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918U -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 - Google Patents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918U
KR20110000918U KR2020090009478U KR20090009478U KR20110000918U KR 20110000918 U KR20110000918 U KR 20110000918U KR 2020090009478 U KR2020090009478 U KR 2020090009478U KR 20090009478 U KR20090009478 U KR 20090009478U KR 20110000918 U KR20110000918 U KR 201100009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ead cover
receiving member
hair band
s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승
Original Assignee
(주)청림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림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청림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090009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918U/ko
Publication of KR20110000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7Removable protection for the nape, e.g. sun or rai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1Pockets therefor; Head coverings with pockets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덮개와 수용부재를 갖는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양모자는 차양(110)과 헤어밴드(120)로 이루어지는 차양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120) 전면부 상단의 봉제선(122) 및 그 봉제선과 꺽이면서 연장되는 헤어밴드 양쪽 측단의 봉제선(123)에 의해 헤어밴드(120)와 함께 재봉되며 하부측이 개방되는 개방영역을 가지는 수용부재(130)와; 일단부가 상기 헤어밴드(120) 하단 봉제선(125)에 재봉되며, 상기 수용부재(130)의 내측의 개방영역에 말아져서 수용되며 머리 크기에 대응하는 부피를 갖는 머리덮개(140)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 덮개(140)의 뒤쪽 단부에 고무 밴드를 뒤쪽 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3~15cm 정도의 길이로 삽입함으로써, 펼쳤을 때 착용자의 머리로의 피트(fit)성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머리덮개를 수용부재 내부에 수용시키거나 외부로 빼내어 머리에 써 햇볕으로부터 얼굴과 머리를 함께 가릴 수 있다.

Description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SUN CAP WITH A HOLDER FOR A CROWN PART}
본 고안은 차양모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머리덮개와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차양모자는 햇볕 등으로부터 안면부를 가리기 위한 차양,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헤어밴드로 구성되며, 이를 "썬캡"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양모자는 전면부에 형성된 차양을 통해 햇빛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할 수는 있으나, 머리 위쪽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강렬한 여름 햇빛으로부터 두피와 머리카락을 보호할 수 없었다.
이에 사용자는 차양모자 이외에 스카프나 수건 등을 별도로 준비하여 이들을 모자 위에 덮어써야했다. 그런데, 별도의 스카프나 수건 등을 준비하는 것은 번거로운 과정일 뿐만 아니라 실제 스카프나 수건 등을 사용하더라도 안정감있게 차양모자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지 않아 사용자의 자유로운 동작을 제한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고안자는 특허 제799081호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를 제안한 바 있다. 고안자의 상기 특허문헌에 따르면, 헤어밴드와 머리덮개가 일체로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머리덮개를 헤어밴드에 정리하여 자체 수납시키거나 펼쳐서 덮어쓰는 차양 모자가 제안되었다. 상기 특허의 경우, 도 5(상기 특허문헌의 도 7에 해당함)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덮개를 목 뒷부분 아래까지 내리고 이를 다시 목 앞에서 묶는 것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차양모자의 경우, 사용자의 머리에 피트시킬 수 없어서 착용시의 피트성(fit)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답답하여 착용감이 떨어지고, 땀이 차며, 특히 이동시에 거치적거리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 고안인이 특허를 받은 차양 모자에 있어서, 머리 덮개의 피트성을 확보하고자 함에 있다. 그와 같이 머리 덮개의 피트성을 확보함으로써 착용시의 답답함을 개선하고,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며, 운동시의 거추장스러움을 배제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머리덮개를 차양모자의 일측에 수용가능하게 구비하여 차양모자와 함께 휴대할 수 있어 수납과 사용의 용이성을 높인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디자인의 심미성을 높여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명시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양과 헤어밴드로 이루어지는 차양모자는, 차양과 헤어밴드로 이루어지는 차양모자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 전면부 상단의 봉제선(122) 및 그 봉제선(122)과 꺾이면서 연장되는 헤어밴드 양쪽 측단의 봉제선(123)에 의해 헤어밴드와 함께 재봉되며 하부 측이 개방되는 개방영역을 가지는 수용부재로서, 그 수용부재의 내면에는 1개 이상의 탄성 부재가 높이 방향으로 제봉되는 수용부재;
앞쪽 단부는 상기 헤어밴드 하단과 상기 차양이 봉제되는 봉제선(121)을 따라 재봉되어 고정되고, 뒤쪽 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채 상기 수용부재의 내측의 개방영역에 말아져서 수용되며, 펼쳤을 때 착용자의 머리를 덮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머리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 덮개의 뒤쪽 단부에 고무 밴드를 뒤쪽 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3~15cm 정도의 길이로 삽입함으로써, 펼쳤을 때 착용자의 머리로의 피트(fit)성을 강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차양모자에 따르면, 머리 덮개의 피트성이 확보되고, 그로 말미암아 착용시의 답답함이 개선되었으며, 땀이 차는 것이 방지되고, 뿐만 아니라 운동시의 거추장스러움도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자인의 심미성을 높아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100)에 머리덮개(140)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100)로부터 머리덮개(140)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100)와 머리덮개(14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덮개(140)의 구성을 보다 확대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100)는 햇빛을 가려주는 차양(110)과, 차양(11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되는 헤어밴드(120)와, 헤어밴드(120)에 결합되는 수용부재(130)와, 수용부재(130) 내에 수용되거나 수용부재(130)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커버하는 머리덮개(140)를 포함한다. 사 용자는 필요에 따라 수용부재(130)를 개방하여 머리덮개(140)를 외부로 노출시켜 머리를 커버할 수 있다.
차양(110)은 사용자의 머리에 수직하게 마련되어 햇빛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가려준다. 차양(110)은 햇빛을 충분히 가릴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양(110)은 직물재, 합성수지재, 천연소재와 같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차양(110)의 표면에는 텍스트, 이미지 등이 인쇄되거나 재질 자체를 메쉬 형태로 꼬아서 심미감을 높일 수도 있다.
헤어밴드(120)는 사용자의 머리에 결합되어 차양(110)이 사용자의 얼굴을 가릴 수 있도록 한다. 헤어밴드(120)는 내부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가 수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헤어밴드(120)의 단부에는 헤어밴드(120)를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탄성적으로 머리에 지지된 헤어밴드(12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맞도록 폭을 조절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헤어밴드(120)가 벗겨지지 않도록 헤어밴드(120)와 머리 사이에 결속력을 부여한다. 고정부재(150)는 암단추와 수단추의 결합, 밴드와 밴드 상에 결합된 버클, 암수 벨크로 파스너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차양(110)과 헤어밴드(120)는 공지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부재(130)는 헤어밴드(120)에 하부영역을 제외하고 3면이 결합되어 내부 에 머리덮개(140)를 수용한다. 수용부재(1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밴드(120)에 상부봉제선(122)과 측면봉제선(123)을 함께 봉제된다. 이에 의해 수용부재(130)는 하부영역만 개방된 상태로 헤어밴드(120)에 결합된다. 수용부재(130)에는 상부봉제선(122)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탄성부재(131)가 설치되어 수용지지력을 부여한다.
탄성부재(131)는 2차원 형상의 수용부재(130)에 결합되어 머리덮개(140)를 수용할 수 있는 3차원 형상을 형성한다. 즉, 탄성부재(131)에 의해 수용부재(130)의 판면에 주름이 형성되면서 안쪽으로 약간 말려 접히고 그 접히는 힘이 유지되면서 수용공간이 만들어진다. 탄성부재(131)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머리덮개(140)가 수용된다. 수용부재(130)의 높이는 헤어밴드(120)의 단부영역에서 중심영역으로 진행될수록 높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3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머리덮개(140)가 수용될 경우 머리덮개(14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외측에서 보았을 때 수용부재(130)가 부풀어 보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용부재(130)가 닫혀 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수용부재(130)가 개방되거나 내부에 수용된 머리덮개(140)의 일부분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탄성부재(131)는 사용자가 탄성부재(131)의 탄성한계력을 넘어서는 외력을 가할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130)의 하부영역이 탄성적으로 상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머리덮개(140)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탄성부재(131)는 수용부재(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 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머리덮개(140)는 일영역이 헤어밴드(12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용부재(130) 내부에 수용되거나 수용부재(130)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커버한다. 머리덮개(140)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대응하는 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피트(fit) 된다. 머리덮개(1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길이의 중간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체적, 즉 야구 모자와 유사한 정도로 머리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머리덮개(14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말려진 상태로 수용부재(130) 내부에 수용되고, 사용할 경우 수용부재(130)로부터 배출되어 펼쳐진 상태로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한다. 즉, 머리덮개(140)의 앞쪽 단부는 상기 헤어밴드 하단과 상기 차양이 봉제되는 봉제선(121)을 따라 재봉되어 고정되고, 뒤쪽 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채 상기 수용부재의 내측의 개방영역에 말아져서 수용되며, 펼쳤을 때 착용자의 머리를 덮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다.
머리덮개(140)는 내부에 머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형의 크라운 형태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머리덮개(140)는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머리의 형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머리덮개(140)의 뒤쪽 단부에는 머리덮개(140)가 착용자의 머리에 씌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무밴드(141)가 구비된다. 이 고무밴드(141)는 머리 덮개(140)의 뒤쪽 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봉제되며, 그 길이는 3~15cm 정도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cm 길이의 고무 밴드(141)가 좋다. 너무 짧으면 봉제 공정에 불이익이 생기고 피 트성도 좋지 않으며 형태 유지력도 열악해진다. 반면에 너무 길면 재료의 낭비가 있고 착용감이 좋지 않아지고 심미적으로도 불이익이 생긴다. 머리에 머리덮개(140)가 씌워졌을 때 머리덮개(140)를 머리에 탄성적으로 지지시켜 머리덮개(140)가 착용자의 머리에 피트 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100)의 사용과정을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차양모자(100)를 휴대하거나 머리덮개(1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덮개(140)를 말아서 수용부재(130)의 개방된 하부영역을 통해 밀어넣어 수용부재(130) 내부에 수용시킨다. 이 상태로 사용자는 차양모자(100)를 머리에 착용하여 햇빛을 가리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머리덮개(14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수용부재(13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수용부재(130)의 하부영역을 개방시킨다. 사용자는 개방된 하부영역을 통해 말려 있는 머리덮개(140)를 수용부재(130)의 뒷방향으로 펼친다. 펼쳐진 머리덮개(140)를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에 씌우고 고무밴드(141)를 머리 뒤편에 위치시킨다. 고무 밴드(141)에 의해 머리덮개(140)가 사용자의 머리에 피트될 수 있다.
머리덮개(140)를 머리에 씌운 상태에서 다시 머리덮개(14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머리덮개(140)를 말아서 수용부재(130) 내부에 수용시 키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양모자는 머리크기에 대응하는 머리덮개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용부재 내에 수용된 상태로 착용하거나 수용부재 외부로 꺼내어 머리에 쓴 상태로 착용할 수 있다. 이 때, 머리덮개에는 안정적으로 머리에 씌여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결속력을 부여하는 고무밴드가 구비되어 장시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차양모자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의 수용부재에 머리덮개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의 수용부재로부터 머리덮개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와 머리덮개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모자의 머리덮개의 후면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차양모자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양모자 110 : 차양
120 : 헤어밴드 122 : 상부봉제선
123 : 측면봉제선 125 : 하부봉제선
130 : 수용부재 131 : 탄성부재
140 : 머리덮개 141 : 고무밴드
150 : 고정부재
※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Claims (1)

  1. 차양과 헤어밴드로 이루어지는 차양모자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 전면부 상단의 봉제선(122) 및 그 봉제선(122)과 꺾이면서 연장되는 헤어밴드 양쪽 측단의 봉제선(123)에 의해 헤어밴드와 함께 재봉되며 하부측이 개방되는 개방영역을 가지는 수용부재로서, 그 수용부재의 내면에는 1개 이상의 탄성 부재가 높이 방향으로 제봉되는 수용부재;
    앞쪽 단부는 상기 헤어밴드 하단과 상기 차양이 봉제되는 봉제선(121)을 따라 재봉되어 고정되고, 뒤쪽 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채 상기 수용부재의 내측의 개방영역에 말아져서 수용되며, 펼쳤을 때 착용자의 머리를 덮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머리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 덮개의 뒤쪽 단부에 고무 밴드를 뒤쪽 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3~15cm 정도의 길이로 삽입함으로써, 펼쳤을 때 착용자의 머리로의 피트(fit)성을 강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모자.
KR2020090009478U 2009-07-21 2009-07-21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 KR201100009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478U KR20110000918U (ko) 2009-07-21 2009-07-21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478U KR20110000918U (ko) 2009-07-21 2009-07-21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18U true KR20110000918U (ko) 2011-01-27

Family

ID=4420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478U KR20110000918U (ko) 2009-07-21 2009-07-21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9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58A1 (ko) * 2019-11-14 2021-05-20 김민석 컨버터블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58A1 (ko) * 2019-11-14 2021-05-20 김민석 컨버터블 모자
US11957198B2 (en) 2019-11-14 2024-04-16 Min Sok Kim Convertible h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8708A1 (en) Shade cap
US20120317699A1 (en) Foldable rain hat
JP3110940U (ja) 帽子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200416125Y1 (ko) 모자용 챙
KR20110000918U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
KR100902682B1 (ko) 기능성을 향상시킨 모자용 차양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JP3203543U (ja) 分離型帽子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KR101052741B1 (ko)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KR20120004659U (ko) 수납용 착탈식 보조챙이 구비된 모자
KR200327114Y1 (ko) 보조 모자챙
KR100857836B1 (ko) 차양모
KR20110011800U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차양모자
KR20045490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200458927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모자
KR20120000506U (ko)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474124Y1 (ko) 포켓에 휴대가능하게 접혀지고 자동으로 펼쳐지는 모자
KR101179220B1 (ko) 뒷목가리개 모자
KR200447472Y1 (ko) 다용도 썬캡
KR200354333Y1 (ko)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