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114Y1 - 보조 모자챙 - Google Patents

보조 모자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114Y1
KR200327114Y1 KR20-2003-0018645U KR20030018645U KR200327114Y1 KR 200327114 Y1 KR200327114 Y1 KR 200327114Y1 KR 20030018645 U KR20030018645 U KR 20030018645U KR 200327114 Y1 KR200327114 Y1 KR 200327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cap
visor
auxiliary
aw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찬
Original Assignee
노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찬 filed Critical 노영찬
Priority to KR20-2003-0018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114Y1/ko
Priority to PCT/KR2004/001416 priority patent/WO2004110196A1/en
Priority to US10/560,264 priority patent/US20060143792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얼굴의 측면부를 햇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조모자챙을 구비하는 바, 상기 보조모자챙은, 이마 앞쪽으로 뻗은 모자챙의 좌우측부 에지면들중 적어도 하나가 보조모자챙의 모자챙 협지부에 끼워져 합지 및 에지면에 재봉중 하나로 부착 고정되게 하고 연이은 부채꼴 형태의 차양판이 축부를 중심으로 부채꼴형태로 확개되어서 보조모자챙의 캡 협지부에 측후두부쪽 모자캡 일부가 합지되게 끼워져 고정된다. 본 고안은 모자에 적용하여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모자챙{SUBSIDIARY HAT VISOR}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자챙을 보조하여 얼굴을 햇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조 모자챙에 관한 것이다.
햇볕에는 피부를 자극하는 강한 자외선이 발산되고 있으며 이로부터 얼굴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모자가 사용된다. 그러나 모자챙이 이마 앞쪽으로만 뻗어 있는 간편한 형태의 일반적인 모자로는 얼굴 측면부를 보호할 수 없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산이나 모자챙이 넓고 사방으로 둘러져 있는 밀짚모자나 갓과 같은 큰 모자를 사용해야만 하는 것이 아직까지의 보편적인 해결방법이다. 하지만 모자챙이 넓고 사방으로 둘러져 있는 밀짚모자나 갓과 같은 큰 모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의 저항에 취약하고 부피가 크므로 지참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의 사용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참이 편리함과 아울러 얼굴 측면부까지 햇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조 모자챙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햇빛의 방향 등을 고려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자챙의 좌우측에 부착할 수 있는 보자 모자챙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얼굴의 측면부를 햇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조모자챙을 구비하는 바, 상기 보조모자챙은, 이마 앞쪽으로 뻗은 모자챙의 좌우측부 에지면들중 적어도 하나가 보조모자챙의 모자챙 협지부에 끼워져 합지 및 에지면에 재봉중 하나로 부착 고정되게 하고, 연이은 부채꼴 형태의 차양판이 축부를 중심으로 부채꼴형태로 확개되어서 보조모자챙의 캡 협지부에 측후두부쪽 모자캡 일부가 합지되게 끼워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라 보조모자챙을 모자챙에 끼운 후 차양판을 확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라 모자챙에 끼워진 보조모자챙이 모자챙 위에 접혀져 얹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모자챙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보조 모자챙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축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조 모자챙을 모자챙에 끼운 후 차양판을 확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조 모자챙을 모자챙에 끼운 후 차양판을 확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조 모자챙을 모자챙에 끼운 후 차양판을 확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모자 4: 모자챙
6: 모자캡 8a,8b: 보자모자챙
10: 제1 지지판 12: 모자챙 협지부
18: 차양판 20: 제2 지지판
22: 캡협지부 34: 걸림돌기
42: 걸림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라 보조모자챙(8a,8b)을 모자(2)의 모자챙(4) 좌우에 끼운 후 차양판(18)을 확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라 모자챙(4)의 좌우에 끼워진 보조모자챙(8a,8b)이 모자챙(4) 위에 접혀져 얹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모자챙(8a,8b)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이마 앞쪽으로 뻗은 모자챙(4)을 가진 모자(2)를 착용 시에 햇볕으로부터 노출이 될 수 있는 얼굴의 측면부를 햇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조모자챙(8a,8b)을 사용한다. 모자(2)를 쓴 사용자는 상기 보조모자챙(8a,8b)을 모자챙(4)의 좌 또는/및 우측부 에지면에 끼워서 합지시키는데, 이를 위해 보조모자챙(8a,8b)의 제1 지지판(10)에는 모자챙(4)의 좌 또는 우측부 에지면에 끼워질 수 있는 모자챙 협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자챙 협지부(12)는 유도경사면(16)을 가지는 체결편(13)으로 구성되어 있어 모자챙(4)의 좌 또는 우측부 에지면은 유도경사면(16)에 의해 쉽게 유도된 후 체결편(13)에 끼워져 체결홈(14)에서 합지 고정된다. 상기 체결편(13)은 단단한 고정을 위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 예보다 좀더 깊게 형성될 있다.
보조모자챙(8a,8b)을 모자챙(4)에 에지면에 합지시킨 후 제1 지지판(10)에 연이어진 부채꼴 형태의 차양판(18)을 축부(28)를 중심으로 부채꼴형태로 모자캡(6)의 측후두부 쪽까지 확개시킨다. 그 후 제2 지지판(20)에 형성된 캡 협지부(22)를 이용하여 모자캡(6)의 대응 모자테 위치에 캡 협지부(22)를 끼움으로써 보조모자챙(8a,8b)이 모자(2)에 견고히 고정되어진다. 상기 캡 협지부(22)도 모자챙 협지부(12)와 마찬가지로, 경사안내면(26)을 가지는 체결편(23)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에 따라 내부에는 체결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기 캡 협지부(22)는 일방향으로 고정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유연하게 굽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조모자챙(8a,8b)중 하나만 사용하여도 좌우 구분없이 어느쪽에나 끼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변형 예로서, 상기 캡 협지부(22)는 제작시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보조모자챙(8a,8b)이 좌우 구별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 차양판(18)은 복수개의 경질 플라스틱 차양판(18)들로 구성되며, 상기 연속하는 차양판(18)들간의 접촉 상하단부면에는 차양판(18)이 상호 걸릴 수 있는 구조의 걸림턱(48)이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보조모자챙(8a,8b)을 모자챙(4)에 끼우고 지지편(20)을 잡고 확개를 하게 되면 차양판(18)의 걸림턱(48)에 의해서 하부에 위치하는 차양판(18)으로부터 차츰차츰 확개되어져 최하위에 위치하는 차양판(18)까지 모두 확개되어진다. 차양판(18)의 길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모자챙(4) 부근에 있는 차양판(18)일수록 상대적으로 좀더 길어지고 뒤로 갈수록 좀더 짧아지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견고성을 위해 차양판(18)은 축부(28)에 가까울수록 외곽부의 두께보다 좀더 두터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차양판(1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빳빳한 종이재질 차양판(18a,18b)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속하는 차양판(18a,18b)들간의 접촉 상하 단부면에는 차양판(18a,18b)이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일명 찍찍이라 칭해지는 매직테이프(60)가 고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차양판(18a,18b)의 재질은 종이재질 이외에도, 플라스틱 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빳빳한 섬유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보조모자챙(8a,8b)의 제1,제2 지지판(10,20)은 차양판(18,18a,18b)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차양판(18,18a,18b)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제2 지지판(10,20)은 금속재질 또는 비철금속재질로도 구현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차양판(18,18a,18b)의 두께와 유사해도 무방하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보조모자챙(8a,8b)의 축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돌기(34)와 걸림홈(42)들로 이루어진 걸림 구조에 의해서, 보조모자챙(8a,8b)의 차양판(18,18a,18b)이 임의로 확개된 상태나 접혀져 모자챙(4)위에 얹혀진 상태에서도 그대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보조 모자챙(8a,8b)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축부(28)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2 지지판(20)의 선회 축에는 2개의 탄성공(30)을 가지는 제2 축봉(3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봉(32)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걸림돌기(34)가 형성된다. 이때 2개의 걸림돌기(34)는 탄성공(3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축봉(32)의 탄성면상에 위치하며, 제2 축봉(32)의 하단부에는 결합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축봉(32)에 복수개의 차양판(18)들의 관통공(44)들을 통해 끼우고, 제1 지지판(10)의 선회축에 구비된 제1 축봉(38)의 관통공(40)을 통해 제2 축봉(32)을 관통시키고 와셔(53)를 끼우고 핀(52)을 제2 축봉(28)의 결합공(36)에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보조모자챙(8a,8b)의 축부(28)가 회전 가능케 고정된다.
상기 제1 축봉(38)의 관통공(36) 내부면에는 다수개 예컨대, 4개 내지 8개의 걸림홈(42)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 축봉(32)의 2개의 걸림돌기(32)가 걸림홈(42)들에 걸리게 되어 보조모자챙(8a,8b)의 차양판(18,18a,18b)이 임의로 확개된 상태나 접혀져 모자챙(4)위에 얹혀진 상태에서도 그대로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보조 모자챙은 또 다른 행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조 모자챙을 모자챙에 끼운 후 차양판을 확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조 모자챙을 모자챙에 끼운 후 차양판을 확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차양판(70)이 자바라형태로 주름지게 특수 가공 처리된 섬유재질이나 잘 찢어지지 않으면서 자바라형태로 주름지게 처리된 종이재질로서 구현된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의 차양판(70)은 접철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에서는 차양판(90)이 평면형태의 섬유재질이나 잘 찢어지지 않는 종이재질로서 구현된 일 예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섬유재질 또는 잘 찢어지지 않는 종이재질의 자바라형태인 보조 모자챙(8a,8b)의 차양판(70)은 합지부(86)에 의해서 합지되어 부채꼴 형상을 하며, 양측 연장선상 가장자리면이 플라스틱 재질의 제1 및 제2 지지대(74)(80)에 봉착된다. 제1 지지대(74)의 상,중,하측 각각에는 모자챙 협지부(72a,72b,7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지지대(80)의 상,중,하측 각각에도 캡 협지부(78a,78b,78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대(74)와 제2 지지대(80)의 상,중,하측 대응 협지부(72a,78a)(72b,78b)(72c,78c)의 상부면 각각에는 한 쌍의 스냅단추(76,82)가 구비되어 있어서, 보조모자챙(8a,8b)을 사용치 않을 경우나 모자챙(4) 위에 올려놓을 때에 한 쌍의 스냅단추(76,82)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놓을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74)와 제2 지지대(80)의 상측단 하부에는 탄성밴드(84)가설치되어 있어서 차양판(70)의 처짐을 방지하며, 필요에 따라 보조모자챙(8a,8b)을 뭉쳐서 감아 놓을 수도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섬유재질 또는 잘 찢어지지 않는 종이재질의 평면형태 차양판(90)은 합지부(102)에 의해서 합지되어 부채꼴 형상을 하며, 양측 연장된 가장자리면은 플라스틱 재질의 제1 및 제2 지지대(94)(104)에 봉착되어진다. 제1 지지대(94)의 상,중,하측 각각에는, 도 7과 마찬가지로, 모자챙 협지부(92a,92b,9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지지대(104)의 상,중,하측 각각에도 캡 협지부(98a,98b,98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대(94)와 제2 지지대(104)의 상,중,하측 대응 협지부(92a,98a)(92b,98b)(92c,98c)의 상부면 각각에도 도 7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스냅단추(96,106)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보조모자챙(8a,8b)을 사용치 않거나 모자챙(4) 위에 올려놓을 때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스냅단추(96,106)들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놓을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74)와 제2 지지대(80)간에 위치한 차양판(90)의 상,중,하측에는 차양판(90) 보호를 위해 재봉된 재봉선(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8에서 상기 차양판(90)의 섬유재질은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스판(span)성분을 넣어 약간의 신축성을 가지게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의 합지부(86)(10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제2 지지판(10)(20)이 형성된 축부(28)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렇게 구현된 경우에는 걸림돌기(34)와 걸림홈(42)들로 이루어진 걸림 구조에 의해서 보조모자챙(8a,8b)의 차양판(70)(90)이 임의로 확개된 상태나 접혀져 모자챙(4)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도 그대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조모자챙의 사용은 일반 모자챙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얼굴 측면부까지 햇볕을 가릴 수 있음과 아울러 갓과 같은 모자의 단점들도 해결한다. 또한 보조 모자챙에는 어떤 색깔 또는 그림을 입혀 놓을 수 있으며, 닭 깃털이나 오리 깃털 등과 같은 새 깃털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기능적, 미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조 모자챙은 카드섹션적 효과 내지 자연미를 표현하여 사용자들이 호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모자챙은 모자챙 협지부에 의해서 끼워지면서 합지 고정되지 않고 아예 처음부터 모자챙에 재봉질되어 모자와 함께 일체화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조모자챙이 탈부착이 가능하여 지참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얼굴 측면부까지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햇빛의 방향 등을 고려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자챙의 좌우측에 임의로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얼굴의 측면부를 햇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조모자챙을 구비하는 바, 상기 보조모자챙은, 이마 앞쪽으로 뻗은 모자챙의 좌우측부 에지면들중 적어도 하나가 보조모자챙의 모자챙 협지부에 끼워져 합지 및 에지면에 재봉중 하나로 부착 고정되게 하고 연이은 부채꼴 형태의 차양판이 축부를 중심으로 부채꼴형태로 확개되어서 보조모자챙의 캡 협지부에 측후두부쪽 모자캡 일부가 합지되게 끼워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모자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은 복수개의 경질 프라스틱 차양판들로 구성되며, 상기 연속하는 차양판들간의 접촉 상하단부면에는 차양판이 상호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모자챙.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은 복수개의 빳빳한 종이재질 차양판들로 구성되며, 상기 연속하는 차양판들간의 접촉 상하 단부면에는 차양판이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매직테이프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모자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은 자바라형태로 특수 가공 처리된 섬유재질의 접철 차양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모자챙.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은 평면형태의 섬유재질인 차양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모자챙.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모자챙의 모자챙 협지부 및 캡 협지부는 각각의 지지판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모자챙.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모자챙 협지부가 형성된 지지판의 제1축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캡 협지부가 형성된 지지판의 제2축부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모자챙.
KR20-2003-0018645U 2003-06-13 2003-06-13 보조 모자챙 KR200327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645U KR200327114Y1 (ko) 2003-06-13 2003-06-13 보조 모자챙
PCT/KR2004/001416 WO2004110196A1 (en) 2003-06-13 2004-06-14 Multi-functional cap
US10/560,264 US20060143792A1 (en) 2003-06-13 2004-06-14 Multi-functional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645U KR200327114Y1 (ko) 2003-06-13 2003-06-13 보조 모자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114Y1 true KR200327114Y1 (ko) 2003-09-19

Family

ID=4941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645U KR200327114Y1 (ko) 2003-06-13 2003-06-13 보조 모자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1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400B1 (ko) 2008-07-23 2011-06-30 이수창 헤드업 방지장치
KR101119616B1 (ko) * 2009-11-09 2012-02-22 정우석 모자에 부착될 수 있는 햇빛 가리개
KR200461881Y1 (ko) 2009-09-26 2012-08-13 최민수 자립형 보조챙
KR102501510B1 (ko) * 2022-08-11 2023-02-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측면 자외선 차단을 위한 탈부착 햇빛 가리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400B1 (ko) 2008-07-23 2011-06-30 이수창 헤드업 방지장치
KR200461881Y1 (ko) 2009-09-26 2012-08-13 최민수 자립형 보조챙
KR101119616B1 (ko) * 2009-11-09 2012-02-22 정우석 모자에 부착될 수 있는 햇빛 가리개
KR102501510B1 (ko) * 2022-08-11 2023-02-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측면 자외선 차단을 위한 탈부착 햇빛 가리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695B1 (ko)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CA2253049A1 (en) Multi use head cover
KR20010069243A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US20060143792A1 (en) Multi-functional cap
KR200327114Y1 (ko) 보조 모자챙
US20230057243A1 (en) Support structure
KR100950078B1 (ko)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0327891Y1 (ko) 일회용 차양모자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20120004659U (ko) 수납용 착탈식 보조챙이 구비된 모자
KR20110011800U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차양모자
KR200397475Y1 (ko) 레이스 장식을 갖는 차양모자
KR100520981B1 (ko) 기능성모자
CN210726792U (zh) 一种可折叠帽檐的帽子
KR200157265Y1 (ko) 휴대용 절첩식 차양모자
KR102075863B1 (ko) 뒷목가림 차양이 일체로 구비된 썬 캡
JP3031700U (ja) 空気袋付バイザ
KR200366117Y1 (ko) 접힘 가능한 썬그라스 차양모자
KR200180250Y1 (ko) 머리띠 겸용 차양모
KR100857836B1 (ko) 차양모
KR20120000506U (ko)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KR100680756B1 (ko) 차양모
KR200335686Y1 (ko) 보조 차양을 갖는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