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270B1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270B1
KR101805270B1 KR1020150176741A KR20150176741A KR101805270B1 KR 101805270 B1 KR101805270 B1 KR 101805270B1 KR 1020150176741 A KR1020150176741 A KR 1020150176741A KR 20150176741 A KR20150176741 A KR 20150176741A KR 101805270 B1 KR101805270 B1 KR 101805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llow
water pocket
head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489A (ko
Inventor
윤종열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와이.엘산업주식회사
김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엘산업주식회사, 김상욱 filed Critical 와이.엘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2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몸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개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로 상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워터포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베개본체 내부에 워터포켓을 설치하여 머리를 기대면 사용자의 두상이나 목 등과 같이 신체적 특성이 다양한 경우에도 후두부 주변을 편안하게 감싸주어 사용자가 취침시 쾌적한 환경에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 { funtional pillow }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취침시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두상이나 목두께 또는 길이 등의 신체적 특성이 다양한 경우에도 머리를 기대면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고 두부와 목부분의 지압 또는 마사지를 통한 혈액순환 개선에 유리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취침시 또는 휴식시에 머리를 받쳐 숙면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베개는 위를 보고 똑바로 누웠을 때 각각 높이가 다른 머리와 목부위를 일정한 높이로 받쳐준다.
한편, 최근에는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라텍스, 메모리폼 베개 등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베개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기능성 베개의 일 예로 공개특허 제10-2010-0092302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베개본체와, 이 베개본체의 형상을 따라 대체로 균일한 두께로 발포 성형되어 신체와 베개본체 사이에서 수축 후 복원하는 메모리폼 소재의 내피가 구비되고, 상기 베개본체가 바로 누운 자세의 목 부위를 일정 높이와 곡선 모양으로 받쳐주는 목지지부와 이 목지지부의 좌우 옆에 그보다 높게 형성되어 옆으로 누운 자세의 얼굴 옆면을 받쳐주는 옆얼굴지지부 및 어깨부위에 밀착하는 어깨밀착부로 이루어지고, 그 목지지부가 측면에서 볼 때 신체의 목과 후두 부위의 곡선에 대응한 모양으로 만곡되고 정면에서 볼 때 목둘레를 넓게 수용하는 모양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평면에서 볼 때 머리무게를 분산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후방 좌우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베개본체는 메모리폼 소재의 내피보다는 경도가 높아서 사용자의 머리 무게에 의해 형태가 무너지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보유하는 우레탄폼으로 제공될 수 있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베개의 형상을 유지하는 베개본체가 강도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목이나 머리부분에 충분한 쿠션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딱딱한 느낌을 주게되어 오히려 숙면을 방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베개는 고정된 모양에 머리를 고정시키는 모양새이므로 불편함을 느끼며, 머리 형상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숙면을 취하기 어렵다.
아울러, 이와 같은 종래 기능성 베개 구조는 사용자의 두상이나 목 두께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하지 않는 경우 경추 교정 등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고 두부에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혈의 지압이나 두피 맛사지 등의 기능 역시 발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취침시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두상이나 목두께 또는 길이 등의 신체적 특성이 다양한 경우에도 머리를 기대면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숙면은 물론 두부와 목부분의 지압 또는 마사지를통해 혈액 순환 개선에 유리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개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로 상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워터포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베개본체는 메모리폼, 합성수지, 실리콘, 폴리우레탄, 라텍스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중앙에 베개본체는 몸체의 중앙에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안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목의 경추(頸椎)를 받치도록 둥글게 돌출되는 목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귀가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귀안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단에는 머리가 베개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용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워터포켓은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은 활성수 처리된 물에 유효 염소 파우더 또는 토르말린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터포켓의 공간부에는 펠트가 삽입된 상태로 물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펠트의 중앙에는 후두부 중앙 하부 경혈의 일부인 뇌호, 풍부, 뇌공, 풍지를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중앙 지압구가 안착되는 중앙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펠트의 양측에는 두부의 전면 상부 양측의 경혈인 정감구, 혈관운동구, 무도진전제어구, 운동구, 감각구, 훈청구, 언어3구, 측두 2,3구를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측면 지압구가 안착되는 제1 측면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안착홈의 일측에는 후두부 하측의 풍지, 안면, 예명, 예풍을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 측면 지압구가 안착되는 제2 측면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터포켓의 상부 표면에는 후두부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마사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워터포켓의 표면 일측에는 온도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변온스티커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베개본체 내부에 워터포켓을 설치하여 머리를 기대면 사용자의 두상이나 목 등과 같이 신체적 특성이 다양한 경우에도 후두부 주변을 편안하게 감싸주어 사용자가 취침시 쾌적한 환경에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워터포켓 내부에 물이 충전되어 베개를 사용시 두부의 온도를 낮추어 주어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줌은 물론, 워터포켓 내부에 펠트를 구비하여 물의 출렁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지압구를 펠트에 지지하여 두부와 목부위의 지압 또는 마사지를 통해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용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용 전후 상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몸체(111) 내측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부(114)가 형성되는 베개본체(110)와, 상기 수용공간(112)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14)로 상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워터포켓(12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베개본체(110)는 일정높이와 폭 및 길이를 갖는 통상의 베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11)를 메모리폼으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누워 기능성 베개(100)을 베는 경우 쿠션감을 갖고 있어 머리와 목부분의 눌림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어 포근함을 줄 수 있다.
물론 상기 베개본체(110)는 용도에 따라 메모리폼 이외에도, 합성수지, 실리콘, 폴리우레탄, 라텍스 등의 재질로 구성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베개본체(110)는 몸체(111)의 중앙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2)과 연통되도록 개구부(114)가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취침시 땀을 흡수하면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베개본체(110)의 외부에는 면이나 직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피(미도시됨)를 더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베개본체(110)는 몸체(111)의 중앙에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안착부(113)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3)의 일측에는 목의 경추(頸椎)를 받치도록 둥글게 돌출되는 목침부(11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13)에는 상기 수용공간(112)과 연통되도록 상기 개구부(114)가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1)의 양측 상부에는 두부 양측의 귀가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귀안착부(116)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111)의 양단에는 머리(H)가 베개본체(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용 돌부(11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베개본체(110)는 전체적으로 목의 경추(頸椎)를 받치는 둥근 모양의 목침구조와 옆으로 취침시에 머리를 지지하고 경추를 일직선 형태로 유지하는 어깨 높이의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개본체(110)의 몸체(111) 중앙에 수용공간(112)에는 워터포켓(120)이 삽입 설치되는데, 이 경우 워커포켓(120)의 파손으로 인해 워커포켓(120) 내부에 충진된 물(W)이 베개본체(110)의 수용공간(112) 내에 머무르고 베개주변으로 누수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2)는 상측 개구부(114)를 제외하고는 밀폐된 구조의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워터포켓(120)은 수용공간(112)에 장착되는 것으로, 실리콘이나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W)이 충전되는 공간부(122)가 형성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워터포켓(120)을 베개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두부를 안착부(113)에 기대면 머리 모양 및 무게에 따라 수직 압력 크기변화로 인해 안착부(113)는 하강하면서 워터포켓(120) 내부의 물(W)이 주변으로 이동하면서 상승 및 평형을 유지시켜 주어 머리 모양에 따라 워터포켓(102)이 적절하게 변형이 이루어져 후두부 및 목의 경추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즉, 사람의 뇌와 머리는 70%가 물로 이루어지는데, 남녀노소 머리모양, 무게에 따라 물 베개의 수직 압력 크기 변화로 인한 목의 지지면이 상승하고 이에 따른 머리의 평형 유지시켜 줌에 따라, 워터포켓(120)은 머리에 골고루 압력을 분배(파스칼의 원리)하고 모든 머리 모양에 상관없이 편안함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포켓(120)은 내부에 물(W)을 충전함에 따라 물의 온도가 상온인 상태에서는 두부의 온도를 낮추어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숙면 최적 쾌적온도는 18 ~ 20℃라고 하며, 이와 같은 워터포켓(120)의 물(W)에 의해 실내온도보다 낮게 유지함으로써 머리 온도를 높은 기온보다 낮추어 숙면을 유지시켜 준다.
이 경우 상기 워터포켓(120) 내에 물(W)을 충전하는 대신 다양한 열매체유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이 물(W)의 온도가 워터포켓(120) 외부를 통해 후두부에 직접 빠르게 전달되어 두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춰주어 열이 많아 머리가 빠지는 탈모 원인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최근의 다양한 의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뇌의 신경시스템이 차가운 온도를 감지할때 갈색 지방의 형성을 촉발시켜 뇌에서 식욕을 느끼게 하는 신경을 차단하여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 따라서 워터포켓(120)는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머리 온도가 높아져 두뇌활동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머리에서 땀이 많이 나는 사람에게 땀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여름에는 몸이 더욱 시원함을 느낄 수 있으며, 베개 중심에 있는 물 베개의 무게는 베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베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무게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워터포켓(120)의 공간부(122)에는 스폰지와 같은 물 흡수 소프트 소재로서 양모나 인조 섬유에 습기와 열을 가해 압축시킨 펠트(felt)(130)를 삽입하여 워터포켓(120)의 형상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물의 출렁임을 느끼지 못하게 하고, 젤과 같이 부드러운 액체 구성의 느낌을 가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워터포켓(120)에 사용되는 물(W)은 일정주기(예를 들어 2년)로 활성수 처리된 물에 유효 염소 파우더를 첨가 보충하여 부패하지 않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염소 파우더는 물 중량 대비 0.1 ~ 2중량%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에는 물을 활성화시켜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토르말린을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토르말린은 물 중량 대비 1 ~ 5중량%를 투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워터포켓(120)의 표면 일측에는 온도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변온스티커(120a)를 더 부착하여 베개 사용 전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함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펠트(130)의 중앙에는 후두부 중앙 하부 경혈의 일부인 뇌호, 풍부, 뇌공, 풍지를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142)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중앙 지압구(140)가 안착되는 중앙안착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펠트(130)의 양측에는 두부의 전면 상부 양측의 경혈인 정감구, 혈관운동구, 무도진전제어구, 운동구, 감각구, 훈청구, 언어3구, 측두 2,3구를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152)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측면 지압구(150)가 안착되는 제1 측면안착홈(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측면안착홈(134)의 일측에는 후두부 하측의 풍지, 안면, 예명, 예풍을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162)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 측면 지압구(160)가 안착되는 제2 측면안착홈(136)이 형성된다. 이들 경혈의 지압 효과는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펠트(130)의 상부 또는 하부면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 옥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앙 지압구(140), 제1 및 제2 측면 지압구(150,16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포켓(120)의 공간부(122)에 삽입하고 물(W)을 충전시켜 밀봉시킨 상태로 상기 베개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7의 (a) 및 (b)의 사용 전후 상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와, 도 8의 (a) 및 (b)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똑바로 누우면 상기 워터포켓(120)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후두부의 경혈이 중앙 지압구(140)의 지압돌기(142)에 의해 지압되며, 측면으로 돌아누우면 베개본체(110)의 측면이 눌리면서 제1 및 제2 측면 지압구(150,160)의 지압돌기(152,162)에 의해 두부의 전면 상부 양측 또는 후두부 하측의 경혈이 지압되어 혈행을 개선하게 된다.
한편, 워터포켓(120)의 상부 표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마사지 돌기(124)가 형성되어 후두부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의 두부를 지압 및 마사지를 하여 편안한 숙면과 피로함을 줄여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0: 기능성 베개 110: 베개본체
111: 몸체 112: 수용공간
113: 안착부 114: 개구부
115: 목침부 116: 귀안착부
117: 이탈방지용 돌부 120: 워터포켓
122: 공간부 124: 마사지 돌기
130: 펠트(felt) 140: 중앙 지압구
150: 제1 측면 지압구 160: 제2 측면 지압구
W: 물

Claims (10)

  1. 몸체(111) 내측에 수용공간(112)이 형성되고 중앙에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부(114)가 형성되는 베개본체(110)와, 상기 수용공간(112)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14)로 상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워터포켓(120)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상기 워터포켓(120)은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물(W)이 충전되는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2)에는 펠트(felt)(130)가 삽입된 상태로 물(W)이 충전되며;
    상기 펠트(130)의 중앙에는 후두부 중앙 하부 경혈의 일부인 뇌호, 풍부, 뇌공, 풍지를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142)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중앙 지압구(140)가 안착되는 중앙안착홈(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본체(110)는 메모리폼, 합성수지, 실리콘, 폴리우레탄, 라텍스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몸체(111)의 중앙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안착부(113)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3)의 일측에는 목의 경추(頸椎)를 받치도록 둥글게 돌출되는 목침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3)에는 상기 수용공간(112)과 연통되도록 개구부(114)가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1)의 양측에는 귀가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귀안착부(116)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111)의 양단에는 머리가 베개본체(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용 돌부(1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W)은 활성수 처리된 물에 유효 염소 파우더 또는 토르말린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130)의 양측에는 두부의 전면 상부 양측의 경혈인 정감구, 혈관운동구, 무도진전제어구, 운동구, 감각구, 훈청구, 언어3구, 측두 2,3구를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152)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측면 지압구(150)가 안착되는 제1 측면안착홈(13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안착홈(134)의 일측에는 후두부 하측의 풍지, 안면, 예명, 예풍을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162)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 측면 지압구(160)가 안착되는 제2 측면안착홈(1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포켓(120)의 상부 표면에는 후두부 두피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복수의 마사지 돌기(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포켓(120)의 표면 일측에는 온도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변온스티커(120a)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76741A 2015-12-11 2015-12-11 기능성 베개 KR10180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41A KR101805270B1 (ko) 2015-12-11 2015-12-11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41A KR101805270B1 (ko) 2015-12-11 2015-12-11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489A KR20170069489A (ko) 2017-06-21
KR101805270B1 true KR101805270B1 (ko) 2017-12-06

Family

ID=5928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741A KR101805270B1 (ko) 2015-12-11 2015-12-11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2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502A (ko) 2021-05-13 2022-11-22 주식회사 알앤디테크 기능성 베개
KR20240000138U (ko) * 2022-07-15 2024-01-23 허현준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398B1 (ko) * 2018-11-14 2021-08-25 박성하 베개 및 그의 조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295A (ja) * 2003-09-04 2006-02-23 Sumitomo Rubber Ind Ltd
KR200437764Y1 (ko) 2007-01-10 2007-12-26 이시호 숙면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295A (ja) * 2003-09-04 2006-02-23 Sumitomo Rubber Ind Ltd
KR200437764Y1 (ko) 2007-01-10 2007-12-26 이시호 숙면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502A (ko) 2021-05-13 2022-11-22 주식회사 알앤디테크 기능성 베개
KR20240000138U (ko) * 2022-07-15 2024-01-23 허현준 베개
KR200497926Y1 (ko) * 2022-07-15 2024-04-09 허현준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489A (ko)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US4908893A (en) Pillows with portions which do not promote facial wrinkles
KR200474197Y1 (ko) 지압 베개
KR200489183Y1 (ko) 기능성 베개 구조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CA3068810A1 (en) Pillow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KR101966297B1 (ko) 라운드형 베개
KR101805270B1 (ko) 기능성 베개
KR102109986B1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101684211B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US11412870B2 (en) Ergonomic and orthopaedic pillow for avoiding face wrinkles during sleep
KR101922599B1 (ko) 메모리 폼 베개
KR101036224B1 (ko) 지압용 배게
KR20180001158A (ko) 수면자세에 의한 인체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KR101784975B1 (ko) 서로 다른 사이즈의 체형에 사용될 수 있는 듀얼 베개
KR200486642Y1 (ko) 경추 보호용 베개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WO2009044956A1 (en) Pillow
KR102123260B1 (ko) 기능성 베개
KR102159404B1 (ko) 접이식 좌우 얼굴 주름개선을 겸비한 기능성 바디 필로우
KR20220033320A (ko) 거북목 교정용 경추베개 및 그 거북목 교정용 경추베개의 향기 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