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226B1 -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 Google Patents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226B1
KR101463226B1 KR1020130038636A KR20130038636A KR101463226B1 KR 101463226 B1 KR101463226 B1 KR 101463226B1 KR 1020130038636 A KR1020130038636 A KR 1020130038636A KR 20130038636 A KR20130038636 A KR 20130038636A KR 101463226 B1 KR101463226 B1 KR 10146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inder
crossover
wear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058A (ko
Inventor
변형자
Original Assignee
변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형자 filed Critical 변형자
Priority to KR1020130038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22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7Removable protection for the nape, e.g. sun or rai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1Pockets therefor; Head covering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에 있어서, 안면으로 내리쬐는 일광을 차단하는 모자챙; 상기 모자챙과 봉제 또는 접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전두를 감싸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양단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서로 교차하여 지지하는 크로스오버(crossover)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지대 양단에 착용자의 후두부를 서로 교차 지지하는 크로스오버(crossover)부가 마련되어, 착용의 편리함과 안정감은 물론, 바인더부가 크로스되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여 머리둘레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밀착과 해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두를 감싸는 지지대의 내/외피 사이에 쿠션부재가 마련되어 착용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전두와 맞닿는 내피가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져, 착용 시 쾌적함을 제공하고, 나아가, 두건부를 통해 자외선에 노출된 모발과 두피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착용의 안정감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바인더부에 모자를 말거나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포켓부가 마련되어, 모자의 부피를 줄여 보관은 물론, 휴대의 편의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Hat awning with means crossover support}
본 발명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지대 양단에 착용자의 후두부를 서로 교차 지지하는 크로스오버(crossover) 지원 수단이 마련되어, 착용의 편리함과 안정감은 물론, 머리 둘레와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모자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자는 특히 여름철 레저, 스포츠 및 야외활동 시, 주로 착용하여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안면 등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성은 물론, 근래에는 패션의 아이템으로도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모자는 통상 머리 전체를 감싸는 덮개형과 상부가 노출된 개방형 등으로 이루어지고, 각 형태의 모자에는 머리 둘레에 밀착 고정되어, 모자가 머리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수단이 존재한다.
밀착수단으로는 길이 조절용 버클(buckle),는 밸크로(velcro), 단추, 매듭 및 탄성의 헤어밴드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밀착수단은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둘레 조절은 물론, 밀착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여 바람 내지는 잦은 마찰에 의해 모자가 벗겨져 착용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자를 벗거나 조임을 해제할 때, 특히, 매듭의 경우 묶는 것은 물론, 착용상태에서 이를 풀어내는 것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모자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꽉 조여맨 상태이므로, 묶음을 풀어내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밀착수단이 버클일 경우, 당김과 조임을 통해 모자의 둘레 조절이 용이하나, 버클과 후두부의 마찰과 그로 인한 이물감이 발생하여 착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 또한 착용상태에서 조임과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머리 둘레와의 밀착상태를 장담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탄성을 이용한 헤어밴드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모자의 착용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밀착상태를 유지시켜, 모자의 벗겨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탄성의 헤어밴드는 특정 머리 둘레에서는 착용의 편의와 양호한 밀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두상이 작거나 클 경우, 착용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통증을 유발시켜 착용의 불편함만을 초래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모자에는 바인더가 충분히 길지 못하여 바인더를 서로 크로스오버를 하지 못하여, 바인더를 힘차게 묶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바인더를 크로스 오버가 아닌 그냥 묶는 경우, 묶은 바인더가 쉽게 풀어지는 문제가 있어, 크로스 오버 방식으로 묶는 것이 결속력이 강해서 쉽게 풀어 지지 않으며, 머리를 충분히 조요 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크로스 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지원 부재가 필요하며, 바인더도 충분히 길어여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바인더와 크로스 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부재가 있을 경우 모자 작용자 머리의 외경에 맞추어 모자의 선택적 둘레 조절이 가능해 질 필요가 있다. 특히, 여성의 머리의 경우에는 풍성하기 때문에 둘레 조절과 아울러 제대로 조여 줄 수가 있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머리를 탄력적으로 감싸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될 필요가 있는 바 기존의 모자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잘 부합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둘래의 두상에 적용할 수 있는 모자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며, 나아가, 다양한 두상으로의 적용은 물론, 착용의 편의성과 양호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모자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대 양단에 착용자의 후두부를 서로 교차 지지하는 크로스오버(crossover)지원 수단이 마련되어, 착용의 편리함과 안정감은 물론, 머리 둘레와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모자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로스오버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로스오버 지원부를 엮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바인더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별도의 끈 내지는 밴드 등을 대체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인더부를 분실하거나, 훼손될 경우에도, 대체품으로 모자의 양호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크로스오버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 전두를 감싸는 지지대의 내/외피 사이에 쿠션부재가 마련되어 착용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전두와 맞닿는 내피가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져, 땀에 의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대의 전면과 외부로 노출된 착용자 머리 일부 내지는 전체를 감싸는 두건부가 마련되어, 자외선에 노출된 모발과 두피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착용의 안정감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인더부에 모자를 말거나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포켓부가 마련되어, 모자의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의 편의를 만족시킬 수 있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자에 있어서, 모자에 있어서, 안면으로 내리쬐는 일광을 차단하는 모자챙; 상기 모자챙과 봉제 또는 접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전두를 감싸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일체 또는 분리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면서 상기 모자를 상기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바인더부; 및 상기 지지대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바인더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크로스오버 지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를 개시한다.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마련된 밴드, 링 및 고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인 제1지원부; 및 상기 제1지원부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지원부와 동일한 형상인 제2지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금속, 나무 및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질제이거나, 직물 또는 면사체로 이루어진 연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 봉제되거나, 또는 내삽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상기 모자챙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지지대의 일면과 단부 사이에 봉제되거나, 또는 내삽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자는, 상기 지지대와 일체 또는 분리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크로스오버 지원부와 엮여, 상기 모자의 선택적 둘레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바인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부는, 상기 지지대 양측에 마련된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를 적어도 2회 이상 왕복 가능한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내경 면적이 상기 바인더부가 적어도 2회 이상 내입 가능할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부는, 제2지원부로 내삽되는 제1바인더; 및 상기 제1지원부로 내삽되는 제2바인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부는,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와 서로 교차 되도록 엮어 2중의 지지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부를 통해 착용자의 후두부를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착용자의 전두의 형상에 대응하는 굴곡이 가능한 소프트(soft)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부는, 상기 지지대 어느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상기 제1바인더 또는 상기 제2바인더에 마련되어, 상기 모자를 말거나, 접어서 수납하도록 하는 포켓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자는, 적어도 상기 지지대 전면외 외부로 노출된 착용자의 머리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두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건부는, 일 측이 상기 지지대와 함께 상기 모자챙에 봉제되고, 타 측은 탄성체가 내재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탄력적으로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부는, 상기 두건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면사체인 것이며, 상기 두건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전면으로 노출되는 외피와, 착용자의 전두와 맞닿는 내피 사이에 쿠션부재가 더 마련되고, 적어도 상기 내피는 메시(mesh) 또는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통기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대 양단에 착용자의 후두부를 서로 교차 지지하는 크로스오버(crossover)지원 수단이 마련되어, 착용의 편리함과 안정감은 물론, 머리 둘레와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모자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오버 지원부를 엮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바인더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져, 별도의 끈 내지는 밴드 등을 대체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인더부를 분실하거나, 훼손될 경우에도, 대체품으로 모자의 양호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 전두를 감싸는 지지대의 내/외피 사이에 쿠션부재가 마련되어 착용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전두와 맞닿는 내피가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져, 땀에 의한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의 전면과 외부로 노출된 착용자 머리 일부 내지는 전체를 감싸는 두건부가 마련되어, 자외선에 노출된 모발과 두피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착용의 안정감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인더부에 모자를 말거나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포켓부가 마련되어, 모자의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의 편의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오버 지원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오버 지원부와 엮이는 바인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두건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두건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두건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오버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자(100)는 착용자의 후두부를 서로 교차 지지하는 크로스오버 지원수단이 마련되어, 착용의 편리함과 안정감은 물론, 머리 둘레와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의도치 않은 상태에서 모자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100)는 모자챙(110), 착용자의 전두를 감싸는 지지대(120) 및 지지대(120) 양측 각각에 마련되어 바인더부(140)를 통해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도록 지원하는 한 쌍의 크로스오버 지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자챙(110)은 안면으로 내리쬐는 자외선에 의한 눈부심은 물론, 피부는 물론, 일부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모자챙(110)은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 또는 불투명의 자외선 차단용 수지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때, 모자챙(110)에는 별도의 무늬가 새겨진 시트 내지는 직물지 등이 더 입혀질 수 있으며, 이는 유행 내지는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반영하는 것이 좋다.
한편, 모자챙(110)의 일례로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좋으며, 열전도율이 좋아 자외선에 의한 변형이 적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polycarbonate film)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지지대(120)는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모자챙(110)과 봉제 내지는 접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전두를 감싸 착용의 편안함과 쾌적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120)는 도 4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외피(121,123) 사이에 쿠션부재(125)가 마련되어 착용자로 하여금 이물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 지지대(예를 들어, 머리 둘레에 모자를 탄력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하는 헤어밴드)는 내부에 탄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와이어(기억형성 와이어 내지는 합금 등)가 존재하여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 모자가 벗겨지는 것은 물론, 착용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져, 착용의 편의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머리가 큰 경우는 물론,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압박하고, 이물감을 유발하여 장시간 착용시 마찰 내지는 압박 등에 의해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머리가 작을 경우에는 지지력이 약하여 모자의 착용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잦은 벗겨짐을 유발시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지지대에서 와이어를 배제하고, 그에 대한 대체 수단으로 쿠션부재(125)를 내재함으로써, 착용의 편의는 물론, 장시간 착용에도 통증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어도 전두와 맞닿는 일면인 내피가 메시(mesh) 내지는 고어텍스(goretex) 등의 통기성 소재로 이루어져, 모자(100)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땀에 의한 불쾌감 유발을 미연에 방지하여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부재(125)는 머리 둘레와의 밀착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크로스오버(130) 지원부와 이와 엮을 수 있는 바인더부를 통해 종래 와이어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크로스오버 지원부(130)는 지지대 양측 각각에 마련되어 바인더부(140)를 통해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크로스오버 지원부(130)는 지지대(120) 일측에 마련된 밴드, 링 및 고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제1지원부(131) 및 제1지원부(131)와 대향하는 지지대의 타측에 마련된 제2지원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크로스오버 지원부(130)는 금속, 나무 및 합성수지와 같이 경질이거나, 직물 또는 면사체와 같은 연질의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그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0)에 봉제(a)되거나, 내재(b)될 수 있으며, 그 형상으로는 밴드(a) 및 링(b)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의 형상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인더가 엮일 수 있는 형태로서, 고리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의 형성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모자챙(110)의 단부와 접하는 지지대(120)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는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의 형성위치에 대한 일례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크로스오버 지원부(130)가 경질(직물 내지는 면사체)일 경우, 지지대 양측에 각각 봉제되며, 이때,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탄력적 확장과 복원 가능하도록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밴드 또는 링 형태의 탄력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바인더부(140)는 지지대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제1바인더(141)와, 그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제2바인더(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각 제1바인더(141)와 제2바인더(143)는 적어도 크로스오버 지원부(130)를 적어도 2회 이상 왕복 가능한 정도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크로스오버 지원부(130)를 교차하여 엮이는 횟수가 많을수록 지지부(145)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인더부(140)는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와의 엮임 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자가 벗겨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의 내경 면적은 바인더부(140)의 내입 횟수에 대응하여 수용할 수 있는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바인더부(140)가 2회 이상 내입 가능할 정도의 직경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바인더부(140)는 모자(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리형 또는 기타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와 엮일 수 있는 대체품일 수도 있다.
만약, 바인더부(140)가 분리형일 경우, 분실 내지는 훼손되더라도, 바인더부(140)를 별도 구매하여, 모자의 기능을 지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대체품을 통해 모자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바인더부(140)의 대체품으로는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와 엮을 수 있는 별도의 끈, 밴드, 스카프 및 머플러 등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와 엮을 수 있는 모든 것이 그 대상일 수 있으며, 이는 착용자의 상황(소지품) 내지는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대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바인더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00)를 말거나 접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포켓부(14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포켓부(14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제1바인더(141)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1바인더(141)는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바인더(143)에 더 구비되어, 모자(100)의 선택적 수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포켓부(147)가 훼손될 경우, 대체용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별도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주머니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바인더부(140)는 적어도 지지대(120)의 전면을 감싸는 두건부(150)와 일체의 연장된 띠 형태로 존재하거나, 지지대(120) 각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독립체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이는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인더부(140)는 크로스오버 지원부(130)를 통해 교차되어 지지부(145)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동작상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오버 지원부와 엮이는 바인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의 동작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부(140)가 각 지시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착용자의 후두부를 교차하여 모자(100)가 머리 둘레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인더(141)는 지시선인 A-1을 따라 제2지원부(131)를 관통하면서 착용자의 후두부 일면을 지지하고, 제2바인더(143)는 지시선 A-2를 따라 제1지원부(131)를 관통하여 착용자의 후두부 타면을 더 지지하면서, 2중의 지지부(145)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후, 각 제1지원부(131)와 제2지원부(133)를 관통한, 제1바인더(141)와 제2바인더(143)를 각각 지시선 B-1과 B-2방향으로 당겨 도 3b와 같이 모자(100)를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밀착될 때까지 좌우로 당겨 고정한다.
이때, 고정은 각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와 바인더부(140)의 지지부(145)의 마찰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며, 당김을 더할수록 머리와의 밀착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부(14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당김 후, 바인더부(140)를 늘어트려 외부로 노출된 피부(목 부위)를 감싸거나, 액세서리(accessory) 형태의 매듭 내지는 모자 내부로 말아 노출을 줄일 수도 있으며, 이는 착용자의 선택에 의해 정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건부(150)는 적어도 전면으로 노출된 지지대(120) 내지는 외부로 노출된 착용자의 두피 및 모발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두건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5는 두건부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두건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부(150)는 일 측이 지지대와 함께 모자챙(110)에 봉제되고, 타 측은 탄성체(151)가 내재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탄력적으로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두건부(150)는 적어도 지지대(120)와 외부로 노출된 착용자의 두피 및 모발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를 감싸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를 감싸 보온 또는 자외선 내지는 우천시 모발이 젖거나, 산성비에 의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존재한다.
이때, 도 6에서 도시되지 않은 바인더부(135)는 두건부(140) 내부로 수납시키거나, 또는 노출시켜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 등을 더 감쌀 수 있으며, 이는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적어도 두건부(150) 또는 두건부(150)의 연장선인 바인더부(140)는 방수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절기 보온의 수단으로서, 내면에 보온부재가 더 구비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자(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00)의 부피를 줄여 보관 내지는 소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각 구성에 대한 부호는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00)는 착용하지 않을 때, 즉, 보관을 하거나, 일광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모자(100)의 부피를 줄여 보관과 소지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된 방향으로 모자챙(110)을 말거나, 또는 접어서 도 7b와 같이 부피를 줄이고, 이후, 바인더부(140) 중 포켓부(147)가 형성되지 아니한 바인더부(140)를 지시된 바와 같이 말려있는 모자챙(100)의 외측을 감싸 도 7c와 같이 정리한다.
그리고 부피를 줄여 말아놓은 모자챙(110)을 지시된 바와 같이 포켓부(147) 방향으로 접어, 도 7d와 같이 그 내부로 수납시켜 최종 모자(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자(100)를 착용할 때는 수납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한 후, 도 3의 과정을 통해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자(100)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모자(100)에 대한 보관을 물론, 휴대의 편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자(100)에 대한 착용과 밀착은 물론, 지지력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이물감 등이 배제되어, 착용의 쾌적함과 동시에 모자의 벗겨짐을 최소화하여 착용에 대한 편의를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대(120)의 길이가 모자(100) 전체 둘레 길이보다 훨씬 작은 경우(1/3 내지 3/4)인 경우, 지지대 자체가 모자의 흘러 내림을 막는 능력이 상당히 떨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대(120)의 길이가 모자(100) 전체 둘레 길이와 같거나, 거의 같은 경우에는 지지대(120) 자체만으로도 모자의 흘러 내림을 상당히 방지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지지대만으로는 모자의 흘러 내림을 막기는 용이하지 않다. 특히, 상기 지지대(120)의 길이가 모자(100) 전체 둘레 길이의 (1/3 내지 2/3)인 정도인 경우에는 특히, 지지대(120) 자체만으로는 모자의 흘러 내림이 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바인더(140)의 기능이 중요하게 된다. 만약 바인더(140)가 상기 착용자의 후두부를 한번만 감싸는 경우 바인더(140)과 후두부(모발 포함)의 마찰력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모자의 흘러 내림을 충분히 막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착용자가 심하게 운동을 하거나, 바람이 강하게 부는 등 모자에 상대적으로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더 그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착용자는 바인더(140)을 아주 강하게 동여 매게 되고, 이렇게 되면, 지지대(120)이 착용자의 두부를 강하게 압박하게 되어 착용감이 떨어지게 되고, 두통 등의 원인이 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이 있고, 바인더(140)의 길이가 충분히 긴 경우, 상기 바인더(140)이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130)를 적어도 1회 이상 통과한 다음, 통과된 바인더(140)을 묶게 되면, 바인더(140)이 착용자의 후두부를 2번 감싸는 효과가 나므로, 모자와 착용자의 머리와는 2배 더 강한 마찰 효과가 있게 되어, 모자의 흘러 내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따라서 착용자는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바인더(140)을 동여 매게 되므로, 모자의 착용감이 월등히 개선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바인더(140)가 여러 겹으로 접히거나 접힌 것이 펼쳐지거나 주름이 잡힐 수 있는 천 재질(not 견고성이 있거나 잘 접히지 않는 스트립)인 경우, 상기 바인더(140)이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130)의 공간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과된 바인더(140)이 착용자의 후두부에서 펼쳐지고, 펼쳐진 바인더(140) 부분은 둥근 형태의 착용자의 후두부를 더 잘 감쌀 수 있기 때문에, 펼쳐지지 않는 스트립 형태일 경우보다 훨씬 더 착용자의 머리를 더 잘 감싸게 된다. 이는 착용자가 더욱 더 느슨하게 상기 바인더(140)을 동여 매어도 되게 되어, 모차의 착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자 110 : 모자챙
120 : 지지대 121 : 내피
123 : 외피 125 : 쿠션부재
130 : 크로스오버(crossover) 지원부 131 : 제1지원부
133 : 제2지원부 140 : 바인더부
141 : 제1바인더 143 : 제2바인더
145 : 지지부 147 : 포켓부
150 : 두건부 141 : 탄성체

Claims (18)

  1. 모자에 있어서,
    안면으로 내리쬐는 일광을 차단하는 모자챙;
    상기 모자챙과 봉제 또는 접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전두를 감싸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일체 또는 분리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면서 상기 모자를 상기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바인더부; 및
    상기 지지대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바인더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크로스오버 지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마련된 제1지원부; 및
    상기 제1지원부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지원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지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바인더부는
    상기 지지대와 일체 또는 분리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크로스오버 지원부와 엮여, 상기 모자의 선택적 둘레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모자는,
    적어도 상기 지지대 전면외 외부로 노출된 착용자의 머리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두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금속, 나무 및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질제이거나, 직물 또는 면사체로 이루어진 연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 봉제되거나, 또는 내삽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상기 모자챙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지지대의 일면과 단부 사이에 봉제되거나, 또는 내삽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부는,
    상기 지지대 양측에 마련된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를 적어도 2회 이상 왕복 가능한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는,
    내경 면적이 상기 바인더부가 적어도 2회 이상 내입 가능할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부는,
    제2지원부로 내삽되는 제1바인더; 및
    상기 제1지원부로 내삽되는 제2바인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부는,
    상기 크로스오버 지원부와 서로 교차 되도록 엮어 2중의 지지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부를 통해 착용자의 후두부를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착용자의 전두의 형상에 대응하는 굴곡이 가능한 소프트(soft)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부는,
    상기 지지대 어느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상기 제1바인더 또는 상기 제2바인더에 마련되어, 상기 모자를 말거나, 접어서 수납하도록 하는 포켓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건부는,
    일 측이 상기 지지대와 함께 상기 모자챙에 봉제되고, 타 측은 탄성체가 내재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탄력적으로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부는,
    상기 두건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면사체인 것이며, 상기 두건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전면으로 노출되는 외피와, 착용자의 전두와 맞닿는 내피 사이에 쿠션부재가 더 마련되고, 적어도 상기 내피는 메시(mesh) 또는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통기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착용자의 머리 둘레의 1/3 내지 3/4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여러 겹으로 접히거나 접힌 것이 펼쳐지거나 주름이 잡힐 수 있는 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KR1020130038636A 2013-04-09 2013-04-09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KR10146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36A KR101463226B1 (ko) 2013-04-09 2013-04-09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636A KR101463226B1 (ko) 2013-04-09 2013-04-09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58A KR20140122058A (ko) 2014-10-17
KR101463226B1 true KR101463226B1 (ko) 2014-11-21

Family

ID=5199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636A KR101463226B1 (ko) 2013-04-09 2013-04-09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2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545U (ko) * 1990-02-23 1991-11-14
KR200437244Y1 (ko) * 2007-01-24 2007-11-29 김복규 선캡용 두건
KR20100104128A (ko) * 2009-03-16 2010-09-29 황태명 다기능 모자
KR20110042942A (ko) * 2009-10-20 2011-04-27 (주)청림인터내셔날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545U (ko) * 1990-02-23 1991-11-14
KR200437244Y1 (ko) * 2007-01-24 2007-11-29 김복규 선캡용 두건
KR20100104128A (ko) * 2009-03-16 2010-09-29 황태명 다기능 모자
KR20110042942A (ko) * 2009-10-20 2011-04-27 (주)청림인터내셔날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58A (ko) 201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155B2 (en) Headwear with interwoven gripping fibers
US6735783B2 (en) Head covering with pouch
US6256799B1 (en) Helmet covers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US9826791B2 (en) Head garment
US20060278252A1 (en) Multipurpose hair apparel
US8985123B2 (en) Cap for brushing hair into a wrap style
US20210315347A1 (en) Hair protector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70318885A1 (en) All in one headwrap
KR101463226B1 (ko)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KR200399093Y1 (ko)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JP2008133550A (ja) 帽子用装着具
CA3175647A1 (en) A wearable device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TWM273448U (en) Elastic featuring longitudinal stretching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467979Y1 (ko) 부분 가발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0857836B1 (ko) 차양모
KR200426423Y1 (ko) 모자
KR100327490B1 (ko) 머리 둘레를 조이지 않는 차양모
KR200474124Y1 (ko) 포켓에 휴대가능하게 접혀지고 자동으로 펼쳐지는 모자
KR960004675Y1 (ko) 차양달린 머리덮개용 스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