25 허정윤 수면 유도 베개
KR20140143018A (ko) * 2013-06-05 2014-12-15 남해현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KR101630386B1 (ko) 2014-12-23 2016-06-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20160132428A (ko) 2014-03-11 2016-11-18 카뷰, 인코포레이티드 여행용 베개
KR101774189B1 (ko) 2012-04-12 2017-09-04 데이비드 브렛 스턴라이트 여행용 베개
KR20170116714A (ko) * 2016-04-12 2017-10-20 코웨이 주식회사 머리 착용식 베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032Y1 (ko) * 1991-09-17 1993-11-30 성규열 베개일체형 취침용 헤드폰
KR20030037000A (ko) * 2001-11-01 200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2단 접이식 시트
KR200448833Y1 (ko) * 2009-08-25 2010-05-27 이문희 베개
KR20130084555A (ko) * 2012-01-17 2013-07-25 허정윤 수면 유도 베개
KR101774189B1 (ko) 2012-04-12 2017-09-04 데이비드 브렛 스턴라이트 여행용 베개
KR20140143018A (ko) * 2013-06-05 2014-12-15 남해현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KR20160132428A (ko) 2014-03-11 2016-11-18 카뷰, 인코포레이티드 여행용 베개
KR101630386B1 (ko) 2014-12-23 2016-06-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20170116714A (ko) * 2016-04-12 2017-10-20 코웨이 주식회사 머리 착용식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61Y1 (ko) * 2023-05-19 2024-01-22 주식회사 국제탑헬스케어 수면성능이 우수하게 향상된 친환경 수면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31595A1 (en) Ergonomic sleep mask
KR10199618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2313494B1 (ko)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KR102333951B1 (ko) 휴식용 안대
US20160287829A1 (en) Cushioned Sleep Apnea Mask
KR20200089798A (ko) 눈 및 코 복합 마사지기
KR101805270B1 (ko) 기능성 베개
KR20150049415A (ko) 기능성 날개 베개
JP3121316B2 (ja) 加熱装置付き顔マスク
KR200490048Y1 (ko)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US10945545B2 (en) Whole-head pillow
US11938088B2 (en) Stress reducing, light blocking, sleeping mask to improve sleep and overall health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US20170000680A1 (en) Decorative cushion massage device
KR20170116714A (ko) 머리 착용식 베개
KR100388380B1 (ko) 초장파 온열 어깨 마사지기
CN212939189U (zh) 一种颈枕
CN212186010U (zh) 低电压发热头枕
CN220370170U (zh) 头部按摩器
CN219763004U (zh) 一种罩式助眠枕套及枕头
KR101295172B1 (ko) 발향 목밴드
KR200450349Y1 (ko) 등받이를 겸한 수면 보조구
CN219439917U (zh) 头部按摩器
US11877668B2 (en) Neck pillow
KR20230002035U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