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64Y1 - 숙면베개 - Google Patents

숙면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64Y1
KR200437764Y1 KR2020070000397U KR20070000397U KR200437764Y1 KR 200437764 Y1 KR200437764 Y1 KR 200437764Y1 KR 2020070000397 U KR2020070000397 U KR 2020070000397U KR 20070000397 U KR20070000397 U KR 20070000397U KR 200437764 Y1 KR200437764 Y1 KR 200437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leep
good night
injected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호
Original Assignee
이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호 filed Critical 이시호
Priority to KR2020070000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8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using a liquid as filling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 내부에 유체가 주입된 숙면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베개의 몸체 내부에 황토 및 적토 수용액이 주입된 숙면배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사용상 편리하며, 내부에 주입된 충전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숙면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경질의 몸체를 형성하여 목침과 같이 경추를 받쳐줄 수 있도록하고, 목 뒤쪽에 닿는 부분에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베개를 사용하는 동안 목 뒷부분을 지압하거나 경추를 바로잡아주어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내부에 황토수 및 적토수를 주입함으로써 여름철에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온수를 주입하여 찜질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황토 및 적토가 독성을 제거하는 물질이므로 충전재를 주입한 몸체의 독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하는 숙면베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베개, 숙면, 경추, 지압

Description

숙면베개{A pillow for a good sleep}
도 1은 종래기술1의 수면베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2의 물베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수면베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면베개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몸체 11 : 돌기
12 : 받침부 20 : 개구부
21 : 마개 22 : 밀폐부재
30 : 미끄럼 방지부재
40 : 충전재
본 고안은 몸체 내부에 유체가 주입된 숙면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베개의 몸체 내부에 황토 및 적토 수용액이 주입된 숙면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베개는 베개 내부에 물이나 이와 유사한 액체가 주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내부에 주입된 액체가 일반 베개의 솜이나 라텍스 등을 대신하여 쿠션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59037호(2001. 12. 17. 등록, 이하 '종래기술1'라 함) 및 국내 공고특허공보 제1997-1172호(1997. 1. 29. 공고, 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서 개시된 기술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1의 '수면베개'는 물주입구를 형성한 비닐팩(1)에 적정높이로 물을 공급시키고, PCV재질의 아스티지로 구성된 방수천인 속지(2)와 PCV재질의 아스티지인 외피(3)를 겹쳐서 봉재하고, 일측면에는 베갯잇(4)을 형성하여 냉동시킨 비닐팩(1)을 내장하고 , 베갯잇(4)의 일측에 연결끈(5)으로 연결하여 쿠션부(6)를 형성한 후 쿠션부(6) 내에 솜(7)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위의 종래기술1은 속지(2)와 외피(3), 베갯잇과 쿠션부 등 다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속지(2)가 파열될 경우 비닐팩(1) 내부의 충전재를 교체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사용상 효율성이 떨어지고, 다층 구조로서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2에서 보는바와 같이 종래기술2의 '물베개'는 상면(3)과 저면(6)을 형성하는 외피(2)내에 압축성 충전재(6)가 충전되며, 이 압축성 충전재(6) 하단에서 지지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유체형 매체, 즉 물을 수용한 내피(5)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더불어 저면(6)과 내피(5)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키는 열반사부(8)와 사용자의 무게에 기인한 침대 매트리스 변위가 내피(5)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쐐기부재(7) 등으로 구성된 베개(1)에 대한 발명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2의 발명은 베개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다수개로서 그 조립과 제조가 복잡하며, 내피의 손상등으로 내부의 유체형 매체, 즉 물이 흘러나오게 될 경우 베개 자체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리하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생산성 및 사용상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사용상 편리하고, 내부에 주입된 충전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숙면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경질의 몸체를 형성하여 목침과 같이 경추를 받쳐줄 수 있도록하고, 목 뒤쪽에 닿는 부분에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베개를 사용하는 동안 목 뒷부분을 지 압하거나 경추를 바로잡아주어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내부에 황토수 및 적토수를 주입함으로써 여름철에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온수를 주입하여 찜질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황토 및 적토가 독성을 제거하는 물질이므로 충전재를 주입한 몸체의 독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숙면베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숙면베개는 경질(硬質)의 몸체 내에 액상의 충전재가 주입되어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주입하여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거나, 따뜻하게 찜질할 수 있어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베고 누웠을 때 목 뒷부분이 닿는 부분에 받침부와 돌기를 형성하여 경추를 바로잡아 주거나 목 뒤쪽을 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숙면베개는 경질(硬質)의 재질로서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몸체(10)가 있으며, 몸체(10)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개구부(20)가 형성된다.
몸체(10)의 형상은 장방형 혹은 타원형 등 베개로서 가능한 모든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몸체(1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수지 등 합성수지재 등으로서 사용자가 머리로 베고 누웠을 때 그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20)는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마개(21)가 형성되는데, 개구부(20)와 마개(21)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마개를 돌려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21)의 내측면 혹은 개구부(20)의 외주면에 밀폐부재(22)를 형성하여 몸체(10) 내부에 주입되는 액체가 내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부재(22)는 합성수지재나 고무재인 오링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사람의 머리가 닿는 부분인 받침부(1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부(12)는 사람의 뒤통수 및 목을 편안히 누일 수 있도록 움푹진 형태로 형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12)는 몸체(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10)에서 일면에 형성되고, 그에 대칭되는 면에도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2)에는 목 뒤쪽을 지압하거나, 경 추를 바로잡아줄 목적으로 형성되는 돌기(11)들이 다수개 돌출형성된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11)는 받침부(12)에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닿았을 때 경추를 바로잡고 지압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키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다수개가 일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돌기(11)는 사용자에게 너무 무리한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적절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및 고무재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재(30)는 합성수지재인 몸체(10)가 사용시에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되는데, 받침부(12)가 일측면에만 형성되는 경우는 받침부(12)가 형성된 면의 반대편 면에 형성되며, 받침부(12)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경우는 미끄럼 방지부재(30) 또한 양면으로 사용가능 하도록 양측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0)는 몸체(10)를 받치는 받침대와 같은 형상으로도 가능하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부착물의 형태로 몸체의 일측 혹은 양측에 부착형성 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몸체(10)내에 주입되는 충전재(40)는 액체인 것이 가능한데, 특히 황토(黃土)수용액 혹은 적토(赤土)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며, 충전재(40)는 기온이나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라 차게 식히거나, 따뜻하게 데워 개구부(20)를 통하여 주입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충전재(40)는 황토 및 적토가 함유된 수용액으로서 황토나 적토가 독성을 중화시키는 효과를 몸체(10)내에서 발휘하여, 화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몸체(10)의 독성을 완화시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개구부(20)를 밀폐하고 있는 마개(21)를 연 후, 내부에 충전재(40)를 적당량 채우고 다시 마개(21)를 닫아 밀폐한다.
이때, 계절이나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라 냉수 혹은 온수를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재(40)가 삽입된 본 발명의 수면베개를 바닥에 놓고 사용자의 머리와 목 뒤쪽이 받침부(12)에 맞닿도록 눕는다. 이때, 받침부(12)에 형성된 돌기(11)들이 사용자의 머리 뒤쪽 및 목 뒤쪽을 지압하거나 경추를 바로잡는 역할을 하게 된다.
수면을 취하고 난 후, 일정 시간 사용후에 내부의 충전재(40)를 마개(21)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쉽게 배출하고, 새로운 충전재(40)를 주입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형태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숙면베개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내부에 주입된 충전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경질의 몸체를 형성하여 목침과 같이 경추를 받쳐줄 수 있도록하고, 목 뒤쪽에 닿는 부분에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베개를 사용하는 동안 목 뒷부분을 지압하거나 경추를 바로잡아주어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몸체 내부에 황토수 및 적토수를 주입함으로써 여름철에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온수를 주입할 경우 찜질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황토 및 적토가 독성을 제거하는 물질이므로 충전재를 주입한 몸체의 독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5)

  1. 경질(硬質)의 재질로 형성되어 일측에 개구부(20)가 구비된 몸체(10)와;
    몸체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돌기(11)와;
    상기 개구부(20)를 통해 몸체 내부에 충전재(40)가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부에는 움푹진 형태의 받침부(1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재(3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1)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40)는 황토(黃土)수용액 혹은 적토(赤土)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베개.
KR2020070000397U 2007-01-10 2007-01-10 숙면베개 KR200437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97U KR200437764Y1 (ko) 2007-01-10 2007-01-10 숙면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97U KR200437764Y1 (ko) 2007-01-10 2007-01-10 숙면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64Y1 true KR200437764Y1 (ko) 2007-12-26

Family

ID=4162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397U KR200437764Y1 (ko) 2007-01-10 2007-01-10 숙면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848A (ko) * 2015-10-14 2017-04-24 강명수 지압베개
KR101805270B1 (ko) 2015-12-11 2017-12-06 와이.엘산업주식회사 기능성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848A (ko) * 2015-10-14 2017-04-24 강명수 지압베개
KR101805270B1 (ko) 2015-12-11 2017-12-06 와이.엘산업주식회사 기능성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86022A1 (en) Pillow
KR101088906B1 (ko) 다기능 한방 경추 베개
KR101672972B1 (ko) 액체가 주입되는 목 베개
KR200437764Y1 (ko) 숙면베개
US20160100701A1 (en) Pillow
KR100939081B1 (ko) 베개
CN206777156U (zh) 一种新型枕头
KR200491430Y1 (ko) 바디 필로우
KR101293051B1 (ko) 약재내장쿠션
KR100905910B1 (ko) 주입식 물 패드
CN208822115U (zh) 一种带有石墨烯加热膜的气囊床垫
KR200373868Y1 (ko) 기능성 베개
KR100982378B1 (ko) 베개
CN205849181U (zh) 一种360度休息枕
KR200443347Y1 (ko) 튜브형 쿠션
CN2765531Y (zh) 一种保健枕
JP3240974U (ja) 加熱冷却具
CN213550978U (zh) 立体u型舒适枕
CN201911744U (zh) 一种按摩保温枕头
KR200343626Y1 (ko) 냉온 베개
CN210407934U (zh) 一种多功能组合枕
CN207384026U (zh) 一种便携式养生枕头香包
CN201082069Y (zh) 一种寝具
KR200259037Y1 (ko) 수면(水眠)베개
CN201609235U (zh) 一种水内胆及薄型恒温水疗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