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487B1 -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 Google Patents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487B1
KR101069487B1 KR1020100006897A KR20100006897A KR101069487B1 KR 101069487 B1 KR101069487 B1 KR 101069487B1 KR 1020100006897 A KR1020100006897 A KR 1020100006897A KR 20100006897 A KR20100006897 A KR 20100006897A KR 101069487 B1 KR101069487 B1 KR 10106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band
hat
insertion space
elastic
improved f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857A (ko
Inventor
김덕진
Original Assignee
김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진 filed Critical 김덕진
Publication of KR2011000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42B1/225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with openings for hai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6Transformable, convertible or reversible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다양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챙부;와, 챙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띠 형태이며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머리띠전방부; 및 띠 형태이며, 머리띠전방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양단이 삽입공간의 내측에 신축 가능한 탄성끈을 통해 고정되는 머리띠후방부;를 포함하되, 탄성끈의 신축에 의해 머리띠후방부의 양단을 삽입공간에서 빼내거나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머리띠후방부의 내측과 외측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모자를 가지고 여러 가지의 모자를 사용하는 효과가 있으며 탄성끈에 의해 머리띠후방부가 신축되므로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REVERSIBLE HAT WITH IMPROVED WEARING COMFORT}
본 발명은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다양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머리띠부를 상호분리된 머리띠전방부와 머리띠후방부가 탄성끈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맞게 머리띠후방부가 연장되어 착용감이 향상시키거나, 머리띠의 양면에 다양한 색채 또는 무늬를 형성하고, 머리띠 자체를 신축성의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머리띠를 뒤집거나 회전시켜 다양한 개성표현이 가능하며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모자는 햇볕을 막아주며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 표현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챙 모자는 머리둘레를 감싸는 머리띠부와 머리띠부의 전방에 결합하는 챙 부로 구성된다. 종래의 모자는 상기 머리띠부 및 챙 부의 형태가 일정하므로 착용감이 떨어지고 독특한 개성 표현에 미흡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분리된 머리띠전방부와 머리띠후방부가 탄성끈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머리띠 자체를 신축가능한 탄성재질로 형성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머리띠 양면에 다양한 색채 또는 무늬를 형성하여 머리띠를 뒤집거나 회전시킴으로써 다양한 개성표현이 가능한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챙부;와, 챙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띠 형태이며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머리띠전방부; 및 띠 형태이며, 머리띠전방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양단이 삽입공간의 내측에 신축 가능한 탄성끈을 통해 고정되는 머리띠후방부;를 포함하되, 탄성끈의 신축에 의해 머리띠후방부의 양단을 삽입공간에서 빼내거나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챙부;와, 챙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띠 형태이며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머리띠전방부; 및 띠 형태이며, 양단이 신축 가능한 탄성끈에 의해 연결되어 탄성끈이 삽입공간에 수용되는 머리띠후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챙부;와,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챙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용부; 및 양면 또는 어느 한 면에 둘 이상의 색채 또는 무늬가 형성되고, 삽입공간에 끼워져 회전 가능한 머리띠;를 포함하되, 머리띠를 회전시키거나 뒤집어서 겉으로 드러나는 머리띠의 색채 또는 무늬가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 머리띠는, 삽입공간에서 뒤집기 및 회전이 용이하고 사이즈가 늘어나거나 줄어서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신축성의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는, 머리띠전방부와 머리띠후방부가 탄성끈에 의해 신축이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머리의 크기에 맞게 머리띠후방부 또는 머리띠가 신장되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머리띠후방부 또는 머리띠의 내측과 외측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머리띠후방부의 내측과 외측의 색상, 재질 및 디자인을 달리하여 하나의 모자를 양면으로 사용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모자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부분을 확대하고 일부 구성을 절개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에서 를 머리띠후방부의 내측과 외측이 뒤집어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부분을 확대하고 일부 구성을 절개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는, 챙부(100)와 챙부(100)에 결합되는 머리띠전방부(301) 및 머리띠전방부(301)에 결합되는 머리띠후방부(302)로 구성된다.
머리띠전방부(301)는 제1외측직물부(132)와 제1내측직물부(133)가 겹쳐져서 봉제되어 형성된다. 머리띠전방부(301)의 하단이 챙부(100)의 내측단부를 따라 봉제됨으로써 머리띠전방부(301)와 챙부(100)가 결합된다. 머리띠전방부(301)는 제1외측직물부(132)와 제1내측직물부(133)의 상단 및 하단이 봉제되고 양측 단부는 봉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머리띠전방부(301)는 제1외측직물부(132)와 제1내측직물부(133)에 의해 형성되며, 머리띠전방부(30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간(32, 33)이 형성된다.
머리띠후방부(302)는 제2외측직물부(136)와 제2내측직물부(135)가 겹쳐져서 봉제되어 형성된다. 머리띠후방부(302)의 양측 단부들에 인접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상하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들 각각에 탄성끈(55, 56)이 고정된다. 머리띠후방부(302)의 양측 단부는 동시에 머리띠전방부(301)의 삽입공간(32, 33)의 상하방향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머리띠후방부(302)의 양측 단부가 머리띠전방부(301)의 삽입공간(32, 33)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다. 탄성끈(55, 56)은 탄성사로 제조된 탄성테이프 또는 고무줄 등이 될 수 있다. 머리띠후방부(302)는 양측 단부가 머리띠전방부(301)의 삽입공간(32, 33)에 삽입되고 머리띠후방부(302)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 탄성끈(55, 56)들은 머리띠전방부(301)의 내측에 봉제(11)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를 사용자가 착용하면 머리띠전방부(301)와 머리띠후방부(302)가 탄성끈(55, 56)에 의해 신축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머리의 크기에 맞게 머리띠전방부(301)에 대하여 머리띠후방부(302)가 신장되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머리띠후방부(302)의 양측 단부를 머리띠전방부(301)의 삽입공간(32, 33)에서 빼낸 다음에 머리띠후방부(302)의 내측과 외측을 뒤집어서 다시 머리띠전방부(301)에 결합시키면 머리띠후방부(302)의 내측과 외측이 전환된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가 된다. 이 때, 머리띠후방부(302)의 내측과 외측의 색상, 재질 및 디자인을 달리하여 하나의 모자를 양면으로 사용하면 두 개의 모자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제1실시 예에서는 머리띠후방부(302)의 양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끈(55, 56)의 타단을 머리띠전방부(301)의 삽입공간(32, 33)에 봉제(11)하는 방식으로 머리띠전방부(301)와 머리띠후방부(302)를 결합하였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와 동일하며, 다만 머리띠후방부의 양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끈의 타단을 봉제하지 않고 탄성끈의 타단에 제1결합부재(이하 '벨크로후크'라 함)(159)를 설치하고, 벨크로후크(159)와 탈부착하는 제1결합부재(이하 '벨크로결합부'라 함)(158, 160)를 머리띠전방부의 양단에 설치한 부분만이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띠전방부(301)의 양단의 일면에 스냅버튼결합부(미도시) 또는 벨크로결합부(158, 160)를 형성하고 머리띠후방부(302)에 일단이 고정된 탄성끈들(55, 56)의 타단에 스냅버튼(미도시) 또는 벨크로후크(159)를 형성하여 탄성끈들(55, 56)의 타단에 형성된 스냅버튼 또는 벨크로후크(159)를 머리띠전방부(301)의 양단의 일면에 형성된 스냅버튼결합부 또는 벨크로결합부(158, 160)에 결합하여 머리띠전방부(301)와 머리띠후방부(302)를 결합하였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는 머리띠전방부(301)로부터 머리띠후방부(302)가 부착 및 분리가능한 형태의 모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머리띠전방부(301)와 머리띠후방부(302)가 탄성끈(55, 56)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머리의 크기에 맞게 머리띠전방부(301)로부터 머리띠후방부(302)가 신장되어 착용감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에서 머리띠후방부(304)의 내측과 외측이 뒤집어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는 챙부(100)와 머리띠전방부(303) 및 머리띠후방부(304)로 구성된다.
챙부(100)의 내측으로 머리띠전방부(303)가 결합되며, 머리띠전방부(303)는 제1외측직물부(132)와 제1내측직물부(133)가 겹쳐진 구조로서 머리띠전방부(303)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삽입공간(35, 36)이 형성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의 챙부(100)와 머리띠전방부(303)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의 챙부 및 머리띠전방부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머리띠후방부(304)는 제2외측직물부(136)와 제2내측직물부(135)가 겹쳐져서 봉제되어 형성된다. 머리띠후방부(304)의 양측 단부들에 인접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상하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들은 하나의 탄성끈(57)으로 서로 연결된다. 탄성끈(57)은 탄성사로 제조된 탄성테이프 또는 고무줄 등이 될 수 있다.
머리띠후방부(304)의 양측 단부들을 연결하는 탄성끈(57)은 머리띠전방부(303)의 삽입공간(35, 36)에 위치하고, 따라서 머리띠후방부(304)의 양측 단부들은 탄성끈(57)에 의해 당겨지므로 머리띠전방부(303)의 삽입공간(35, 36)으로 머리띠후방부(304)의 양측 단부들이 삽입공간(35, 36)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는 머리띠후방부(304)의 일단에 탄성끈(57)의 일단을 봉제하고 탄성끈(57)의 타단을 머리띠전방부(303)의 삽입공간(35, 36)으로 관통시킨 후에 탄성끈(57)의 타단을 머리띠후방부(304)의 타단에 봉제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역시 머리띠전방부(303)에 대하여 머리띠후방부(304)가 신장될 수 있어서 착용감이 향상되며, 머리띠후방부(304)의 양측 단부를 머리띠전방부(303)의 삽입공간(35, 36)에서 빼낸 다음에 머리띠후방부(304)의 내측과 외측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모자를 양면으로 사용하여 두 개의 모자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머리띠후방부를 2겹의 직물을 겹쳐서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겹의 직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는, 챙부(4), 수용부(7) 및 머리띠(5)를 포함한다.
챙부(4)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의 챙부(100)와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부(7)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의 머리띠전방부(301)와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머리띠(5)는, 양면에 두 가지 이상의 색상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무늬로 형성되며, 수용부(7)의 삽입공간(71)에 끼워진다. 여기서, 머리띠(5)는 수용부(7)의 상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머리띠(5)의 양단을 연결하여 삽입공간(71)에 끼운 후 수용부(7)의 상단을 봉제하거나, 수용부(7)의 상단이 봉제 된 상태에서 머리띠(5)의 일단을 삽입공간(71)에 관통시킨 후 머리띠(5)의 양단을 봉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띠(5)는 삽입공간(7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며, 머리띠(5)의 외면에 형성된 색상 또는 무늬가 회전함으로써 다양한 패션 연출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는, 챙부(4), 수용부(7) 및 머리띠(6)를 포함한다.
챙부(4)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의 챙부(100)와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부(7)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의 머리띠전방부(301)와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머리띠(6)는, 양면에 한 가지 이상의 색상 및 무늬, 모양 또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양단이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머리띠(6)의 양단에 결합부재(이하 '벨크로'라 함)(61)가 설치되어 수용부(7)의 삽입공간(71)에 끼워진다. 즉, 머리띠(6)의 일단을 삽입공간(71)에 관통시킨 후 머리띠(6)의 양단에 설치된 벨크로(61)를 서로 연결하여 고리를 형성한다. 또한, 머리띠(6)를 삽입공간(71)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머리띠(6)를 뒤집어서 삽입공간(71)에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머리띠(6)는 삽입공간(71)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며 머리띠(6)의 내면과 외면이 서로 뒤바꿔줌으로써 다양한 패션 연출이 가능하다. 여기서, 머리띠(6)는 머리띠(6)의 사이즈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머리띠(6)의 양단에 긴 벨크로(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머리띠(6)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5실시 예에 따른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는, 머리띠(6)를 분리하지 않고 머리띠(6)가 삽입공간(71)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회전 가능하다. 즉, 머리띠(6)의 내면과 외면을 서로 바꾸는 것과 회전이 모두 가능하므로 더욱 다양한 패션 연출이 가능하다.
상술한, 제4 및 제5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머리띠(5, 6)는 신축가능한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띠(5, 6)가 구겨지지 않아서 삽입공간(71) 내에서 머리띠(5, 6)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으며, 또한 머리띠(5, 6)가 신축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였을 때 착용감이 향상된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4; 챙부 11; 봉제
301, 303; 머리띠전방부 132; 제1외측직물부
133; 제1내측직물부 32, 33, 35, 36, 71; 삽입공간
302; 머리띠후방부 135; 제2내측직물부
136; 제2외측직물부 55, 56, 57; 탄성끈
159; 벨크로후크 158, 160; 벨크로결합부
7; 수용부 5, 6; 머리띠

Claims (4)

  1. 챙부;
    상기 챙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띠 형태이며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머리띠전방부; 및
    띠 형태이며, 상기 머리띠전방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에 신축 가능한 탄성끈을 통해 고정되는 머리띠후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끈의 신축에 의해 상기 머리띠후방부의 양단을 상기 삽입공간에서 빼내거나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2. 챙부;
    상기 챙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띠 형태이며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머리띠전방부; 및
    띠 형태이며, 양단이 신축 가능한 탄성끈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탄성끈이 상기 삽입공간에 수용되는 머리띠후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3. 챙부;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챙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용부; 및
    양면 또는 어느 한 면에 둘 이상의 색채 또는 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끼워져 회전되거나 또는 뒤집는것이 가능한 머리띠;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띠를 회전시키거나 뒤집어서 겉으로 드러나는 머리띠의 색채 또는 무늬가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띠는,
    상기 삽입공간에서 뒤집기 및 회전이 용이하고 사이즈가 늘어나거나 줄어서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신축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KR1020100006897A 2009-06-29 2010-01-26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KR101069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35 2009-06-29
KR20090058135 2009-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57A KR20110001857A (ko) 2011-01-06
KR101069487B1 true KR101069487B1 (ko) 2011-09-30

Family

ID=4361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897A KR101069487B1 (ko) 2009-06-29 2010-01-26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4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032B1 (ko) 2005-11-08 2006-02-02 주식회사 유신모자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탄성밴드 및 이를 구비한 차양모자
KR200423848Y1 (ko) 2006-05-08 2006-08-11 박찬희 자외선차단모용 헤어밴드
KR200426423Y1 (ko) 2006-06-27 2006-09-19 박찬희 모자
KR20090097046A (ko) * 2008-03-10 2009-09-15 변형자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032B1 (ko) 2005-11-08 2006-02-02 주식회사 유신모자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탄성밴드 및 이를 구비한 차양모자
KR200423848Y1 (ko) 2006-05-08 2006-08-11 박찬희 자외선차단모용 헤어밴드
KR200426423Y1 (ko) 2006-06-27 2006-09-19 박찬희 모자
KR20090097046A (ko) * 2008-03-10 2009-09-15 변형자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57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7539B2 (en) Headband with 360-degree glitter pattern
US6256799B1 (en) Helmet covers
US6546563B2 (en) Sweat-absorbing headgear
MXPA05008985A (es) Atuendo para la cabeza.
KR101069487B1 (ko)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KR101369204B1 (ko) 착탈가능한 차양을 갖는 착용구
KR20120082068A (ko) 감촉이 좋은 머리띠
KR200440784Y1 (ko) 공간부가 형성된 양면모자
KR200418766Y1 (ko) 다용도모자
KR200459476Y1 (ko) 사이즈 조절 모자
KR200390299Y1 (ko) 회전모자
KR200439929Y1 (ko) 챙 변환 모자
TWM273448U (en) Elastic featuring longitudinal stretching
KR100471305B1 (ko) 모자
KR102299075B1 (ko)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KR101052741B1 (ko)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200157589Y1 (ko) 모자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AU2001100184A4 (en) Sweat-absorbing headgear
KR200443380Y1 (ko) 자유규격모자
CA2425962C (en) Elastically retained hat and band
JP6170269B1 (ja) 頭部保護具
JP6374755B2 (ja) 帽子の製造方法
KR200354334Y1 (ko)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