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466B1 -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 Google Patents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466B1
KR101297466B1 KR1020120121264A KR20120121264A KR101297466B1 KR 101297466 B1 KR101297466 B1 KR 101297466B1 KR 1020120121264 A KR1020120121264 A KR 1020120121264A KR 20120121264 A KR20120121264 A KR 20120121264A KR 101297466 B1 KR101297466 B1 KR 10129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earer
inlet hole
hood
hoo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외남
Original Assignee
손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외남 filed Critical 손외남
Priority to KR102012012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1Peakless soft head coverings, e.g. turbans or ber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절기 외출이나 스포츠 레저활동시 방한 및 호흡기 질환 감염방지 기능을 위하여 착용하게 되는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 있게 스판 재질로 편성되는 두건부를 구비하고, 상기 두건부는 상하 영역을 양분하여 하부 두건부(10)와 상부 두건부(20)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하부 두건부(10)는 착용자의 목과 가슴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가슴에 이르는 거리만큼 하향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 두건부(20)는 하부 두건부의 상방에서 착용자의 목과 코, 입에 이르는 부위를 일괄적으로 감쌀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두건부(20)에는 착용자의 코와 입이 내접되는 전면 영역을 절개 형성하여 하나의 마스크부(30)로 구분 구획하고, 상기 마스크부(30)에는 착용자의 귀에 거치되는 고정끈(31)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A moisturizing mask}
본 발명은 동절기 외출이나 스포츠 레저활동시 방한 및 호흡기 질환 감염방지 기능을 위하여 착용하게 되는 보습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러한 보습마스크의 종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하나의 일체화된 마스크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각 공간별로 다양하게 분리가 되는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보다 알맞은 형태의 마스크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유도하므로 사용상 그 효율성이 극대화될 뿐 아니라, 더욱이 착용자 양 귀에 거치되는 끈 조절이 자유로우면서도 이러한 끈의 체결 구조를 다양화함에 따라 사용자의 코와 입, 턱 부위를 기밀성이 가장 우수한 형태로 감싸게 되므로 마스크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는데 주된 특성을 부여한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 외출이나 레저 활동을 위한 보습마스크가 제시되어 왔으나, 종래의 보습마스크는 원단절개에 의한 봉제선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심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안면 부위 중 돌출된 코와 입을 동시에 밀폐시켜 밀착 착용함에 따라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예컨대, 근래 들어 동절기에 가장 많이 즐기는 스포츠 중 하나인 스키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스키는 비교적 날씨가 추운 산악 지역이나 계곡 등지에서 즐기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인체의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보온 장비가 필수적이다. 이 중에서도, 안면의 보호가 필수적인바 이를 위해 각종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릴 수 있는 형상의 합성수지재로된 마스크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이를 안면에 착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재 스키용 마스크는 착용시, 인체의 호흡기로부터 발생하는 습기나 외부에서 발생하는 습기에 의해 마스크에 형성된 통기공이 쉽게 막혀 호흡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합성수지재의 특성에 의해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가 흘러내리는 불편함과 함께, 마스크로 보호할 수 있는 부위가 한정되어 있어 보온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을 포함한 목, 어깨 상단부위 등에 이르기까지 다소 광범위한 신체 영역을 보온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그 크기가 비대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상 그 편의성이 강조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성에만 중점을 주는 정도의 마스크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이러한 기능의 마스크는 보통 스키장이나 기타 추위 정도가 매우 심한 장소에서 필요로 될 뿐, 평상시 감기 등의 질병으로 인해 안면을 보호하는 정도의 것으로는 사용이 불편하게 되므로 이와 관련해 치명적인 폐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착용자의 안면을 포함한 목, 어깨 등의 광범위한 영역을 적절히 커버하여 보온을 행하면서도 경우에 따라 특정 부위별로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한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보습마스크로부터 분리되어 하나의 또 다른 마스크로서 기능하게 되는 마스크부에 고정끈의 체결구조를 새로이 제시함으로써 착용자 안면에 보다 강화된 결속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아울러,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되면서 기밀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신축성 있게 스판 재질로 편성되는 두건부를 구비하고, 상기 두건부는 상하 영역을 양분하여 하부 두건부(10)와 상부 두건부(20)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하부 두건부(10)는 착용자의 목과 가슴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가슴에 이르는 거리만큼 하향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 두건부(20)는 하부 두건부의 상방에서 착용자의 목과 코, 입에 이르는 부위를 일괄적으로 감쌀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두건부(20)에는 착용자의 코와 입이 내접되는 전면 영역을 절개 형성하여 하나의 마스크부(30)로 구분 구획하고, 상기 마스크부(30)에는 착용자의 귀에 거치되는 고정끈(31)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 두건부(20)와 하부 두건부(10), 상부 두건부(20)와 마스크부(30) 각각은 서로 밸크로(2)를 통해 탈부착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 두건부(20)는 착용자 뒤통수 부근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하 절개 형성하고 절개된 해당 영역에 밸크로(2)를 채용하여 상호 중첩 배치에 따라 탈부착 되게 하되, 상기 밸크로(2)는 연속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착용자 뒤통수에 밀접하는 두건부의 밸크로에는 뒤통수 방향으로 함몰되는 굴곡면에 수개의 침(2a)을 더 위치시켜 상하 절개된 두건부의 측 방향에 대한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마스크부(30)의 고정끈(31)은 마스크부 하단에서 라운드 형상으로 중공부를 구축한 하단유입홀(32)의 일측에 끼워져 마스크부 하단을 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경유한 뒤 하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되어 마스크부 상단에서 직선형으로 중공부를 구축한 상단유입홀(33)의 일측에 끼워지고, 상단유입홀의 일측으로 진입된 고정끈은 측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되어 재차 상단유입홀 아래쪽에 위치한 하단유입홀의 일측에 끼워져 마스크부 하단을 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경유한 후 하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끈(31)의 각 단부에는 조임부재(35)를 채용하여 착용자의 양쪽 귀 밑에서 고정끈의 각 단부를 잡아당김에 따라 귀의 거치상태를 강화하면서도 턱 라인을 따라 마스크부가 기밀하게 조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마스크부(30)의 고정끈(31)은 마스크부 하단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분되어 해당 둘레면을 따라 각각의 중공부를 구축한 하단유입홀(32)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경유한 뒤 인출되어 마스크부 상단에서 직선형으로 중공부를 구축한 상단유입홀(33)의 일측에 끼워지고, 상단유입홀의 일측으로 진입된 고정끈은 측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된 후 하방에 위치된 또 다른 하단유입홀에 끼워져 마스크부 하단의 중심 영역에서 인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고정끈이 끼워지고 인출되는 상단유입홀(33)의 양측 단부에서는 해당 고정끈(31)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합 처리되며, 마스크부(30) 하단의 중심 영역에서 집결되는 고정끈의 각 단부에는 하나의 조임부재(35)를 더 채용하여 상기 고정끈을 착용자의 턱 부근에서 하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귀의 거치상태를 강화하면서도 턱 라인을 따라 마스크부가 기밀하게 조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단유입홀(33)에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의 연성부재(1)를 끼움 개재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안면을 포함한 목, 어깨 등의 광범위한 영역을 적절히 커버하여 보온을 행하면서도 착용자 선택에 따라 각 부위별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황에 가장 알맞은 형태로 마스크를 구현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그 편의성이 극대화되고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습마스크로부터 분리되어 하나의 또 다른 마스크로서 기능하게 되는 마스크부에 고정끈의 체결구조를 새로이 채용하여 착용자 안면에서 견고한 결속력이 실시되게 하였는바, 이에 따라 보다 강화된 결속력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스키 등의 활동적인 운동시에도 착용위치를 벗어남이 없이 제자리 위치를 보존하게 되어 효과적이다.
또한,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연성부재를 상단유입홀에 부가 채용함으로써 기밀성이 더욱 강화되게 하는 것은 물론, 연성부재가 지니는 특성에 기인하여 착용자의 코 및 안면 부위에서 가장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눈 밑 시야 확보에 더욱 유리한 이점을 누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마스크부를 발췌하여 상세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상부 두건부를 발췌하여 상세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부와 상부 두건부의 상호 결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두건부와 하부 두건부의 상호 결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보습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8은 도 5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보습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9는 도 3의 마스크부를 단독 착용한 상태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마스크부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마스크부에서 고정끈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도 10 내지 11의 마스크부를 착용한 사용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은 호흡기를 통해 발생하는 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착용자의 호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안경을 착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호흡시 안경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피부 트러블의 최소화와 함께 착용감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습마스크에 관련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습마스크(100)는 신축성 있게 스판 재질로 이루어져 눈 밑에서부터 코와 입, 목과 어깨에 이르는 부위 전체를 감싸는 두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건부는 스판덱스로 된 니트원단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의 찬 공기 혹은 유해공기가 내부에 쉽게 침투되어 호흡기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성을 강화하기 위함으로, 특히 격렬한 스포츠 활동을 행함에도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없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보호할 수 있는 부위를 확대하여 보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100)는 그 위치와 기능에 따라 해당 두건부를 3개소로 구분 형성할 수 있는바, 착용자의 안면 부위를 감싸게 되는 마스크부(30);와, 착용자의 목과 후두부를 감싸게 되는 상부 두건부(20);와, 착용자의 목과 어깨를 감싸게 되는 하부 두건부(10);로 나누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성 있게 스판 재질로 편성되는 두건부를 구비하고, 상기 두건부는 상하 영역을 양분하여 하부 두건부(10)와 상부 두건부(20)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하부 두건부(10)는 착용자의 목과 가슴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가슴에 이르는 거리만큼 하향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 두건부(20)는 하부 두건부의 상방에서 착용자의 목과 코, 입에 이르는 부위를 일괄적으로 감쌀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두건부(20)에는 착용자의 코와 입이 내접되는 전면 영역을 절개 형성하여 하나의 마스크부(30)로 구분 구획하고, 상기 마스크부(30)에는 착용자의 귀에 거치되는 고정끈(31)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마스크부를 발췌하여 상세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부(30)는 두건부 전면에 해당하는 영역을 마스크 형상이 되도록 분할하여 별개의 것으로서 활용가능하게 한 구성요소이다.
즉, 두건부로부터 일부를 절개 형성하여 하나의 마스크로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상의 마스크와 같이 착용자 양쪽 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고정끈(31)이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정끈의 체결구조를 변형하여 착용자 안면에 보다 밀착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바, 착용자의 귀뿐만 아니라 안면 부위에서도 턱의 형상대로 조여질 수 있으므로 기밀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고정끈의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마스크부(30)의 고정끈(31)은 마스크부 하단에서 라운드 형상으로 중공부를 구축한 하단유입홀(32)의 일측에 끼워져 마스크부 하단을 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경유한 뒤 하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되어 마스크부 상단에서 직선형으로 중공부를 구축한 상단유입홀(33)의 일측에 끼워지고, 상단유입홀의 일측으로 진입된 고정끈은 측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되어 재차 상단유입홀 아래쪽에 위치한 하단유입홀의 일측에 끼워져 마스크부 하단을 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경유한 후 하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끈(31)의 각 단부에는 조임부재(35)를 채용하여 착용자의 양쪽 귀 밑에서 고정끈의 각 단부를 잡아당김에 따라 귀의 거치상태를 강화하면서도 턱 라인을 따라 마스크부가 기밀하게 조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조임부재(35)라 함은 통상의 것과 동일 유사한 것으로 고정끈 양단에 채용되어 조여진 고정끈의 와해 상태가 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길이 변화가 초래되지 않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 하단유입홀(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마스크 형상으로 절개 형성된 마스크부(30)의 하방을 통해 착용자의 턱이 완벽하게 감싸질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달리 상단유입홀(33)은 마스크부의 상방을 통해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직선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상부 두건부를 발췌하여 상세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상부 두건부(20)는 마스크부(30) 및 하부 두건부(10)를 제외한 나머지 두건부의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전방으로 마스크부(30)가 상호 체결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는 하부 두건부(10)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상부 두건부(20)는 착용자 뒤통수 부근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하 절개 형성하고 절개된 해당 영역에 밸크로(2)를 채용하여 상호 중첩 배치에 따라 탈부착 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크고 작은 다양한 머리 크기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으로, 상부 두건부(20)의 직경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착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조임을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절개 형성된 상부 두건부의 각 영역에는 통상의 결합수단인 밸크로(2)를 채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밸크로(2)는 연속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착용자 뒤통수에 밀접하는 두건부의 밸크로에는 뒤통수 방향으로 함몰되는 굴곡면에 수개의 침(2a)을 더 위치시켜 상하 절개된 두건부의 측 방향에 대한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밸크로를 굴곡지게 형성함에 따라 암수 밸크로는 요철 형상으로 결속이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일측 밸크로에 구비된 상기 침(2a)이 타측 밸크로에 침투되면서 보다 강화된 결속력을 행사하게 되므로 격한 운동이나 기타 활동시에도 최초 결속된 상태에서 결속 해지되지 않고 온전하게 보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부와 상부 두건부의 상호 결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5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보습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5와 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상부 두건부(20)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에서는 상부 두건부로부터 분리 형성되는 마스크부(30)와의 상호 결합이 밸크로(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도 8은 밸크로를 수단으로 일체형이 된 마스크부와 상부 두건부를 착용자가 착용했을 경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두건부와 하부 두건부의 상호 결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보습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6과 7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상부 두건부(20)와 하부 두건부(10)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 두건부와 하부 두건부의 상호 결합을 밸크로(2)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고, 상부 두건부에는 마스크부가 체결된 상태이다. 또한, 도 7은 이러한 상태의 보습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했을 경우에 있어 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3의 마스크부를 단독 착용한 상태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마스크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마스크부에서 고정끈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0 내지 11의 마스크부를 착용한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부(30)에 구비되는 고정끈(31)의 체결구조를 달리할 수 있는바, 예컨대 상기 마스크부(30)의 고정끈(31)은 마스크부 하단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분되어 해당 둘레면을 따라 각각의 중공부를 구축한 하단유입홀(32)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경유한 뒤 인출되어 마스크부 상단에서 직선형으로 중공부를 구축한 상단유입홀(33)의 일측에 끼워지고, 상단유입홀의 일측으로 진입된 고정끈은 측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된 후 하방에 위치된 또 다른 하단유입홀에 끼워져 마스크부 하단의 중심 영역에서 인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고정끈이 끼워지고 인출되는 상단유입홀(33)의 양측 단부에서는 해당 고정끈(31)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합 처리되며, 마스크부(30) 하단의 중심 영역에서 집결되는 고정끈의 각 단부에는 하나의 조임부재(35)를 더 채용하여 상기 고정끈을 착용자의 턱 부근에서 하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귀의 거치상태를 강화하면서도 턱 라인을 따라 마스크부가 기밀하게 조여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보다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연성부재(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부재(1)는 구리나 납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한 금속을 지칭하는 것으로, 소재의 특성상 자유 절곡이 가능하면서도 변형된 형태가 보다 완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바, 이를 마스크부(30)의 상단유입홀(33) 중앙 영역에 끼움 개재함으로써 상단유입홀로 진입되는 고정끈(31)이 이러한 연성부재를 통과하여 재차 타측 상단유입홀로 진행되게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연성부재(1)는 중공의 내부 공간이 구축된 원통 형상의 구성요소로, 상단유입홀(33)에 채용된 상태에서 고정끈(31)을 중공의 내부 공간으로 끼움 유도하게 된다. 이때, 연성부재가 배치되는 영역은 도 7에서처럼 착용자의 코 부근이 될 수 있으며, 최초 도 2와 같은 형태에서 도 7과 같은 형태로 쉽게 변형되므로 기밀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성부재(1)는 마스크를 착용함에 있어서 착용자 안면과의 밀폐성을 높여 더욱 강화된 착용감을 도모하게 되면서도 자체 특성에 기인하여 착용자의 코 및 안면 부위에서 가장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통상의 것과 같이 눈 밑 부위가 불룩해지는 것을 적극 방지하여 눈 밑 시야 확보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100)는 상황에 가장 적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성은 물론 착용감의 극대화를 도모하게 된다. 즉, 착용자의 안면을 포함한 목, 어깨 등의 광범위한 영역을 적절히 커버하여 보온을 행하면서도 착용자 선택에 따라 각 부위별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황에 가장 알맞은 형태로 마스크를 구현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그 편의성이 극대화되고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습마스크로부터 분리되어 하나의 또 다른 마스크로서 기능하게 되는 마스크부에 고정끈의 체결구조를 새로이 채용하여 착용자 안면에서 견고한 결속력이 실시되게 하였는바, 이에 따라 보다 강화된 결속력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스키 등의 활동적인 운동시에도 착용위치를 벗어남이 없이 제자리 위치를 보존하게 되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연성부재 2. 밸크로
2a. 침 10. 하부 두건부
20. 상부 두건부 30. 마스크부
31. 고정끈 32. 하단유입홀
33. 상단유입홀 35. 조임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신축성 있게 스판 재질로 편성되는 두건부를 구비하고, 상기 두건부는 상하 영역을 양분하여 하부 두건부(10)와 상부 두건부(20)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하부 두건부(10)는 착용자의 목과 가슴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가슴에 이르는 거리만큼 하향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부 두건부(20)는 하부 두건부의 상방에서 착용자의 목과 코, 입에 이르는 부위를 일괄적으로 감쌀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두건부(20)에는 착용자의 코와 입이 내접되는 전면 영역을 절개 형성하여 하나의 마스크부(30)로 구분 구획하고, 상기 마스크부(30)에는 착용자의 귀에 거치되는 고정끈(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 두건부(20)는 착용자 뒤통수 부근에 해당하는 영역을 상하 절개 형성하고 절개된 해당 영역에 밸크로(2)를 채용하여 상호 중첩 배치에 따라 탈부착 되게 하는 보습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밸크로(2)는 연속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착용자 뒤통수에 밀접하는 두건부의 밸크로에는 뒤통수 방향으로 함몰되는 굴곡면에 수개의 침(2a)을 더 위치시켜 상하 절개된 두건부의 측 방향에 대한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목과 안면 부위를 포함한 후두부 영역을 일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30)의 고정끈(31)은 마스크부 하단에서 라운드 형상으로 중공부를 구축한 하단유입홀(32)의 일측에 끼워져 마스크부 하단을 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경유한 뒤 하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되어 마스크부 상단에서 직선형으로 중공부를 구축한 상단유입홀(33)의 일측에 끼워지고, 상단유입홀의 일측으로 진입된 고정끈은 측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상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되어 재차 상단유입홀 아래쪽에 위치한 하단유입홀의 일측에 끼워져 마스크부 하단을 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경유한 후 하단유입홀의 타측으로 인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끈(31)의 각 단부에는 조임부재(35)를 채용하여 착용자의 양쪽 귀 밑에서 고정끈의 각 단부를 잡아당김에 따라 귀의 거치상태를 강화하면서도 턱 라인을 따라 마스크부가 기밀하게 조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유입홀(33)에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의 연성부재(1)를 끼움 개재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KR1020120121264A 2012-10-30 2012-10-30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KR10129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264A KR101297466B1 (ko) 2012-10-30 2012-10-30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264A KR101297466B1 (ko) 2012-10-30 2012-10-30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466B1 true KR101297466B1 (ko) 2013-08-16

Family

ID=4922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264A KR101297466B1 (ko) 2012-10-30 2012-10-30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4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477A (ko) * 2014-05-20 2015-11-30 채성원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KR20150133478A (ko) * 2014-05-20 2015-11-30 채성원 자외선 차단용 통풍 마스크의 제조방법
KR20150133480A (ko) * 2014-05-20 2015-11-30 채성원 조임수단이 부여되는 마스크
KR20150139251A (ko) * 2014-06-03 2015-12-11 김성응 고글 마스크
KR101865203B1 (ko) * 2016-05-09 2018-06-07 경남엔지니어링(주) 방진마스크
KR200490048Y1 (ko) * 2018-10-23 2019-09-16 김민철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US20210345704A1 (en) * 2020-05-07 2021-11-11 FutureArmur LLC Wearable protective apparel containing a protective mask and methods
KR20220009647A (ko) *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보람씨앤에치 목걸이 기능을 가지는 목 고정 겸용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05B1 (ko) * 2005-10-31 2006-12-22 김권봉 다기능 마스크
KR20080000934U (ko) * 2006-11-03 2008-05-08 박서희 햇빛 가리개
KR20080099503A (ko) * 2007-05-09 2008-11-13 조윤복 마스크
KR20110114129A (ko) * 2010-04-13 2011-10-19 김영선 햇빛 가리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05B1 (ko) * 2005-10-31 2006-12-22 김권봉 다기능 마스크
KR20080000934U (ko) * 2006-11-03 2008-05-08 박서희 햇빛 가리개
KR20080099503A (ko) * 2007-05-09 2008-11-13 조윤복 마스크
KR20110114129A (ko) * 2010-04-13 2011-10-19 김영선 햇빛 가리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804B1 (ko) 2014-05-20 2016-12-01 채성원 자외선 차단용 통풍 마스크의 제조방법
KR20150133478A (ko) * 2014-05-20 2015-11-30 채성원 자외선 차단용 통풍 마스크의 제조방법
KR20150133480A (ko) * 2014-05-20 2015-11-30 채성원 조임수단이 부여되는 마스크
KR20150133477A (ko) * 2014-05-20 2015-11-30 채성원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KR101651727B1 (ko) * 2014-05-20 2016-08-26 채성원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KR101651728B1 (ko) * 2014-05-20 2016-08-26 채성원 조임수단이 부여되는 마스크
KR20150139251A (ko) * 2014-06-03 2015-12-11 김성응 고글 마스크
KR101703031B1 (ko) 2014-06-03 2017-02-06 김성응 고글 마스크
KR101865203B1 (ko) * 2016-05-09 2018-06-07 경남엔지니어링(주) 방진마스크
KR200490048Y1 (ko) * 2018-10-23 2019-09-16 김민철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US20210345704A1 (en) * 2020-05-07 2021-11-11 FutureArmur LLC Wearable protective apparel containing a protective mask and methods
KR20220009647A (ko) *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보람씨앤에치 목걸이 기능을 가지는 목 고정 겸용 마스크
KR102455615B1 (ko) 2020-07-16 2022-10-18 주식회사 보람씨앤에치 목걸이 기능을 가지는 목 고정 겸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466B1 (ko)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US9491979B2 (en) Balaclava with removable face mask
KR200460804Y1 (ko) 원통형 방한 마스크
US20110010829A1 (en) Combined neck and upper body protective garment
US20140109281A1 (en) Swimming Cap
KR101869654B1 (ko) 방한용 마스크
KR20100008169U (ko) 안경에 김 서림을 방지하는 마스크
KR20200023033A (ko) 스포츠용 마스크
KR101283551B1 (ko) 방한 마스크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JP2017075411A (ja) 日焼け防止用マスク
KR20190001915U (ko) 방한마스크
KR101032501B1 (ko) 방한 마스크
KR20080004323U (ko) 안면 보호 마스크
JP3178131U (ja) 日焼け防止フェイスマスク
KR101580134B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2003183B1 (ko) 안면마스크
KR200479708Y1 (ko) 방한용 모자
KR200484165Y1 (ko) 통기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의류
KR101074544B1 (ko) 습기방지용 무봉제 보습마스크
KR200389797Y1 (ko) 얼굴 전면 방한대
KR101314798B1 (ko) 원통형 스카프
KR200460177Y1 (ko) 방한 마스크
KR20120007661U (ko) 착용이 용이한 원통형 스카프
KR200173109Y1 (ko) 군인용 방한 안면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