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20Y1 - 휴대용 방연 마스크 - Google Patents

휴대용 방연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20Y1
KR200485320Y1 KR2020140008066U KR20140008066U KR200485320Y1 KR 200485320 Y1 KR200485320 Y1 KR 200485320Y1 KR 2020140008066 U KR2020140008066 U KR 2020140008066U KR 20140008066 U KR20140008066 U KR 20140008066U KR 200485320 Y1 KR200485320 Y1 KR 200485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eyebrow
attached
adhesive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594U (ko
Inventor
이국빈
Original Assignee
이국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빈 filed Critical 이국빈
Priority to KR2020140008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2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면 전체에 걸쳐 접착부가 형성되고 착용시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된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이면의 상기 접착부에 부착되었다가 착용시 떼어지며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위치에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별도의 개구부의 상부에는 착용시 눈썹에 대응되는 위치와 면적으로 절개된 눈썹보호 영역이 형성된 이면지부; 및 상기 마스크부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마스크부의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면을 따라 부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와 일체로 형성된 렌즈본체로 구성된 렌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방연 마스크{PORTABLE EMERGENCY SMOKE MASK}
본 고안은 휴대용 방연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방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성 가스로부터 시야를 확보하고, 호흡기로 유독성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독성 가스를 정화시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방독면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버스 및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 백화점과 같은 공공장소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인해 비상구조장비로서 방독면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신속히 착용하도록 휴대가 용이하고, 재난 장소로부터 신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방독면의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독면은 부피가 크고, 무게가 상당하여 휴대가 거의 불가능하여 보관장소에 비치됨으로써 비상시 그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인은 기존의 보호장비의 휴대가 거의 불가능하여 재난상황에서 보호장비를 쉽게 이용할 수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위해 종래에는 포켓용 방연 안면보호대(실용신안등록 제0328035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포켓용 방연 안면보호대는,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단시간 내에 유독성 연기를 피해 재난 지역을 대피하여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유독연기로부터 시야 와 호흡을 확보하며, 일상 생활에서 항상 휴대가 용이하고, 신속히 착용할 수 있으며, 연령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생산단가가 낮아 저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면보호대는 안면(특히 눈 주위)에 부착면이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부착면이 눈썹 주변에도 접착됨으로써 안면보호대의 이탈시 착용자의 눈썹이 뽑히거나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안면형태에 맞게 착용감을 높이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고려가 요구되고 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28035호(2003.09.26)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안면에 맞도록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신속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안면에서 벗을 때에 접착면이 안면에서 떼어지면서 느껴지는 불쾌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방연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면 전체에 걸쳐 접착부가 형성되고 착용시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된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이면의 상기 접착부에 부착되었다가 착용시 떼어지며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위치에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별도의 개구부의 상부에는 착용시 눈썹에 대응되는 위치와 면적으로 절개된 눈썹보호 영역이 형성된 이면지부; 및 상기 마스크부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마스크부의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면을 따라 부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와 일체로 형성된 렌즈본체로 구성된 렌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방연 마스크가 제공된다.
상기 마스크부의 상기 개구부의 중간영역에는 하부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절개된 절개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의 장착부는 상기 마스크부의 전면에 접착제를 통해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눈썹보호 영역은 착용시 상기 이면지부가 상기 마스크부에서 떼어지더라도 상기 마스크부의 접착부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있어 상기 눈썹보호 영역에는 상기 마스크부의 상기 접착부가 노출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부의 상기 절개라인과 대응되는 상기 이면지부의 대응 영역에는 절개라인이 형성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마스크부에만 절개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이면지부의 탈거시 이 절개라인이 서로 엉겨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착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부의 이면에 형성된 접착부 중에 눈썹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접착영역은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착용시 눈썹에 접착부가 맞닿아 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렌즈부의 장착부가 마스크부의 외부면에 직접 접착제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고온 상태에서 렌즈부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연 마스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연 마스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연 마스크의 마스크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연 마스크의 이면지부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배면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연 마스크의 렌즈부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방연 마스크(100)는 마스크부(10), 이면지부(20), 및 렌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크부(10)는 통상적으로 직물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착용시 사람의 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개구부(13)가 각각 형성되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개구부의 주변으로는 접착영역(12a,12b)이 각각 둘레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들 제1 개구부(13)의 중앙 하부에는 하부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절개된 절개라인(11)이 형성된다. 이 절개라인(11)은 마스크 착용시 콧등이 위치하는 곳으로 다양한 안면형태에 맞도록 절개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부(10)를 안면에 부착할 시에 접착부(40)가 콧등 주변에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부(10)의 틈으로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안면에서도 각각 이 절개라인(11)을 통해 마스크부(10)가 안면에서 들뜨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부(10)의 이면에는 접착부(4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의 휴대시에는 이 접착부(40)에 이면지부(20)가 부착되어 포장지에 수납되도록 하고, 비상시에는 이 이면지부(20)를 마스크부(10)에서 떼서 안면에 마스크부(1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면지부(20)에는 착용시 눈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제2 개구부(23)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 개구부(23)의 상부로는 각각 눈썹보호영역(21a,21b)이 각각 형성된다. 이 눈썹보호영역(21a,21b)은 이면지부(20)의 본체영역(25)에 사람의 눈썹모양의 영역으로 절개라인(L1,L2)를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이면지부(20)를 마스크부(10)의 이면(접착부;40)에서 떼어내면 마스크부(10)에서 이면지부(20)가 분리되어 마스크부(10)의 이면에 형성된 접착부(40)가 외부로 노출된다. 반면 이면지부(20)에 절개라인(L1,L2)으로 분리된 눈썹보호영역(21a,21b)은 마스크부(10)에서 분리되지 않고 붙어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마스크부(10)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눈썹보호영역(21a,21b)을 제외한 나머지 마스크부(10)의 접착부(40)를 통해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방연 마스크는 착용시 마스크부(10)의 눈썹보호영역(21a,21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접착이 이루어져 착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크부(10)의 제1 개구부(13)에는 렌즈부(30)가 장착된다. 이때 종래에는 마스크부(10)의 이면측(접착부; 40)에 렌즈부(30)의 장착부(32)가 부착되는 방식이였으나, 이는 화재시와 같이 고온의 환경에서 쉽게 그 접착력이 저하되어 렌즈부(30)의 기밀성이 떨어지는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대해 본 고안에서는 도 6과 같이 렌즈부(30)의 장착부(32)를 마스크부(10)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접착제(35)를 통해 부착함으로써 고온환경에서도 그 접착력을 유지함으로써 기밀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마스크부(10)에는 콧등이 위치하는 절개라인(11)이 형성되어 다양한 안면형상에 대응되도록 절개라인(11)에 콧등이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마스크부(10)와 이면지부(20) 모두에 절개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면지부(20)를 마스크부(10)에서 이탈시키는 공정시 절개라인의 접착부(40)가 서로 엉겨붙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안면에 장착되는 마스크부(10)에만 절개라인(11)을 형성하고 이면지부(20)에는 절개라인을 형성하지 않아 이면지부(20)를 마스크부(10)에서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절개라인(11)이 서로 엉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면지부(20)의 양측에는 이면지부(20)를 마스크부(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일부를 절취 용이하게 하는 절취선(24a,2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마스크부(10)에만 절개라인(11)을 형성함으로써 이면지부(20)의 탈거시 이 절개라인(11)이 서로 엉겨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착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부(10) 이면의 접착부(40) 중에 착용시 눈썹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접착영역은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착용시 눈썹에 접착부가 닿아 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렌즈부(30)의 장착부(32)가 마스크부(10)의 외부면에 직접 접착제(35)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고온 상태에서 렌즈부(3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마스크부
11: 절개라인
12a,12b: 접착영역
13: 제1 개구부
15: 본체영역
20: 이면지부
21a, 21b: 눈썹보조영역
24a, 24b: 절취선
30: 렌즈부
31: 렌즈본체
32: 장착부
40: 접착부

Claims (5)

  1. 안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면 전체에 걸쳐 접착부가 형성되고 착용시 눈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된 박형의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의 이면의 상기 접착부에 부착되었다가 착용시 떼어지며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위치에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별도의 개구부의 상부에는 착용시 눈썹에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된 눈썹보호 영역이 형성된 이면지부; 및
    상기 마스크부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마스크부의 상기 개구부의 주위의 면을 따라 부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와 일체로 형성된 렌즈본체로 구성된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부의 상기 한 쌍의 개구부의 중간영역에는 하부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절개된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부의 상기 절개라인과 대응되는 상기 이면지부의 대응 영역에는 절개라인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연 마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장착부는 상기 마스크부의 전면에 접착제를 통해 직접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연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썹보호 영역은 착용시 상기 이면지부가 상기 마스크부에서 떼어지더라도 상기 마스크부의 접착부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있어 상기 눈썹보호 영역에는 상기 마스크부의 상기 접착부가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연 마스크.
  5. 삭제
KR2020140008066U 2014-11-05 2014-11-05 휴대용 방연 마스크 KR200485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66U KR200485320Y1 (ko) 2014-11-05 2014-11-05 휴대용 방연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66U KR200485320Y1 (ko) 2014-11-05 2014-11-05 휴대용 방연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94U KR20160001594U (ko) 2016-05-13
KR200485320Y1 true KR200485320Y1 (ko) 2017-12-21

Family

ID=5602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066U KR200485320Y1 (ko) 2014-11-05 2014-11-05 휴대용 방연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221B1 (ko) * 2020-06-30 2020-12-18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대피용 방연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2847A (en) * 1975-10-08 1978-10-31 Craig Robert G Protective eye shield for surgical patients
US7748387B1 (en) * 2005-03-17 2010-07-06 Dupaco, Inc. Eye guard for protecting a patient's eyes from a laser beam during surgery
KR200449647Y1 (ko) * 2008-04-18 2010-07-28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수술용 안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221B1 (ko) * 2020-06-30 2020-12-18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대피용 방연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94U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5878A1 (en) Half facepiece
RU2640984C2 (ru) Респираторная маска с носовым опорным элементом-расширителем
KR20180134694A (ko)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KR101714193B1 (ko) 마스크
US20150216250A1 (en) Protective garment
US20190008228A1 (en) Integrated non-conflicting headgear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20230090701A1 (en) Wearable face mask
KR20120001812U (ko) 일회용 마스크
KR200485320Y1 (ko) 휴대용 방연 마스크
KR20180129228A (ko) 안구 보호 일체형 방호 마스크
KR20100007100U (ko) 방한용 마스크
JP2007039827A (ja) 衣服
KR20190001328A (ko) 탈부착식 방재 마스크
JP3205333U (ja) 耳カバー付きマスク
KR102307508B1 (ko) 마스크용 김서림방지 테이프
KR102206754B1 (ko) 일회용 안면 보호 마스크
CN212325458U (zh) 一种全面罩
KR101957371B1 (ko) 폐 pet병을 활용한 화재용 안전 마스크
KR20050104851A (ko) 화재대피를 위한 휴대용 방연마스크(후드형)
KR102031764B1 (ko) 방연 마스크세트
KR100452167B1 (ko) 개인휴대용 화재안전 방독가스 마스크
JP2013169346A (ja) フルフェースマスク
JP3229636U (ja) フェイスマスク
US20230233884A1 (en) Task Mask Device
KR102421391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81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13

Effective date: 201711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