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423Y1 - 모자 - Google Patents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423Y1
KR200426423Y1 KR2020060017281U KR20060017281U KR200426423Y1 KR 200426423 Y1 KR200426423 Y1 KR 200426423Y1 KR 2020060017281 U KR2020060017281 U KR 2020060017281U KR 20060017281 U KR20060017281 U KR 20060017281U KR 200426423 Y1 KR200426423 Y1 KR 200426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hair band
mesh sheet
visor
se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희
Original Assignee
박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희 filed Critical 박찬희
Priority to KR2020060017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4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모자챙의 외피와 내피 사이 및 헤어밴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일정한 강도와 복원력을 갖는 망사시트를 각각 삽입하여, 착용시에는 망사시트의 강도에 의해 모자챙과 헤어밴드가 빳빳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망사시트의 우수한 통기성으로 인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비착용시에는 접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모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모자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망사시트를 포삽시켜 봉제되되 양단이 고정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헤어밴드와; 얼굴안면과 귀부분을 차양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폭에 거쳐 헤어밴드 전면에 돌출되도록 봉제되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망사시트가 포삽된 모자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자, 헤어밴드, 모자챙, 망사시트, 신축밴드

Description

모자{CAP}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헤어밴드 20: 모자챙
11, 21: 외피 12, 22: 내피
13, 23: 망사시트 14: 신축밴드
본 발명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자챙의 외피와 내피 사이 및 헤어밴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일정한 강도와 복원력을 갖는 망사시트를 각각 삽입하여, 착용시에는 망사시트의 강도에 의해 모자챙과 헤어밴드가 빳빳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망사시트의 우수한 통기성으로 인해 착용감을 향상 시키고, 비착용시에는 접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햇빛이나 비 또는 눈으로부터 머리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머리에 착용되는 헤어밴드와 상기 헤어밴드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얼굴에 조사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모자챙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헤어밴드는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외피와 내피 사이에 'C'자 형상의 경질의 합성수지재질 심재가 포삽되어 있으며, 종래의 모자챙은 자외선 차단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필름이 내피와 외피 사이에 포삽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모자는 헤어밴드의 경질재질의 심재와 모자챙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필름으로 인해 접거나 구부릴 수 없어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 호주머니나 가방에 휴대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을 수 있는 모자가 근래에 들어 개발되고 있는 데, 그 일례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61224호(유연성을 지니고 있어 보관이 용이한 모자) 및 제416125호(모자용 챙)에서는 변형이 가능한 발포 스폰지를 모자챙과 헤어밴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포삽시킴으로써 헤어밴드와 모자챙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휴대가 용이한 모자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들은 모자챙과 헤어밴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포삽된 발포합성수지시트 또는 발포스폰지는 변형이 가능하여 접을 수는 있어 휴대는 용이하지만 일정한 강도를 유지시킬 수 없어 헤어밴 드와 모자챙을 빳빳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통풍될 수 있는 구조는 아니어서 더운 여름철에 착용할 때에는 땀의 증발이 어려워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자챙의 외피와 내피 사이 및 헤어밴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일정한 강도와 복원력을 갖는 망사시트를 각각 포삽하여, 착용시에는 망사시트의 강도에 의해 모자챙과 헤어밴드가 빳빳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망사시트의 우수한 통기성으로 인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비착용시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어 보관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망사시트를 포삽시켜 봉제되되 양단이 고정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헤어밴드와; 얼굴안면과 귀부분을 차양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폭에 거쳐 헤어밴드 전면에 돌출되도록 봉제되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망사시트를 포삽된 모자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기 헤어밴드의 망사시트 및 모자챙의 망사시트는 일정한 강도와 복원력을 갖고 직경이 0.2 내지 0.4mm 인 폴리에스터로 형성된 위사와, 굵기 가 14수 내지 18수인 폴리에스터 방적사로 형성된 경사가 그물구조로 이루어지되 멜라민 수지가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후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모자는 헤어밴드(10)와 모자챙(20)을 포함한다.
상기 헤어밴드(10)는 머리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외피(11), 내피(12), 망사시트(13) 및 고정수단(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피(11)는 착용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며 상기 내피(12)는 착용시 이마 및 머리둘레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착용감이 부드럽고 땀 흡수력이 양호한 면직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사시트(13)는 외피(11)와 내피(12) 사이에 삽입되어 봉제되는 부재로서 일정한 강도와 복원력을 가지는 망사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망사구조로 형성되는 이유는 통기성을 양호하게 하여 땀의 증발을 원할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망사시트(13)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일정한 강도와 복원력을 갖는 위사와 경사가 망사구조이다. 상기 위사는 작은 외력에 의해서는 그 형태가 변화되지 않을 정도로 일정한 강도를 갖고 보다 큰 외력에 의해서는 그 형태가 변화되지만 그러한 외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갖는 폴리에스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강도와 복원력을 갖기 위해서 폴리에스터의 직경은 대략 0.2mm 내지 0.4mm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경사는 폴리에스터 방적사로 형성되어 상기 위사와 그물구조를 이루게 되며 외력에 의해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대략 14수 내지 18수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망사시트(13)에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민 수지를 도포하여 망시시트의 강도와 복원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망사시트(13)에 의해 헤어밴드는 착용시에는 헤어밴드 전면을 빳빳하게 유지하여 헤어밴드 전면 광고문구가 구겨지지 않으며, 비착용시에는 접힘이 가능하여 부피축소로 인해 휴대가 용이하고 다시 착용시에는 망사시트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그 형태가 원상복원되어 재착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헤어밴드(10)는 그 양단이 고정수단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데,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밴드(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신축밴드(14)의 양단은 헤어밴드 양 단부의 외피와 내피내로 삽입되어 일체 봉제됨으로써 헤어밴드를 머리에 착용할 때 신축밴드의 신축에 의해 착용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사이즈 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모자챙(20)은 헤어밴드(10)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봉제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얼굴안면과 귀부분까지 차양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밴드(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폭에 거쳐 돌출되게 봉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자챙(20)의 외피(21)와 내피(22)는 헤어밴드의 외피(11)와 내피(12)와 마찬가지로 부드럽고 땀 흡수력이 양호한 면직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자챙(20)의 외피(21)와 내피(22) 사이에는 전술한 망사시트(23)가 포삽되는 데, 그 자세한 설명한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상기 모자챙의 망사시트(23)로 인해 모자챙의 상하 방향으로 통기성이 우수하여 땀의 증발을 원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착용시에는 모자챙을 빳빳하게 하고 비착용시에는 접힘이 가능하고 재착용시에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그 형태가 원상복원되게 된다.
한편, 상기 헤어밴드 및 모자챙의 망사시트(13, 23)는 각각 헤어밴드의 외피(11) 및 모자챙의 외피(21)에 각각 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서 망사시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작용 및 효과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헤어밴드(10)의 외피(11)와 내피(12) 사이 및 모자챙(20)의 외피(21)와 내피 (22)사이에 각각 포삽된 망사시트(13, 23)로 인해 착용시에는 망사시트(13, 23)의 강도에 의해 헤어밴드(10)와 모자챙(20)이 빳빳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고 비착용시에는 망사시트(13, 23)의 접힘으로 인해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켜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망사시트(13, 23)의 원형복원력에 의해 형상이 복원되어 재착용이 가능해 진다. 나아가, 망사시트(13, 23)의 우수한 통기성으로 인해 땀의 증발이 원할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특히 종래와 같이 모자챙이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으로 제조되는 경우 그 중량으로 인해 모자챙이 밑으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경우 모자챙이 경량이어서 모자챙이 흘러내리는 문제점도 해소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자는 모자챙의 외피와 내피 사이 및 헤어밴드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일정한 강도와 복원력을 갖는 망사시트를 각각 포삽하여, 착용시에는 망사시트의 강도에 의해 모자챙과 헤어밴드가 빳빳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망사시트의 우수한 통기성으로 인해 착용감 을 향상시키고, 비착용시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어 보관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망사시트를 포삽시켜 봉제되되 양단이 고정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헤어밴드와;
    얼굴안면과 귀부분을 차양할 수 있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폭에 거쳐 헤어밴드 전면에 돌출되도록 봉제되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망사시트가 포삽된 모자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의 망사시트 및 모자챙의 망사시트는 일정한 강도와 복원력을 갖고 직경이 0.2 내지 0.4mm 인 폴리에스터로 형성된 위사와, 굵기가 14수 내지 18수인 폴리에스터 방적사로 형성된 경사가 그물구조로 이루어지되, 멜라민수지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시트는 헤어밴드의 외피 및 모자챙의 외피에 각각 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이 헤어밴드의 양 단부의 외피와 내피내로 삽입되어 봉제된 신축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KR2020060017281U 2006-06-27 2006-06-27 모자 KR200426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281U KR200426423Y1 (ko) 2006-06-27 2006-06-27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281U KR200426423Y1 (ko) 2006-06-27 2006-06-27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423Y1 true KR200426423Y1 (ko) 2006-09-19

Family

ID=4177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281U KR200426423Y1 (ko) 2006-06-27 2006-06-27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4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87B1 (ko) 2009-06-29 2011-09-30 김덕진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87B1 (ko) 2009-06-29 2011-09-30 김덕진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4648A (en) Cap with pocket for receiving neck shield
US20070074326A1 (en) Headgear With Cooling Device
US20180220728A1 (en) Collapsible Shapeable Hat
US20060117460A1 (en) Headwear piece
KR200426423Y1 (ko) 모자
US20120324635A1 (en) Goggles with ear warming means
KR200399093Y1 (ko) 목도리가 결합된 모자
KR200416125Y1 (ko) 모자용 챙
JP2008133550A (ja) 帽子用装着具
KR102111674B1 (ko) 안전모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200418519Y1 (ko)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KR20044480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100857836B1 (ko) 차양모
KR200246436Y1 (ko) 차양모
KR200231986Y1 (ko) 차광모자의 헤어밴드
KR200390302Y1 (ko) 차양모자
US20130247274A1 (en) Headgear with stretchable headband
KR100680756B1 (ko) 차양모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282400Y1 (ko) 모자
KR20110035448A (ko) 형상복원모자
KR20100104128A (ko) 다기능 모자
KR200374049Y1 (ko) 접이식 차양과 자외선 차단망을 가진 모자
KR101463226B1 (ko) 크로스오버 지원 수단이 구비된 차양모자
KR20110011800U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차양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