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081B1 -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 Google Patents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081B1
KR100799081B1 KR1020070013273A KR20070013273A KR100799081B1 KR 100799081 B1 KR100799081 B1 KR 100799081B1 KR 1020070013273 A KR1020070013273 A KR 1020070013273A KR 20070013273 A KR20070013273 A KR 20070013273A KR 100799081 B1 KR100799081 B1 KR 100799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mber
head
head cover
hair ban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승
Original Assignee
(주)청림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림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청림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7001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7Removable protection for the nape, e.g. sun or rai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1Pockets therefor; Head covering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양모자는, 헤어밴드 전면부 상단의 봉제선(21) 및 그 봉제선(21)과 꺾이면서 연장되는 헤어밴드 양쪽 측단의 봉제선(22)에 의해 헤어밴드(2)와 재봉 되며, 헤어밴드의 하부측이 개방되는 개방영역을 가지는 수용부재(3)를 포함한다. 이 수용부재(3)의 내면에는 1개 이상의 탄력밴드(5)가 수용부재(3)의 높이 방향으로 재봉 되며, 수용부재(3)의 하부측 개방 영역에는 머리덮개(4)가 말아져서 수용된다.
본 발명은, 햇볕 등으로부터 안면부를 가리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머리 상부 및 후부(後部), 목 및 어깨 등도 가릴 수 있는 차양모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양모자는, 헤어밴드와 머리덮개가 일체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머리덮개를 헤어밴드에 정리하여 자체 수납시키거나 펼쳐서 덮어쓰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과 휴대가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Figure 112007011890718-pat00001
차양모자, 탄력 밴드, 두피 보호

Description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Sun cap with a holder for a crown p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차양모자의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수용부재(3)와 봉제되는 헤어밴드(2)의 봉제선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탄력밴드(5)가 구비된 수용부재(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머리덮개(5)를 펼쳐내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 5는 머리덮개(5)가 펼쳐진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차양모자의 사시도다.
도 6은 펼쳐진 머리덮개(5)를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으로 넘긴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양모자를 착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차양
2: 헤어밴드
3: 수용부재
4: 머리덮개
5: 수용부 밴드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돋구기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첨언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양모자의 우수성은 햇빛으로부터 얼마나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기 때문에, 얼굴과 두피 보호의 기능을 더욱 강조한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차양모자는 햇볕 등으로부터 안면부를 가리기 위한 차양,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헤어밴드로 구성되며, 이를 "썬캡"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양모자는 전면부에 형성된 차양을 통해 햇빛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할 수는 있으나, 머리 쪽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강렬한 여름 햇빛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할 수는 없고, 또한 머리 뒷부분이나, 목덜미, 햇볕에 노출되는 어깨 등을 보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차용모자 이외에 스카프나 수건 등을 별도로 준비하여 이들을 모자 위에 덮어쓰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스카프나 수건 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뿐 아니라, 실제 그것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안정감있게 차양모자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는 없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햇빛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하는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와 환경에 따라 그 두피를 보호하는 수단을 쓰거나 쓰지 않을 수 있도록 하여, 차양모자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피를 보호하는 수단이 차양모자에 용이하게 수납되며, 또한 그 수단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수납과 사용의 용이성이 보장되지 아니하면 차라리 수건을 둘러쓰는 것이 나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상 미적으로 미려한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외관상의 미려함이 구현될 수 없는 차양모자라면 이 역시 사용자가 좀처럼 구매하고 사용할 것으로 기대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햇빛으로부터 사용자의 두피를 보호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머리 뒷부분, 목덜미, 어깨까지 강한 햇빛으로부터 넓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양(1)과 헤어밴드(2)로 이루어지는 차용모자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 전면부 상단의 봉제선(21) 및 그 봉제선(21)과 꺾이면서 연장되는 헤어밴드 양쪽 측단의 봉제선(22)에 의해 헤어밴드(2)와 재봉 되며, 헤어밴드의 하부측이 개방되는 개방영역을 가지는 수용부재(3)를 포함하며, 이 수용부재(3)의 내면에는 1개 이상의 탄력밴드(5)가 수용부재(3)의 높이 방향으로 재봉 되며,
상기 수용부재(3)의 하부측 개방 영역에 말아져서 수용되는 머리덮개(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덮개(4)는 상기 탄력밴드(5)에 의해 수용 지지 되며, 머리덮개(4)의 사용은 상기 수용부재(3)로부터 하방으로 빼내 머리 뒤쪽으로 넘겨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머리덮개(4)는 머리 뒷부분을 덮어주는 후방 연장부(4c) 및 양쪽 측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4a)(4b)를 가지며, 상기 후방 연장부와 한 쌍의 날개부 사이에는 신축영역(41)이 존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머리덮개(4)를 개방하여 착용한 후 상호 결속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모자의 일례로서 그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햇볕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을 가리기 위한 차양(1)과, 차양과 연결되는 탄력을 갖는 밴드로서, 사용자의 앞머리(이마)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차양모자를 착용가능케 하는 헤어밴드(2)를 구비한다. 그리고 그 헤어밴드(2)의 전면부에는 소정의 수용부재(3)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수용부재(3)와 헤어밴드(2) 사이로 머리덮개(보이지 않음, 단 편의상 도면부호 4로 표시)가 위치한다. 이 머리덮개(4)는 탄력밴드(도면에서는 정확하게 보이지는 아니함)(5)의 힘에 의해 수용부재(3)와 헤어밴드(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머리덮개(4)를 펼쳐내어 머리를 덮어 줄 수 있도록 한다.
차양(1)과 헤어밴드(2)의 구성 및 관계는 공지되어 있다. 특히 헤어밴드(2)의 내부에는 강한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밴드가 위치하고 이를 피복한다. 헤어밴드(2)의 피복부재는 상기 수용부재(3)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차양모자의 헤어밴드부 전체의 단면(안에서 밖으로의 단면)은, 헤어밴드 내부 소재, 헤어밴드 피복부재, 돌돌 말려 수용된 머리덮개, 수용부재의 순서로 되기 때문에, 미려한 디자인을 위하여 헤어밴드의 피복부재, 머리덮개 및 수 용부재의 재질은 동종의 것을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각 구성 부위의 소재나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용부재(3)가 헤어밴드(2)에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 그 일례를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수용부재(3)는 미도시되어 있다. 헤어밴드의 차양쪽 방향을 '전면부'로 정의하고, 차양 반대 방향을 '후면부'로 정의한다면, 수용부재(3)는 헤어밴드(3)의 후면부가 아닌 전면부에 봉제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수용부재(3)의 윗 가장자리는 헤어밴드 전면부의 상단에 맞춰진 후 제 1 봉제선(21)에 의해 봉제되어 수용부재(3)와 헤어밴드(2)의 위쪽 부분이 결합된다. 다음으로 수용부재(3)의 양쪽 단부는 헤어밴드 전면부의 양쪽 측단에 맞춰진 후 제 2 봉제선(22)에 의해 봉제되어 수용부재(3)와 헤어밴드(2)의 좌우 양쪽의 끝 부분이 결합된다. 제 1 봉제선(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그 끝 부분에서 꺾여 제 2 봉제선(22)과 만난다. 수용부재(3)의 아래쪽은 헤어밴드 전면부의 어느 부위와도 봉제되지 아니하며 차양(1)과도 봉제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 위와 같은 수용부재(3)와 헤어밴드(2)의 결합에 의해서 도면의 화살표가 지칭하는 방향은 개방된다. 그 개방된 곳으로 머리덮개(4)를 넣어 수용한다.
위 화살표 방향은 중력의 방향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어떤 고정수단이 존재하지 아니하면 머리덮개(4)는 밑으로 빠지게 마련이다.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수용부재(3) 내면에 위치하여 수용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봉제되는 다수의 탄력밴드(5)에 의해 해결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 3(a) 및 3(b)는 수용부 재(3)에 봉제된 탄력밴드(5)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탄력밴드(5)가 봉제된 위치의 수용부재(3)의 전면부를 나타내며, 도 3(b)는 도 3(a)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뒤집었을 때 나타나는 그 위치의 수용부재(3)의 배면부를 도시한다. 수용부재(3)의 위쪽 가장자리 부분(31)은 헤어밴드 전면부의 상단에 맞춰진 후 제 1 봉제선(21)에 의해 봉제되었고, 반면에 아래쪽 가장자리 부분(32)은 헤어밴드와 결합되지 않았다. 봉제선 51은 내면에 위치한 탄력밴드를 높이 방향으로 봉제한 것이며,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하여 수용부재(3)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당겨지기 때문에 그 힘에 의하여 봉제선 51을 중심으로 다수의 주름이 잡혀있다. 이제, 도 3(b)를 보자. 도 3(a)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뒤집으면 도 3(b)와 같이 수용부재(3)의 내면이 노출된다. 수용부재(3)의 내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예컨대 고무밴드와 같은 탄력밴드(5)가 봉제선 51에 의해 재봉되며, 바로 그 봉제선이 도 3(a)의 봉제선 51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탄력밴드(5)의 탄력에 의하여 수용부재(3)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당겨지기 때문에 그 당기는 힘에 의하여 탄력밴드(5)를 중심으로 다수의 주름이 생기며, 그 힘에 의해서 수용부재(3)가 다소 내부방향의 위쪽으로 당겨지고, 그 당기는 힘 때문에 머리덮개(4)가 수용부재(3) 안쪽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어 수용부재(3)와 헤어밴드(2)의 위쪽 부분이 결합된다. 다음으로 수용부재(3)의 양쪽 단부는 헤어밴드 전면부의 양쪽 측단에 맞춰진 후 제 2 봉제선(22)에 의해 봉제되어 수용부재(3)와 헤어밴드(2)의 좌우 양쪽의 끝 부분이 결합된다. 제 1 봉제선(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그 끝 부분에서 꺾여 제 2 봉제선(22)과 만난다. 수용부재(3)의 아래쪽은 헤어밴드 전면부의 어느 부위와도 봉제되지 아니하며 차양(1)과도 봉제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 위와 같은 수용부재(3)와 헤어밴드(2)의 결합에 의해서 도면의 화살표가 지칭하는 방향은 개방된다. 그 개방된 곳으로 머리덮개(4)를 넣어 수용한다. 한편, 수용부재(3)의 높이는 헤어밴드의 중앙으로 가까워질수록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덮개(4)의 한쪽 끝은 헤어밴드(2)와 차양(1)이 만나서 상호 재봉되는 위치에서 헤어밴드 또는 차양과 재봉된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을 돌돌 말려서 위 개방영역에 수납된다. 머리덮개(4)의 한쪽 끝이 재봉되는 위치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차양(1)과 헤어밴드(2)가 만나는 선을 따라 전체적으로 재봉되는 것은 아닌 것이다(차양과 헤어밴드가 만나는 선의 양쪽 끝에서부터 약간의 여유를 두고 머리덮개를 재봉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면, 이렇게 머리덮개(4)가 수용부재(3) 안쪽으로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햇볕의 강도가 커져서 두피와 목덜미 등을 보호할 필요가 있거나, 햇빛에 매우 약한 피부를 가진 사용자의 경우, 본 발명의 차양모자 내에 수납된 머리덮개(4)를 활용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수용부재(3)를 들춰낸 다음에 'b' 방향으로 수용부재(3) 안쪽에 수납되어 있던 머리덮개(4)를 펼쳐낸다. 도 5는 머리덮개(4)를 수용부재(3) 밖으로 완전히 다 펼쳐낸 상태의 실시례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펼쳐진 머리덮개(4)를 머리 뒷부 분과 목덜미가 있는 방향으로 차양(1)을 가로질러 넘기면 도 6과 같이 된다. 도 6의 경우 머리덮개(4)는 사용자의 머리 윗부분, 머리 뒷부분, 목덜미 등을 햇빛으로부터 커버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덮개(4)의 구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머리덮개(4)는 머리 뒷부분과 목덜미를 덮어주는 후방 연장부(4c), 이 후방 연장부(4c)를 중심으로, 헤어밴드로부터의 거리가 짧아지게 연장되다가 다시 그 거리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양쪽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4a)(4b)를 가지며, 후방 연장부(4c)와 날개부(4a)(4b) 사이에는 각각 신축영역(41)이 존재한다. 이 신축영역(41)은 매우 작은 정육각형의 망사구조의 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단 도면은 편의상 약간 과장되어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 정육각형의 크기는 더 작다) . 이렇게 조직된 실의 탄력에 의해 후방연장부(4c)와 날개부(4a)(4b) 사이에 신축이 형성된다. 이러한 신축영역(41)은 도 7과 같이 머리 덮개(4)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에 한 쌍의 날개부(4a)(4b)를 서로 결속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위와 같은 실시례를 통해, 사용자는 차양모자에 수용되어 있던 머리덮개(4)를 이용하여 머리 윗부분, 머리 뒷부분, 목덜미, 어깨 부위까지 햇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머리덮개(4)를 덮어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으로서, 위의 한 쌍의 날개부(4a)(4b)를 서로 매듭지어 묶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머리덮개(4)를 덮어쓴 상태를 더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 날개부(4a)(4b) 소정의 위치에 각각 암수 벨크로 파스너, 암수 단추 등을 부착한 후, 이들의 결합에 의해 덮어쓴 상태를 힘있게 유지시키는 것도 당연 히 가능하며, 이러한 결속 수단 및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부당히 제한되지도 아니한다.
한편, 머리덮개(4)를 다시 수용부재(3) 안쪽으로 수용하는 방법은 도 4 및 도 5의 실시레를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햇볕 등으로부터 안면부를 가리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머리 상부 및 후부(後部), 목 및 어깨 등도 가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양모자는, 헤어밴드와 머리덮개가 일체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머리덮개를 차양모자 내에 정리하여 자체 수납시키거나 펼쳐서 덮어쓰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과 휴대가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덮개를 차양모자의 특정 부위에 수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와 헤어밴드의 내측에는 헤어밴드 외에는 다른 요소나 부재가 필요 없고,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제조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관상의 미려함은 경제적인 효용성과 가치를 더욱 크게 향 상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Claims (4)

  1. 차양(1)과 헤어밴드(2)로 이루어지는 차양모자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 전면부 상단의 봉제선(21) 및 그 봉제선(21)과 꺾이면서 연장되는 헤어밴드 양쪽 측단의 봉제선(22)에 의해 헤어밴드(2)와 재봉 되며, 헤어밴드의 하부측이 개방되는 개방영역을 가지는 수용부재(3)를 포함하며, 이 수용부재(3)의 내면에는 1개 이상의 탄력밴드(5)가 수용부재(3)의 높이 방향으로 재봉 되며,
    상기 수용부재(3)의 하부측 개방 영역에 말아져서 수용되는 머리덮개(4)를 더 포함하는,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덮개(4)는 상기 탄력밴드(5)에 의해 수용 지지 되며, 머리덮개(4)의 사용은 상기 수용부재(3)로부터 하방으로 빼내 머리 뒤쪽으로 넘겨서 사용하는 것인,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덮개(4)는 머리 뒷부분을 덮어주는 후방 연장부(4c) 및 양쪽 측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4a)(4b)를 가지며, 상기 후방 연장부와 한 쌍의 날개부 사이에는 신축영역(41)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머리덮개(4)를 개방하여 착용한 후 상호 결속하는 것인,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KR1020070013273A 2007-02-08 2007-02-08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KR100799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273A KR100799081B1 (ko) 2007-02-08 2007-02-08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273A KR100799081B1 (ko) 2007-02-08 2007-02-08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081B1 true KR100799081B1 (ko) 2008-02-01

Family

ID=3934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273A KR100799081B1 (ko) 2007-02-08 2007-02-08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0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36Y1 (ko) 2009-05-18 2012-01-02 (주)청림인터내셔날 전후방 전개가 가능한 햇빛가리개 모자
WO2021096158A1 (ko) * 2019-11-14 2021-05-20 김민석 컨버터블 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986A (en) 1994-01-10 1998-08-11 Hall; Jason Hamilton Article of headwear
JP2001146621A (ja) * 1999-11-15 2001-05-29 Toyohiro Kobayashi 日除けカバー付き帽子及び日除けカバー付きずきん
KR200239217Y1 (ko) * 2001-04-16 2001-10-11 김영일 햇빛 가리개가 내장되어 있는 모자
KR200327105Y1 (ko) * 2003-06-12 2003-09-19 오우택 차양 두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986A (en) 1994-01-10 1998-08-11 Hall; Jason Hamilton Article of headwear
JP2001146621A (ja) * 1999-11-15 2001-05-29 Toyohiro Kobayashi 日除けカバー付き帽子及び日除けカバー付きずきん
KR200239217Y1 (ko) * 2001-04-16 2001-10-11 김영일 햇빛 가리개가 내장되어 있는 모자
KR200327105Y1 (ko) * 2003-06-12 2003-09-19 오우택 차양 두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36Y1 (ko) 2009-05-18 2012-01-02 (주)청림인터내셔날 전후방 전개가 가능한 햇빛가리개 모자
WO2021096158A1 (ko) * 2019-11-14 2021-05-20 김민석 컨버터블 모자
US11957198B2 (en) 2019-11-14 2024-04-16 Min Sok Kim Convertible h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9435B2 (en) Combination hair wrap, sleep mask, and reading light
US2897510A (en) Sports cap or hat accessory
KR100327479B1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US9192202B2 (en) Head garment
US20110107500A1 (en) Headgear for 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al effects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JP3110940U (ja) 帽子
JP3125153U (ja) 帽子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CN205006007U (zh) 可折叠的帽体装置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20130010605A (ko)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KR200474124Y1 (ko) 포켓에 휴대가능하게 접혀지고 자동으로 펼쳐지는 모자
KR20110011800U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차양모자
JP2015048542A (ja) 帽子
KR100857836B1 (ko) 차양모
KR200458927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모자
KR20045490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KR100956367B1 (ko) 차양모
KR101052741B1 (ko)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KR100680756B1 (ko) 차양모
KR20110000918U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
KR20110001086U (ko) 차양날개를 갖는 차양모자
KR101463226B1 (ko)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