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48Y1 -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 Google Patents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48Y1
KR200490048Y1 KR2020180004801U KR20180004801U KR200490048Y1 KR 200490048 Y1 KR200490048 Y1 KR 200490048Y1 KR 2020180004801 U KR2020180004801 U KR 2020180004801U KR 20180004801 U KR20180004801 U KR 20180004801U KR 200490048 Y1 KR200490048 Y1 KR 200490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inter
band
user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김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철 filed Critical 김민철
Priority to KR2020180004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D 입체 설계로 입체 재단되어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광폭 턱받이 및 광폭 등받이로 인해 심한 운동에도 말림 없이 착용 가능하며, 몸통에 대해 덮개 및 밴드의 선택적인 체결이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2가지 방식으로 연출이 가능한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2-way type winter mask for winter sports}
본 고안은 3D 입체 설계된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 스포츠인 스키나 스노우보드는 추운 날씨에 스피드를 동반한 스포츠이기 때문에, 추위를 느끼는 민감한 얼굴과 귀를 가려주는 마스크를 착용한다.
현재 동절기 스포츠용 마스크는 다양한 형태가 시판되고 있으며, 코, 입 및 귀를 한번에 감싸주는 앞면 가리개 제품, 또는 눈이 노출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제품(즉, 넥워머), 또는 머리에서 목까지 감싸는 원통형의 일체형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앞면 가리개 형태의 마스크는 통상 고리를 귀에 걸쳐 고정하고 있고, 원통형의 제품은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어 격렬한 운동 중 마스크가 귀에서 탈착되어 흘러내리거나 벗겨지는 등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원통형의 일체형 마스크는 착용 중 탈착되는 문제는 없으나 머리에서부터 뒤집어 쓰는 형태로 착용 및 탈의가 불편하고, 너무 심한 밀착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답답함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또한, 머리카락 전체가 마스크 내에 집어넣어야 하므로, 탈의 후 헤어스타일의 유지가 불가능하다.
더불어 기존 제품들은 입체 설계로 안면에는 밀착되나 목은 느슨하게 제작되어 목과 마스크 간 공간이 생겨 여기에 바람이 스며들어 목시림을 유발하고, 격렬한 스포츠 중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별도로 목에 스카프를 둘러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63760호 (2009.06.18 공개), 기능성 마스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9840호 (2013.04.23 공개), 수직장력 차단 및 고정각 조절이 용이한 스포츠 마스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9969호 (2014.05.19 공개),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본 고안자들은 사용자에 대해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보온성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방한 마스크를 제작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안면에서 목, 가슴, 등 및 어깨까지 밀착될 수 있도록 입체 재단을 하고,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답답함 없이 격렬한 운동 중에도 고정이 가능한 겨울 스포츠용 방한 마스크를 제작하게 되었다. 더불어, 기존 제품의 경우 하나의 형태로 연출되는 것과 비교하여, 상황에 따라 2가지 형태로 연출 가능하도록 두 가지 형태의 고정 수단을 제작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방한 마스크를 제작하였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신축성 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뒤통수에 밀착되도록 입체적인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몸통; 및 상기 몸통을 사용자의 안면 및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통의 전면부 시접 부분 양 말단에 고정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스트랩부 형태의 밴드 또는 캡(cap) 형태의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고, 상기 밴드 또는 덮개 중 하나를 몸통의 걸림 부재와 결합하여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겨울 스포츠용 방한 마스크는 3D 입체 설계로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광폭 턱받이 및 광폭 등받이를 통해 의복 속으로 삽입함으로써 심한 운동에도 말림 없이 착용 가능하다.
또한, 몸통에 대해 밴드 또는 덮개의 선택적인 체결이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2가지 방식으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한 마스크는 피부에 대한 불편없이 가볍고 편안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2-way 방한 마스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몸통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몸통의 원단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된 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고정 수단으로 밴드를 채용할 경우 몸통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밴드를 고정 수단으로 하는 경우 긴 머리의 사용자가 착용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밴드를 고정 수단으로 하는 경우 짧은 머리의 사용자가 착용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덮개의 분해 도면이다.
도 9는 고정 수단으로 덮개를 채용할 경우 몸통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덮개를 고정 수단으로 긴 머리의 사용자가 착용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겨울 스포츠는 스키, 스노우보드, 등산, 사이클링, 스케이팅, 썰매, 컬링, 하키, 눈싸움, 낚시, 아이스보트, 스노우모바일, 조깅, 개썰매 등 겨울 시즌에 즐길 수 있는 운동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2-way 방한 마스크(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겨울 스포츠용 방한 마스크(100)는 각각의 사용자의 안면에서 가슴까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입체적인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몸통(10)과, 이와 체결되어 착탈 가능한 밴드(220) 또는 덮개(230)의 고정 수단(20)을 구비한다.
고정 수단(20)인 밴드(220) 및 덮개(230)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 선택 가능하여 2가지 형태로 연출 가능한 2-way 스타일의 방한 마스크(100)로, 상기 고정 수단(20)과 몸통(10)의 연결 부재와 연결되어 방한 마스크(100)를 사용자의 인체, 즉, 안면, 뒤통수, 목, 어깨, 및 가슴에 밀착된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몸통(10)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10)은 각각의 사용자의 안면 일부에서 가슴, 등, 어깨 일부까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입체적인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몸통(10)은 봉제 없이 원통형으로 직조될 수 있고, 적어도 두 조각 이상의 패턴 원단을 봉제하여 직조될 수 있으며, 입체 재단된 것이면 어느 것이든 본 고안은 이를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에 따른 방한 마스크(100)의 몸통(10)은 3D 입체 설계를 통해 입체 재단된다.
구체적으로, 전면부의 상부측이 후면부의 상부측에 비해 더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의 상부측은 방한 마스크(100) 착용시 사용자의 코 또는 턱라인에 위치하게 되며, 가운데 부분이 양 단보다 낮도록 곡면으로 입체 재단되어 안정적인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한 마스크(100) 착용 중 상하로 움직여 덥거나 음료를 마실때 또는 대화시 얼굴의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착용시에는 귀와 코의 높이에 적절하도록 하여 보온력을 높이고, 전면 패턴의 상부측을 내려 입 부분을 노출할 경우 얼굴 윤곽을 따라 착용시 v라인의 턱선이 될 수 있도록 심미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한 마스크(100)의 몸통(10)은 전면부 및 후면부의 중부측을 목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측 및 하부측의 폭 대비 좁은 폭을 갖도록 재단한다. 이처럼 상부측 및 하부측 폭 대비 좁은 폭을 갖도록 재단하게 되면, 목에 방한 마스크(100)가 보다 밀착될 뿐만 아니라 정면에서 볼때 가느다란 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한 마스크(100)의 몸통(10)은 전면부 및 후면부의 하부측에 각각 광폭 턱받이 및 광폭 등받이를 연장하여 재단함으로써 상기 방한 마스크(100) 착용 시 의복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광폭 턱받이 및 광폭 등받이는 양 단면보다 중앙부가 높은 곡면으로 입체 재단하여 사용자의 가슴 및 등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착용 시 의복 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심한 운동에도 턱과 목 부분이 말려 올라가거나 빠지지 않고, 목의 보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방한 마스크(100)의 몸통(10)은 3D 입체 설계를 통해 상기 언급한 형상을 갖도록 여러 가지 패턴으로 입체 재단될 수 있으며, 이때 패턴은 무봉제의 1개 패턴에서부터 정면, 측면 및 후면을 각각 부위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패턴을 봉제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4조각의 원단 패턴을 재단한 후 봉제하여 3D 입체 설계된 몸통(10)을 제작한다.
도 3은 몸통(10)의 원단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몸통(10)은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턴(51), 사용자의 뒤통수를 커버하는 후면 패턴(52), 및 상기 전면 패턴(51) 및 후면 패턴(52)의 양측에 연결되는 두 개의 측면 패턴(53, 54)로 이루어진다.
전면 패턴(51)은 곡면 형태의 "T" 자형으로 패턴화되되, 하부측에 광폭 턱받이가 구비될 수 있도록 가로로 확장되며 중앙부가 돌출되는 곡면형으로 패턴화된다. 상기 광폭 턱받이는 인체의 복장뼈(즉, 복장뼈자루(흉골병, Manubrium sterni))까지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전면 패턴(51)은 사용자의 귀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T자형의 상부측 말단이 귀까지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는다.
후면 패턴(52)은 전면 패턴(51)의 상부측과 측면 패턴(53, 54)과 봉제 연결될 수 있으며 곡면 사다리꼴 형태로 패턴화된다. 구체적으로, 후면 패턴(52)의 상부측은 뒤통수에서부터 등까지 연결되는 길이를 갖되, 이때 하부측에 광폭 등받이가 구비될 수 있도록 가로로 확장되며 중앙부가 돌출되는 곡면형으로 패턴화된다.
측면 패턴(53, 54)은 전면 패턴(51) 및 후면 패턴(52)과 각각 봉제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측이 상부측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곡면의 삼각형 형태로 패턴화된다. 상기 측면 패턴(53, 54)의 하부측은 사용자의 어깨에 잘 밀착되고, 사용자의 의복에 몸통(10)을 삽입시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 말단보다 중앙 부분의 수직 길이가 짧도록 곡면으로 재단된다. 이로 인해 착용시 몸통(10)의 밀림 없이 어깨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턴(51), 후면 패턴(52) 및 측면 패턴(53, 54)은 사용자의 목에 대응하는 중앙 부분을 상부측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몸통(10)과 뒷목 사이의 들뜸없이 밀착되어 보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의 전면 패턴(51), 후면 패턴(52) 및 측면 패턴(53, 54)의 원단 패턴은 재봉질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목, 어깨 및 등에 대응되도록 3D 입체 설계를 통해 굴곡진 원통형의 몸통(10)으로 제작된다.
이때 이들 패턴은 일반 봉제 또는 오드람프(무시접) 봉제로 마감처리되어 피부에 대한 불편없이 가볍고 편안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오드람프(flatlock stich) 봉제는 네개의 윗실과 두 개의 밑실이 얽혀서 만들어지는 스티치로 원단과 원단 사이를 이어주는 시접 부분을 오드람프 봉제를 통해 피부에 쓸리는 현상 없이 격한 활동에도 착용감이 좋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몸통(10)의 원단은 신축성이 있는 원단을 사용한다.
몸통(10)의 원단은 공기 저항의 최소화와 우수한 신축성이 있음과 동시에 근육을 적절히 잡아주어 근육의 이완 내지는 굳어짐을 방지하고 신체에 쾌적함을 부여하여 주므로 착용시 운동선수는 최상의 운동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방한 마스크(100)는 착용 시에도, 상호 의사소통에 불편함 없고,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휴대가 간편하며 착용 시에 있어서 편안한 착용감과 신축성을 가져 밀착면의 힘을 분산으로 특정부위를 조이는 현상이 없어 장시간 착용 시에도 아무런 불편함이 없게 되는 것이다.
이에 원단은 본 고안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신축성이 있는 스포츠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원단으로는 폴리우레탄, 네오프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섬유사로 제조되거나 면, 울 등의 천연 섬유사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몸통(100) 원단은 기모원단(brushed fabric)일 수 있다.
기모 원단은 원단을 제조하여 일측면에 위치한 원사를 브러쉬 롤러로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기모작업을 행하는 기모 가공을 통하여 제조하고 있다. 상기 기모 가공에 의해 원단은 독특한 외관과 유연성, 적당한 통풍성이 있고 보온성도 높아진다. 또한, 상기 기모 원단은 따뜻하고 부드러워 피부에 자극이 없는 재질로 제직함에 따라 혹한의 추운 날씨에도 내부 온도를 지켜주어 체온 유지를 돕는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원단은 흡한속건 기능을 갖는다.
우리 몸에서 발산되는 땀을 잘 흡수하고 흡수된 땀을 신속히 배출하여 빠르게 증발시킴으로써 신체와 의복 사이의 땀으로 인해 느끼는 끈적끈적함 같은 불쾌한 느낌을 해소하고 건조한 느낌을 주어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흡한속건 기능이라 한다. 이에 흡한속건 기능의 섬유는 운동성을 착안하여 활동성, 기능성, 패션성을 높여 흡한, 흡수, 촉감, 경량 등의 성능을 지니면서 심리적 쾌적성과 생리적 쾌적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겨울철 호흡시 호흡하기 원활한 구조로 공기 외부로부터의 수분과 미세 물질을 막는 양방향 공기순환 시스템으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한다.
일례로, 신축성이 있으며 흡한속건 기능을 하는 원단으로는 쿨맥스, 다크론, 서머스타트와 같은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원단은 소취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Huvis 사의 terraDRY사의 경우 코코나(cocona, 화산재)와 같은 다공성 물질을 사용하여 미세다공에 형성된 공극의 작용으로, 땀이나 냄새균 등을 포획하여 외부로 전이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원단은 UV 차단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UV 차단 기능은 산화아연이나 이산화티탄 등의 자외선 차단제를 코팅하거나 이를 함유시킨 원사를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일례로 Huvis 사의 IVY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UV 차단 기능으로 인해 겨울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색소침착, 시력 노화걱정없이 활동 가능하고 복사열 방지로 시원하고 상쾌한 기분으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원단은 상전이 기능 원료를 사용하여 온도 조절이 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oUTLAST사의 PCM은 상변환 물질(phase change material)을 섬유 내 혼합하여 겨울에 피부 접촉시 4도 이상의 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몸통(10)의 원단은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여 패션 유행의 변화에 대응하여 소비자의 구매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예로, 디자인을 위해 원단의 제편이나 제직 중 도비 직기 또는 자카드 직기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표출하거나, 후가공인 열로 각인된 엠보싱 롤러를 이용하여 원단에 소망하는 디자인을 직접 각인할 수 있다. 또한, 원단 표면에 컴퓨터 디자인 시어링(computer design shearing)을 하여 디자인을 부여하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원단은 몸통(10)의 일면에 문자, 로고 등의 상표나 그 자체가 모양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표의 경우 전면부의 하단부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몸통(10)은 고정 수단(20)(밴드(220) 또는 덮개(230)(230))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몸통(10)의 전면부의 양 말단에 걸림 부재(12)를 구비한다.
몸통(10)과 고정 수단(20)의 연결은 귀 부분에서 수행함으로써 방한 마스크(100)의 착용을 통해 귀를 보온할 수 있다. 이에, 걸림 부재(12)는 전면부에서 귀의 대응하는 위치의 시접(통상, 전면 패턴의 말단) 부분에 형성한다.
걸림 부재(12)는 이와 연결되는 고정 수단(20)과의 연결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방법은 몸통(10)과 고정 수단(20)을 쉽게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 수단(20) 내에 구비된 연결 부재와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수 한쌍은 재봉-고리, 벨크로, 접착, 압착, 핀, 스냅 단추, 후크, 버클, 자석, 패스너 결합 중 선택된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부재(12)는 재봉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결합을 위한 암수 한쌍은 고리 형태의 연결 부재가 고정 수단(20)에 구비될 수 있다.
재봉-고리 방식의 체결은, 전면부 패턴의 양 말단(귀 부분에 접하는)의 시접 부분에 소정 거리(약 2~7mm) 이격하여 수직 방향으로 봉재한 후, 말단 시접의 상부측 측에 가로로 절취선을 내고, 고정 수단(20)의 연결 부재로 일측이 개방된 연결 고리를 설치한 후, 상기 연결 고리가 절취선으로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몸통(10)과 고정 수단(20)이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별도로 가로로 통공되는 고리 형태로 걸림 부재(12)를 제작한 후, 상기 전면부 패턴의 양 말단의 시접 부분에 부착하여, 고리 형태의 걸림 부재(12)를 제작할 수 있다. 이는 고정 수단(20)의 연결 부재로 일측이 개방된 연결 고리를 설치한 후, 상기 연결 고리가 걸림 부재의 고리와 결합함으로써 몸통(10)과 고정 수단(2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방식은 하나의 예로, 몸통(10)과 고정 수단(20)이 연결될 수 있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고, 일례로 암수 한쌍은 상기 언급한 바와 서로 반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몸통(10)을 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220) 또는 덮개(230)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2가지 방식으로 연출이 가능하다.
고정 수단(20)으로서의 밴드(2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스트랩부(222)과, 밴드(220)를 몸통(10)에 착탈형으로 연결하기 위해 양 말단에 제1연결 부재(224)를 구비하고, 얼굴 또는 머리 크기에 따라 상기 스트랩부(22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고리(224)를 포함한다.
스트랩부(222)은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제작되며, 전체가 신축성이 있거나 앞쪽은 신축성 소재 뒤쪽 절반은 비신축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신축성 있는 재질은 상기 몸통(10)과 동일한 재질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 크기에 관계없이 착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 스트랩부(222)의 폭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0.5cm 내지 2cm의 다양한 범위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스트랩부(22)은 여러 색상 또는 무늬 모양을 형성하여 어떠한 의상과도 잘 어울리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연결 부재(224)는 몸통(10)의 걸림 부재(12)와 결합하여 밴드(220)를 몸통(10)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제1연결 부재(224)와 고정 수단(20)의 선정은 걸림 부재(12)와 암수 한쌍으로 체결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언급한 절취선의 개방을 통해 제작된 걸림 부재(12)의 경우, 제1연결 부재(224)는 도 1과 같은 연결 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제1연결 부재(224)는 일 실시예일 뿐, 연결을 위해서라면 이외에도 연결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제1연결 부재(224)가 사용될 수 있다.
길이 조절 고리(224)는 스트랩부(22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1과 같이 거의 8자 형태로 프레스로 펀칭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길이 조절 고리(224)로 스트랩부(222)이 통과하여 이동함으로써 얼굴 또는 머리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방한 마스크(100)와 얼굴 및 머리를 좀더 밀착되게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스트랩부(222)은 얼굴 및 머리와 대면하는 접촉 면에 미끄럼 방지 패드(228)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뒤통수에 방한 마스크(100), 즉 몸통(10)이 밀착 접지되도록 한다.
도 4는 미끄럼 방지 패드(228)가 부착된 밴드(2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패드(228)는 스트랩부(222)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된 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드(228)는 착용감 및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실리콘 혹은 연질의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내면에 돌기부(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28)는 도면상 띠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원판,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치환될 수 있으며, 그 개수 또한 둘 이상 구비할 수도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또한, 상기 스트랩부(222)은 사용자의 뒤통수에 고정시 얼굴 또는 뒤통수에 가하는 압력을 줄여 편안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 뒤통수에 대응하는 일정 부분을 고무 밴드로 덧대거나, 고무 밴드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편안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스트랩부(222)의 뒤통수에 대응하는 일정 부분에 스펀지, 탄성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완충부재가 내장되도록 구성된 패드(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방한 마스크(100)에서 몸통(10)에 대한 고정 수단(20)으로 밴드(220)를 채용할 경우 몸통(10)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착용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몸통(10)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 부재(12)에 연결 고리 형태의 밴드(220)의 제1연결부재(222)가 삽입된다.
도 6은 밴드를 고정 수단으로 하는 경우 긴 머리의 사용자가 착용함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7은 밴드를 고정 수단으로 하는 경우 짧은 머리의 사용자가 착용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를 보면, 상기 방한 마스크(100)의 몸통(10)의 전면부가 얼굴에서 귀까지 감싸고, 귀 측의 걸림 부재(12)에 연결된 밴드(220)는 머리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도 7(a) 및 도 7(b)를 보면, 상기 방한 마스크(100)는 광폭 턱받이와 광폭 등받이가 사용자의 옷 내부로 삽입되어 겉으로 봤을 때 방한 마스크(100)의 깔끔한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머리의 헤어스타일의 변화없이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도 6(c) 및 도 6(d)와 같이, 밴드(220)는 그 폭이 좁아 머리가 긴 사용자의 경우 정수리 부분의 머리카락에 의해 가려져, 전면 및 측면에서 밴드(220)가 보이지 않으며, 긴 머리는 몸통(10)의 뒤통수로 꺼낼 수 있어 헤어 스타일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는 종래 일체형의 마스크(100)의 경우 긴 머리 또는 짧은 머리의 사용자의 경우 머리카락에 의해 뒷부분이 돌출되거나 헤어스타일이 망가지는 곤란함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방한 마스크(100)의 몸통(10)을 사용자에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20)으로 덮개(230)가 사용될 수 있다.
덮개(230)는 머리를 뒤집어쓰는 캡(cap)으로, 신축성 있는 원단으로 재단되어 심한 운동 중에도 벗겨지지 않고 처음 착용할 때의 위치를 안정감 있게 유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몸통(10)과 동일한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고정 수단(20)으로서의 덮개(230)를 도시한 도 1을 보면, 상기 덮개(230)는 사람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사람 두상 모양의 반구형의 캡부(232)와, 이의 양측 말단의 시접 부분에 제2연결 부재(234)를 구비한다.
반구형의 캡부(232)는 하나 이상의 원단으로 입체 재단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어 안면부를 따라 재봉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자연스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캡부(232)의 입체 재단은 하나 이상의 패턴화된 원단을 재단하고 이를 봉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 고안의 캡부(232)는 3개의 패턴화된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도 8은 덮개(230)의 분해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캡부(232)의 원단 패턴은 정수리 및 후두부를 감싸도록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의 정면 패턴(71)과, 이와 연결되며 머리의 측면을 감싸도록 한 쌍의 반구형의 측면 패턴(72, 7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부(232)는 정면 패턴(71)과 측면 패턴(72, 73)의 봉제로 제작되며, 이들 간의 연결을 통해 후두부에서 안면측으로 수직으로 바느질 방향이 된 두 개의 수직 봉제선을 갖는다. 이렇게 패턴화된 원단을 사용하는 입체 재단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에 압박 강도가 다르게 적용되어 덮개(230)가 입체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핏감과 편안함을 부여한다.
도 8에서는 3개의 패턴을 사용한 캡부(232)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캡부(232)는 하나의 패턴에서부터 머리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3개 이상의 패턴을 이용하여 입체 재단될 수 있다.
캡부(232)를 제작하기 위한 각 패턴들은 오드람프(무시접) 봉제로 마감처리되어 피부에 대한 불편없이 가볍고 편안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캡부(232)의 원단은 몸통(10)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몸통(10)와 동일한 신축성이 있으며 흡한속건 기능을 갖는 기모 원단을 사용하여 운동 중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운동 중에 두피에서 발생하는 열을 즉각적으로 외부로 발산하여 두피에서 세균이 생존하거나 및 확장하는 환경을 사전에 제하여 항상 쾌적하게 유지하여 이에 따른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캡부(232)는 여러 색상 또는 무늬 모양을 형성하여 어떠한 의상과도 잘 어울리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캡부(232)를 몸통(10)과 연결하기 위해선, 상기 캡부(232)에 몸통(10)의 걸림 부재(12)와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도 8을 보면, 연결 부재는 제2연결 부재(234)이며, 귀에 대응하는 캡부(232)의 시접 부분의 내측에 서로 대칭하여 위치한다. 이로 인해, 캡부(232)를 머리에 쓸 경우 하며, 캡부(232)의 정면 패턴이 사용자의 얼굴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연결 부재(234)는 상기 밴드(220)에서 언급한 바의 제2연결 부재(234)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밴드(220)를 대체하여 몸통(10)의 걸림 부재(12)와 쉽게 부착 및 착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연결 부재(234)와 고정 수단(20)의 선정은 걸림 부재(12)와 암수 한쌍으로 체결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언급한 절취선의 개방을 통해 제작된 걸림 부재(12)의 경우, 제2연결 부재(224)는 도 1과 같은 연결 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제2연결 부재(234)는 일 실시예일 뿐, 연결을 위해서라면 이외에도 연결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제2연결 부재(234)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2연결 부재(234)는 제1연결 부재(224)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방한 마스크(100)에서 몸통(10)에 대한 고정 수단(20)으로 덮개(230)를 채용할 경우 몸통(10)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착용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몸통(10)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 부재(12)에 연결 고리 형태의 덮개(220)의 제2연결부재(232)가 삽입된다.
도 10(a) 및 도 10(b)를 보면, 상기 방한 마스크(100)의 몸통(10)은 사용자의 얼굴 및 뒤통수를 감싸고, 덮개(230)는 정수리 및 후두부를 포함하는 머리를 감쌀 수 있도록 착용한다. 긴 머리의 사용자인 경우 몸통(10)과 덮개(230) 사이의 공간에 머리카락을 꺼낼 수 있어 헤어 스타일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종래 일체형의 방한 마스크의 경우 긴 머리의 사용자의 경우 머리카락에 의해 뒷부분이 돌출되거나 헤어스타일이 망가지는 곤란함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겨울 스포츠용 방한 마스크(100)는 고정 수단(20)으로서 밴드(220) 또는 덮개(23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선정하여 몸통(10)과 결합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2가지 방식(2-way)으로 연출이 가능하다.
특히, 몸통(10)을 입체 재단함으로서 종래 직사각형 또는 단순 원통형의 마스크에 비해 사용자의 얼굴 및 머리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각각 팽창 및 밀착되는 패턴 부재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착용시 신축성과 착용감이 좋고 편안하게 밀착된다.
또한, 상기 입체 재단으로 인해 얼굴에 안전하게 정착하여 좌우 텐션 효과에 의해 얼굴이 움직여도 좌우면의 폭면에서 폭이 늘거나 줄게 되어 있어, 인체에 대한 편안한 핏과 함께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더불어, 얼굴 전면에서 측면 및 후면까지 감싸주고 있어, 코, 입 또는 귀로 들어오는 벌레의 침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이와 함께, 몸통(10)의 전면부를 얼굴의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패턴화함으로써 답답함 없이 착용이 가능하고, 상부측을 내려 입 부분을 노출할 경우 얼굴 윤곽을 따라 착용시 v라인의 턱선이 될 수 있도록 심미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특히, 몸통(10)에 구비된 광폭 턱받이 및 광폭 등받이로 인해 사용자의 윗옷 안쪽으로 넣어 착용함으로써 격렬한 운동에도 쉽게 벗겨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고정 수단(20)으로서 밴드(220) 및 덮개(230)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머리 스타일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산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방한 마스크
10: 몸통
12: 걸림 부재
20: 고정 수단
220: 밴드
222: 스트랩부
224: 제1연결 부재
224: 길이 조절 고리
230: 덮개
232: 캡부
234: 제2연결 부재

Claims (4)

  1. 신축성 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뒤통수에 밀착되도록 입체적인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몸통; 및 상기 몸통을 사용자의 얼굴 및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를 구비하되,
    상기 몸통은 전면부의 시접 부분 양 말단에 고정 수단과 결합하기 위한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스트랩 형태의 밴드 또는 캡(cap) 형태의 덮개이고, 상기 밴드 또는 덮개 중 하나를 몸통의 걸림 부재와 결합하여 탈 부착하여,
    두 가지 방식으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밴드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스트랩부이며,
    상기 밴드를 몸통의 걸림 부재와 착탈형으로 연결하기 위해 양 말단에 구비된 제1연결 부재; 및
    얼굴 또는 머리 크기에 따라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고리를 구비한 것인,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방한 마스크는 일반 봉제 또는 오드람프 봉제로 마감 처리된,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사람 두상 모양의 반구형의 캡부; 및
    몸통의 걸림 부재와 착탈형으로 연결하기 위해 캡부의 시접 양 말단에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한 것인,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KR2020180004801U 2018-10-23 2018-10-23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KR200490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01U KR200490048Y1 (ko) 2018-10-23 2018-10-23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801U KR200490048Y1 (ko) 2018-10-23 2018-10-23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48Y1 true KR200490048Y1 (ko) 2019-09-16

Family

ID=6806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801U KR200490048Y1 (ko) 2018-10-23 2018-10-23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084B1 (ko) 2021-05-04 2021-10-20 김경주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220022860A (ko) * 2020-08-19 2022-02-28 (주) 레온 스포츠 마스크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766Y1 (ko) * 2006-04-04 2006-06-13 황정서 다용도모자
KR200427052Y1 (ko) * 2006-06-07 2006-09-21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머플러겸용 마스크
KR100821342B1 (ko) * 2006-06-09 2008-04-10 김창금 마스크
JP2008308795A (ja) * 2007-06-15 2008-12-25 Shigematsu:Kk マスク付帽子
KR20090004653U (ko) * 2007-11-13 2009-05-18 방종훈 다기능성 밴드
KR20090063760A (ko) 2007-12-14 2009-06-18 황태명 기능성 마스크
KR20090122409A (ko) * 2008-05-25 2009-11-30 김종일 다용도 모자
KR20100007950U (ko) * 2009-02-02 2010-08-11 이순락 마스크
KR20130039840A (ko) 2011-10-13 2013-04-23 신재웅 수직장력 차단 및 고정각 조절이 용이한 스포츠 마스크
KR20130049146A (ko) * 2011-11-03 2013-05-13 고효숙 아웃도어용 의류
KR101297466B1 (ko) * 2012-10-30 2013-08-16 손외남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KR20140059969A (ko) 2012-11-09 2014-05-19 신재웅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200481932Y1 (ko) * 2015-10-27 2016-11-28 김민철 여성용 스포츠 방한 모자
KR20170098047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헤어웨어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766Y1 (ko) * 2006-04-04 2006-06-13 황정서 다용도모자
KR200427052Y1 (ko) * 2006-06-07 2006-09-21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머플러겸용 마스크
KR100821342B1 (ko) * 2006-06-09 2008-04-10 김창금 마스크
JP2008308795A (ja) * 2007-06-15 2008-12-25 Shigematsu:Kk マスク付帽子
KR20090004653U (ko) * 2007-11-13 2009-05-18 방종훈 다기능성 밴드
KR20090063760A (ko) 2007-12-14 2009-06-18 황태명 기능성 마스크
KR20090122409A (ko) * 2008-05-25 2009-11-30 김종일 다용도 모자
KR20100007950U (ko) * 2009-02-02 2010-08-11 이순락 마스크
KR20130039840A (ko) 2011-10-13 2013-04-23 신재웅 수직장력 차단 및 고정각 조절이 용이한 스포츠 마스크
KR20130049146A (ko) * 2011-11-03 2013-05-13 고효숙 아웃도어용 의류
KR101297466B1 (ko) * 2012-10-30 2013-08-16 손외남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KR20140059969A (ko) 2012-11-09 2014-05-19 신재웅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200481932Y1 (ko) * 2015-10-27 2016-11-28 김민철 여성용 스포츠 방한 모자
KR20170098047A (ko) * 2016-02-19 2017-08-29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헤어웨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860A (ko) * 2020-08-19 2022-02-28 (주) 레온 스포츠 마스크
KR102584190B1 (ko) * 2020-08-19 2023-10-05 (주) 레온 스포츠 마스크
KR102315084B1 (ko) 2021-05-04 2021-10-20 김경주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650B2 (en) Head hair wrap cap for covering or protecting the head and / or hair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US9907381B2 (en) Head hair wrap cap for covering or protecting the head and/or hair
US20230172300A1 (en) Noise reducing water resistant headpiece
US6665876B1 (en) Combination protective sleeve and head wear
KR100614184B1 (ko) 다기능 헤어웨어
US20090255030A1 (en) Hair space gear for long haired men and women
US9179721B2 (en) Press and go wig and lace wig snap cap and kit
US20060191057A1 (en) Hat/beret with opening for wearer's hair or synthetic hair
JPH07173706A (ja) 保護用帽子
KR200490048Y1 (ko)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KR101114539B1 (ko) 이중 헤어웨어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KR200459879Y1 (ko) 안전 스카프
KR200399093Y1 (ko)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KR101369541B1 (ko) 아웃도어용 의류
CN201767092U (zh) 一种新型防晒服
KR200473814Y1 (ko) 가발 탈착 모자
JP3178131U (ja) 日焼け防止フェイスマスク
KR101361158B1 (ko) 손가락의 욕창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치매환자용 보호복
AU2016311352B2 (en) Noise reducing water resistant headpiece
US20220053861A1 (en) Flexible hair piece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CN201192416Y (zh) 一种眼罩
KR200424300Y1 (ko) 햇빛 차단용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