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084B1 -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 Google Patents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084B1
KR102315084B1 KR1020210057882A KR20210057882A KR102315084B1 KR 102315084 B1 KR102315084 B1 KR 102315084B1 KR 1020210057882 A KR1020210057882 A KR 1020210057882A KR 20210057882 A KR20210057882 A KR 20210057882A KR 102315084 B1 KR102315084 B1 KR 102315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part
band
neck
fixing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김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주 filed Critical 김경주
Priority to KR1020210057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 전면부에 얇고 신축성 있는 밴드를 걸치고 뒷부분도 동일 밴드로 머리에 고정해서 목까지 늘어뜨려 착용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로 머리 조임이나 밀착없이 고정되어 격한 움직임에도 벗겨지거나 흘러내리지 않고, 얼굴·목·귀뿐 아니라 시중 마스크 착용 시 햇빛에 노출되기 쉬운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까지 보호되도록 설계되었으며 뜨거운 햇빛이나 운동으로 인해 생기는 머리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뒷면을 노출 시키고, 착용 시 움직임이 클 경우, 출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별 목둘레에 맞게 체결토록 벨크로로 구성되게 한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 아래 안면과 쇄골 뼈와 목둘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로로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코 아래부터 입 부분을 포함한 안면부를 덮는 하측 가림부(20)와, 상기 하측 가림부(20)의 상부측에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귀와 코, 양쪽 관자놀이, 광대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측 가림부(10)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목둘레를 감싸면서 뒤통수 전체 노출을 위해 분리된 좌하측 가림부(30)와 우하측 가림부(40)가 하측 가림부(20)의 측단 및 상측 가림부(10) 하단 양측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일체화되며, 상기 양측 가림부(30,40)의 고정을 위해 좌하측 가림부(30)와 우하측 가림부(40)의 상호간 대응되는 상단측 위치에 고정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 가림부(10)를 모자 챙(5)이 형성된 전면부(1)에 걸쳐 밀착고정하기 위한 탄성 밴드부(14)와, 상기 탄성 밴드부(14)를 감싸 수용하여 탄성 밴드부(14)의 동작을 지지하는 밴드 고정부(12)가 상측 가림부(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해결수단으로 제시한다.

Description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UV-blocking mask that protects the face and neck at the same time by attaching a band to the front of the hat}
본 발명은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 전면부에 얇고 신축성 있는 밴드를 걸치고 뒷부분도 동일 밴드로 머리에 고정해서 목까지 늘어뜨려 착용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로 머리 조임이나 밀착없이 고정되어 격한 움직임에도 벗겨지거나 흘러내리지 않고, 얼굴·목·귀뿐 아니라 시중 마스크 착용 시 햇빛에 노출되기 쉬운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까지 보호되도록 설계되었으며 뜨거운 햇빛이나 운동으로 인해 생기는 머리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뒷면을 노출 시키고, 착용 시 움직임이 클 경우, 출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별 목둘레에 맞게 체결토록 벨크로로 구성되게 한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햇빛이 강한 계절에 실외에서 장시간 활동하거나 야외 운동(테니스, 골프, 트레킹, 등산 등)으로 햇볕에 노출되는 얼굴 및 드러난 일부 피부는 검게 타거나 기미, 반점 등이 생기고, 햇빛 알러지를 유발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를 착용한다.
현재 시중에 나오는 마스크는 다양한 형태로 시판되고 있는데 귀에 걸어 코·입만 가리는 앞면 마스크, 귀에 걸어 코·입 및 목을 한번에 감싸주는 원통형 제품, 귀에 걸어 코·입을 가리고 목둘레를 묶는 형식 또는 창에 걸어 눈이 노출되도록 하는 원통형(넥워머 형식)의 제품이다.
귀에 걸어 코, 입만 가리는 앞면 마스크 제품은 모자 창으로 가려지지 않는 귀와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이 자주 노출되기 쉽고, 목 커버는 불가능하면 장시간 작용 시 귀에 걸리는 부분에 통증을 유발한다.
귀에 걸어 코·입 및 목을 한번에 감싸주는 원통형 제품은 눈 아래부터 목까지 햇빛은 차단되나 귀와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이 자주 노출되기 쉽고 장시간 작용 시 귀에 걸리는 부분에 통증을 유발한다.
귀에 걸어 코·입을 가리고 목둘레를 묶는 형식은 눈 아래부터 목까지 햇빛은 차단되나 귀와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이 자주 노출되기 쉽고, 목 뒷부분을 앞면과 연장된 천으로 묶는 방식이라 매듭으로 인해 일부 햇빛에 노출된다. 또한 장시간 작용 시 귀에 걸리는 부분에 통증을 유발한다.
창에 걸어 눈이 노출되도록 하는 원통형(넥워머 형식)의 제품은 창에 걸쳐 귀와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은 차단되지만 머리부터 목까지 뒤집어쓰는 형태로 착용 및 탈의가 불편하고, 너무 심한 밀착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답답함을 느끼는 문제가 있고, 머리 뒷부분까지 감싸게 되어 더운 날씨 운동으로 받은 머리열을 발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9-006376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90048호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해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격한 운동에도 거슬림 없이 고정되고 햇빛에 노출된 피부를 최대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되 머리 열은 발산할 수 있는 가볍고 시원한 소재로 제조되어, 모자 앞창에 밴드를 걸치고 뒷 밴드로 머리에 고정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격렬한 운동에도 호흡이 용이하며, 운동과 뜨거운 햇빛으로 인한 머리 열로 답답할 수 있는 머리 뒷부분 전체를 노출시키고 코·입·귀, 목둘레 및 쇄골 뼈까지 감싸지도록 한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 아래 안면과 쇄골 뼈와 목둘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코 아래부터 입 부분을 포함한 안면부를 덮는 하측 가림부(20)와, 상기 하측 가림부(20)의 상부측에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귀와 코, 양쪽 관자놀이, 광대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측 가림부(10)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목둘레를 감싸면서 뒤통수 전체 노출을 위해 분리된 좌하측 가림부(30)와 우하측 가림부(40)가 하측 가림부(20)의 측단 및 상측 가림부(10) 하단 양측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양측 가림부(30,40)의 고정을 위해 좌하측 가림부(30)와 우하측 가림부(40)의 상호간 대응되는 상단측 위치에 고정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 가림부(10)를 모자 챙(5)이 형성된 전면부(1) 및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걸쳐 밀착고정하기 위한 탄성 밴드부(14)와, 상기 탄성 밴드부(14)를 감싸 수용하여 탄성 밴드부(14)의 동작을 지지하는 밴드 고정부(12)가 상측 가림부(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측 가림부(20)는 코 아래부터 입 부분을 덮는, 사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부분으로 격한 운동에도 호흡이 용이하도록 매쉬원단으로 코 아랫부분부터 입을 가로질로 쇄골 뼈까지 내려오도록 세로로 길게 재단되어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에 봉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는 목둘레를 감싸고 뒤통수 전체 노출을 위해 분리 형성되어 경추(목등뼈)에서 만나 위아래로 겹쳐 양측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부착고정되고, 상기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는 뒤통수 좌측 및 우측 아래 가장자리 라인과 대응되도록 상단테두리부가 하향진 라운드 형식으로 재단되고, 하측 가림부(20)의 좌측 및 우측 시접선과 마주하여 봉제로 연결되며, 각각 벨크로테이프의 암수가 부착되고, 상기 상측 가림부(10)는 아랫 시접선과 맞닿지 않는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의 윗부분을 연결하여 라운드 형식으로 재단함으로써 노출되기 쉬운 귀 아래 목선부분도 차단이 가능하며 조임이나 피부 밀착 없이 덮히도록 구성되어지되, 상측 가림부(10)는 하측 가림부(20)와 같은 매쉬원단으로 형성되고, 상측 가림부(10)의 중앙은 눈만 노출되고 눈을 제외한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 모자 창으로 그늘이 드리워지지 않는 눈 아랫부분까지 보호하기 위해 “
Figure 112021093638905-pat00012
”형상인 반원모양으로 개방부(16)가 형성되고, 탄성 밴드부(14)는 탄성 밴드부(14) 정면과 상부측 중앙 개방부(16)를 모자 전면부(1)에 통과시켜 탄성 밴드부(14)의 정면을 전면부(1)에 걸치고 탄성 밴드부(14)의 뒷면을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밀착되도록 직선형 탄성밴드를 봉제로 연결하여 만들어져 원통형 형상을 이루게 하되, 탄성 밴드부(14)는 모자 전면부(1) 및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걸쳐져 밀착되는 형태이므로 단단한 탄성으로 인한 두통유발을 방지하도록 시접처리용으로 쓰이는 신축성 좋고 얇은 접밴드를 사용하고, 상기 모든 봉제와 하측 가림부(20)의 가장자리 마감처리는 오드람프(무시접) 봉제로 처리되어 피부에 쓸리는 현상을 포함한 불편 없이 가볍고, 격한 활동에도 편안한 착용감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해결수단으로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자 전면부에 걸쳐 머리에 두르는 원통형 밴드로 고정되므로 격한 움직임에도 흘러내리거나 밀착 없이 착용 가능하게 되며, 밴드를 걸쳐서 착용함으로써 뒤집어쓰는 원통형 마스크에 비해 착용 시 머리 스타일에 흐트러짐 없이 유지할 수 있고, 착용 중 마스크 내부가 피부를 쓸어내리지 않아 피부 화장이나 차단제가 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뜨거운 햇빛 아래 장시간 활동하거나 격한 운동을 하면서 발생하는 머리 열로 인해 땀과 열로 답답할 수 있는 머리 뒷부분 전체를 노출시켜 열을 발산할 수 있고, 고정용 앞 밴드를 모자 앞창에 걸쳐 창 밑 두 눈만 노출되도록 되어 일반 귀걸이 마스크로 노출되기 쉬운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과 귀, 목둘레를 감싸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격렬한 운동에도 호흡이 용이하도록 코·입 부분에 호흡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여 호흡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의 정면 전개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을 위한 조립상태 측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자 전면부에 고정용 밴드를 걸쳐서 착용한 정면 사용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용 밴드가 뒤통수에 고정되고, 뒤통수가 노출되며 벨크로로 목둘레가 체결되도록 착용한 배면 사용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용 앞·뒤 밴드가 모자와 머리에 고정되도록 착용한 측면 사용상태 예시도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햇빛 아래 장시간 활동이나 운동은 실외 노동, 산책, 트레킹이나 골프, 테니스, 등산, 낚시, 달리기, 자전거타기 등 햇빛에 노출되는 모든 야외 활동 대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 아래 안면과 쇄골 뼈와 목둘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측 가림부(20)가 형성된다.
하측 가림부(2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귀와 코, 양쪽 관자놀이, 광대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
Figure 112021093638905-pat00001
”형상을 갖는 상측 가림부(10)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 가림부(10)를 모자 챙(5)이 형성된 전면부(1) 및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걸쳐 밀착고정하기 위한 탄성 밴드부(14)와, 그 탄성 밴드부(14)를 감싸 수용하여 탄성 밴드부(14)의 동작을 지지하는 밴드 고정부(12)가 상측 가림부(10)의 상단에 형성된다.
하측 가림부(20)는 도 1에서처럼 중앙부에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5에서처럼 코 아래부터 입 부분을 덮는, 즉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어주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목둘레를 감싸면서 뒤통수 전체 노출을 위해 분리된 좌하측 가림부(30)와 우하측 가림부(40)가 하측 가림부(20)의 측단 및 상측 가림부(10) 하단 양측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일체화되고, 양측 가림부(30,40)의 고정을 위해 좌하측 가림부(30)와 우하측 가림부(40)의 상호간 대응되는 상단측 위치에 고정부재(50)가 구비된다. 위 고정부재(50)의 일예로서 도 1, 도 4에서처럼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된다.
위 하측 가림부(20),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는 도 1에서처럼 수평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전체가 하측으로 규정되며, 상측은 위 상측 가림부(10)로 규정된다.
위 상측 가림부(10), 하측 가림부(20),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측 가림부(20)는 도 1, 도 5에서처럼 코 아래부터 입 부분을 덮는, 사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부분으로 격한 운동에도 호흡이 용이하도록 매쉬원단(미세한 구멍이 직조되어 바람이 통과하도록 제직된 천)으로 코 아랫부분부터 입을 가로질로 쇄골 뼈까지 내려오도록 세로로 길게 재단되어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에 봉제로 연결되도록 제작된다.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는 도 1, 도 5 및 도 6에서처럼 목둘레를 감싸고 뒤통수 전체 노출을 위해 분리되도록 설계 되었으며, 양측 가림부(30,40)는 도 4에서처럼 경추(목등뼈)에서 만나 위아래로 겹쳐 양측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부착고정된다. 이러한 분리된 양측 가림부(30,40) 때문에 머리 열 발산을 위한 뒤통수 전체가 노출 가능하고, 더운 날씨에 주로 입는 칼라가 없는 상의로 노출되는 목둘레를 빈틈없이 에워싸 자외선 차단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위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는 뒤통수 좌측 및 우측 아래 가장자리 라인과 대응되도록 상단테두리부가 하향진 라운드 형식으로 재단되고, 하측 가림부(20)의 좌측 및 우측 시접선과 마주하여 봉제로 연결되며, 각각 벨크로테이프의 암수가 부착된다.
양측 벨크로테이프는 경추(목등뼈)에서 만나 아래위로 겹쳐서 양측 가림부(30,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수단으로 사용되며, 보들보들한 암(loop)과, 까슬까슬한 수(hook)로 구성되어 있다. 양측 벨크로테이프의 겹쳐지는 부분이 좌,우의 우선순위는 없지만 오른손잡이가 많은 일반적인 조건을 감안하여 좌하측 가림부(30)의 원단 겉면에, 그리고 우하측 가림부(40)의 속면에 벨크로테이프를 각각 봉제하여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하측 가림부(40)의 가장자리 마감 처리된 우측 상단 모서리의 원단 속면에 부착하는 우측 벨크로테이프는 사용자가 체결 시 원단의 손상이나 피부 긁힘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부드러운 질감의 벨크로-암(loop)을 부착하여야 하고, 좌하측 가림부(30)의 가장자리 마감 처리된 좌측 상단 모서리의 원단 겉면에 부착하는 좌측 벨크로테이프는 사용자의 목둘레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하기 위해 까슬까슬한 촉감의 수(hook)로 우측 벨크로테이프(암)의 약 2배 길이로 가로로 길게 재단되어 봉제되게 구성한다.
상측 가림부(10)는 아랫 시접선과 맞닿지 않는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의 윗부분을 연결하여 라운드 형식으로 재단함으로써 노출되기 쉬운 귀 아래 목선부분도 차단이 가능하며 조임이나 피부 밀착 없이 덮여져 자연스럽게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측 가림부(10)는 귀와 코, 양쪽 관자놀이, 광대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
Figure 112021093638905-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머리 앞쪽(이마측)에 밀착되는 모자 전면부(1) 및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걸쳐 마스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인 탄성 밴드부(14)와, 그 탄성 밴드부(14)를 감싸 수용하여 탄성 밴드부(14)의 동작을 지지하는 밴드 고정부(12)가 구성된다.
상측 가림부(10)는 하측 가림부(20)와 같은 시원한 자외선 차단용 원단을 사용하나 자외선에 노출되기 쉬운 도출부가 많은 곳(광대뼈, 코, 귀 등)을 자외선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원단을 두 겹으로 재단하고 각 원단 겉면을 마주보고 봉제하여 뒤집은 뒤 하측 가림부(20)와 봉제하여 연결한다. 상측 가림부(10)는 두 겹으로 재단하여 봉제 후 뒤집었으므로 가장자리 마감처리를 따로 할 필요는 없다.
상측 가림부(10)의 중앙은 도 1, 도 5, 도 7에서처럼 눈만 노출되고 눈을 제외한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 모자 창으로 그늘이 드리워지지 않는 눈 아랫부분까지 보호하기 위해 반원 모양으로 개방부(16)가 형성된다.
밴드 고정부(12)는 상측 가림부(10)의 중앙에 형성된 반원형 개방부(16)의 양 옆에 위치하고, 도 2, 도 7에서처럼 착용 시 양쪽 관자놀이와 귀를 보호하도록 원통형으로 밴드 고정부(12)를 형성토록 한다.
밴드 고정부(12)는 탄성 밴드부(14)를 봉제하여 고정하는 부분으로 겉에서 안으로 밴드 고정부(12)의 높이만큼 접은 다음 탄성 밴드부(14)를 원통형으로 연결한 시접부분이 안보이도록 접은 밴드 고정부(12) 안에 넣어 봉제하면 원통형 입체 형상이 갖춰진다.
탄성 밴드부(14)는 도 5에서처럼 탄성 밴드부(14) 정면과 상부측 중앙 개방부(16)를 모자 전면부(1)에 통과시켜 탄성 밴드부(14)의 정면을 전면부(1)에 걸치고 탄성 밴드부(14)의 뒷면을 도 6에서처럼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밀착되도록 직선형 탄성밴드를 봉제로 연결하여 만들어져 원통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탄성 밴드부(14)는 모자 전면부(1) 및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걸쳐져 밀착되는 형태이므로 모자를 쓰는 형식으로 착용하는데 일반적으로 결이 있는 고무밴드를 사용할 경우 단단한 탄성으로 인한 머리의 조임을 느껴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고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시접처리용으로 주로 쓰이는 신축성 좋고 얇은 접밴드를 사용하면 머리의 조임 해소는 물론 이마와 뒤통수에 밀착되는 부분이 매끄럽고 편안하여 착용자의 기존 머리스타일을 그대로 유지 할 수 있고 탈의 시에도 머리스타일 변형이 적다. 또한 넥워머처럼 덮어 쓰는 형식이 아니라 쓰면서 발생하는 마찰이나 정전기 발생, 피부에 닿음으로써 피부 화장을 쓸어 마스크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밴드부(14)를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모자의 후면부(3)가 밀착되는 사용자의 뒤통수에는 탄성 밴드부(14) 뒷면만 고정되어 있어 열 발산을 위한 노출에 더욱 유리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에서처럼 위 상측 가림부(10) 및 하측 가림부(20)는 사용자의 눈 아래에서 쇄골 뼈까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착용 시 입체적인 원통형의 형상을 갖지만 목 뒷부분을 벨크로테이프로 체결 부착고정하므로 평면 재단이 가능하다.
위의 명시된 모든 봉제와 하측 가림부(20)의 가장자리 마감처리는 일반 봉제 또는 오드람프(무시접) 봉제로 처리되어 피부에 대한 불편 없이 가볍고 편안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오드람프(faltlock stich) 봉제는 네 개의 윗실과 두 개의 밑실이 얽혀서 만들어지는 봉제 방법으로 원단과 원단 사이에 이어주는 시접 부분을 오드람프 봉제를 통해 피부에 쓸리는 현상 없이 격한 활동에도 착용감이 좋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상측 가림부(10) 및 하측 가림부(20)의 원단은 신축성 있고 자외선 차단이 되며 흡습속건 기능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며 사용자의 움직임 중 지속적인 쾌적함을 부여하므로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착용 시 상호 의사소통에 불편함이 없고, 호흡이 용이하며, 휴대가 간편하며 착용 시에 편안한 착용감과 신축성을 가져 피부에 달라붙지 않아 특정부위를 조이는 현상이 없어 장시간 착용 시에도 아무런 불편함이 없게 된다.
이에 원단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신축성 있고 흡습속건의 자외선 차단용 기능성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우레탄 혼방 원단으로 제조되거나 천연섬유사인 레이온 혼방사로 제조될 수 있다.
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 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산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상측 가림부 12: 밴드 고정부
14: 탄성 밴드부 20: 하측 가림부
30: 좌하측 가림부 40 : 우하측 가림부
50 : 고정부재

Claims (6)

  1. 사용자의 코 아래 안면과 쇄골 뼈와 목둘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코 아래부터 입 부분을 포함한 안면부를 덮는 하측 가림부(20)와, 상기 하측 가림부(20)의 상부측에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귀와 코, 양쪽 관자놀이, 광대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측 가림부(10)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목둘레를 감싸면서 뒤통수 전체 노출을 위해 분리된 좌하측 가림부(30)와 우하측 가림부(40)가 하측 가림부(20)의 측단 및 상측 가림부(10) 하단 양측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양측 가림부(30,40)의 고정을 위해 좌하측 가림부(30)와 우하측 가림부(40)의 상호간 대응되는 상단측 위치에 고정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 가림부(10)를 모자 챙(5)이 형성된 전면부(1) 및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걸쳐 밀착고정하기 위한 탄성 밴드부(14)와, 상기 탄성 밴드부(14)를 감싸 수용하여 탄성 밴드부(14)의 동작을 지지하는 밴드 고정부(12)가 상측 가림부(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측 가림부(20)는 코 아래부터 입 부분을 덮는, 사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부분으로 격한 운동에도 호흡이 용이하도록 매쉬원단으로 코 아랫부분부터 입을 가로질로 쇄골 뼈까지 내려오도록 세로로 길게 재단되어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에 봉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는 목둘레를 감싸고 뒤통수 전체 노출을 위해 분리 형성되어 경추(목등뼈)에서 만나 위아래로 겹쳐 양측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부착고정되고,
    상기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는 뒤통수 좌측 및 우측 아래 가장자리 라인과 대응되도록 상단테두리부가 하향진 라운드 형식으로 재단되고, 하측 가림부(20)의 좌측 및 우측 시접선과 마주하여 봉제로 연결되며, 각각 벨크로테이프의 암수가 부착되고,
    상기 상측 가림부(10)는 아랫 시접선과 맞닿지 않는 좌하측 가림부(30) 및 우하측 가림부(40)의 윗부분을 연결하여 라운드 형식으로 재단함으로써 노출되기 쉬운 귀 아래 목선부분도 차단이 가능하며 조임이나 피부 밀착 없이 덮히도록 구성되어지되, 상측 가림부(10)는 하측 가림부(20)와 같은 매쉬원단으로 형성되고, 상측 가림부(10)의 중앙은 눈만 노출되고 눈을 제외한 양쪽 관자놀이와 광대뼈 윗부분, 모자 창으로 그늘이 드리워지지 않는 눈 아랫부분까지 보호하기 위해 “
    Figure 112021093638905-pat00013
    ”형상인 반원모양으로 개방부(16)가 형성되고,
    탄성 밴드부(14)는 탄성 밴드부(14) 정면과 상부측 중앙 개방부(16)를 모자 전면부(1)에 통과시켜 탄성 밴드부(14)의 정면을 전면부(1)에 걸치고 탄성 밴드부(14)의 뒷면을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밀착되도록 직선형 탄성밴드를 봉제로 연결하여 만들어져 원통형 형상을 이루게 하되, 탄성 밴드부(14)는 모자 전면부(1) 및 사용자의 뒤통수 상부측에 걸쳐져 밀착되는 형태이므로 단단한 탄성으로 인한 두통유발을 방지하도록 시접처리용으로 쓰이는 신축성 좋고 얇은 접밴드를 사용하고,
    상기 모든 봉제와 하측 가림부(20)의 가장자리 마감처리는 오드람프(무시접) 봉제로 처리되어 피부에 쓸리는 현상을 포함한 불편 없이 가볍고, 격한 활동에도 편안한 착용감을 유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정부(12)는 상측 가림부(10)의 중앙에 형성된 반원형 개방부(16)의 양 옆에 위치하고, 착용 시 양쪽 관자놀이와 귀를 보호하도록 원통형으로 밴드 고정부(12)를 형성토록 하며, 밴드 고정부(12)는 탄성 밴드부(14)를 봉제하여 고정하는 부분으로 겉에서 안으로 밴드 고정부(12)의 높이만큼 접은 다음 탄성 밴드부(14)를 원통형으로 연결한 시접부분이 안보이도록 접은 밴드 고정부(12) 안에 넣어 봉제하여 원통형 입체 형상이 갖춰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20210057882A 2021-05-04 2021-05-04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2315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882A KR102315084B1 (ko) 2021-05-04 2021-05-04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882A KR102315084B1 (ko) 2021-05-04 2021-05-04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084B1 true KR102315084B1 (ko) 2021-10-20

Family

ID=7826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882A KR102315084B1 (ko) 2021-05-04 2021-05-04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0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760A (ko) 2007-12-14 2009-06-18 황태명 기능성 마스크
KR20090011468U (ko) * 2008-05-07 2009-11-11 최만기 방충용 낚시모자
KR20100001044U (ko) * 2008-07-22 2010-02-01 박장호 모자용 햇빛 가리개
KR20120136489A (ko) * 2011-06-09 2012-12-20 박윤화 안면 전체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140006004U (ko) * 2013-05-22 2014-12-02 임재주 모자용 햇빛가리개
KR200490048Y1 (ko) 2018-10-23 2019-09-16 김민철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760A (ko) 2007-12-14 2009-06-18 황태명 기능성 마스크
KR20090011468U (ko) * 2008-05-07 2009-11-11 최만기 방충용 낚시모자
KR20100001044U (ko) * 2008-07-22 2010-02-01 박장호 모자용 햇빛 가리개
KR20120136489A (ko) * 2011-06-09 2012-12-20 박윤화 안면 전체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140006004U (ko) * 2013-05-22 2014-12-02 임재주 모자용 햇빛가리개
KR200490048Y1 (ko) 2018-10-23 2019-09-16 김민철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128A (en) Protective headwear
US5875493A (en) Modular head covering system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US4821341A (en) Sun-visor and headpiece combination and package therefor
US5669075A (en) Hat providing ultra violet radiation protection
US7096511B2 (en) Article of clothing
US7055179B2 (en) Headwear with integrated elasticized sweatband
US10463091B2 (en) Face cover
US20070074326A1 (en) Headgear With Cooling Device
US9839245B2 (en) Ear warming headwear having retention means for securing same in an ear-covering position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101501238B1 (ko) 군사용 위장 마스크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445739Y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JP3093350U (ja) マスク付着型紫外線遮断帽子
US11712081B1 (en) Head covering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JP3136084U (ja) 顔面遮光布
KR102003183B1 (ko) 안면마스크
KR101621521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200442276Y1 (ko) 귀 가리개가 부착된 안면 햇볕가리개
KR101261478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CN218164372U (zh) 一种带围巾的针织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