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501B1 - 방한 마스크 - Google Patents

방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501B1
KR101032501B1 KR1020080125738A KR20080125738A KR101032501B1 KR 101032501 B1 KR101032501 B1 KR 101032501B1 KR 1020080125738 A KR1020080125738 A KR 1020080125738A KR 20080125738 A KR20080125738 A KR 20080125738A KR 101032501 B1 KR101032501 B1 KR 10103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wearer
rear cover
neck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261A (ko
Inventor
신재석
신재웅
Original Assignee
신재웅
신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웅, 신재석 filed Critical 신재웅
Priority to KR102008012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5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뒤통수, 목 및 안면의 측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부재와, 상기 후면커버부재 전면에 부착되어 코, 입 및 목을 커버하는 전면커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후면커버부재와 전면커버부재의 측면은 이중격벽으로 구성되고, 그 이중격벽 사이에는 호흡이 용이하도록 유입통로가 형성된 방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면커버부재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안면 대부분과 뒤통수 및 목 전체를 커버하게 됨은 물론이고 양 측면은 전면커버부재의 연장부로 인해 이중격벽의 구성을 가지므로 방한 기능이 더욱 우수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중격벽 사이에는 착용자의 피부를 외부로 직접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내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유입통로가 형성되므로 방한기능을 유지한 채 호흡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중격벽에 의해 양 측면이 더욱 견고함과 동시에 귀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활동성이 많은 레저 활동시에도 쉽게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활동성을 보장하는 큰 효과를 나타낸다.
방한 마스크, 기능성 섬유, 전면커버부재, 후면커버부재

Description

방한 마스크{A winter mask}
본 발명은 방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뒤통수, 목 및 안면의 측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부재와, 상기 후면커버부재 전면에 부착되어 코, 입 및 목을 커버하는 전면커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후면커버부재와 전면커버부재의 측면은 이중격벽으로 구성되고, 그 이중격벽 사이에는 호흡이 용이하도록 유입통로가 형성된 방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등산, 오토바이 등의 레저 활동은 물론이고 외부 작업시에는 그 용도에 맞게 제작된 의복을 입고 활동을 하게 되므로 신체의 대부분은 햇빛과 유해물질로부터 보호되며, 방한 기능 등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의복으로부터 보호되지 않는 목이나 안면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햇빛과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지 않으며, 무엇보다 추운 겨울에는 방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통상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하게 되는데, 마스크 중에서도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눈과 이마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안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된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즉,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 호 제10-2006-0058863호(2006.06.01, 공개)가 그 일예이다.
이를 참조로 하면, 마스크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되되 그 재질을 기능성 스판으로 하여 사용자가 그 탄력성을 이용해 뒤집어 쓸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 종래의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눈과 이마 및 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안면과 뒤통수 및 목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방한 기능과 더불어 햇빛과 유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스판 재질의 특성상 안면 특히 코 부분에 마스크가 밀착되므로 호흡시 다소 불편한 점이 발생되며, 특별한 고정수단 없이 스판의 탄성력으로만 안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활동성이 많은 레저 활동시 종종 흘러내리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한 기능이 한 층 더 우수하고, 호흡이 용이함과 더불어 활동성이 많은 레저 활동시 착용자의 안면에서 쉽게 흘러내리지 않는 방한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안면과 뒤통수 및 목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도록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방한 마스크에 있어서, 신축성 있는 섬유소재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뒤통수, 목 및 귀를 포함한 안면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전측과 상하측이 개방된 반원통 형상의 후면커버부재; 및 상기 후면커버부재의 개방된 전측에 봉제되어 착용자의 코, 입 및 목을 포함한 안면의 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그 상단부 양 측면에는 보온성 향상과 더불어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면커버부재의 측면에 이중격벽의 구성을 가지도록 봉제되되, 이중격벽 부분의 일부에는 호흡이 용이하도록 겹쳐진 그 사이를 통해 내외부를 연통하는 유입통로가 형성되도록 봉제되는 전면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커버부재의 상면은 착용자의 귀를 완전히 커버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측에 비해 후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후면커버부재의 양 측면에는 활동성이 많은 레저 활동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면커버부재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안면 대부분과 뒤통수 및 목 전체를 커버하게 됨은 물론이고 양 측면은 전면커버부재의 연장부로 인해 이중격벽의 구성을 가지므로 방한 기능이 더욱 우수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중격벽 사이에는 착용자의 피부를 외부로 직접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내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유입통로가 형성되므로 방한기능을 유지한 채 호흡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중격벽에 의해 양 측면이 더욱 견고함과 동시에 귀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활동성이 많은 레저 활동시에도 쉽게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활동성을 보장하는 큰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방한 마스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나"는 방한 마스크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 마스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방한 마스크(100)는 크게 후면커버부재(110) 및 전면커버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면커버부재(110)는 신축성 있는 기능성 섬유소재, 예컨대 스판덱스로 직조되되 상하측 및 전측으로 개방된 반원통 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반원통 형상을 가지면 착용자의 뒤통수와 뒷목 부분 및 귀를 포함한 안면의 측면과 목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후면커버부재(110)는 후면커버(112a) 및 상기 후면커버(112a)의 양 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측면커버(112b)로 분할되어 반원통 형상으로 봉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후면커버부재(110)를 분할하여 부착하게 되면 하나의 원단으로 직조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견고성이나 신축성이 더 우수할 것이므로 착용자에 더욱 밀착되어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후면커버부재(110)를 분할하지 않고 하나의 원단으로 직조하여서 사용 가능함은 분명하며, 반드시 분할 구성된다고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후면커버부재(110)의 양 측면 즉, 한 쌍의 측면커버(112b)에는 활동성이 많은 레저 활동시에 착용자의 안면에서 쉽게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착용자의 귀에 직접 걸 수 있는 귀걸이부(114)가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비록 귀걸이부(114)가 천공되나 후술할 전면커버부재(120)의 연장부(122)에 의해서 덮여 있는 구성이므로 착용자의 귀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현상이 없어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한 마스크(100)의 본래 취지와 부합되는 보온성은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면커버부재(110)는 도 1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은 전측인 "A"구간 보다 후측인 "B"구간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눈은 노출시키되 귀는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보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커버부재(120)는 상기 후면커버부재(110)의 개방된 전측에 양 측면이 봉제되어 상하측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후면커버부재(110)와 마찬가지로 기능성 섬유소재로 직조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커버부재(120)의 상단부 양 측면에는 측면으로 연장된 연장부(122)가 각각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그 형상이 "T"자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연장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귀 부분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후면커버부재(110)의 측면커버(112b) 외측에 이중격 벽이 되도록 각각 봉제된다.
물론, 상기 연장부(122)의 상면은 도 1의 "나"에서 보다 상세히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후면커버부재(110)의 상면과 마찬가지로 후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어 상기 후면커버부재(110)의 상면과 동조화 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122)의 하면과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후면커버부재(110)의 전측 상면은 봉제되어 있지 않고, 연장부(122)의 끝단과 상면만이 후면커버부재(110)와 봉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연장부(122)와 후면커버부재(110)의 측면에는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그 사이를 통해 내외부로 연통되는 유입통로(130)가 형성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며, 이 유입통로(13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미부호 설명 "V"는 봉제 된 부분을 지시하는 봉제부이다.
도 4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C"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전면커버부재(120)의 연장부(122) 내측에는 후면커버부재(110)의 전측이 위치하고 있어 이중격벽을 구성하고 있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연장부(122)의 하면과 후면커버부재(110)의 전측은 봉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의 착용 상태나 활동에 따라 "나"와 같이 연장부(122)와 후면커버부재(110)의 전측이 서로 이격되면서 그 사이에 내외부를 연통하는 유입통로(130)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착용 상태나 활동에 따라 상기 연장부(122)와 후면커버부재(110)의 전측은 그 이격된 정도를 달리 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내경을 갖는 유입통로(130)가 상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그 상황에 따라 유입통로(130)의 공간은 가변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렇게, 유입통로(130)가 형성되면 이를 통해 외부 공기가 출입하게 되고, 반대로 내부 공기와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착용자는 호흡이 용이할 것이다. 호흡이 용이하게 되면 말 그대로 호흡이 용이하여 활동이 많은 레저 활동시 유리한 장점이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특히, 안경 착용자의 경우에는 호흡시 발생되는 김이 이 유입통로(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안경으로 김이 올라와 시야를 가리는 일이 거의 없을 것이므로 사용상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한편, 내외부를 연통하여 호흡을 보다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 후면커버부재(110)의 일측면을 천공하여 형성된 숨구멍을 직접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숨구멍을 천공하게 되면 착용자의 피부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므로 방한 마스크의 본래 취지인 방한 기능이 저하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호흡을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 유입통로(130)를 형성하되 피부의 직접 노출을 방지하여 이중격벽의 구성을 제안하여 완성하게 된 것임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한 마스크(100)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마스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후면커버부재(110)와 전면커버부재(120)로 구성되어 상하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방한 마스크(100)는 전면커버부재(120)가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할 수 있도록 방향을 맞추고 그 하측 부분을 착용자가 머리에서 어깨쪽으로 내려 쓰되 그 상면이 착용자의 눈과 이마 및 머리는 노출시키도록 하면 착용이 완료된다.
이 착용된 상태에 의하면, 후면커버부재(110)가 착용자의 뒤통수와 귀를 포함한 안면의 측면 및 목(뒷목 및 측면목) 부분을 커버하게 되고, 전면커버부재(120)가 코와 입 및 목(전면)을 커버함과 동시에 연장부(122)가 귀를 커버하게 된다.
이와 함께, "나"를 참조로 하면, 착용자가 활동성이 많은 레저 활동시 방한 마스크(100)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후면커버부재(110)의 측면에 형성된 귀걸이부(114)를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후면커버부재(110)는 탄성력과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이므로 그 탄성력과 신축성을 이용하여 귀걸이부(114)를 귀에 걸게 되면 쉽게 착용이 완료된다.
비록, 상기 착용자의 귀가 귀걸이부(114)를 통해 후면커버부재(110)의 외부로 노출되나 그 외측에 이중격벽을 형성하는 전면커버부재(120)의 연장부(122)에 의해서 커버되므로 귀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아 안면에서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온성은 유지될 것이다.
이렇게 착용된 본 발명의 방한 마스크(100)는 전/후면커버부재(110,120)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눈과 이마를 제외한 안면 대부분과 뒤통수 및 목 전체를 커버하게 됨은 물론이고 양 측면은 전면커버부재(120)의 연장부(122)로 인해 이중격벽의 구성을 가지므로 방한 기능이 더욱 우수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중격벽 사이에는 착용자의 피부를 외부로 직접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내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유입통로(130)가 형성되므로 방한기능을 유지한 채 호흡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중격벽에 의해 양 측면이 더욱 견고함과 동시에 후면커버부재(110)의 양 측면에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부(1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활동성이 많은 레저 활동시에도 쉽게 흘러내리지 않아 활동성을 보장하는 큰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나"는 방한 마스크의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 마스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C"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마스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한 마스크 110 : 후면커버부재
112a : 후면커버 112b : 측면커버
114 : 귀걸이부 120 : 전면커버부재
122 : 연장부 130 : 유입통로
V : 봉제부

Claims (4)

  1. 착용자의 안면과 뒤통수 및 목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도록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방한 마스크에 있어서,
    신축성 있는 섬유소재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뒤통수, 목 및 귀를 포함한 안면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전측과 상하측이 개방된 반원통 형상의 후면커버부재; 및
    상기 후면커버부재의 개방된 전측에 봉제되어 착용자의 코, 입 및 목을 포함한 안면의 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그 상단부 양 측면에는 보온성 향상과 더불어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면커버부재의 측면에 이중격벽의 구성을 가지도록 봉제되되, 이중격벽 부분의 일부에는 호흡이 용이하도록 겹쳐진 그 사이를 통해 내외부를 연통하는 유입통로가 형성되도록 봉제되는 전면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부재의 상면은 착용자의 귀를 완전히 커버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측에 비해 후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마스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부재의 양 측면에는 활동성이 많은 레저 활동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마스크.
KR1020080125738A 2008-12-11 2008-12-11 방한 마스크 KR101032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738A KR101032501B1 (ko) 2008-12-11 2008-12-11 방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738A KR101032501B1 (ko) 2008-12-11 2008-12-11 방한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261A KR20100067261A (ko) 2010-06-21
KR101032501B1 true KR101032501B1 (ko) 2011-05-04

Family

ID=4236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738A KR101032501B1 (ko) 2008-12-11 2008-12-11 방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590B1 (ko) * 2022-07-12 2023-02-28 정대운 자외선 차단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42Y1 (ko) * 2010-08-20 2011-10-04 강호언 무봉제 방한마스크.
KR102121934B1 (ko) 2018-12-13 2020-06-26 (주)해원통상 기능성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679A (ja) * 1994-04-27 1995-11-07 Morito Kk スキー用防寒マスク
JP2752253B2 (ja) * 1992-01-27 1998-05-18 セイラス イノヴェイティヴ アクセサリーズ,インク. スカーフ付き保護マスク
JP2005192976A (ja) 2004-01-10 2005-07-21 Toshiyuki Uchiyama 暖房マスク
KR20060058863A (ko) * 2004-11-26 2006-06-01 이현석 원통스판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2253B2 (ja) * 1992-01-27 1998-05-18 セイラス イノヴェイティヴ アクセサリーズ,インク. スカーフ付き保護マスク
JPH07289679A (ja) * 1994-04-27 1995-11-07 Morito Kk スキー用防寒マスク
JP2005192976A (ja) 2004-01-10 2005-07-21 Toshiyuki Uchiyama 暖房マスク
KR20060058863A (ko) * 2004-11-26 2006-06-01 이현석 원통스판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590B1 (ko) * 2022-07-12 2023-02-28 정대운 자외선 차단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261A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286B2 (en) Outerwear having enhanced hood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US6738986B1 (en) Head covering
KR200460804Y1 (ko) 원통형 방한 마스크
KR101297466B1 (ko)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JP5260784B1 (ja) 紫外線防止用フェイスマスク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101032501B1 (ko) 방한 마스크
KR101017329B1 (ko) 말벌 방호복
KR101501238B1 (ko) 군사용 위장 마스크
KR20090012049U (ko) 이중 마스크
KR200342061Y1 (ko) 탈부착형 마스크를 구비한 낚시용 모자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KR200445739Y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US11712081B1 (en) Head covering
US10165808B2 (en) Supremely adjustable facial mask
KR102003183B1 (ko) 안면마스크
JP3178131U (ja) 日焼け防止フェイスマスク
KR200469566Y1 (ko) 마스크 일체형 편직 모자
KR101074544B1 (ko) 습기방지용 무봉제 보습마스크
KR101920146B1 (ko) 황사주름마스크
KR200479708Y1 (ko) 방한용 모자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0653224B1 (ko) 프리 사이즈 모자
KR101268919B1 (ko) 수직장력 차단 및 고정각 조절이 용이한 스포츠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