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89B1 - 용접 마스크 - Google Patents

용접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89B1
KR102593589B1 KR1020220127702A KR20220127702A KR102593589B1 KR 102593589 B1 KR102593589 B1 KR 102593589B1 KR 1020220127702 A KR1020220127702 A KR 1020220127702A KR 20220127702 A KR20220127702 A KR 20220127702A KR 102593589 B1 KR102593589 B1 KR 102593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user
mask body
mask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수
Original Assignee
전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수 filed Critical 전경수
Priority to KR102022012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5Visors with full face protection, e.g. for industrial safety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와, 보안경, 및 직물 필터를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는 사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용자 눈과 대응되는 부위에 투시 구멍이 형성된다. 보안경은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투시 구멍에 장착된다. 직물 필터는 사용자의 코 주변을 둘러싼 상태로 코 주변에 밀착되게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용접 마스크{Welding mask}
본 발명은 용접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작업에서 강한 불빛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면서 용접 중 발생되는 파편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접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 마스크는 용접 작업에서 강한 불빛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면서 용접 중 발생되는 파편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 예로서, 용접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전체적으로 가려서 보호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접 마스크를 사용해서 장시간 용접 작업을 하는 동안 코와 입이 모두 가려져 호흡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용접 마스크는 안면에 밀착되는 정도가 낮기 때문에, 사용자가 유해가스를 흡입할 우려가 높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665호(2020.05.15,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의 안면 보호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장시간 용접 작업 동안 안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호흡을 편안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용접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와, 보안경, 및 직물 필터를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는 사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용자 눈과 대응되는 부위에 투시 구멍이 형성된다. 보안경은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투시 구멍에 장착된다. 직물 필터는 사용자의 코 주변을 둘러싼 상태로 코 주변에 밀착되게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마스크 본체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 본체는 표면에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 보호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장시간 용접 작업 동안 안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호흡을 편안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유해가스 흡입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마스크는 가볍고 착용이 간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접 마스크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접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을 덮은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접 마스크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접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을 덮은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110)와, 보안경(120), 및 직물 필터(130)를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110)는 사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마스크 본체(110)는 용접 작업시 용접 불꽃과 파편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마스크 본체(110)는 안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상단이 사용자의 머리 앞쪽을 감싸며, 하단이 사용자의 턱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양 측면에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귀 보호부(111)가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사용자의 코와 대응되는 안쪽 부위에 오목지게 홈이 형성되어 바깥쪽 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된 코 수용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코 수용부(112)의 안쪽 홈을 의해 코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안면에 마스크 본체(110)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한다.
마스크 본체(110)는 종이 재질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철재 등과 같이 무거운 재질이 아닌 가벼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대략 0.5mm 두께의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마스크 본체(110)는 전기 절연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마스크 본체(110)는 플라스틱 재질 등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표면에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은분(silver powder)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바깥쪽 표면에만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될 수 있으나, 안쪽 표면에도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될 수 있다. 아크 용접 등과 같은 용접시 자외선이 발생할 수 있는데, 마스크 본체(110)에 코팅된 자외선 차단제가 자외선을 차단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마스크 본체(110)는 사용자 눈과 대응되는 부위에 투시 구멍(113)이 형성된다. 투시 구멍(113)은 사용자가 용접 작업물과 용접봉 등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투시 구멍(113)은 하나의 구멍 형태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안경(120)은 마스크 본체(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투시 구멍(113)에 장착된다. 보안경(120)은 투시 구멍(113)을 막은 상태로 광을 투과시킨다. 보안경(120)은 사용자가 용접 작업물과 용접봉 등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용접 불꽃과 파편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보안경(120)은 백유리 및 흑유리가 포개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백유리는 유리 자체를 저철분화해서 생산한 유리로서, '저철분유리'라고도 불린다. 백유리는 투과율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흑유리는 차광유리로서 유해한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착색된 유리이다. 흑유리는 용접 종류, 용접 전류, 용접봉 지름에 따라 차광도가 다르게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안경(120)은 용접시 발생하는 자외선 및 기타 유해한 빛을 일정량 차단하고 일부만 통과시켜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면서 용접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보안경(120)은 대략적으로 가로 100mm, 세로 40mm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안경(120)은 보안경 프레임(121)을 매개로 마스크 본체(110)의 투시 구멍(113) 주변에 장착될 수 있다. 보안경(120)은 보안경 프레임(121)에 의해 마스크 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안경 프레임(121)은 중앙이 관통되어 구멍을 가지며, 관통 구멍의 전방 부위에 보안경(120)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 보안경 프레임(121)은 보안경(120)의 백유리 및 흑유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안경 프레임(121)은 후방 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가지며, 플랜지가 마스크 본체(110)의 투시 구멍(113) 주변을 따라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보안경 프레임(121)은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직물 필터(130)는 사용자의 코 주변을 둘러싼 상태로 코 주변에 밀착되게 마스크 본체(110)의 내측에 장착된다. 직물 필터(130)는 중앙에 코를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의 수용홀(131)을 가질 수 있다. 수용홀(131)은 코를 통과시킬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물 필터(130)는 수용홀(131)의 전방 주변이 마스크 본체(110)의 안쪽 면, 즉 코 수용부(112)의 안쪽 홈 주변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직물 필터(130)는 마스크 본체(110)에 고정되어 수용홀(131)에 코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코 주변에 밀착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직물 필터(130)는 통기성을 가지면서 유해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다. 직물 필터(130)는 융 원단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물 필터(130)는 마스크 본체(110)의 안쪽 면으로부터 코 주변을 밀착시킨 상태로 통기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을 편안하게 하면서도 유해가스 흡입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직물 필터(130)는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을 함께 둘러싼 상태로 코와 입 주변에 밀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직물 필터(130)는 코와 입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에는 고정해제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해제부(140)는 사용자가 마스크 본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머리에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마스크 본체(110)를 안면에 대고 고정해제부(140)에 의해 머리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취부 용접시 양손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1인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해제부(140)는 2개의 스트립(141, 142)들과, 암,수 벨크로(Velcro, 143, 14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들(141, 142)은 한쪽 끝이 마스크 본체(11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스트립들(141, 142)은 마스크 본체(110)가 사용자의 안면을 가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부를 감싸면서 상호 간에 겹쳐질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스트립들(141, 142)은 고무,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질 또는 가죽, 패브릭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암,수 벨크로(143, 144)는 스트립들(141, 142)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암,수 벨크로(143, 144)는 상호 간에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스트립들(141, 142) 간에 고정 또는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암,수 벨크로(143, 144)는 상호 간에 결합되는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게 스트립들(141, 142) 간의 고정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고정해제부는 공지의 조임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고정해제부(140)가 생략되는 대신, 마스크 본체(110)의 전방 하측에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으로 손잡이를 잡아 마스크 본체(110)를 안면에 밀착시켜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접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안면 보호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장시간 용접 작업 동안 안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호흡을 편안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용접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유해가스 흡입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접 마스크(100)는 가볍고 착용이 간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용접 마스크 110..마스크 본체
111..귀 보호부 112..코 수용부
113..투시 구멍 120..보안경
121..보안경 프레임 130..직물 필터
131..수용홀 140..고정해제부
141, 142..스트립 143..암 벨크로
144..수 벨크로

Claims (3)

  1. 사용자의 안면을 가리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용자 눈과 대응되는 부위에 투시 구멍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시 구멍에 장착된 보안경; 및
    사용자의 코 주변을 둘러싼 상태로 코 주변에 밀착되게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장착된 직물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사용자의 코와 대응되는 안쪽 부위에 오목지게 홈이 형성되어 바깥쪽 부위가 볼록하게 돌출된 코 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코 수용부의 안쪽 홈에 의해 코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직물 필터는 중앙에 코를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의 수용홀을 가지며, 상기 수용홀의 전방 주변이 상기 코 수용부의 안쪽 홈 주변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홀에 코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코 주변에 밀착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표면에 자외선 차단제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마스크.
KR1020220127702A 2022-10-06 2022-10-06 용접 마스크 KR102593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702A KR102593589B1 (ko) 2022-10-06 2022-10-06 용접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702A KR102593589B1 (ko) 2022-10-06 2022-10-06 용접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589B1 true KR102593589B1 (ko) 2023-10-23

Family

ID=8850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702A KR102593589B1 (ko) 2022-10-06 2022-10-06 용접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327B1 (ko) * 2003-12-12 2006-07-26 이스지 다기능 용접 마스크
KR20130076385A (ko) * 2011-12-28 2013-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접 마스크
KR20140003054U (ko) * 2012-11-15 2014-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마스크
KR200491665Y1 (ko) 2020-01-07 2020-05-15 최송춘 사용성이 개선된 용접 마스크
KR20210060062A (ko) * 2019-11-18 2021-05-26 (주)엠케이산업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327B1 (ko) * 2003-12-12 2006-07-26 이스지 다기능 용접 마스크
KR20130076385A (ko) * 2011-12-28 2013-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접 마스크
KR20140003054U (ko) * 2012-11-15 2014-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마스크
KR20210060062A (ko) * 2019-11-18 2021-05-26 (주)엠케이산업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200491665Y1 (ko) 2020-01-07 2020-05-15 최송춘 사용성이 개선된 용접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117B1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US9907348B2 (en) Functional headband having integral cushion band
KR20010041781A (ko) 호흡기용 안면 밀봉체
KR101854270B1 (ko) 방진 마스크
US11376161B2 (en) Welder protector
KR101116947B1 (ko) 이중 쉴드가 구비된 안면보호구
KR102042842B1 (ko) 안경 또는 방진마스크를 착탈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는 고글
KR101660000B1 (ko) 안전모가 구비된 용접마스크
KR20140144538A (ko) 다기능 마스크
KR102593589B1 (ko) 용접 마스크
JP6826357B1 (ja) フェイスガード
KR20180129228A (ko) 안구 보호 일체형 방호 마스크
KR20150139251A (ko) 고글 마스크
KR20180000473U (ko) 분리형 보호복이 구비된 송기 마스크
KR102206754B1 (ko) 일회용 안면 보호 마스크
US20190314203A1 (en) Protective equipment
KR200392707Y1 (ko) 방진 마스크
JP2726427B2 (ja) 防塵用呼吸保護具
CN213372967U (zh) 儿童护眼罩
CN213128241U (zh) 一种儿科用的防护面罩
CN213646401U (zh) 多功能焊接组合护具
KR20200122108A (ko) 코마스크
CN219375169U (zh) 一种可拆卸镜片式冷焊机焊帽
KR200485320Y1 (ko) 휴대용 방연 마스크
CN220124025U (zh) 一种前开式防电弧头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