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694A -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694A
KR20180134694A KR1020170072771A KR20170072771A KR20180134694A KR 20180134694 A KR20180134694 A KR 20180134694A KR 1020170072771 A KR1020170072771 A KR 1020170072771A KR 20170072771 A KR20170072771 A KR 20170072771A KR 20180134694 A KR20180134694 A KR 2018013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mask
filter
cover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132B1 (ko
Inventor
김형대
Original Assignee
김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대 filed Critical 김형대
Priority to KR102017007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1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085Mouth or tee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를 개시한다. 개시된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착용자의 호흡을 위하여 커버부에 구비되는 호흡부와, 커버부를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커버부에 구비되며, 착용자의 입에 삽입되는 마우스피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용이 간편하며, 운동시 치아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의 교체가 가능하여 황사,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우스피스형 마스크{MOUTHPIECE TYPE MASK}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이 간편하며, 운동시 치아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부재의 교체가 가능하여 황사,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며, 화재 등과 같은 재난사고시 안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황사와 미세먼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와 대책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중의 황사와 미세먼지는 석영, 카드뮴, 납,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근래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황사 마스크의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황사 마스크는 대기 중에 퍼져 있는 미세한 모래 먼지인 황사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상의 여과재를 포함한 본체부로 착용자의 안면 부위 중 코, 입 및 턱 주변을 덮고, 본체부에 연결되는 걸이 끈을 귀에 걸어서 착용하게 된다.
더하여, 일상 생활은 물론 각종 산업현장, 스포츠 활동, 등산을 행함에 있어서도 먼지나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마스크는, 필터를 교체할 수 없어 필터링 효과 저하로 인하여 호흡기 질환의 예방 효과가 저하되고, 스포츠활동시 호흡이 불편하고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구강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7511호(공개일:2016.09.19)에는 "배기용 마우스피스를 장착한 방진마스크"가 개시되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249호(등록일:2006.09.04)에는 "휴대용 건강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필터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링 효과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황사 및 미세먼지 등에 의한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포츠활동시 안정된 사용이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착용자의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착용자의 호흡을 위하여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는 호흡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입에 삽입되는 마우스피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수지커버부재와, 상기 수지커버부재의 테두리부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착용감을 향상하기 위한 피부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흡부는, 공기의 통과를 위하여 상기 마우스피스부와 연통하며, 상기 착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도록 상기 커버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공기 호흡부재와, 상기 호흡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공기 호흡부재에 탈착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흡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마우스피스부와 연통되는 공기 호흡부재와, 상기 착용자가 코로 호흡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보조 호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호흡부재는, 상기 착용자의 입술에 접촉하도록 상기 커버에서 돌출 형성되며, 공기의 통과를 위한 장착홀부가 관통형성되는 필터장착부재와, 상기 필터장착부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는 입술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호흡부재는, 상기 착용자의 코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부와,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보조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부는, 상기 호흡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물림부재와, 상기 착용자의 호흡을 위하여 상기 물림부재에 관통형성되는 호흡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제1격자필터와 제1여과필터과 제1탄소필터와 제1미세필터 및 제1필터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필터부재는, 제2격자필터와, 제2여과필터와, 제2필터솜 및 제2미세밀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호흡을 위한 호흡부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필터링 저하를 방지하여 황사 및 미세먼지 등에 의한 호흡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가 마우스피스부를 입에 물어서 고정하므로, 운동이나 등산 등과 같은 외부활동시 착용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착용자의 치아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의 보조 호흡부재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의 보조 호흡부재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부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100)는 사용자가 황사, 미세먼지,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입과 코를 커버한다.
이러한 마우스피스형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긴밀하게 커버하는 커버부(110)와, 오염공기를 여과하여 호흡할 수 있도록 커버부(110)에 구비되는 호흡부(120)와, 안정된 착용을 위한 마우스피스부(1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100)는 착용자가 마우스피스부(130)를 입에 물어서 착용할 수 있으므로, 운동이나 등산 등과 같은 외부활동시 착용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착용자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110)는 착용자의 입과 코만을 최소한으로 커버하며, 착용자의 피부에 긴밀하게 접촉하여 호흡부(120) 이외의 부위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10)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되는 수지커버부재(111)와, 피부의 접촉감과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피부접촉부재(113)를 포함한다.
수지커버부재(111)는 실리콘에 의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작되며,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착용자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되도록 하여 착용감 및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지커버부재(111)는 테두리부를 따라 피부접촉부재(113)가 구비된다.
피부접촉부재(113)는 수지커버부재(111)의 탄성에 의해 사용 후, 피부에 착용 흔적이 남게 되는 것을 최소화함은 물론 피부 접촉감을 향상시키고, 거부감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접촉부재(113)는 수지커버부재(111)와 다른 재질 예를 들어 섬유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피부접촉부재(113)는 수지커버부재(111)에서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지커버부재(111)의 테두리부 내면에 접합된다. 이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100)에 의해 긴밀하게 밀폐되는 피부에 땀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커버부(110)에는 착용자가 원활한 호흡 및 오염공기 여과를 위한 호흡부(120)가 구비된다.
호흡부(120)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수지커버부재(111)에 구비되는 공기 호흡부재(121)와, 공기 호흡부재(121)에 탈착되며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23)와, 더욱 편안한 호흡을 위한 보조 호흡부재(125)를 포함한다.
공기 호흡부재(121)는 착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도록 수지커버부재(111)의 내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마우스피스부(130)와 연통된다. 이러한 공기 호흡부재(121)는 공기가 통과하는 장착홀부(121a)가 관통 형성되는 필터장착부재(121b)와, 착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는 입술접촉리브(121c)를 구비한다.
입술접촉리브(121c)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부(130)를 물었을 때 마우스피스부(1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부(130)를 강하게 물질 않더라도 안정감을 유지시켜 준다.
장착홀부(121a)에는 필터부재(123)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필터부재(123)는 특정기간을 주기로 하여 교체된다. 이러한 필터부재(123)는 오염공기의 필터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필터부재(123)는 제1격자필터(123a), 제1여과필터(123b), 제1탄소필터(123c), 제1미세필터(123d) 및 제1필터솜(123e)을 포함하며, 제1격자필터(123a), 제1여과필터(123b), 제1탄소필터(123c), 제1미세필터(123d) 및 제1필터솜(123e)이 차례로 적층된다. 또한, 필터부재(123)는 차례로 적층되는 제1여과필터(123b), 제1탄소필터(123c), 제1미세필터(123d) 및 제1필터솜(123e)의 외면에 보호필름(129)이 접착되어 그 형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123)는 보호필름(129)에 의해 그 형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장착홀부(121a)에서 탈착될 때 파손 및 변형이 방지된다.
보조 호흡부재(125)는 착용자가 코로도 호흡할 수 있도록 커버부(110)에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 호흡부재(125)는 커버부(110)에 형성되는 관통홀부(125a)와, 관통홀부(125a)에 탈착되는 보조필터부재(127)를 포함한다.
관통홀부(125a)는 착용자의 코 부위에 위치하도록 수지커버부재(111)에 관통 형성되며, 보조필터부재(127)의 결합을 통해 밀폐된다. 또한 관통홀부(125a)에는 보조필터부재(127)가 더욱 안정되게 고정됨은 물론 보조필터부재(127)와 보다 긴밀하게 밀폐되도록 필터지지리브(125b)가 돌출 형성된다.
보조필터부재(127)는 관통홀부(125a)에 삽입되어 공기를 필터링한다. 이러한 보조필터부재(127)는 필터링 성능이 향상되도록 제2격자필터(127a), 제2여과필터(127b), 제2필터솜(127c) 및 제2미세필터(127d)를 포함한다. 또한, 보조필터부재(127)는 제2격자필터(127a), 제2여과필터(127b), 제2필터솜(127c) 및 제2미세필터(127d)가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며, 보호필름(129)에 의해 차례로 적층된 제2격자필터(127a), 제2여과필터(127b), 제2필터솜(127c) 및 제2미세필터(127d)의 형태가 유지된다.
보호필름(129)은 적층된 제2격자필터(127a), 제2여과필터(127b), 제2필터솜(127c) 및 제2미세필터(127d)의 외면을 감싸도록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이를 통해 보조필터부재(127)를 관통홀부(125a)에 탈착할 때 보조필터부재(127)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100)는 착용자가 마우스피스부(130)를 입에 삽입함으로써, 착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마우스피스부(130)는 커버부(110)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공기 호흡부재(121)에서 연장 형성되며, 착용자의 입에 삽입된다. 이러한 마우스피스부(130)는 필터장착부재(121b)에서 연장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물림부재(131)와, 장착홀부(121a)와 연통하는 호흡홀부(133)를 구비한다.
물림부재(131)는 착용자의 입술과 잇몸 사이에 위치되어 잇몸에 밀착되는 잇몸접촉리브(131a)와, 잇몸접촉리브(131a)의 양측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착용자의 치아에 물리는 치아물림고정부재(131b)를 포함한다.
잇몸접촉리브(131a)는 공기 호흡부재(121)에서 반원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탄성을 가진다.
치아물림고정부재(131b)는 잇몸접촉리브(131a)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선단에 착용자의 치아에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리브(131c)가 돌출 형성되어 치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지리브(131c)는 치아물림고정부재(131b)가 착용자에게 물린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켜준다.
호흡홀부(133)는 장착홀부(121a)보다 작게 형성되며, 호흡을 위한 공기가 인출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공기 호흡부재(121)의 장착홀부(121a)에 필터부재(123)를 삽입하고, 보조 호흡부재(125)의 관통홀부(125a)에 보조필터부재(127)를 삽입한다.
그리고 커버부(110)에 의해 입과 코가 커버되도록 마스크(100)를 착용한다. 이때, 마우스피스부(130)를 입에 삽입하여 물어주면 커버부(110)가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면서 착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한,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피부접촉부재(113)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므로, 피부에 대한 거부감을 방지하면서 접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착용자가 호흡을 하면 공기 호흡부재(121) 및 보조 호흡부재(12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필터부재(123) 및 보조필터부재(127)에서 여과된 후, 착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된다.
또한, 필터부재(123) 및 보조필터부재(127)의 사용기간이 경과되면 필터부재(123) 및 보조필터부재(127)를 새로운 필터부재(123) 및 보조필터부재(127)로 교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100)는, 호흡을 위한 호흡부(120)에 구비되는 필터부재(123) 및 보조 필터부재(123)를 특정 사용주기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터부재(123) 및 보조 필터부재(123)의 필터링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황사 및 미세먼지 등에 의한 호흡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형 마스크(100)는 착용자가 마우스피스부(130)를 입에 물어서 고정하므로, 운동이나 등산 등과 같은 외부활동시 착용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운동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착용자의 치아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111 : 수지커버부재
113 : 피부접촉부재 120 : 호흡부
121 : 공기 호흡부재 123 : 필터부재
123a : 제1격자필터 123b : 제1여과필터
123c : 제1탄소필터 123d : 제1미세필터
123e : 제필터솜 125 : 보조 호흡부재
125a : 관통홀부 127 : 보조필터부재
127a : 제격자필터 127b : 제2여과필터
127c : 제2필터솜 127d : 제2미세필터
129 : 보호필름 130 : 마우스피스부

Claims (7)

  1.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착용자의 호흡을 위하여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는 호흡부; 및
    상기 커버부를 상기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입에 삽입되는 마우스피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수지커버부재; 및
    상기 수지커버부재의 테두리부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착용감을 향상하기 위한 피부접촉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부는, 공기의 통과를 위하여 상기 마우스피스부와 연통하며, 상기 착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도록 상기 커버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공기 호흡부재; 및
    상기 호흡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공기 호흡부재에 탈착되는 필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마우스피스부와 연통되는 공기 호흡부재; 및
    상기 착용자가 코로 호흡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보조 호흡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호흡부재는, 상기 착용자의 입술에 접촉하도록 상기 커버에서 돌출 형성되며, 공기의 통과를 위한 장착홀부가 관통형성되는 필터장착부재; 및
    상기 필터장착부재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입술에 접촉되는 입술접촉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호흡부재는, 상기 착용자의 코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보조필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부는, 상기 호흡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물림부재; 및
    상기 착용자의 호흡을 위하여 상기 물림부재에 관통형성되는 호흡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KR1020170072771A 2017-06-09 2017-06-09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KR10202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71A KR102029132B1 (ko) 2017-06-09 2017-06-09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71A KR102029132B1 (ko) 2017-06-09 2017-06-09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694A true KR20180134694A (ko) 2018-12-19
KR102029132B1 KR102029132B1 (ko) 2019-10-10

Family

ID=6500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771A KR102029132B1 (ko) 2017-06-09 2017-06-09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1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347B1 (ko) * 2019-04-12 2020-03-19 이의용 필터 교환형 미세 먼지 마스크
KR102129298B1 (ko) * 2019-06-19 2020-07-02 고창석 기능성 미세먼지 마스크
KR102175223B1 (ko) * 2020-03-06 2020-11-05 이수정 필터를 구비하는 마스크
CN112870498A (zh) * 2021-01-26 2021-06-01 深圳语莱扬名数据信息有限公司 一种医用吸嘴和面罩
KR20210002898U (ko) * 2020-06-17 2021-12-24 (주)도움라이프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445B1 (ko) * 2020-01-31 2021-05-06 김태희 마우스피스가 마련된 심폐기능 강화용 마스크
KR102406693B1 (ko) 2020-04-29 2022-06-10 (주)멋진여성 끈이 없고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2177023B1 (ko) 2020-04-29 2020-11-10 (주)멋진여성 끈이 없고 입을 감싸면서 코에 삽입하여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2334231B1 (ko) 2020-04-29 2021-12-02 (주)멋진여성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RU2754935C1 (ru) * 2020-08-21 2021-09-08 Владимир Викторович Михайлов Защитная маска с загубником
KR102233534B1 (ko) * 2020-09-04 2021-03-30 황소영 미세먼지 및 비말 차단 기능을 갖는 공갈 젖꼭지
US20220168535A1 (en) * 2020-12-01 2022-06-02 In Bok Lee Breathing guide apparatus and mask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179A (ja) * 1996-12-17 1998-06-23 J Morita Tokyo Mfg Corp 水中呼吸装置用マウスピース
US20030234016A1 (en) * 2002-06-24 2003-12-25 Swann Linsey J. Personal emergency breathing system
KR20040062697A (ko) * 2003-01-03 2004-07-09 신이슬 마스크
KR100903119B1 (ko) * 2007-09-17 2009-06-1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필터 교체형 방독마스크
KR101393686B1 (ko) * 2013-07-31 2014-05-13 주식회사 헬스앤드림 스위칭 마스크 및 호흡수단이 구비된 긴급구조용 호흡장비
JP2017002454A (ja) * 2015-06-04 2017-01-05 日東電工株式会社 マス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179A (ja) * 1996-12-17 1998-06-23 J Morita Tokyo Mfg Corp 水中呼吸装置用マウスピース
US20030234016A1 (en) * 2002-06-24 2003-12-25 Swann Linsey J. Personal emergency breathing system
KR20040062697A (ko) * 2003-01-03 2004-07-09 신이슬 마스크
KR100903119B1 (ko) * 2007-09-17 2009-06-1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필터 교체형 방독마스크
KR101393686B1 (ko) * 2013-07-31 2014-05-13 주식회사 헬스앤드림 스위칭 마스크 및 호흡수단이 구비된 긴급구조용 호흡장비
JP2017002454A (ja) * 2015-06-04 2017-01-05 日東電工株式会社 マスク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347B1 (ko) * 2019-04-12 2020-03-19 이의용 필터 교환형 미세 먼지 마스크
KR102129298B1 (ko) * 2019-06-19 2020-07-02 고창석 기능성 미세먼지 마스크
KR102175223B1 (ko) * 2020-03-06 2020-11-05 이수정 필터를 구비하는 마스크
WO2021177615A1 (ko) * 2020-03-06 2021-09-10 이수정 필터를 구비하는 마스크
KR20210002898U (ko) * 2020-06-17 2021-12-24 (주)도움라이프 마스크
CN112870498A (zh) * 2021-01-26 2021-06-01 深圳语莱扬名数据信息有限公司 一种医用吸嘴和面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132B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694A (ko)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JP6541649B2 (ja) 鼻支持拡張部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JP2011000430A (ja) パーフェクトプロテクトマスク
JP6863666B2 (ja) アイウェア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る呼吸用マスク
JP2018531106A6 (ja) アイウェア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る呼吸用マスク
JP2018531106A5 (ko)
JP6223140B2 (ja) 使い捨てマスク
KR20180129228A (ko) 안구 보호 일체형 방호 마스크
KR200426249Y1 (ko) 휴대용 건강 마스크
KR1013499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JPH0576420U (ja) 眼窩部保護用ゴーグル付使い捨てマスク、およびマスク装着式ゴーグル
KR200392707Y1 (ko) 방진 마스크
CN212754370U (zh) 附有简易护目镜的口罩组合构造
KR20190001328A (ko) 탈부착식 방재 마스크
KR20210133018A (ko) 마스크용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0485320Y1 (ko) 휴대용 방연 마스크
US20220249881A1 (en) Face mask
JP3114559U (ja) メガネの曇り止めマスク
CN212814394U (zh) 一种面罩
KR20170043981A (ko) 마스크
KR20220055062A (ko) 끈없는 마스크
KR20210137728A (ko) 마스크용 부착패드
TWM485741U (zh) 鼻部過濾貼片
JP2022125442A (ja) マスク装具
KR20220089216A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