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472Y1 - 다용도 썬캡 - Google Patents

다용도 썬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472Y1
KR200447472Y1 KR2020090005607U KR20090005607U KR200447472Y1 KR 200447472 Y1 KR200447472 Y1 KR 200447472Y1 KR 2020090005607 U KR2020090005607 U KR 2020090005607U KR 20090005607 U KR20090005607 U KR 20090005607U KR 200447472 Y1 KR200447472 Y1 KR 200447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locking
sun cap
fix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호
Original Assignee
김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호 filed Critical 김원호
Priority to KR2020090005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4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4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썬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부와 차양부를 헝겁으로 형성하여 썬캡을 말아서 부피를 줄여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밴드부의 외측에 차단부를 삽입하여 차단부를 통하여 썬캡의 다양한 디자인의 표출 및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썬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착용자의 얼굴에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일정한 넓이의 원형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판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차양부와, 상기 차양부의 차단판 내경에 상기 차단판과 직각으로 연결 형성되는 고정띠의 전방에는 다수의 삽입고리를 형성하고 양단부 전후방면에는 벨크로테입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띠 일단에는 고정고리를 형성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고정띠에 형성된 삽입고리에 말아서 삽입되는 차단천을 형성한 차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썬캡{SUN CAP}
본 고안은 다용도 썬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부와 차양부를 헝겁으로 형성하여 썬캡을 말아서 부피를 줄여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밴드부의 외측에 차단부를 삽입하여 차단부를 통하여 썬캡의 다양한 디자인의 표출 및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썬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썬캡은 착용자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모자로서 햇빛은 물론 자외선 및 바람, 비등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썬캡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차양판, 2는 탄성밴드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썬캡은 착용자의 얼굴에 햇빛을 가려주는 차양판(1)을 형성하고 상기 차양판(1)과 연결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씌어지는 탄성밴드(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차양판(1)은 햇빛을 가리기 위하여 반투명 플라스틱이나 원단으로 형성되며 탄성밴드(2)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플라스틱판의 양측에 원단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썬캡은 탄성밴드(2)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나 보관이 어려웠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썬캡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둥글게 말리는 탄성밴드를 장착한 썬캡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 또한, 탄성밴드의 형상만 조금 줄였을 뿐 휴대나 보관의 불편함은 상존하였다.
한편, 썬캡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표출할 수 없었으며 단지 착용자의 얼굴을 보호해 주는 역할 이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기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자외선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가 탈부착되는 썬캡이 제공되고 있으나 사용하지 않을 때는 탈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망실의 위험성도 있고 완벽한 기능을 하지 못하여 대부분 별도의 마스크나 얼굴가리개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실정이였으며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스카프나 목도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밴드부와 차양부를 헝겁으로 형성하여 부피를 줄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밴드부의 외측에 차단부를 삽입하여 차단부를 통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표출 및 마스크와 목도리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용도 썬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얼굴에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일정한 넓이의 원형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판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차양부와, 상기 차양부의 차단판 내경에 상기 차단판과 직각으로 연결 형성되는 고정띠의 전방에는 다수의 삽입고리를 형성하고 양단부 전후방면에는 벨크로테입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띠 일단에는 고정고리를 형성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고정띠에 형성된 삽입고리에 말아서 삽입되는 차단천을 형성한 차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썬캡을 제공한다.
상기 차양부, 밴드부, 차단부는 헝겁으로 재봉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썬캡을 제공한다.
상기 차단부의 차단천은 상측으로 삽입띠를 밴드부의 고정띠 보다 길게 형성하고 상기 삽입띠 중앙 하측으로는 차단면을 연결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썬캡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밴드부와 차양부를 헝겁으로 형성하여 썬캡을 말아서 휴대할 수 있어 썬캡을 휴대할 때 부피를 줄여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밴드부의 외측에 차단부를 삽입하여 차단부를 통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표출할 수 있으며 차단부를 펼쳐서 마스크와 목도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썬캡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썬캡은 착용자의 얼굴에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부(10)와, 상기 차양부(10)와 연결되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부(20)와, 상기 밴드부(20)에 결합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단부(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차양부(10)는 썬캡 착용자의 얼굴에 비추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경은 외경보다 직경이 작은 일정한 넓이의 원형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판(11)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차양부(10)의 차단판(11) 내경에는 착용자의 머리를 감쌀 수 있는 밴드부(20)를 형성한다.
이러한 밴드부(20)는 상기 차단판(11)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고정띠(2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띠(21)의 전방에는 다수의 삽입고리(2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띠(21)가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띠(21) 양단부 전후방면에 벨크로테입(2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띠(21) 일단에는 고정고리(24)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밴드부(20)의 고정띠(21) 삽입고리(22)에는 차단부(30)를 형성한다.
상기 차단부(30)는 고정띠(21)의 삽입고리(22)에 말아서 삽입되도록 차단천(31)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차양부(10), 밴드부(20), 차단부(30)는 헝겁으로 재봉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30)의 차단천(31)은 상측으로 삽입띠(32)를 밴드부(20)의 고정띠(21) 보다 길게 형성하고 상기 삽입띠(32) 중앙 하측으로는 차단면(33)을 연결 형성한 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용도 썬캡에 형성된 차단부(30)의 차단천(31)을 차단면(33)부터 삽입띠(32)로 말아올려 띠 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차단천(31)의 양단부가 고정띠(21)의 단부쪽으로 향하도록 삽입고리(22)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차단천(31)이 고정띠(21)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다양한 썬캡의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차단천(31)을 마스크나 스카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설명과 같다.
먼저 차단천(31)을 고정띠(21)에서 분리한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천(31)의 삽입띠(32)를 고정띠(21)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고리(22)에서 부터 삽입하여 삽입띠(32)의 중앙과 차단면(33)이 고정띠(21)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썬캡을 착용하면 차단천(31)이 착용자의 얼굴에 위치하게 되고 삽입띠(32)를 당겨서 착용자의 이마쪽에서 묶어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스카프와 같이 목도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천(31)의 삽입띠(32)와 차단면(33)을 늘어뜨려 착용자의 목에 걸치게 하여 착용자의 목 앞부분과 귀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디자인을 표출하며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하는 다용도 썬캡을 휴대 및 보관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20)의 고정띠(21) 를 원형으로 말아 차양부(10)의 차단판(11) 또한 원형으로 말아지도록 한 후 상기 다용도 썬캡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지 않도록 원형으로 말린 고정띠(21)를 고정고리에 삽입하여 원형으로 말린 고정띠(21)를 풀리지 않게 고정한 상태로 부피를 적게하여 휴대 및 보관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썬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을 마스크와 같이 사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을 목도리와 같이 사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썬캡의 착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양부 11 : 차단판
20 : 밴드부 21 : 고정띠
22 : 삽입고리 23 : 벨크로테잎
24 : 고정고리 30 : 차단부
31 : 차단천 32 : 삽입띠
33 : 차단면

Claims (3)

  1. 착용자의 얼굴에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일정한 넓이의 원형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판(11)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차양부(10)와, 상기 차양부(10)의 차단판(11) 내경에 상기 차단판(11)과 직각으로 연결 형성되는 고정띠(21)의 전방에는 다수의 삽입고리(22)를 형성하고 양단부 전후방면에는 벨크로테입(23)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띠(21) 일단에는 고정고리(24)를 형성한 밴드부(20)와, 상기 밴드부(20)의 고정띠(21) 삽입고리(22)에 말아서 삽입되는 차단천(31)을 형성한 차단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썬캡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30)의 차단천(31)은 상측으로 삽입띠(32)를 밴드부(20)의 고정띠(21) 보다 길게 형성하고 상기 삽입띠(32) 중앙 하측으로는 차단면(33)을 연결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썬캡.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5607U 2009-05-08 2009-05-08 다용도 썬캡 KR200447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07U KR200447472Y1 (ko) 2009-05-08 2009-05-08 다용도 썬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07U KR200447472Y1 (ko) 2009-05-08 2009-05-08 다용도 썬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472Y1 true KR200447472Y1 (ko) 2010-01-25

Family

ID=4421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607U KR200447472Y1 (ko) 2009-05-08 2009-05-08 다용도 썬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47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113A (ja) * 1994-08-29 1996-03-19 Kanebo Ltd サンバイザー
KR200168851Y1 (ko) * 1999-08-07 2000-02-15 김재덕 말아서 간단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선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113A (ja) * 1994-08-29 1996-03-19 Kanebo Ltd サンバイザー
KR200168851Y1 (ko) * 1999-08-07 2000-02-15 김재덕 말아서 간단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선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00002A1 (en) Water Aerobic Cover for the Hair
KR200447472Y1 (ko) 다용도 썬캡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200426051Y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KR101066758B1 (ko) 다기능 헤어밴드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430688Y1 (ko) 모자용 햇빛가리개.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KR100857836B1 (ko) 차양모
KR200458927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모자
KR20110011800U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차양모자
KR200462391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KR200468171Y1 (ko) 땀흡수부재 탈부착 모자
KR101179220B1 (ko) 뒷목가리개 모자
KR200458923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햇(Hat) 모자
TWM540523U (zh) 帽子結構
KR20100104128A (ko) 다기능 모자
KR20110000918U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갖는 차양모자
KR200474124Y1 (ko) 포켓에 휴대가능하게 접혀지고 자동으로 펼쳐지는 모자
KR200236726Y1 (ko) 모자용 착탈식 차양
KR20100005077U (ko)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200344905Y1 (ko) 차양모자
KR101463226B1 (ko)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