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075B1 -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 Google Patents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075B1
KR102299075B1 KR1020200162362A KR20200162362A KR102299075B1 KR 102299075 B1 KR102299075 B1 KR 102299075B1 KR 1020200162362 A KR1020200162362 A KR 1020200162362A KR 20200162362 A KR20200162362 A KR 20200162362A KR 102299075 B1 KR102299075 B1 KR 102299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fabric
circular
crown
mushroom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욱
Original Assignee
손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욱 filed Critical 손광욱
Priority to KR102020016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의 착용자가 자신의 취미를 외부로 직접 나타내거나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씌워지는 크라운부분과, 상기 크라운부분의 하부 전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크라운부분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는 챙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부분의 하부의 양쪽 위치에 각각 1개씩의 디자인표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디자인표출부는 가장 외곽에 위치한 원형버섯머리와, 상기 원형버섯머리에 덧씌워져 있고 외부로 개성이 있는 문자, 기호, 애니메이션 등을 표출할 수 있는 직물덮개부와, 상기 원형버섯머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크라운의 조각천을 관통하여 모자의 내부로 향하여 존재하는 결합부분과, 상기 결합부분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크라운의 조각천의 내부 안쪽에 고정되어지는 고정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Functional cap for giving a personal hobby}
본 발명은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의 착용자가 자신의 취미를 외부로 직접 나타내거나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사람의 머리에 쓰는 용도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모자(cap/hat)는 생활양식이 다양화되어지면서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이루기도 하고,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제조되기도 한다.
모자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거나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는 신체적인 보조용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자는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씌워지는 크라운부분과, 상기 크라운부분의 전면에 위치하고 착용자가 쉽게 모자를 잡을 수 있는 챙부분과, 상기 크라운부분의 하단 내부에 위치하고 모자의 둘레를 형성하게 되는 밴드부분과, 기타 상기 밴드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사이즈 조절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포츠 모자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분은 착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부분으로서 기본적으로 그 내부가 비어있는 돔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다수 개의 조각 천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조각천은 하단이 길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좁아져서 하나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조각천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돔형의 크라운을 형성하게 된다.
오늘날, 기존 모자의 경우, 그 크기가 정해져 있어서, 착용시에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사이즈 캡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프리 사이즈 캡의 가장 큰 특징은 종래의 스포츠 모자에 존재하던 별도의 사이즈 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자연스럽게 맞춰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크라운부분의 조각천들을 신축성 직물로 구성하거나, 밴드부분을 신축성 직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리 사이즈 모자는 제조업자 측에서는 사람의 머리 치수별로 다양하게 제작하지 않고, 단지 몇몇 크기의 모자를 생산하면 족하므로, 이를 표준화시킬 수 있어서 매우 만족할 수 있고, 사용자측에서는 자신이 그 사이즈를 조절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측면이 있어서 매우 만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유로 인하여, 프리 사이즈 모자는 종래 스포츠 모자에 익숙해 있던 소비자들에게 매우 큰 인기를 끌면서 빠른 속도로 사용자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기존 모자는 야외 스포츠가 활성화되어지면서 스포츠 모자로서 그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스포츠 모자 이외에, 정통 모자로서 머리부분의 크라운과 챙부분인 브림으로 구성된 햇(hat)이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절모로 잘 알려져 있는 모자라고 할 수 있다. 탑햇이나 페도라의 경우에도 일종의 햇이라고 할 수 있다.
모자의 기능은 착용자의 신체, 특히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순수한 모자의 기능을 벗어나 착용자의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지도 상당히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의 모자는 그것이 정통 모자에 속한 것이든, 아니면 오늘날 일반화되어 있는 스포츠 모자에 속한 것이든 상관없이, 착용자의 개성을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거나, 착용자의 개성을 드러날 수 있도록 보조해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모자를 발견할 수 없다.
사회생활이 복잡해지고, 개성의 표현이 나날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모자 착용자의 개성을 직접 표현해 주거나, 모자 착용자의 개성을 표출해 줄 수 있는 수단을 보조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모자의 등장은, 모자 착용자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시의적절한 시점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근래에는 사스 등과 같은 무서운 전염병이 발생되고 예측하지 못한 각종 대형사고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마스크는 개개인이 항상 휴대해야 하는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외출이나 여행을 할 경우에는 마스크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었고, 유독가스나, 병균,먼지 등과 같은 예측하지 못한 사고 발생의 우려에 따른 심리적, 정신적인 부담감이 따르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모자는 햇빛을 가리는 차양의 용도로만 생각하고 있으며, 오히려 모자를 착용할 경우 머리카락이 눌려 나쁘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모자를 착용하지 않으려고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558611호 (2006. 3. 2.); 특허등록 제10-567558호 (2006. 4. 7.); 특허등록 제10-587131호 (2006. 5. 29.); 특허등록 제10-607564호 (2006. 7. 25.); 특허등록 제10-2137590호 (2020. 7. 2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자의 착용자가 자신의 취미를 외부로 직접 나타내거나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기능성 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씌워지는 크라운부분과, 상기 크라운부분의 하부 전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크라운부분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는 챙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부분의 하부의 양쪽 위치에 각각 1개씩의 디자인표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디자인표출부는 가장 외곽에 위치한 원형버섯머리와, 상기 원형버섯머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크라운의 조각천을 관통하여 모자의 내부로 향하여 존재하는 결합부분과, 상기 결합부분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크라운의 조각천의 내부 안쪽에 고정되어지는 고정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형버섯머리는 외형상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외부 표면은 모자의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튀어나오면서 라운드 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표면에 모자 착용자가 선호하는 마크, 기호, 문자, 디자인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형버섯머리는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를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마크, 기호, 문자, 디자인 등은 상기 원형버섯머리의 표면에 이를 전사하거나, 인쇄하거나, 분체도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버섯머리는 그 위에 직물을 덧씌우고, 그 직물의 표면에 상기 마크, 기호, 문자, 디자인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자는 크라운 부분의 양쪽에 디자인표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모자 착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자는 상기 디자인표출부에 모자 착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부품을 걸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역시 모자 착용자가 자신의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스포츠 모자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통상적인 스포츠 모자의 전면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모자의 측면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자인표출부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모자의 착용자가 자신의 취미를 외부로 직접 나타내거나 자신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기능성 모자(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모자(100)는 스포츠 모자를 비롯한 캡형 모자와 중절모 스타일의 햇형 모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설명의 필요상 스포츠 모자를 비롯한 캡형 모자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모자를 개량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씌워지는 크라운부분(110)과, 상기 크라운부분의 하부 전면에 위치한 챙부분(120)을 가지고 있거나, 상기 크라운부분(110)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빙둘러서 위치하는 챙부분(120)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자를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부분(110)은 착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부분으로서, 대체로 6개의 조각천들(10-1)(10-2)(10-3)(10-4)(10-5)(10-6)을 서로 재봉질하여 결합시킨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조각천들 중에서 전면의 2개의 조각천(10-1)(10-2)을 짝으로 만들고, 후면의 2개의 조각천(10-5)(10-6)을 서로 짝으로 만들며, 이후 각각 좌측 중앙조각천(10-3)과 우측 중앙조각천(10-4)을 대고 재봉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서로 짝을 이루고 있는 각 조각천들은 재봉질에 의해 1차 재봉결합되어지고, 이러한 재봉결합은 통상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상기 1차 재봉결합의 좌우 양측에는 다시 2차 재봉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부분(110)을 이루고 있는 조각천들(10-1)(10-2)(10-3)(10-4)(10-5)(10-6)은 탄성직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조각천들이 탄성을 보유함으로써, 프리사이즈 캡을 이루는 기본적인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각천으로서는 탄성사인 위사와 비탄성사인 경사로 직조된 탄성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각천의 상단은 서로 꼭지점을 이루게 되지만, 그 하단부에는 탄성을 가진 밴드로 구성된 밴드부분(1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조각천의 위사를 이루게 되는 직물은 기준 사이즈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신축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라운 부분(110)을 이루고 있는 조각천들(10-1)(10-2)(10-3)(10-4)(10-5)(10-6)은 전면의 좌측조각천(10-1)과 우측조각천(10-2)이 서로 짝을 이루고 있고, 중앙의 좌측조각천(10-3)과 우측조각천(10-4)이 서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으면서 각각 전면의 좌측조각천(10-1)과 전면의 우측조각천(10-2)에 재봉질에 의한 결합관계를 이루고 있다. 한편, 후면의 좌측조각천(10-5)과 우측조각천(10-6)이 서로 짝을 이루고 있고, 이들은 각각 상기의 중앙의 좌측조각천(10-3)과 우측조각천(10-4)에 재봉질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크라운 부분(110)의 6개의 조각천 중에서 좌측 중앙조각천(10-3)과 우측 중앙조각천(10-4)에 각각 1개씩 디자인표출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자인표출부(200)는 모자의 착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모자의 장식을 위하여 직접 각종 마크, 기호, 문자, 애니메이션, 디자인 등을 하거나, 자신의 신체 장식을 위하여 사용하는 각종 악세서리 등을 치장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활용되어지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자인표출부(200)는 상기 크라운 부분(110)의 하부의 양쪽 위치에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자인표출부(200)는 모자의 조각천의 바깥쪽 외곽에 위치한 원형버섯머리(2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원형버섯머리(210)는 외형상 둥글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원형 단추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모자의 전체적인 형상이 둥근 형태이고, 이에 맞추어 둘글게 형성하는 것이 전체적인 모자의 일부로서 적절하기 때문이다.
상기 원형버섯머리(210)의 외부 표면은 모자의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튀어나오면서 라운드 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표면을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할 경우, 모자에서 입체감을 느낄 수 없고, 단순한 형태를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원형버섯머리(210)의 외형적인 형상은 식용버섯의 갓 머리와 비슷한 모양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원형버섯머리(210)의 외부 표면을 감싸고 있는 직물덮개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직물덮개부(220)는 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직물의 외부 표면에는 모자 착용자가 선호하는 마크, 기호, 문자, 액세서리, 디자인을 표현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어진다.
상기 직물덮개부(220)는 모자 착용자가 선호하거나, 자신의 개성을 외부에 노출시키고자 하는 마크, 기호, 문자, 애니메이션, 디자인 등을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모자는 상기 마크, 기호, 문자, 애니메이션, 디자인 등을 통하여, 모자의 착용자가 그 모자 자체에서 제공할 수 없는 자신의 독자적인 개성을 외부에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물덮개부(220)에 형성된 마크, 기호, 문자, 애니메이션, 디자인 등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직물의 표면에 인쇄방식이나 전사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직물에 바느질 기계 또는 수작업에 의해 자수 무늬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물덮개부(220)는, 위에서 설명한 원형버섯머리(210)를 금속 판재로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원형버섯머리(210)를 보호하는 기능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는 외부의 먼지 또는 수분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을 미리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직물덮개부(220)의 오염방지 기능은 상기 마크, 기호, 문자, 애니메이션, 디자인 등에 의한 착용자의 개성 내지 개인적인 취향을 외부로 드러내는 기능과 함께, 복합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디자인표출부(200)는 상기 원형버섯머리(21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크라운의 조각천을 관통하여 모자의 내부로 향하여 존재하는 결합부분(2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분(230)은 디자인표출부(200)의 최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원형버섯머리(210)와 디자인표출부(200)의 최하단부에 해당하는 고정부분(240)을 연결시키고 상호간에 결합시켜주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분(230)은 모자의 조각천을 관통하여 존재하고, 상기 모자의 조각천(10-3)(10-4)과 상기 원형버섯머리(210)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를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상기 조각천(10-3)(10-4)과 상기 원형버섯머리(210)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모자의 착용자가 다른 액세서리 등을 사용할 경우, 그 액세서리 등의 연결줄(50)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부분(230)은, 상기 원형버섯머리(210)를 식용 버섯의 버섯 갓으로 비유할 때, 식용버섯의 줄기부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표출부(200)는 상기 결합부분(23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각천(10-3)(10-4)의 내부 안쪽에 고정되어지는 고정부분(2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분(240)은 모자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고,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부분(240)의 모자의 조각천의 안쪽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버섯머리(210)를 식용 버섯의 버섯 갓으로, 그리고 상기 결합부분(230)을 식용버섯의 줄기부분으로 비유할 수 있다면, 상기 고정부분(240)은 식용버섯의 뿌리 부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자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하나씩의 디자인표출부(200)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자체로서 종래의 단순한 모자들과 차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자인표출부(200)를 상기 고정부분(240) - 상기 결합부분(230) - 상기 원형버섯머리(210) - 상기 직물덮개부(220)의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원형버섯머리(210)는 그 자체의 원형 형상을 제공하고, 그 위에 상기 직물덮개부(220)를 덧씌울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상기 직물덮개부(220)는 그 외부표면에 상기 마크, 기호, 문자, 애니메이션, 디자인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자의 착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이들을 선택적으로 선정하여 장식용 모자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분(230)은 모자의 조각천과 상기 원형버섯머리(210) 사이에 작은 틈새를 가지고 있어서, 그 틈새에 모자 착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적합한 액세서리를 착용하기 위한 연결줄(50)의 걸이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에서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썬글라스를 벗어서 모자 위에 올려놓거나, 또는 연결줄(50)을 이용하여 썬글라스를 매달리도록 하여, 썬글라스의 연결 걸이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늘날 미세먼지로 인한 공기오염을 방지하고 팬더믹 현상으로 인한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부재(마스크)를 착용하기 위한 연결줄(50)의 걸이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필터부재(마스크)를 착용하는 용도로 활용할 경우에는, 하루종일 이를 귀에 걸어서 사용할 경우 귀에 가해지는 통증을 없애주는 해결사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모자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 크라운부분, 120 : 모자 챙,
200 : 디자인표출부, 210 : 원형버섯머리,
220 : 직물덮개부, 230 : 결합부분,
240 : 고정부분, 50 : 연결줄

Claims (3)

  1.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씌워지는 크라운부분과, 상기 크라운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챙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크라운부분은 전면 좌측조각천(10-1)과 전면 우측조각천(10-2)이 서로 짝을 이루고 있고, 중앙 좌측조각천(10-3)과 중앙 우측조각천(10-4)이 서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으면서 각각 전면 좌측조각천(10-1)과 전면 우측조각천(10-2)에 재봉질에 의한 결합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후면 좌측조각천(10-5)과 후면 우측조각천(10-6)이 서로 짝을 이루고 있으면서 각각 상기 중앙 좌측조각천(10-3)과 중앙 우측조각천(10-4)에 재봉질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는 상기 중앙 좌측조각천(10-3)과 상기 중앙 우측조각천(10-4)의 하단에 대해서만, 각각 디자인표출부를 결합시키고 있으며;
    상기 디자인표출부의 구성으로서는, 상기 중앙 좌측조각천(10-3) 또는 상기 중앙 우측조각천(10-4)을 관통하여 모자의 내부로 향하는 결합부분과, 상기 결합부분에 결합되어 있고 최외곽에 위치하고 있는 원형버섯머리와, 상기 원형버섯머리의 외부를 직물로 감싸고 있는 직물덮개부와, 상기 결합부분에 결합되어 있고 모자의 안쪽에서 고정되는 고정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디자인표출부의 외형적인 형태로서는, 외형상 둥글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외부 표면이 모자의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튀어나오면서 라운드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직물덮개부는 상기 원형버섯머리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결합부분은 상기 크라운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분에 연결된 형태이며, 상기 원형버섯머리를 식용버섯의 버섯 갓으로 비유할 때, 상기 결합부분은 식용버섯의 줄기부분으로 비유되어지고, 상기 고정부분은 식용버섯의 뿌리부분으로 비유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디자인표출부의 결합관계는, 상기 원형버섯머리의 외부 표면을 상기 직물덮개부가 감싸고 있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원형버섯머리를 상기 중앙 좌측조각천(10-3) 또는 중앙 우측조각천(10-4)의 바깥쪽에서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분을 상기 크라운의 중앙 좌측조각천(10-3) 또는 중앙 우측조각천(10-4)의 안쪽에서 결합시킴으로써, 모자의 안쪽에서 모자의 바깥쪽의 방향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고정부분 - 상기 결합부분 - 상기 원형버섯머리 - 상기 직물덮개부(220)의 순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디자인표출부의 구성요소들의 결합위치관계는, 상기 크라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크라운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고정부분과, 상기 크라운을 관통하고있는 상기 결합부분과, 상기 크라운의 외부에 존재하는 상기 원형버섯머리 및 상기 직물덮개부(220)로 되어 있고;
    상기 디자인표출부의 기능으로서는, 상기 직물덮개부가 내부적으로는 상기 원형버섯머리를 보호하고 외부적으로는 마크, 기호, 문자, 디자인을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모자 착용자의 개성을 외부로 드러내는 이중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원형버섯머리는 모자의 원형 형상에 조화를 이루면서 상기 직물덮개부의 외형적인 형상을 원형버섯머리 형상으로 이끌어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결합부분이 모자 착용자의 썬글라스 안경 또는 마스크 필터부재를 걸어서 사용하는 걸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복합적인 다중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버섯머리는
    그 재질이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제조되어지고,
    외형상의 형태로서 원형을 선택하였는 바, 이는 모자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이므로, 모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따라 그에 조화로움을 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원형의 형태로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표출부의 기능은, 모자 착용자의 개성을 외부로 드러내는 디자인적인 기능과 모자 착용자의 썬글라스 또는 마스크 필터부재를 걸어서 사용하는 걸이기능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KR1020200162362A 2020-11-27 2020-11-27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KR10229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62A KR102299075B1 (ko) 2020-11-27 2020-11-27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62A KR102299075B1 (ko) 2020-11-27 2020-11-27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075B1 true KR102299075B1 (ko) 2021-09-06

Family

ID=7778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362A KR102299075B1 (ko) 2020-11-27 2020-11-27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07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7894A1 (en) * 2002-12-20 2004-06-24 Henry Kuo Cap fitted with magnetic means for ornamental badge decorated thereon
KR100558611B1 (ko) 2004-10-12 2006-03-10 오건석 마스크 겸용 모자
KR100567558B1 (ko) 2004-11-10 2006-04-07 오건석 마스크 겸용 모자
KR100587131B1 (ko) 2005-02-23 2006-06-08 주식회사 다다실업 이중구조 크라운을 가진 모자
JP2006193860A (ja) * 2005-01-13 2006-07-27 San Road:Kk 衛生キャップ
KR100607564B1 (ko) 2004-12-17 2006-08-01 성선경 다기능성 모자
KR200480309Y1 (ko) * 2015-03-06 2016-05-10 오재우 귀걸이용 고정구
KR102137590B1 (ko) 2019-05-03 2020-07-24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모자에 탈부착이 용이한 자외선 차단 투명 안면마스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7894A1 (en) * 2002-12-20 2004-06-24 Henry Kuo Cap fitted with magnetic means for ornamental badge decorated thereon
KR100558611B1 (ko) 2004-10-12 2006-03-10 오건석 마스크 겸용 모자
KR100567558B1 (ko) 2004-11-10 2006-04-07 오건석 마스크 겸용 모자
KR100607564B1 (ko) 2004-12-17 2006-08-01 성선경 다기능성 모자
JP2006193860A (ja) * 2005-01-13 2006-07-27 San Road:Kk 衛生キャップ
KR100587131B1 (ko) 2005-02-23 2006-06-08 주식회사 다다실업 이중구조 크라운을 가진 모자
KR200480309Y1 (ko) * 2015-03-06 2016-05-10 오재우 귀걸이용 고정구
KR102137590B1 (ko) 2019-05-03 2020-07-24 주식회사 재영엠엔씨 모자에 탈부착이 용이한 자외선 차단 투명 안면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3967C (en) Arm cover with attached or integral banner
US20060191057A1 (en) Hat/beret with opening for wearer's hair or synthetic hair
US20150026867A1 (en) Interchangeable Baseball Cap and Constructed Visor in One
US20110055999A1 (en) Scarf allowing changeful styling possibilities
US20060174397A1 (en) Headwear visor
US20140013486A1 (en) Reversible storage visor, cap and sun hat
US5729833A (en) Cap having a tactile and visual emblem
US6061830A (en) Fabric costume with exterior molded flexible three-dimensional components for partially receiving and masking at least one body portion
KR200437319Y1 (ko) 입과 코가 노출되는 햇볕가리개
US20140223636A1 (en) Reversible sun visor
US20040237172A1 (en) Sports fan headgear
KR102299075B1 (ko) 개인적인 취미를 발산할 수 있는 기능성 모자
US20110314583A1 (en) Self decorating swimsuit and method therefor
KR200440784Y1 (ko) 공간부가 형성된 양면모자
KR200418766Y1 (ko) 다용도모자
KR200469566Y1 (ko) 마스크 일체형 편직 모자
KR100471305B1 (ko) 모자
US20050235395A1 (en) Cap having a visor with soft inner edge
JP3209248U (ja) 帽子
KR200474537Y1 (ko) 착용감이 우수한 밀리터리 모자
CN219845204U (zh) 一种新型棒球帽
KR200198600Y1 (ko) 챙이 분리되는 모자
JP3207837U (ja) 水中ウォーキング用帽子
CN201192416Y (zh) 一种眼罩
KR200424300Y1 (ko) 햇빛 차단용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