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093Y1 -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 Google Patents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093Y1
KR200399093Y1 KR20-2005-0021718U KR20050021718U KR200399093Y1 KR 200399093 Y1 KR200399093 Y1 KR 200399093Y1 KR 20050021718 U KR20050021718 U KR 20050021718U KR 200399093 Y1 KR200399093 Y1 KR 200399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wl
wearing
head
cap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쥬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쥬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쥬비랜드
Priority to KR20-2005-0021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5/00Fur garments; Garments of fur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겨울철 머리에 착용하기 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자와 목도리를 일체로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되, 상기 모자의 외피와 목도리를 모(毛) 섬유로 형성하여 머리를 따듯하게 보온하면서 상기 목도리를 꼬리와 같이 늘어뜨려 외부로 표출되는 미감과 패션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시에는 상기 목도리로 착용자의 목을 간편하게 커버하여 보온할 수 있도록 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머리를 커버하면서 착용하도록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전방 하단에 봉제되어 햇빛으로부터 얼굴의 눈과 피부를 보온하기 위한 차양 및 상기 착용부의 내측면에 착용하는 머리의 크기에 따라 신축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긴밀하게 착용하도록 하는 탄성밴드로 이루어진 모자에 있어서, 부드러운 직물로 형성된 내피와 외측 표면에 모(毛) 섬유가 형성된 외피를 일체로 봉제하여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측 후면에는 상기 착용부와 동일한 모(毛) 섬유 형성되면서 상기 착용부의 외측 후면에 봉제되어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와 동일한 질감의 모(毛) 섬유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리부에 걸은 상태로 목을 둘러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목도리; 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CAP HAVING FUR MUFFLER}
본 고안은 겨울철 머리에 착용하기 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자와 목도리를 일체로 결합하여 착용하도록 하되, 상기 모자의 외피와 목도리를 모(毛) 섬유로 형성하여 머리를 따듯하게 보온하면서 상기 목도리를 꼬리와 같이 늘어뜨려 외부로 표출되는 미감과 패션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시에는 상기 목도리로 착용자의 목을 간편하게 커버하여 보온할 수 있도록 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머리에 착용하는 방한용 모자는 찬바람으로부터 머리를 보온할 수 있도록 내부에 보온용 솜이 충진되거나 내·외피가 모(毛)로 일체 형성된 상태로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한용 모자에 의하면 착용하고 있는 머리만을 보온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방한용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목을 감싸 보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목도리를 착용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별도의 목도리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비용발생이나 패션의 부조화 등 불편함 뿐만 아니라, 상기 목도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휴대함에 따른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부에 보온용 솜이 충진되거나 내·외피가 모(毛)로 일체 형성된 모자에 의하면 상기 모자의 후면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재를 형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모(毛)가 형성된 모자의 후면에 길이조절부재를 형성할 경우 외피 또는 내피에 형성된 모(毛)가 간섭됨으로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미려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착용자가 상기와 같이 모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착용하지 못할 경우 모자가 커서 흘러내리거나 작아서 머리를 압박하는 등 착용감이 불편한 문제가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모자와 목도리를 일체로 결합하면서 상기 모자의 외피와 목도리를 모(毛) 섬유로 형성하여 머리를 따듯하게 보온하면서 상기 목도리를 꼬리와 같이 늘어뜨려 외부로 표출되는 미감과 패션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시에는 상기 목도리로 착용자의 목을 간편하게 커버하여 보온할 수 있도록 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모(毛)가 형성된 모자를 신축적으로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목도리의 양단을 간편하게 체결하여 목에 착용하도록 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머리를 커버하면서 착용하도록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전방 하단에 봉제되어 햇빛으로부터 얼굴의 눈과 피부를 보온하기 위한 차양 및 상기 착용부의 내측면에 착용하는 머리의 크기에 따라 신축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긴밀하게 착용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로 이루어진 모자에 있어서,
머리를 커버하면서 착용하도록 형성하되, 머리와 직접 밀착되도록 부드러운 직물로 형성된 내피와 머리를 보온하면서 미감이 향상되도록 외측 표면에 모(毛) 섬유가 형성된 외피를 일체로 봉제하여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측 후면에는 상기 착용부와 동일한 모(毛) 섬유 형성되면서 그 상·하단이 상기 착용부의 외측 후면에 봉제되어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와 동일한 질감의 모(毛) 섬유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리부에 걸은 상태로 목을 둘러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목도리; 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목도리는 착용자의 목을 두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양측 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자석, 클립,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테이프 중 어느 일군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가 형성되거나, 착용자의 목을 두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일측 적소에 결합슬릿이 절개 형성되어 타측 단부를 관통하여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는 양측 단부가 착용부의 내면 양측에 각각 봉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밴드의 봉제되지 않은 중간 부분의 수축된 길이가 양측 봉제부 사이의 착용부 내주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머리에 착용시 상기 탄성밴드가 늘어나면서 탄력적으로 착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밴드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부가 폐쇄된 커버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도시한 착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모(毛)가 형성된 착용부(100)와 상기 착용부의 전방에 형성된 차양(200)과 상기 착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탄성밴드(300)와 상기 착용부의 외측 후면에 형성되는 고리부(400) 및 상기 고리부에 탈착하면서 목을 보온하기 위한 목도리(50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착용부(100)는 머리와 직접 밀착되도록 부드러운 직물로 형성된 내피(120)와 머리를 보온하면서 미감이 향상되도록 표면에 모(毛)가 형성된 외피(120)를 일체로 봉제함으로서, 머리를 커버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내피(120)는 머리에 착용할 경우 정전기가 발생되거나 머리에 모(毛)가 빠지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직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외피(140)는 모(毛) 섬유가 직조되거나 심어짐으로서 미려감이 향상되거나 상기 모(毛)에 의해 외부의 찬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착용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5와 같이 상부가 폐쇄된 커버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차양(200)은 착용부(100)의 전방 하단에 봉제되는 것으로서, 햇빛으로부터 얼굴의 눈과 피부를 보온할 수 있도록 일정한 넓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착용부(100)의 내피(120)와 외피(140)를 봉제함과 동시에 상기 봉제되는 내피(120)와 외피(140) 사이에 차양(200)의 봉제 선단을 삽입하여 일체로 봉제함으로서, 상기 차양(200)이 착용부(100)의 전방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밴드(300)는 상기 착용부(100)의 내측면에 봉제됨으로서 착용하는 머리의 크기에 따라 신축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머리에 긴밀하게 착용하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밴드(300)는 착용부(100)의 내측면 후방 중심에 형성하되, 상기 탄성밴드(300)의 양측 단부는 착용부(100)의 내부 양측면에 봉제하여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봉제되지 않은 탄성밴드(300)의 탄성에 의해 신축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탄성밴드(300)는 양측 단부가 착용부(100)의 내면 양측에 각각 봉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밴드(300)의 봉제되지 않은 중간부분의 수축된 길이가 양측 봉제부 사이의 착용부(100) 내주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머리에 착용시 상기 탄성밴드(300)가 늘어나면서 탄력적으로 착용된다.
따라서 상기 모자를 착용시 착용부(100) 자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착용부(100) 내부에 형성된 탄성밴드(300)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착용자의 머리에 긴밀한 착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부(400)는 후술되는 목도리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부(100)의 외측 후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리부(400)는 착용부(100)와 동일한 질감의 모(毛) 섬유로 형성되는 바, 그 상·하단이 상기 착용부(100)의 외측 후면에 봉제되어 수직 고리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목도리(500)는 상기 고리부(400)와 동일한 질감의 모(毛)가 형성되면서 상기 고리부(400)에 걸은 상태로 목을 둘러 보온할 수 있도록 통상의 목도리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목도리(5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고리부(400)에 끼운 상태로 꼬리와 같이 늘어뜨려 휴대하면서 독특한 패션을 창출하거나 상기 고리부(400)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도리(500)의 양측 단부에는 상호 간편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5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520)는 목도리(500)를 사용자의 목에 두른 상태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측 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서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5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응되는 한 쌍의 자석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호 체결할 수 있는 스냅단추, 체결 고리 또는 벨크로테이프 중 어느 일군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목도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목을 두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일측 적소에 결합슬릿(540)이 절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목도리의 타측 단부가 상기 결합슬릿(540)을 관통하여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에 의하면 상기 착용부(100)의 외피(140)에 모(毛)가 형성됨으로서 외부의 찬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다양한 모(毛)의 형상과 색상에 의해 외부로 표출되는 미감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상기 착용부(100)의 내피(120)는 통상의 직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하며 착용할 경우에는 상기 탄성밴드(300)에 의해 매우 편리하고 안정된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차양(200)에 의해 야외에서 착용시 햇빛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력과 피부를 보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목도리(500)를 이용하여 목을 보온함과 동시에 착용부(100)와 목도리(500)의 일체화된 미적 감각에 의해 뛰어난 패션이 창출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온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에 의하면 상기 모자의 외피와 목도리가 모(毛) 섬유로 형성됨으로서 머리를 따듯하게 보온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이고, 상기 목도리를 꼬리와 같이 늘어뜨릴 경우에는 외부로 표출되는 미감과 독특한 패션이 크게 향상됨과 아울러, 필요시에는 상기 목도리로 착용자의 목을 두를 경우에는 착용자의 목을 따듯하게 보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의 작용을 통해 모(毛)가 형성된 모자를 신축적으로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목도리의 양단을 간편하게 체결하여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도시한 착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착용부 120: 내피
140: 외피 200: 차양
300: 탄성밴드 400: 고리부
500: 목도리 520: 체결부재
540: 결합슬릿

Claims (6)

  1. 머리를 커버하면서 착용하도록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전방 하단에 봉제되어 햇빛으로부터 얼굴의 눈과 피부를 보온하기 위한 차양 및 상기 착용부의 내측면에 착용하는 머리의 크기에 따라 신축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긴밀하게 착용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로 이루어진 모자에 있어서,
    머리를 커버하면서 착용하도록 형성하되, 머리와 직접 밀착되도록 부드러운 직물로 형성된 내피와, 머리를 보온하면서 미감이 향상되도록 외측 표면에 모(毛) 섬유가 형성된 외피를 일체로 봉제하여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측 후면에는 상기 착용부와 동일한 모(毛) 섬유 형성되면서 그 상·하단이 상기 착용부의 외측 후면에 봉제되어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와 동일한 질감의 모(毛) 섬유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리부에 걸은 상태로 목을 둘러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목도리; 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는 착용자의 목을 두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양측 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자석, 클립,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테이프 중 어느 일군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도리는 착용자의 목을 두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일측 적소에 결합슬릿이 절개 형성되어 타측 단부를 관통하여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양측 단부가 착용부의 내면 양측에 각각 봉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밴드의 봉제되지 않은 중간 부분의 수축된 길이가 양측 봉제부 사이의 착용부 내주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머리에 착용시 상기 탄성밴드가 늘어나면서 탄력적으로 착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밴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부가 폐쇄된 커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KR20-2005-0021718U 2005-07-26 2005-07-26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KR200399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18U KR200399093Y1 (ko) 2005-07-26 2005-07-26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18U KR200399093Y1 (ko) 2005-07-26 2005-07-26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791A Division KR20050081197A (ko) 2005-07-26 2005-07-26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093Y1 true KR200399093Y1 (ko) 2005-10-19

Family

ID=4370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718U KR200399093Y1 (ko) 2005-07-26 2005-07-26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09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63Y1 (ko) 2008-02-18 2010-08-17 임창선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KR200484947Y1 (ko) * 2016-11-18 2017-11-09 하선경 착용지름을 조절할 수 있는 모피목도리
KR200485955Y1 (ko) * 2016-11-18 2018-03-15 하선경 모피 목도리
KR20190062964A (ko) * 2017-11-29 2019-06-07 김미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63Y1 (ko) 2008-02-18 2010-08-17 임창선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KR200484947Y1 (ko) * 2016-11-18 2017-11-09 하선경 착용지름을 조절할 수 있는 모피목도리
KR200485955Y1 (ko) * 2016-11-18 2018-03-15 하선경 모피 목도리
KR20190062964A (ko) * 2017-11-29 2019-06-07 김미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숄
KR101989143B1 (ko) 2017-11-29 2019-06-13 김미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012B2 (en) Hat and face mask with ear warmer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US5832538A (en) Protective headwear
US8769723B1 (en) Hat with ear warmer
US5048128A (en) Protective headwear
US8910316B2 (en) Head cover
US7360258B2 (en) Headgear with integrated hair shielding mechanism
US20220330643A1 (en) Topless Bucket Hat
US20150047098A1 (en) Knitted Rain Cap
KR200399093Y1 (ko)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JP3990434B1 (ja) 帽子用装着具
US20220256958A1 (en) Bonnet and Scarf Combination Device
KR20050081197A (ko)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KR200418766Y1 (ko) 다용도모자
KR200473814Y1 (ko) 가발 탈착 모자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200418518Y1 (ko) 차양모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110011800U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차양모자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KR20100104128A (ko) 다기능 모자
KR101052741B1 (ko)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KR100680756B1 (ko) 차양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