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251A - 고글 마스크 - Google Patents

고글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251A
KR20150139251A KR1020140067573A KR20140067573A KR20150139251A KR 20150139251 A KR20150139251 A KR 20150139251A KR 1020140067573 A KR1020140067573 A KR 1020140067573A KR 20140067573 A KR20140067573 A KR 20140067573A KR 20150139251 A KR20150139251 A KR 20150139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mask
goggle
sect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031B1 (ko
Inventor
김성응
Original Assignee
김성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응 filed Critical 김성응
Priority to KR102014006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0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고글 마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는, 고글부, 고글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마스크부, 마스크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목 뒤에서 결합되는 한 쌍의 장착부, 일측이 마스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장착부에 연결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조임부, 및 제1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제1 조임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글 마스크{GOGGLE MASK}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글은 야외 활동을 하거나 등산 또는 스키 등의 운동을 하는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과 강한 햇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장비이다. 한편, 최근에는 대륙의 사막화가 진행되면서 황사와 같은 미세 먼지의 농도가 증가하고 있고, 자동차의 매연 및 공장에서 배출하는 유해 가스 등으로 인해 대기 오염이 날로 악화되어 가고 있다. 종래의 고글은 눈만을 보호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대기 오염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69015호(2007.10.2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눈과 호흡기를 보호하면서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고글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는, 고글부; 상기 고글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목 뒤에서 결합되는 한 쌍의 장착부; 일측이 상기 마스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조임부; 및 상기 제1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제1 조임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글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글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고글 렌즈는, 자외선 차단 코팅 및 김서림 방지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글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고 통기성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글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부에 마련되고 방역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 방취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 및 방진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역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 방취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 및 방진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는 서로 겹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글 마스크는, 상기 장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임 조절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임 조절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 테두리가 삽입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우징부; 일측이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장착부의 상측 테두리를 압박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하우징부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압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압박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임 조절부는, 상기 장착부에 상기 제1 조임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조임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장착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조임부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글 마스크는, 상기 고글부, 상기 마스크부, 및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며 마련되고,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조임부; 및 상기 제2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제2 조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임부는, 상기 고글부의 일측, 상기 마스크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장착부, 상기 마스크부의 하측 테두리, 상기 마스크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장착부, 및 상기 고글부의 타측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글 마스크는, 상기 고글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머리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는, 고글부; 상기 고글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마련되고 사용자의 목 뒤에서 결합되는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글부의 일측부터 상기 제1 장착부의 상측까지 연결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장착부의 상측부터 상기 제1 장착부의 하측까지 연결되는 제2 구간, 상기 제1 장착부의 하측부터 상기 마스크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2 장착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3 구간, 상기 제2 장착부의 하측부터 상기 제2 장착부의 상측까지 연결되는 제4 구간, 및 상기 제2 장착부의 상측부터 상기 고글부의 타측까지 연결되는 제5 구간을 포함하는 조임부; 및 상기 조임부에 마련되고 상기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 조절부는,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1 조임 조절부; 상기 제2 구간 및 상기 제3 구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2 조임 조절부; 상기 제3 구간 및 상기 제4 구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3 조임 조절부; 및 상기 제4 구간 및 상기 제5 구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4 조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고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외부 환경으로부터 사용자의 눈 부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호흡기 부위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기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외부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중으로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 체형 및 크기에 따라 고글 마스크의 착용감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고글 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에서, 제1 조임 조절부가 제1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에서, 제1 조임 조절부가 제1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에서, 제1 조임 조절부가 제1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글 마스크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글 마스크(100)는 고글부(102), 마스크부(104), 장착부(106), 제1 조임부(108), 및 제2 조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글부(102)는 사용자의 눈 부위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고글부(102)는 프레임(111), 고글 렌즈(113), 및 보호 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1)은 고글부(10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111)은 고글부(102)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프레임(111)은 사용자의 눈 부위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11)에는 제1 조임부(108)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연결홀(12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홀(121)은 프레임(111)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11)에는 제2 조임부(110)의 양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연결홀(123)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홀(123)은 프레임(111)의 양측에서 제1 연결홀(121)과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프레임(111)에 제1 연결홀(121) 및 제2 연결홀(123)이 모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결홀(121) 및 제2 연결홀(123) 중 어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조임부(108)의 일단 및 제2 조임부(110)의 양단이 하나의 연결홀(121 또는 123)에 각각 연결되게 된다.
고글 렌즈(113)는 프레임(111)의 내부에서 프레임(111)에 고정된다. 고글 렌즈(113)는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고글 렌즈(113)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글 렌즈(113)는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의 눈 부위를 보호하도록 자외선 차단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글 렌즈(113)는 사용자의 입김 등에 의한 김서림을 방지하도록 김서림 방지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글 마스크(100)는 마스크부(104)를 구비하므로, 사용자의 입김에 의해 고글 렌즈(113)에 김이 서려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고글 렌즈(113)에 김서림 방지 코팅을 함으로써, 김서림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가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글 렌즈(113)는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투명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고글 렌즈(113)에는 색상이 가미되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부재(115)는 프레임(111)의 내측(즉, 사용자를 대면하는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보호 부재(115)는 프레임(111)의 내측에서 프레임(111)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보호 부재(115)는 프레임(111)의 내측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보호 부재(115)는 고글부(102)가 사용자의 눈 부위에 착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눈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 부재(115)는 프레임(111)에 의해 사용자의 눈 부위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관계없이 고글부(102)가 사용자의 눈 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호 부재(115)는 예를 들어, 통기성 스폰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고글 렌즈(113)가 프레임(111) 내부에서 프레임(111) 내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글부(102)는 별도의 프레임(111)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호 부재(115)는 고글 렌즈(113)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마스크부(104)는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마스크부(104)는 고글부(102)의 하측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마스크부(104)는 고글부(102)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부(104)는 고글부(102)의 하측에 고주파 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스크부(104)는 고글부(102)의 하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도 있고, 고글부(102)의 하측에 봉제될 수도 있다. 마스크부(104)는 직물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부(104)는 예를 들어, 신축성, 통기성, 및 보온성이 있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부(104)는 사용자가 착용 시 사용자의 코와 입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턱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마스크부(104)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부재(131)는 마스크부(104) 내에 매립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 부재(131)는 마스크부(104)의 내면(즉, 사용자와 대면하는 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마스크부(104)에는 방역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131), 방취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131), 및 방진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131)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부(104)는 황사, 미세 먼지, 악취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방역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131), 방취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131), 및 방진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131)는 서로 겹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역 기능, 방취 기능, 및 방진 기능을 갖는 하나의 필터 부재(131)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필터 부재(131)는 교체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부(104)에는 필터 부재(131)를 수납하는 수납홈(미도시) 및 수납홈(미도시)을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가 마련되어 필터 부재(131)를 교체할 수 있다.
장착부(106)는 마스크부(104)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장착부(106)는 마스크부(104)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마스크부(104)의 일측에 제1 장착부(106-1)가 마련되고, 마스크부(104)의 타측에 제2 장착부(106-2)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06)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106)는 마스크부(104)와 동일한 직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106)는 마스크부(104)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장착부(106)는 마스크부(104)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착부(106)는 마스크부(104)의 양측에 봉제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장착부(106)는 마스크부(104) 측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글 마스크(100)의 보관이 용이해지게 된다.
한 쌍의 장착부(106-1, 106-2)는 사용자의 목 뒤에서 결합되어 고글 마스크(100)가 사용자의 안면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장착부(106)에는 결합 부재(133)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133)는 제1 장착부(106-1)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부재(133-1) 및 제2 장착부(106-2)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부재(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133-1) 및 제2 결합 부재(133-2)는 각각 암 벨크로 테이프 및 수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결합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133-1) 및 제2 결합 부재(133-2)는 각각 암 똑딱이 단추 및 수 똑딱이 단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장착부(106)의 내부에는 장착부(106)의 테두리를 따라 와이어(135)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글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목을 움직이더라도 제1 결합 부재(133-1) 및 제2 결합 부재(133-2)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장착부(106)가 마스크부(104)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착부(106)가 마스크부(104)의 일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목 뒤를 돌아 마스크부(104)의 타측에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결합 부재(133-1) 및 제2 결합 부재(133-2)가 스스로 지지될 수 있는 경우, 와이어(135)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조임부(108)는 고글부(102)와 장착부(106)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06)가 마스크부(104)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1 조임부(108)도 고글부(102)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06)가 마스크부(104)의 어느 한 측에 마련되는 경우, 제1 조임부(108)도 고글부(102)의 어느 한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조임부(108)의 일단은 제1 연결홀(121)에 연결되고, 제1 조임부(108)의 타단은 장착부(106)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조임부(108)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조임부(108)에는 제1 조임 조절부(137)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조임 조절부(137)는 제1 조임부(108)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조임 조절부(137)는 사용자의 얼굴 크기 및 형태 등에 따라 고글 마스크(100)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제1 조임부(108)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에서, 제1 조임 조절부(137)가 제1 조임부(108)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1 조임 조절부(137)는 하우징부(151), 압박부(153), 및 탄성 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51)에는 제1 관통홀(157)이 하우징부(151)의 양측벽을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조임부(108)는 제1 관통홀(157)로 삽입되어 제1 조임 조절부(137)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압박부(153)는 하우징부(151)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압박부(153)의 일측은 하우징부(151) 내에서 제1 조임 조절부(137)를 압박하여 고정(즉, 잠금)시킬 수 있다. 압박부(153)의 타측은 하우징부(151)에 마련된 제2 관통홀(159)을 통해 하우징부(15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압박부(153)의 타측은 하우징부(151)의 외면에 안착될 수 있다. 압박부(153)는 하우징부(151)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압박부(153)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하 이동(병진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5)는 압박부(153)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5)는 압박부(153)가 제1 조임부(108)를 압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압박부(153)의 타측을 잡고 탄성 부재(155)의 탄성력보다 큰 외력으로 압박부(153)를 잡아 당기는 경우, 압박부(153)는 제2 관통홀(159)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압박부(153)의 일측(즉, 제1 조임부(108)와 대면하는 측)에서 압박이 해재(즉, 잠금 해제)되어 제1 조임부(108)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조임부(108)를 소정 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풀어서 제1 조임부(108)의 조임 정도를 조절한 후 압박부(153)의 타측을 놓으면 압박부(153)의 일측이 다시 제1 조임부(108)를 해당 위치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조임부(110)는 고글부(102), 마스크부(104), 및 장착부(106)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조임부(110)의 일단은 고글부(102)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연결홀(123)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조임부(110)는 제1 장착부(106-1)에 마련되는 제3 연결홀(139), 마스크부(104)의 하측 테두리, 제2 장착부(106-2)에 마련되는 제4 연결홀(141)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임부(110)의 타단은 고글부(10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홀(12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홀(139) 및 제4 연결홀(141)은 각각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조임부(110)의 일부는 마스크부(104)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마스크부(104)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조임부(110)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조임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조임 조절부(14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조임 조절부(143)는 제2 조임부(11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임 조절부(143)는 사용자의 얼굴 크기 및 형태 등에 따라 고글 마스크(100)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제2 조임부(110)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제2 조임 조절부(143)는 제1 조임 조절부(137)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조임 조절부(137)를 통해 제1 조임부(108)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고, 제2 조임 조절부(143)를 통해 제2 조임부(11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고글 마스크(100)를 착용할 때 고글 마스크(10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착용감을 가지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글 마스크(100)는 머리 보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머리 보호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고글부(102)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머리 보호부(미도시)는 사용자의 머리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머리 보호부(미도시)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황사나 미세 먼지가 심한 경우, 사용자는 고글 마스크(100)를 착용하면서 머리 보호부(미도시)를 머리에 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고글 마스크(100)를 착용하는 경우, 외부 환경으로부터 사용자의 눈 부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호흡기 부위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기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외부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에서, 제1 조임 조절부가 제1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조임 조절부(137)는 장착부(106)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임 조절부(137)는 장착부(106)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1 조임 조절부(137)는 하우징부(151), 압박부(153), 및 탄성 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51)는 장착부(106)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151)의 하측에는 제1 관통홀(157)이 마련된다. 장착부(106)의 상측 테두리를 제1 관통홀(157)로 삽입될 수 있다. 압박부(153)는 하우징부(151)에 장착된다. 압박부(153)는 장착부(106)의 상측 테두리를 압박하여 하우징부(151)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박부(153)의 일측은 하우징부(151) 내에서 장착부(106)의 테두리를 압박할 수 있다. 압박부(153)의 타측은 하우징부(151)에 마련된 제2 관통홀(159)을 통해 하우징부(15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압박부(153)의 타측은 하우징부(151)의 외면에 안착될 수 있다. 압박부(151)는 제2 관통홀(159)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병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5)는 압박부(153)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5)는 압박부(153)가 장착부(106)의 테두리를 압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압박부(153)의 타측을 잡고 탄성 부재(155)의 탄성력보다 큰 외력으로 압박부(153)를 잡아 당기는 경우, 압박부(153)는 제2 관통홀(159)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압박부(153)의 일측(즉, 장착부(106)와 대면하는 측)에서 압박이 해재되어 제1 조임 조절부(137)가 장착부(106)의 테두리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제1 조임 조절부(137)를 좌우로 이동시켜 제1 조임부(108)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압박부(153)의 타측을 놓으면 압박부(153)의 일측이 다시 장착부(106)의 테두리를 압박하여 제1 조임 조절부(137)가 해당 위치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에서, 제1 조임 조절부가 제1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조임 조절부(137)는 가이드부(137-1) 및 고정부(13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7-1)는 장착부(106)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37-1)는 장착부(106)의 상측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37-1)는 제1 조임부(10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137-1)는 제1 조임부(108)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37-1)는 예를 들어,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137-2)는 장착부(106)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137-2)는 제1 조임부(108)의 타측을 해당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37-2)는 제1 조임부(108)가 끼움 삽입되어 해당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137-2)는 제1 조임부(108)의 타측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조임부(108)의 타측을 잡고 제1 조임부(108)를 잡아 당겨 제1 조임부(108)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조임부(108)는 가이드부(137-1) 내에서 앞뒤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1 조임부(108)를 잡아 당겨 제1 조임부(108)의 조임 정도를 조절한 후, 제1 조임부(108)의 타측을 고정부(137-1)에 끼움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글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글 마스크(200)는 고글부(202), 마스크부(204), 장착부(206), 조임부(250), 제1 조임 조절부(252), 제2 조임 조절부(254), 제3 조임 조절부(256), 및 제4 조임 조절부(25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글부(202), 마스크부(204), 및 장착부(206)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임부(250)는 고글부(202), 마스크부(204), 및 장착부(206)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조임부(250)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부(250)의 일단은 고글부(202)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연결홀(26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부(250)는 제1 장착부(206-1)의 상측에 마련되는 제2 연결홀(263)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임부(250)는 제1 장착부(206-1)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3 연결홀(265)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임부(250)는 마스크부(204)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마스크부(204)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임부(250)는 제2 장착부(206-2)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4 연결홀(267)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임부(250)는 제2 장착부(206-2)의 상측에 마련되는 제5 연결홀(269)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임부(250)의 타단은 고글부(202)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6 연결홀(27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임부(250)는 고글부(202)의 일측, 제1 장착부(206-1)의 상측, 제1 장착부(206-1)의 하측, 마스크부(204)의 하측 테두리, 제2 장착부(206-2)의 하측, 제2 장착부(206-2)의 상측, 및 고글부(202)의 타측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임부(250)는 5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조임부(250)는 제1 연결홀(261)부터 제2 연결홀(263)까지 마련되는 제1 구간(250a), 제2 연결홀(263)부터 제3 연결홀(265)까지 마련되는 제2 구간(250b), 제3 연결홀(265)부터 제4 연결홀(267)까지 마련되는 제3 구간(250c), 제4 연결홀(267)부터 제5 연결홀(269)까지 마련되는 제4 구간(250d), 및 제5 연결홀(269)부터 제6 연결홀(271)까지 마련되는 제5 구간(250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임 조절부(252)는 제1 구간(250a) 및 제2 구간(250b)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조임 조절부(254)는 제2 구간(250b) 및 제3 구간(250c)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조임 조절부(256)는 제3 구간(250c) 및 제4 구간(250d)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조임 조절부(258)는 제4 구간(250d) 및 제5 구간(250e)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조임 조절부(252)는 제1 구간(250a)의 종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조임 조절부(254)는 제2 구간(250b)의 종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조임 조절부(256)는 제3 구간(250c)의 종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4 조임 조절부(258)는 제4 구간(250d)의 종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250a)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경우, 제1 조임 조절부(252)를 잠금 해제하여 제1 구간(250a)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구간(250b)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경우, 제1 조임 조절부(252)를 잠금한 상태에서 제2 조임 조절부(254)를 잠금 해제하여 제2 구간(250b)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구간(250c)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경우, 제2 조임 조절부(254)(또는 제3 조임 조절부(256)를 잠금한 상태에서 제3 조임 조절부(256)(또는 제2 조임 조절부(254))를 잠금 해제하여 제3 구간(250c)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구간(250a) 내지 제5 구간(250e)의 조임 정도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체형 및 크기에 따라 고글 마스크의 착용감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고글 마스크(20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고글 마스크
102 : 고글부
104 : 마스크부
106 : 장착부
106-1 : 제1 장착부
106-2 : 제2 장착부
108 : 제1 조임부
110 : 제2 조임부
111 : 프레임
113 : 고글 렌즈
115 : 보호 부재
121 : 제1 연결홀
123 : 제2 연결홀
131 : 필터 부재
133 : 결합 부재
133-1 : 제1 결합 부재
133-2 : 제2 결합 부재
135 : 와이어
137 : 제1 조임 조절부
137-1 : 가이드부
137-2 : 고정부
139 : 제3 연결홀
141 : 제4 연결홀
143 : 제2 조임 조절부
151 : 하우징부
153 : 압박부
155 : 탄성 부재
157 : 제1 관통홀
159 : 제2 관통홀
202 : 고글부
204 : 마스크부
206 : 장착부
250 : 조임부
252 : 제1 조임 조절부
254 : 제2 조임 조절부
256 : 제3 조임 조절부
258 : 제4 조임 조절부
261 : 제1 연결홀
263 : 제2 연결홀
265 : 제3 연결홀
267 : 제4 연결홀
269 : 제5 연결홀
271 : 제6 연결홀

Claims (13)

  1. 고글부;
    상기 고글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목 뒤에서 결합되는 한 쌍의 장착부;
    일측이 상기 마스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조임부; 및
    상기 제1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제1 조임 조절부를 포함하는, 고글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글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글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고글 렌즈는, 자외선 차단 코팅 및 김서림 방지 코팅이 이루어진, 고글 마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글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고 통기성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글 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글 마스크는,
    상기 마스크부에 마련되고 방역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 방취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 및 방진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역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 방취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 및 방진 기능을 가지는 필터 부재는 서로 겹치게 마련되는, 고글 마스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글 마스크는,
    상기 장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고글 마스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임 조절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글 마스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임 조절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 테두리가 삽입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우징부;
    일측이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장착부의 상측 테두리를 압박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하우징부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압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압박부에 마련되고, 상기 압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고글 마스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임 조절부는,
    상기 장착부에 상기 제1 조임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조임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장착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조임부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고글 마스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글 마스크는,
    상기 고글부, 상기 마스크부, 및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며 마련되고,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조임부; 및
    상기 제2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제2 조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고글 마스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임부는,
    상기 고글부의 일측, 상기 마스크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장착부, 상기 마스크부의 하측 테두리, 상기 마스크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장착부, 및 상기 고글부의 타측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고글 마스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글 마스크는,
    상기 고글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머리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고글 마스크.
  12. 고글부;
    상기 고글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마련되고 사용자의 목 뒤에서 결합되는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글부의 일측부터 상기 제1 장착부의 상측까지 연결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장착부의 상측부터 상기 제1 장착부의 하측까지 연결되는 제2 구간, 상기 제1 장착부의 하측부터 상기 마스크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2 장착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3 구간, 상기 제2 장착부의 하측부터 상기 제2 장착부의 상측까지 연결되는 제4 구간, 및 상기 제2 장착부의 상측부터 상기 고글부의 타측까지 연결되는 제5 구간을 포함하는 조임부; 및
    상기 조임부에 마련되고 상기 조임부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 조절부를 포함하는, 고글 마스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임 조절부는,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1 조임 조절부;
    상기 제2 구간 및 상기 제3 구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2 조임 조절부;
    상기 제3 구간 및 상기 제4 구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3 조임 조절부; 및
    상기 제4 구간 및 상기 제5 구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4 조임 조절부를 포함하는, 고글 마스크.
KR1020140067573A 2014-06-03 2014-06-03 고글 마스크 KR101703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573A KR101703031B1 (ko) 2014-06-03 2014-06-03 고글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573A KR101703031B1 (ko) 2014-06-03 2014-06-03 고글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251A true KR20150139251A (ko) 2015-12-11
KR101703031B1 KR101703031B1 (ko) 2017-02-06

Family

ID=5502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573A KR101703031B1 (ko) 2014-06-03 2014-06-03 고글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0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69A (ko) * 2017-07-03 2019-01-11 왕종문 마스크가 구비된 고글
KR101969520B1 (ko) 2017-10-25 2019-04-16 강한옥 고글 마스크
CN111248529A (zh) * 2020-03-09 2020-06-09 曹佳慧 一种带有护目镜与口罩的组合式医用防护装置
IT202100020741A1 (it) * 2021-08-02 2023-02-02 Silk Medical S R L Dispositivo di protezione ocula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206A (ja) * 1989-11-10 1991-07-01 Canon Inc 変倍ファインダー
KR100769015B1 (ko) 2000-08-11 2007-10-23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고글
KR100781808B1 (ko) * 2006-09-26 2007-12-04 박화석 자외선 차단 마스크
JP2009247735A (ja) * 2008-04-09 2009-10-29 Jong Wha Kim 防塵マスク
KR101297466B1 (ko) * 2012-10-30 2013-08-16 손외남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206B2 (ja) 1999-05-24 2001-04-03 日清製粉株式会社 粉体充填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3206A (ja) * 1989-11-10 1991-07-01 Canon Inc 変倍ファインダー
KR100769015B1 (ko) 2000-08-11 2007-10-23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고글
KR100781808B1 (ko) * 2006-09-26 2007-12-04 박화석 자외선 차단 마스크
JP2009247735A (ja) * 2008-04-09 2009-10-29 Jong Wha Kim 防塵マスク
KR101297466B1 (ko) * 2012-10-30 2013-08-16 손외남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69A (ko) * 2017-07-03 2019-01-11 왕종문 마스크가 구비된 고글
KR101969520B1 (ko) 2017-10-25 2019-04-16 강한옥 고글 마스크
CN111248529A (zh) * 2020-03-09 2020-06-09 曹佳慧 一种带有护目镜与口罩的组合式医用防护装置
IT202100020741A1 (it) * 2021-08-02 2023-02-02 Silk Medical S R L Dispositivo di protezione ocul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031B1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603B1 (ko) 고글 마스크
KR101703031B1 (ko) 고글 마스크
KR20200084312A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101919343B1 (ko) 마스크
AU2013306784B2 (en) Protective clothing
KR101854270B1 (ko) 방진 마스크
KR20170003887A (ko) 입김차단용 마스크
AU2016308734B2 (en) Buckle for connecting strap and respirator harness including the same
NZ244741A (en) Safety goggles: ribbed edge of lens locks into support frame groove
KR102151164B1 (ko) 안면 마스크
KR101439123B1 (ko) 방진마스크
US20230029404A1 (en) Balanced Device Providing Filtered Air for a User
JP2007020675A (ja) マスクアセンブリ
US20220296939A1 (en) Head Covering Device Providing Filtered Intake and Exhaust Air
KR20120121246A (ko) 이중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101692524B1 (ko) 다기능 안전면체
US20220016451A1 (en) Personal Air Filtering Device with Air Mover Pulling Air Out of the Device
CN115768298A (zh) 具有安全特征的个人空气过滤装置
KR20140090517A (ko) 안경 김서림방지용 방한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GB2354450A (en) Facemask with adjustable visor
KR101643625B1 (ko) 밀착 조절형 다기능두건
KR200485320Y1 (ko) 휴대용 방연 마스크
KR101672697B1 (ko) 방진 마스크
KR102593589B1 (ko) 용접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