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935B1 -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 Google Patents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935B1
KR101666935B1 KR1020100067512A KR20100067512A KR101666935B1 KR 101666935 B1 KR101666935 B1 KR 101666935B1 KR 1020100067512 A KR1020100067512 A KR 1020100067512A KR 20100067512 A KR20100067512 A KR 20100067512A KR 101666935 B1 KR101666935 B1 KR 101666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user
hat
pair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835A (ko
Inventor
변형자
Original Assignee
변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형자 filed Critical 변형자
Priority to KR102010006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9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7Removable protection for the nape, e.g. sun or rai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8Protection for the ears, e.g. removable ear muff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6Caps with flaps; Motor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7/00Fastening means for head coverings; Elastic cords; Ladies' hat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밴드와 모자챙을 포함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의 테두리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환경으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귀와 귀로부터 연장되는 신체의 노출부위를 감싸는 한 쌍의 차양막; 및 상기 차양막의 수납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차양막과 대응하는 상기 모자챙의 양측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한 쌍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은, 사용자의 전방 양측으로 마주하는 각 단부에 고정부재이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양단부가 소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자는 모자챙의 양단에 외부로 노출되는 신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차양막이 일체로 형성되어, 차양막의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차양막을 통해 노출된 신체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차양막을 통해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노출된 신체부위와, 동절기 외부로 노출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방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자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차양막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모자챙 내측에 수납부가 마련되어 수납된 차양막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외형에 대한 거부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자는 사용자의 전면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차양막을 소정 합하여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한 후, 이를 안면 가리개 혹은 마스크 대용으로의 사용은 물론, 한 쌍의 차양막을 이용하여 모자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개방된 상부로 노출된 사용자의 두피가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자는 내측 일 영역과 탈착되도록 결합된 마스크에 의해 호흡기를 통한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마스크는 모자와 일체로 디자인되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미감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Equipped with an open upper sun shade ha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개방형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는 외부환경에 노출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 중, 귀와, 귀로부터 연장되는 목 또는 그 이하로 연장된 어깨부위를 소정 감싸줌으로써, 특히 여름철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동절기 방한용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차양막이 불필요할 경우, 모자 내측에 한 쌍의 차양막을 각각 수납할 수 있는 한 쌍의 수납부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모자는 개방된 상부로 노출된 사용자의 두피 및 모발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차양막을 모자의 내측에서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려 상부로 노출된 사용자의 두피를 감싸고,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부재으로 고정하여 개방된 모자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레저, 스포츠 및 야외활동 시, 주로 착용하여 특히, 여름철 강한 자외선으로 인한 사용자의 안면과 두피 등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 및 안면으로의 자외선을 차단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자는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해 줄 수는 있으나, 특히 노출이 심한 여름철일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귀와, 귀 이하의 목과 어깨 부분이 자외선에 노출되어 심하게는 화상까지도 입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자는 사용자의 안면은 물론, 측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대해서도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수단이 부가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황사와 같은 먼지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필요가 있어, 사용자들은 별도의 마스크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별도 구입 비용이 들거나, 모자와 구입한 마스크가 디자인이 서로 상이하여 일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마스크가 결합된 모자나, 모자의 일 부분이 마스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자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한편, 모자 중, 상부가 개방되어 머리 눌림이 방지되고, 착용이 용이한 모자를 많이 착용하는 편이나, 이러한 개방형 모자는 개방된 그 부위의 두피 및 모발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특히, 여름철 한낮의 강한 자외선은 모발은 물론 두피의 손상 및 화상까지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부가 개방된 모자를 유지하되, 사용자에 의한 선택적인 폐쇄가 가능한 폐쇄수단이 요구되어 왔다. 나아가 이와 같은 폐쇄수단은 모자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여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디자인의 일체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디자인적인 거부감이 방지될 수 있는 모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의 양단에 외부로 노출되는 신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차양막이 일체로 형성되어, 차양막의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차양막을 통해 노출된 신체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필요에 따라 차양막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차양 내측에 수납부가 마련되어, 수납된 차양막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외형에 대한 거부감을 방지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면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차양막을 수정 합하여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한 후, 이를 끌어올려 개방된 모자의 상부를 폐쇄하거나, 또는 안면 가리개 및 마스크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밴드와 모자챙을 포함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의 테두리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환경으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귀와 귀로부터 연장되는 신체의 노출부위를 감싸는 한 쌍의 차양막; 및 상기 차양막의 수납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차양막과 대응하는 상기 모자챙의 양측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한 쌍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은, 사용자의 전방 양측으로 마주하는 각 단부에 고정부재이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양단부가 소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를 개시한다.
상기 각 차양막은, 상기 모자챙의 양측 단부에서 테두리를 따라 소정 결착하되,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중앙부 이전까지 결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을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각 단부를 소정 결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폐쇄하되, 시야가 확보되도록 소정 개방하여 안면 가리개 혹은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을 상기 모자의 외측 혹은 내측에서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린 후,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양단을 서로 결합하여 상기 개방된 상부를 폐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로 노출된 사용자의 머리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양막은, 사용자의 후방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을 통해 상기 개방된 상부를 폐쇄 후, 상기 모자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임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끈은, 상기 차양막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차양막 마감부재에 매립형으로 구비하되, 일측은 매립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을 상기 모자의 내측에서 상기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려 개방된 상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려지는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차양막의 일면과 상기 모자챙의 일면을 결합시키기 위한 보조 고정부재;을 더 구비하되, 상기 보조 고정부재는, 상기 모자챙의 테두리와 상기 헤어밴드와 근접된 모자챙의 내측 어느 일면에 각각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 및 보조 고정부재는, 자성체 또는 자웅의 똑딱단추, 벨크로, 단추와 단추 구멍 및 지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이 소정 포개진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각 차양막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양막은,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내측면에 보온성, 방수성 및 통기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보조부재는, 기설정된 부착부재를 통하여 상기 차양막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양단이 각각 상기 모자의 내측 일영역과 연결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가 보호되도록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감싸는 마스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는, 상기 모자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이 마주하는 일면에 망사형태의 메시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어밴드는, 착용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사용자의 머리와 맞닿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테두리를 소정 감싸듯 봉제되는 밴드 마감부재의 내측으로 상기 헤어밴드와 일체로 봉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고무, 라텍스, 연질의 폴리염화비닐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양막은, 사용자의 귀와 마주하는 단부 어느 일 영역이 소정 중첩되어 귀를 감싸듯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자챙의 양단에 외부로 노출되는 신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차양막이 일체로 형성되어, 차양막의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차양막을 통해 노출된 신체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양막을 통해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노출된 신체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양막을 이용하여 동절기 외부로 노출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방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필요에 따라 차양막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모자챙 내측에 수납부가 마련되어 수납된 차양막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외형에 대한 거부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면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차양막을 소정 합하여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한 후, 이를 안면 가리개 혹은 마스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차양막을 이용하여 모자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개방된 상부로 노출된 사용자의 두피가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모자의 내측 일 영역과 탈착되도록 결합된 마스크에 의해 호흡기를 통한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가 모자와 일체로 디자인되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미감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이 수납된 수납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제1실시예,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제2실시예,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제3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고정부재의 상세도,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발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개방형 모자(100)는 머리를 감싸듯 고정하는 헤어밴드(110)와, 헤어밴드(11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으로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는 모자챙(120)으로 크게 구성된다.
헤어밴드(110)는 일면 즉, 착용시 사용자의 후두부에 위치하는 일면이 개구되고, 그 개구된 양단을 벌려 머리에 착용하는 "C" 자의 띠 형태이다.
이와 같은 헤어밴드(110)는 사용자로 하여금 착용 시, 개구된 양단을 벌려 착용하고, 이후, 복원력에 의해 머리에 밀착 고정 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탄성의 헤어밴드(110)는 사용자의 머리를 압착하여 감싸듯 고정될 수 있으나, 외부마찰 내지는 바람 등에 의해 헤어밴드(110)가 머리와 맞닿는 면으로부터 미끄러져 벗겨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마찰 내지 바람 등과 같은, 타의에 의해 모자(100)가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머리와 맞닿는 헤어밴드(110)의 내측에 미끄럼 방지부재(111)가 더 구비된다.
미끄럼 방지부재(111)는 탄성체의 압착력에 밀착력을 더하여 머리로부터 헤어밴드(110)가 타의에 의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부재(111)는 사용자 머리의 양측과 맞닿는 한 쌍이 바람직하며, 또는 양측과 이마가 맞닿는 삼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는, 한 쌍의 미끄럼 방지부재(111)를 헤어밴드(110)의 내측 양측에 부착할 경우, 사용자의 측면으로 바람이 불어오거나 또는 타인 및 물체와의 마찰로부터 모자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정면으로 바람이 불어오거나 또는 타인 및 물체와의 마찰에는 지지력이 약함으로 벗겨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삼각구도인 삼면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측면은 물론, 정면에서 불어오는 바람 및 정면에서의 마찰에도 모자(100)가 쉽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미끄럼 방지부재(111)를 삼각구도인 삼면에 부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제작자에 의해 다양한 위치 및 최적의 조건으로 그 위치를 선정하여 세 개 이상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헤어밴드(110)의 내측 전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부재(111)는 밀착력에 효과가 있는 고무, 라텍스, 연질의 폴리염화비닐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소재는 사용자로 하여금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쿠션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헤어밴드(110)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1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어밴드(110)의 테두리에 봉제 되는 밴드 마감부재(113)의 내측으로 봉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자챙(120)은 탄성체로서, 안면으로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눈부심을 방지하고 안면으로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모자챙(120)은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는 투명 또는 불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모자챙(120)의 단부가 사용자의 눈 위로 착용되거나, 아래로 착용 되느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즉, 모자(100)를 착용 시, 모자챙(120)의 단부가 눈 위로 올라가 있을 경우, 불투명소재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으로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모자챙(120)의 단부가 눈 아래로 내려와 사용자의 안면을 가릴 경우에는 투명재질로 하되, 자외선이 차단되는 소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한편, 투명재질의 모자챙(120)일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좋으며 열전도율이 좋아 자외선에 의한 변형이 적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Polycarbonate Film)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자챙(120)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 소재의 필름지 내지는 코팅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자챙(120)의 소재는 투명과 불투명 소재를 영역별로 구획하고 서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일례로써, 모자챙(120)의 외부 양측면부를 불투명으로 하여 측면으로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고, 중앙부(도 14의 "C" 영역)는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투명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모자챙(120)이 투명소재일 경우, 내/외부 양측 혹은 선택적인 일 영역에 천 등을 덧대어 선택적인 자외선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제작 시, 디자인적인 형상은 물론, 기능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천 등을 덧대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모자챙(120)은 사용자의 정면으로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여 시야 확보를 위한 눈부심 방지와,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측면으로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기 위한 한 상의 차양막(130)과, 그 차양막(13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50)가 일체로 더 구비된다.
차양막(130)은 사용자의 양측으로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귀와, 귀로부터 연장되는 신체 노출부위를 감싸기 위한 것으로, 모자챙(120)의 양단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봉제하되,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중앙부 이전까지만 모자챙(120)과 일체로 봉제한다. 즉, 사용자의 전방 시야에 방해되지 않는 영역까지만 봉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양막(120)은 특히, 여름철과 같은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노출된 신체부위 즉, 귀와, 귀로부터 연장되는 목 부위 내지는 더 연장되어 어깨까지 감싸도록 하여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즉, 차양막(120)의 사용에 대한 일례로는, 여름철에 무더위로 인한 노출이 일상화되고, 이러한 옷차림은 더위는 식힐 수 있으나, 자외선에 노출되어 자칫하면 피부가 손상되거나, 심할 경우, 화상까지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여름철 자외선에 가장 심하게 노출되는 부위는 팔과, 어깨 부위의 노출이 가장 심각하다. 이는 민소매와 같이 소매가 없는 옷들에 의해 내리쬐는 자외선에 가장 먼저 노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양막(130)이 모자챙(120)의 양측에서 귀와, 귀로부터 연장되는 목 부위 또는 어깨까지 일체로 연장되어 민소매와 같이 노출된 의상에도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차양막(130)은 상술한 기능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는 도 8 내지 도 15와 같이 사용자가 모자(100)를 착용 시, 전방 양측으로 마주하는 각 차양막(130) 단부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부재(131)를 통해 차양막(130)을 소정 결합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차양막(130)은 여름철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차양막의 소재를 다양하게 마련되어 각 상황에 따라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 차양막(130)을 방수소재로 제작하여 우천 시, 도 8 내지 도 13과 같이 개방된 모자(100)의 상부를 폐쇄하여 모발이 비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우천시에 사용할 경우, 모발이 젖는 것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갑작스런 소나기와 같이 예고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레저 및 스포츠와 같은 야외활동이 잦은 하절기에 신속한 수분흡수와 배출이 용이한 통기성 소재 또는 타월로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개방형 모자(100)의 사용이 하절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양막(130)의 재질을 방한용으로 대체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한용 보조부재(133)를 더 부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보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130)의 내측 즉, 사용자의 신체부위와 맞닿는 일면에 보조부재(133)가 부착된다.
이러한 보조부재(133)는 보온성, 방수성 및 통기성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계절 또는 상황에 따라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차양막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또한, 보조부재(133)가 탈착 가능하도록 서로 맞닿는 일면에 각각 부착부재(143)가 구비되어 부착부재(143)를 통해 탈부착되는 것이다.
한편, 부착부재(143)는 탈착이 용이한 자웅의 결합구조 혹은 자성을 이용한 자성체 혹은 자성체와 금속체로 이루어진다.
자웅의 결합구조일 경우, 똑딱단추, 단추와 단추 구멍 및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부재(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130)의 내측면 전체에 부착시키거나, 혹은 일 영역에 부착되어, 특히 동절기 동상의 우려가 있는 귀를 감싸줌으로써, 동상을 예방할 수도 있다.
한편, 차양막(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130)의 일면을 소정 중첩하여 귀를 감싸듯 수용하는 수용부(139)가 더 구비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사시도이다.
수용부(139)는 도시한 바와 같이 차양막(130)의 단부를 소정 중첩한 중첩부(137)에 의해 차양막(130)의 단부가 오그라들며, 그로 인해, 중첩부(137)의 안쪽은 오목하게 휘어져 들어간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부(139)가 없는 경우에는 모자(100)의 최초 착용시나, 모자(100)를 착용하고 움직이는 경우 귀가 바깥으로 나올 가능성이 커져서 자외선으로부터의 귀의 보호나, 겨울철에 귀를 한기로부터 보호하는데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때, 차양막(130)의 중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차양막 마감부재(135)로 적어도 중첩부(137)를 봉제하여 이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귀가 오목하게 휘어져 들어간 수용수(139)에 감싸짐으로써, 특히, 차양막(130)을 방한용으로 사용할 경우, 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우천시 빗물이 귀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차양막(13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50)는 차양막(130)의 사용이 불필요할 시, 이를 수납 보관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자외선이 차단되는 실내공간 내지는 야간 등일 경우, 도 6과 같이 차양막(130)을 접거나 혹은 말아서 그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납부(150)는 차양막(130)과 대응하는 모자챙(12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차양막(130)을 각각 수용하고, 수용된 차양막(1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모자챙(120)의 내측 일 영역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납부(150)는 일면을 개방하고, 타면의 테두리를 밀폐함으로써,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영역을 확보하여 차양막(130)이 수납되도록 한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개구(151)가 형성되고, 나머지 타면은 모자챙(120)의 테두리와 일체로 봉제 된 밀폐 구조인 것이다.
그리고 개구(151)를 통해 차양막(130)의 잦은 수납이 이루어질 경우, 개구(151)가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수납부 마감부재(153)를 덧대어 봉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부 마감부재(153)는 개구(151)의 양면을 소정 감싸듯 봉제한 것으로, 수납부(150)와 동일 재질을 이용하여 봉제할 수 있으며, 또는, 잦은 수납에 의해 훼손이 방지되도록 가죽과 같은 질긴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수납부 마감부재(153)의 일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하게는 고무, 실리콘 및 라텍스 등과 같은 신축성과 잦은 사용에도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재질에 의해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납부(150)의 형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이는 도 19a에 도시된 "둔각" 도 19b에 도시된 "예각" 및 도 19c에 도시된 수직 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납부(150)의 형태는 모자챙(120)의 형태에 따라 수납영역의 확보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하게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자챙(120)의 테두리 내측 일 영역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모자챙(120)에 봉제된 수납부(150)와 차양막(13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챙(120)의 테두리에 봉제 되어 마감하는 챙 마감부재(121)에 의해 봉제 된다.
즉,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상세도를 보면, 샌드위치 구조로서, 모자챙(120)과 수납부(150) 및 차양막(130)의 단부 일 영역이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챙 마감부재(121)에 의해 봉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각각에 대한 마감이 아닌 챙 마감부재(121)를 통해 마감함으로써, 외관상 깔끔한 이미지는 물론,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차양막(130)의 후방 즉, 사용자가 모자(100)를 착용 시, 후방 양측으로 마주하는 각 차양막(130) 단부에 조임끈(141)이 더 구비된다.
조임끈(141)은 모자(100)를 착용 시, 모자(100)가 바람 혹은 외부 마찰에 의해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임끈(14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 마감부재(135)에 매립된 형태로써, 일단은 차양막 마감부재(135)의 내부에 봉제 내지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다.
즉, 노출된 조임끈(141)의 타단을 지지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120)을 "A"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그러면 차양막(120)의 후방측의 길이는 줄어든 반면, 노출되는 조임끈의 길이는 신장된 상태가 된다.
신장된 조임끈(141)의 타단을 서로 매듭지어 고정하여 모자(100)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조임끈(141)의 매듭은 신체 일면을 감싼 후, 매듭짓거나, 혹은 모자(100)의 어느 일면을 감싼 후, 매듭지어질 수 있다. 이는 차양막(120)의 다양한 사용 일례를 설명하는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제1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모자(100)의 상부가 차양막(12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차양막(120)을 모자(100)의 외측에서 상부로 끌어올린 후, 각 차양막(120)의 전방으로 마주하는 양측 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131)를 통하여 소정 결합함으로써, 도 8의 사시도와 도 9의 측면도와 같이 개방된 모자(100)의 상부가 폐쇄되는 것이다.
또한, 모자(100)의 상부를 폐쇄한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끈(141)을 이용하여 차양막(120)의 후방이 사용자의 후두부에 밀착시킨 후, 서로 매듭지어 차양막(120)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양막(120)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바람 및 외부 마찰이 발생할 경우에도 모자(100)가 사용자 머리에서의 벗겨짐을 방지하거나, 혹은 바람의 세기 및 외부 마찰에 의해 벗겨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차양막(120)을 모자(100)의 내측을 통해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려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제2실시예이다.
도 11은 차양막(120)이 모자(100)의 내측을 통해 상부로 끌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때, 차양막(120)이 펼쳐진 상태로의 유지와, 차양막(120)의 전방측 각 단부가 중심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차양막(120)의 위치를 고정하는 보조 고정부재(190)가 구비된다.
보조 고정부재(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120)의 전방측 단부 일면과, 모자챙(120)의 내측에 각각 마련되며, 이때, 모자챙(120)에 구비된 보조 고정부재(190)는 개방된 모자(100)의 상부와 근접된 위치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자(100)의 내측을 통해 개방된 상부와 근접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차양막(120)의 전방측 양단이 서로 최대한 근접된, 내지는 소정 중접된 상태로 끌어올리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보조 고정부재(190)는 모자(100)의 개방된 상부와 최대한 근접한 모자챙(120)의 일면 혹은 헤어밴드(1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헤어밴드(110)에 형성될 경우, 차양막(120)을 끌어올려 근접 내지는 소정 중첩된 상태로의 끌어올림에는 용이하나, 사용자의 이마와 맞닿아 간섭(예를 들어 돌출구조일 경우, 사용자의 이마를 가압하여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이 발생하는 부분임으로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헤어밴드(110)와 최대한 근접된 모자챙(120)의 중심부에 형성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차양막(120)이 보조 고정부재(190)에 고정된 이후, 모자(100)의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려 고정부재(131)를 통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차양막(120)의 양단을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차양막(120)에 의해 개방된 상부가 폐쇄된 이후에는 조임끈(141)으로 차양막(120)이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매듭지어 모자(100)가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일례로 여름철 야회활동 시, 강한 자외선이 발생 시, 차양막(120)을 모자(100)의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려,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모발은 물론, 두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갑작스런 우천시, 즉, 예측되지 않은 소나기가 내릴 경우, 산성비에 의해 모발 및 두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는 임시방편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부 개방형 모자(100)의 단점을 임시로 보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차양막(120)은 사용자의 호흡기를 감싸도록 하여 마스크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막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차양막의 제3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주하는 한 쌍의 차양막(120)을 소정 합하여 고정부재(131)로 고정한 후,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되, 코와 입 부위를 감싸고, 시야 확보를 위한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일면은 개방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안면 가리개 또는 마스크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차양막(120)의 전방측 양단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131)는 자웅을 이용한 똑딱단추, 단추와 단추 구멍, 지퍼 및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자성을 이용한 자성체가 사용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고정부재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1)는 자웅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똑딱단추, 단추와 단추 구멍, 지퍼 및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자성을 이용한 자성체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31)는 그 위치 및 종류에 따라 차양막(130)의 결합방식이 소정의 차이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a는 차양막(130)의 각 단부에 부착된 고정부재(141)가 동일면 즉, 차양막(130)의 내측 단부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차양막(130)의 내측면이 맞닿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b는 한 쌍의 차양막(130) 중 어느 하나의 차양막(130)에는 내측에 부착되고, 타 차양막에는 외측에 고정부재(141)를 부착하여 소정 포개진 상태로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차양막(130)이 상/하로 서로 포개어 결합하면, 각 고정부재(141)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노출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6b 도시된 결합상태는 각 고정부재(131) 사이로 사용자의 신체 노출을 차단하고, 나아가 우천시에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16c의 고정부재(131)는 지퍼를 이용하여 차양막(130)의 각 단부를 결합한 것으로, 이는 개방된 모자(100)의 상부를 폐쇄 및 개방할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때, 빗물 등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는 방수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모자(100)는 도 17과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00)와 일체화된 마스크(160)가 더 구비되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60)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통한 먼지 등의 흡입이나 재채기에 의한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마스크(160)는 먼지 및 비산 등에 의한 오염이 발생 시, 세탁이 용이하도록 모자(100)로부터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160)는 사용자의 코와 입이 맞닿는 일면에 메시망(163)이 구비되며, 모자챙(120)의 내측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되, 바람직하게는 모자챙(120)의 내측에 구비된 수납부(150)의 일면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메시망(163)은 사용자의 호흡이 양호하도록 통기성이 고려된 망사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메시망(163)은 사용자로 하여금 위생에 따른 교체 및 세탁 등이 가능하도록 마스크(160)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부재(131)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스크(160)는 수납부(150)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탈착부재(170)를 통해 결합 결합된다.
이와 같은 탈착부재(170)는 자성체 또는 자웅의 똑딱단추, 벨크로 및 단추와 단추 구멍 중 어느 하나이며, 그 중, 자성체를 통해 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고, 자웅의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자성체의 탈착부재(170)는 수납부(150)의 수납부 마감부재(153)에 마련된 제1부재(171)와, 마스크(160) 단부에 마련되어 제1부재(171)와 결합되는 제2부재(173)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재(171)와 제2부재(173)는 극성이 서로 다른 자성체이거나, 또는 자성체와 금속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부재(171)는 수납부 마감부재(153)의 내측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마스크(1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부재(171)가 자중에 의해 수납부 마감부재(153)의 내측에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 얼굴의 형태나 모양, 크기 등 얼굴 체형에 따라 코나 입 등의 호흡기의 위치에 맞추어 고정되어야만 마스크(160)로서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마스크(160)를 호흡기에 잘 위치시킬 수 있도록 마스크(16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마스크(160)의 위치의 조절은 모자(100)에 연결시키는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된 위치로부터 마스크(160)가 이탈할 경우, 호흡기를 통한 외부 먼지가 흡입 코와 입을 통해 유입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 체형에 맞춰 고정된 마스크(16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제1부재(171)는 원하는 위치로부터 이탈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제1부재(17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1부재(171)를 감싸듯 수용한 수납부 마감부재(153)와, 제1부재(171)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마스크(160)의 하중에 의한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1부재(171)가 자성체인 경우, 제1부재(171)가 하중에 의한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납부 마감부재(153)가 제1부재(171)를 강하게/빡빡하게 감싸도록 하여 강한 마찰력 또는 운동저항을 가하여 상기 제1부재(171)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또한, 제2부재(173)는 제1부재(171)와 다른 극성의 자성체 혹은 금속체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60)의 테두리를 봉제하는 마스크 마감부재(161)의 단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도 1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71)를 이동시켜 마스크(160)의 높낮이를 사용자에게 맞춰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부재(171)가 자석인 경우, 단추 등과는 달리 위치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탈착부재(17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75)를 더 포함하며, 이는 도 18a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재(170)는 마스크(160)의 길이를 조절하되, 고정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1부재(171)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재(175)가 더 마련된다.
걸림부재(175)는 제1부재(171)의 이동방향에 따라 요철(177)이 일정간격은 두고 연속으로 형성되어 제1부재(171)가 이동 시, 요철(177) 사이에 걸리도록 하여 제1부재(17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걸림부재(175)는 개구(151)를 감싸는 수납부 마감부재(153) 사이에 더 구비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71)의 밑면에 구비된다.
또한, 제1부재(171)가 요철(177) 사이에 고정되도록 하여 자중에 의해 이동을 방지하되, 사용자에 의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요철(177)의 각 사이는 곡선으로 이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걸림부재(175)는 차양막(130)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탈착부재(170)가 자웅의 똑딱단추, 벨크로 및 단추와 단추 구멍 중 어느 하나일 경우,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171)가 외부로 노출된 수납부 마감부재(153)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제1부재(171)는 수납부 마감부재(153)의 어느 일 영역에 하나, 혹은 수납부 마감부재(153)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부재(171)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도 18b과 같이 복수의 제1부재(17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2부재(173)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이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19를 통해 설명한 모자(1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밴드(110)와 모자챙(120)이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발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밴드(110)와 모자챙(120)이 분리형으로서, 모자챙(120)의 양단과 이에 대응하는 헤어밴드(110)의 양단이 서로 힌지(180)를 통해 결합된다.
이는 모자챙(120)이 힌지(180)를 축으로 상/하 회동되도록 하여, 내리쬐는 햇볕의 각도에 따라 대응하여 이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분리형의 모자(100)는 모자챙(120)을 통해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투명재질을 적용해야하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이 차단되는 투명재질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용품으로 이용 가능성이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 스포츠 및 야외활동 시, 착용하는 모자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00 : 모자 110 : 헤어밴드
111 : 미끄럼 방지부재 113 : 밴드 마감부재
120 : 모자챙 121 : 챙 마감부재
130 : 차양막 131 : 고정부재
133 : 보조부재 135 : 차양막 마감부재
137 : 중첩부 139 : 수용부
141 : 조임끈 143 : 부착부재
150 : 수납부 151 : 개구
153 : 수납부 마감부재 160 : 마스크
161 : 마스크 마감부재 163 : 메시망
170 : 탈착부재 171 : 제1부재
173 : 제2부재 175 : 메시망
175 : 걸림부재 177 : 요철
180 : 힌지 190 : 보조 고정부재

Claims (16)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밴드와 모자챙을 포함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의 테두리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외부환경으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귀와 귀로부터 연장되는 신체의 노출부위를 감싸는 한 쌍의 차양막; 및
    상기 차양막의 수납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기 차양막과 대응하는 상기 모자챙의 양측 내부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한 쌍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은, 사용자의 전방 양측으로 마주하는 각 단부에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양단부가 소정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을 상기 모자의 외측 또는 내측에서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린 후,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양단을 서로 결합하여 상기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을 상기 모자의 내측에서 상기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려 개방된 상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개방된 상부로 끌어올려지는 차양막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차양막의 일면과 상기 모자챙의 일면을 결합시키기 위한 보조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보조 고정부재는, 상기 모자챙의 테두리와 상기 헤어밴드와 근접된 모자챙의 내측 어느 일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차양막은,
    상기 모자챙의 양측 단부에서 테두리를 따라 소정 결착하되,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중앙부 이전까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을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각 단부를 소정 결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폐쇄하되, 시야가 확보되도록 소정 개방하여 안면 가리개 혹은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은, 사용자의 후방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을 통해 상기 개방된 상부를 폐쇄 후, 상기 모자가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임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은,
    상기 차양막의 테두리를 마감하는 차양막 마감부재에 매립형으로 구비하되, 일측은 매립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보조 고정부재은,
    자성체 또는 자웅의 똑딱단추, 벨크로, 단추와 단추 구멍 및 지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차양막이 소정 포개진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각 차양막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은,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내측면에 보온성, 방수성 및 통기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보조부재는, 기설정된 부착부재를 통하여 상기 차양막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11. 제1항에 있어서,
    양단이 각각 상기 모자의 내측 일영역과 연결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가 보호되도록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감싸는 마스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는, 상기 모자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이 마주하는 일면에 망사형태의 메시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는,
    착용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사용자의 머리와 맞닿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테두리를 소정 감싸듯 봉제되는 밴드 마감부재의 내측으로 상기 헤어밴드와 일체로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고무, 라텍스, 연질의 폴리염화비닐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은,
    사용자의 귀와 마주하는 단부 어느 일 영역이 소정 중첩되어 귀를 감싸듯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1020100067512A 2010-07-13 2010-07-13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10166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512A KR101666935B1 (ko) 2010-07-13 2010-07-13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512A KR101666935B1 (ko) 2010-07-13 2010-07-13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35A KR20120006835A (ko) 2012-01-19
KR101666935B1 true KR101666935B1 (ko) 2016-10-17

Family

ID=4561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512A KR101666935B1 (ko) 2010-07-13 2010-07-13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277B1 (ko) 2020-03-04 2021-01-13 김덕환 기능성 차양막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37322A (ja) * 2019-08-15 2022-09-22 宏 吉原 頭部装着機構と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093Y1 (ko) * 1999-12-06 2000-08-16 양흥일 낚시용 모자
KR200213371Y1 (ko) * 2000-02-24 2001-02-15 이희숙 다기능 패션 모자
KR200297353Y1 (ko) * 2002-09-05 2002-12-11 김재욱 모자의 밴드띠 흡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82B1 (ko) * 2008-03-28 2009-06-17 김복규 기능성을 향상시킨 모자용 차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093Y1 (ko) * 1999-12-06 2000-08-16 양흥일 낚시용 모자
KR200213371Y1 (ko) * 2000-02-24 2001-02-15 이희숙 다기능 패션 모자
KR200297353Y1 (ko) * 2002-09-05 2002-12-11 김재욱 모자의 밴드띠 흡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277B1 (ko) 2020-03-04 2021-01-13 김덕환 기능성 차양막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35A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1439B2 (en) Hood apparatus
US5875493A (en) Modular head covering system
US5694647A (en) Weather-shielding accessory for headgear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KR102137590B1 (ko) 모자에 탈부착이 용이한 자외선 차단 투명 안면마스크
US20220330643A1 (en) Topless Bucket Hat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US10798983B2 (en) Hooded clothing arrangement and cap
US20210052426A1 (en) Face covering systems, methods, and devices
KR101621521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JP3093350U (ja) マスク付着型紫外線遮断帽子
JP3136084U (ja) 顔面遮光布
KR200457080Y1 (ko) 모자용 햇빛 가리개
KR100961852B1 (ko) 다기능 차양모자
JP3137866U (ja) 日除けマスク
WO2008065779A1 (fr) Outil de fixation pour chapeau
KR101261478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JP3173305U (ja) 日除け用マスク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CN213962013U (zh) 一种柔性可扩展式头罩
US11832673B2 (en) Protective headgear device
KR20160037853A (ko) 변신커버가 구비된 마스크겸용 햇빛가리개
KR200354865Y1 (ko) 레저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