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727B1 -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727B1
KR101651727B1 KR1020140060257A KR20140060257A KR101651727B1 KR 101651727 B1 KR101651727 B1 KR 101651727B1 KR 1020140060257 A KR1020140060257 A KR 1020140060257A KR 20140060257 A KR20140060257 A KR 20140060257A KR 101651727 B1 KR101651727 B1 KR 10165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ow hole
wearer
line
flexible member
fixing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477A (ko
Inventor
채성원
Original Assignee
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성원 filed Critical 채성원
Priority to KR102014006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72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대비 고정 고정방식의 관련 구조를 새로이 개선하여 과도한 활동에 따른 마스크의 흘러내림을 적극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한 형태 변형으로 기밀성이 더욱 강화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목과 안면 부위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안면부(10)와 두건부(20)로 구분 구성되며, 안면부(10)에는 착용자의 턱 형상과 대응되는 라운드 형상의 하단유입홀(1) 및 착용자의 눈 밑 영역을 횡단하는 직선 형상의 전방유입홀(2)이 형성되고, 두건부(20)에는 전방유입홀의 양측방으로 구분 형성되어 착용자의 후두부 영역을 횡단하는 직선 형상의 후방유입홀(3)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유입홀(1) 및 전·후방유입홀(2,3)에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끈(40)이 체결되고, 상기 고정끈(40)은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으로 구분 배치하되 상기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의 양단을 두건부(20)의 후방으로 구분되게 인출시켜 각각의 조절수단(60)에 의해 조임 여부가 상하 선택적으로 결정되게 구성하며, 상기 안면부(10)에는 착용자의 코와 중첩되는 해당 영역을 기점으로 자유 절곡이 가능하도록 인장력을 가진 상태의 고정끈(40)과 플렉시블한 소재의 연성부재(51)를 고정수단(52)으로 고정 결합한 조임수단(50)을 구비하고, 상기 연성부재(51)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고정끈(40)의 내부 수용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고정끈(40)은 연성부재(51)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방향 양측으로 인장력을 주어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위치 고정되게 하고, 상기 연성부재(51)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되는 고정끈(40)의 위치를 절곡시 수축되는 해당 일면에 밀착시켜 배치되게 하여 고정끈(40)이 연성부재(51)의 절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해당 면과의 중첩된 상태로 배열되게 하며, 상기 연성부재(51) 상에 주름부를 연속되게 형성하되 연성부재(51)의 중앙 영역에 집중되게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라인(41)은 전방유입홀(2)에 삽입 개재된 상태에서 양측 후방유입홀(3) 각각으로 순차 진입되어 해당 양끝단이 외부로 인출되게 구성하되 착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영역 상으로 노출 배열된 상태에서 후방유입홀(3)로 삽입 유도되게 구성하며, 상기 하부라인(42)은 일단이 조절수단(60)에 구속된 상태에서 해당 타단을 후방유입홀(3)과 하단유입홀(1)로 순차 진입되게 하여 하단유입홀의 형상에 따라 선회시켜 전방유입홀(2)을 거친 후 재차 하단유입홀(1)로의 순차 진입이 이루어져 타측 후방유입홀(3)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라인(41)은 해당 조절수단(60)의 조작에 의해 두건부(20)로부터 안면부(10)로 이어지는 상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이면서 착용자의 귀가 걸림 고정되는 노출 부위의 노출 정도를 가변되게 하고, 상기 하부라인(42)은 해당 조절수단(60)의 조작에 따라 착용자의 턱이 위치되는 안면부(10)의 하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A dust mask}
본 발명은 각종 건설현장이나 조업현장 등 햇빛에 노출되는 산업현장을 포함한 스포츠 워킹이나 등산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 먼지나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마스크의 일종으로, 기존 대비 고정 고정방식의 관련 구조를 새로이 개선하여 과도한 활동에 따른 마스크의 흘러내림을 적극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한 형태 변형으로 기밀성이 더욱 강화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제지공장이나 방직공장, 채석장 등의 작업장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특히 화학공장 및 용접, 제련, 도금 등을 수행하는 금속가공공장의 작업장에서는 다량의 유독성 기체가 발생하게 된다. 이어 최근에는 황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또 다른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지하철이나 도로 등에서도 과거에 비해 각종 유해 먼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분진이나 황사 또는 유해 먼지 등을 흡입할 경우 폐 등에 치명적인 질환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식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는 물론, 스포츠 및 등산을 행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먼지나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근래에 들어서는 분진 발생 작업시 작업자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간단하고 가벼우며 또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작업자의 오염 정도에 따라 일 회 또는 수 회의 반복 사용이 가능한 필터지에 의한 방진마스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진마스크는 마스크 본체가 착용자의 코 부위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고 코 부위 양측으로 틈이 벌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틈새로 분진이나 유해물질이 유입되어 방진효과가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호흡시 습기가 마스크 본체의 내부면을 따라 위로 상승하여 마스크와 안경에 습기가 차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시야가 방해받게 되므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커다란 불편을 야기하는 등 많은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사상으로 구현되는 관련 마스크의 구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5443호 "환상의 패드부와 필터부 고정체를 갖는 방진마스크"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8768호 "방진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럼에도, 상기 기술사상을 포함한 기타 종래 마스크는 밴드의 체결방식이 일률적일뿐만 아니라 착용자 안면 구조 및 크기에 따라 해당 고정끈를 조절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불가피하게 별도의 묶음 방식으로 양쪽 밴드를 귀에 걸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진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자외선 차단 및 보온, 보습의 기능 또한 겸할 수 있도록 하되 해당 고정끈을 착용자 안면 구조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정끈 체결구조를 새로이 개선하여 착용자의 턱을 비롯한 안면, 후두부 영역에 대해 보다 확실한 조임이 실시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아울러, 착용자의 코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되면서 기밀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목과 안면 부위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안면부(10)와 두건부(20)로 구분 구성되며, 안면부(10)에는 착용자의 턱 형상과 대응되는 라운드 형상의 하단유입홀(1) 및 착용자의 눈 밑 영역을 횡단하는 직선 형상의 전방유입홀(2)이 형성되고, 두건부(20)에는 전방유입홀의 양측방으로 구분 형성되어 착용자의 후두부 영역을 횡단하는 직선 형상의 후방유입홀(3)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유입홀(1) 및 전·후방유입홀(2,3)에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끈(40)이 체결되고, 상기 고정끈(40)은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으로 구분 배치하되 상기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의 양단을 두건부(20)의 후방으로 구분되게 인출시켜 각각의 조절수단(60)에 의해 조임 여부가 상하 선택적으로 결정되게 구성하며, 상기 안면부(10)에는 착용자의 코와 중첩되는 해당 영역을 기점으로 자유 절곡이 가능하도록 인장력을 가진 상태의 고정끈(40)과 플렉시블한 소재의 연성부재(51)를 고정수단(52)으로 고정 결합한 조임수단(50)을 구비하고, 상기 연성부재(51)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고정끈(40)의 내부 수용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고정끈(40)은 연성부재(51)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방향 양측으로 인장력을 주어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위치 고정되게 하고, 상기 연성부재(51)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되는 고정끈(40)의 위치를 절곡시 수축되는 해당 일면에 밀착시켜 배치되게 하여 고정끈(40)이 연성부재(51)의 절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해당 면과의 중첩된 상태로 배열되게 하며, 상기 연성부재(51) 상에 주름부를 연속되게 형성하되 연성부재(51)의 중앙 영역에 집중되게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라인(41)은 전방유입홀(2)에 삽입 개재된 상태에서 양측 후방유입홀(3) 각각으로 순차 진입되어 해당 양끝단이 외부로 인출되게 구성하되 착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영역 상으로 노출 배열된 상태에서 후방유입홀(3)로 삽입 유도되게 구성하며, 상기 하부라인(42)은 일단이 조절수단(60)에 구속된 상태에서 해당 타단을 후방유입홀(3)과 하단유입홀(1)로 순차 진입되게 하여 하단유입홀의 형상에 따라 선회시켜 전방유입홀(2)을 거친 후 재차 하단유입홀(1)로의 순차 진입이 이루어져 타측 후방유입홀(3)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라인(41)은 해당 조절수단(60)의 조작에 의해 두건부(20)로부터 안면부(10)로 이어지는 상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이면서 착용자의 귀가 걸림 고정되는 노출 부위의 노출 정도를 가변되게 하고, 상기 하부라인(42)은 해당 조절수단(60)의 조작에 따라 착용자의 턱이 위치되는 안면부(10)의 하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끈의 체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착용자의 턱을 비롯한 안면, 후두부 영역에 대해 보다 확실한 조임이 구분 실시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연성부재를 상단유입홀에 부가 채용함으로써 기밀성이 더욱 강화되게 하는 것은 물론, 연성부재가 지니는 특성에 기인하여 착용자의 코 및 안면 부위에서 가장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눈 밑 시야 확보에 더욱 유리한 이점을 누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의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라인을 조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라인을 조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기존 대비 고정 고정방식의 관련 구조를 새로이 개선하여 과도한 활동에 따른 마스크의 흘러내림을 적극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한 형태 변형으로 기밀성이 더욱 강화되는 마스크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라인을 조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라인을 조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예시도이다.
상기 안면부(10)와 두건부(20)에는 하단유입홀(1) 및 전·후방유입홀(2,3)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끈(40)의 체결을 유도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기밀성 및 밀착성을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정끈(4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으로 구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의 양단을 두건부(20)의 후방으로 구분되게 인출시킴에 따라 각각의 조절수단(60)에 의해 조임 여부를 상하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목과 안면 부위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안면부(10)와 두건부(20)로 구분 구성하는데, 안면부(10)에는 착용자의 턱 형상과 대응되는 라운드 형상의 하단유입홀(1) 및 착용자의 눈 밑 영역을 횡단하는 직선 형상의 전방유입홀(2)이 형성되는 한편, 두건부(20)에는 전방유입홀의 양측방으로 구분 형성되어 착용자의 후두부 영역을 횡단하는 직선 형상의 후방유입홀(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단유입홀(1) 및 전·후방유입홀(2,3)에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끈(40)이 체결되는바, 이때의 고정끈(40)은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으로 구분 배치하되, 상기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의 양단을 두건부(20)의 후방으로 구분되게 인출시켜 각각의 조절수단(60)에 의해 조임 여부가 상하 선택적으로 결정되게 구성한다.
더욱 상세하게 기재하면, 본 발명의 상부라인(41)은 전방유입홀(2)에 삽입 개재된 상태에서 양측 후방유입홀(3) 각각으로 순차 진입되어 해당 양끝단이 외부로 인출되게 하였는바, 소정의 조절수단(60)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방식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부 및 후두부 영역을 상부라인으로 하여금 조여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부라인(42)은 일단이 조절수단(60)에 구속된 상태에서 해당 타단을 후방유입홀(3)과 하단유입홀(1)로 순차 진입되게 하여 하단유입홀의 형상에 따라 선회시킨 후, 전방유입홀(2)로 전개하여 재차 하단유입홀(1)로의 순차 진입이 이루어게 함으로써 타측 후방유입홀(3)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또한, 소정의 조절수단으로 하여금 하부라인을 조여줄 수 있게 되는데 이때의 조임 영역은 착용자 안면부의 턱 부근이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상기 상부라인(41)은 전방유입홀(2)에 삽입 개재되어 착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영역 상으로 노출 배열된 상태에서 후방유입홀(3)로 삽입 유도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마스크를 착용함에 있어서 하방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또 하나의 수단이 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단순 거치되는 타입에 의해 하향으로의 치우침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라인(41)은 해당 조절수단(60)의 조작에 의해 두건부(20)로부터 안면부(10)로 이어지는 상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이면서 착용자의 귀가 걸림 고정되는 노출 부위의 노출 정도를 가변되게 하고, 상기 하부라인(42)은 해당 조절수단(60)의 조작에 따라 착용자의 턱이 위치되는 안면부(10)의 하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하 구분된 각 영역을 통해 개별적인 조임이 실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목과 안면 부위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안면부(10)와 두건부(20)로 구분 구성되는데, 사용자 선택에 따라 안면부만을 별도로 마스크로서 사용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처럼 안면부(10)와 두건부(20)의 상호 탈부착을 위해 각각의 경계 영역에는 소정의 밸크로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미도시함)을 더 부여하여 사용상 기능성 및 편의성의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면부(10)와 두건부(20)에는 전술한 것처럼 하단유입홀(1) 및 전·후방유입홀(2,3)을 각각 형성하여 신축소재로 이루어진 고정끈(40)의 체결을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끈(40)은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으로 구분 배치하여 소기의 기능을 구현한다.
예컨대, 상기 상부라인(41)은 전방유입홀(2)에 삽입 개재되어 착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영역 상으로 노출 배열된 상태에서 후방유입홀(3)로 삽입 유도되고, 경우에 따라 상기 하부라인(42) 또한 하단유입홀(1)에 삽입 개재되어 착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영역 상으로 노출 배열되면서 상부라인(41)과 중첩된 상태로 후방유입홀(3)에 삽입 유도되게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의 양단은 두건부(20)의 후방으로 인출되어 각각의 조절수단(60)에 의해 조임 여부가 결정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기인하여 상기 상부라인(41)은 해당 조임수단의 조작에 의해 두건부(20)로부터 안면부(10)로 이어지는 상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이면서 착용자의 귀가 걸림 고정되는 노출 부위의 노출 정도를 가변되게 하는 한편, 상기 하부라인(42)은 해당 조임수단의 조작에 따라 착용자의 턱이 위치되는 안면부(10)의 하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이면서 착용자의 귀가 걸림 고정되는 노출 부위의 노출 정도를 가변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라인의 노출 영역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와 같이 하부라인을 노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부라인의 구성으로부터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안면부(10)에 착용자의 코와 중첩되는 해당 영역을 기점으로 자유 절곡이 가능한 형태의 조임수단(50)을 더 개재할 수 있다.
상기 조임수단(50)은 소정의 연성부재(51);와, 고정끈(40);과, 고정수단(52);을 포함하되, 그 구조는 인장력을 가진 상태의 고정끈(40)과 플렉시블한 소재의 연성부재(51)를 고정수단(52)으로 고정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연성부재(51)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고정끈(40)의 내부 수용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고정끈(40)은 본 발명의 상부라인(41)에 해당하되 연성부재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방향 양측으로 인장력을 주어 팽팽한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원하는 방향으로의 절곡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적정 텐션을 제공함으로써 소기의 목적 구현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조임수단(50)은 마스크를 비롯한 기타 대상물에 다양하게 접목 가능할 수 있으므로 조임이 필요한 경우 이를 단독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즉, 마스크의 착용시 착용자의 코를 커버하는 해당 부위에 소정의 연성부재(51)로 이루어진 조임수단(50)을 형성하였는바, 이러한 구조는 안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코 형상에 따라 기밀성이 유지될 수 없는 종래의 문제점을 불식시키고자 함으로, 본 발명의 조임수단(50)을 착용자의 코 형상과 동일하게 자유 절곡시켜 코 영역은 물론 마스크가 착용된 착용자의 안면과 정확하게 밀접 유도함에 따라 안면 어느 부위에서도 마스크의 이격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연성부재(51)의 내측 공간으로 수용되는 상기 고정끈(40)의 해당 영역을 길이방향 양측으로 인장력을 주어 고정끈의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연성부재(51)의 양측 단부를 고정수단(52)에 의해 고정끈 상에 구속되게 함으로써 보다 신축성 있는 자유 절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성부재(51)의 보다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해당 경로 상에 주름부(식별번호 없음)를 연속되게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름부는 연성부재(51)가 구현하는 절곡 형태를 더욱 완벽하게 실시되게 하는 구성요소로, 연성부재의 중앙 영역에 이러한 주름부를 집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성부재(51)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되는 고정끈(40)의 위치를 절곡시 수축되는 해당 일면에 밀착시켜 배치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끈(40)은 연성부재(51) 내부 공간에서 부양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절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해당 면과의 중첩된 상태로 배열되는바, 고정끈이 중첩 배치된 연성부재의 해당 일면을 수축시킴에 따라 보다 쉬운 위치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수축된 일면이 고정끈에 의해 지지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의도하지 않은 원복 상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마스크(100)는, 고정끈(40)의 체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착용자의 턱을 비롯한 안면, 후두부 영역에 대해 보다 확실한 조임이 구분 실시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연성부재를 상단유입홀에 부가 채용함으로써 기밀성이 더욱 강화되게 하는 것은 물론, 연성부재가 지니는 특성에 기인하여 착용자의 코 및 안면 부위에서 가장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눈 밑 시야 확보에 더욱 유리한 이점을 누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하단유입홀 2. 전방유입홀
3. 후방유입홀 4. 커버체
10. 안면부 20. 두건부
40. 고정끈 41. 상부라인
42. 하부라인 50. 조임수단
51. 연성부재 52. 고정수단
60. 조절수단
100. 자외선 차단용 통풍 마스크

Claims (6)

  1. 착용자의 목과 안면 부위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안면부(10)와 두건부(20)로 구분 구성되며, 안면부(10)에는 착용자의 턱 형상과 대응되는 라운드 형상의 하단유입홀(1) 및 착용자의 눈 밑 영역을 횡단하는 직선 형상의 전방유입홀(2)이 형성되고, 두건부(20)에는 전방유입홀의 양측방으로 구분 형성되어 착용자의 후두부 영역을 횡단하는 직선 형상의 후방유입홀(3)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유입홀(1) 및 전·후방유입홀(2,3)에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끈(40)이 체결되고, 상기 고정끈(40)은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으로 구분 배치하되 상기 상부라인(41)과 하부라인(42)의 양단을 두건부(20)의 후방으로 구분되게 인출시켜 각각의 조절수단(60)에 의해 조임 여부가 상하 선택적으로 결정되게 구성하며,
    상기 안면부(10)에는 착용자의 코와 중첩되는 해당 영역을 기점으로 자유 절곡이 가능하도록 인장력을 가진 상태의 고정끈(40)과 플렉시블한 소재의 연성부재(51)를 고정수단(52)으로 고정 결합한 조임수단(50)을 구비하고, 상기 연성부재(51)는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고정끈(40)의 내부 수용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고정끈(40)은 연성부재(51)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방향 양측으로 인장력을 주어 긴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위치 고정되게 하고, 상기 연성부재(51) 내부 공간에 삽입 수용되는 고정끈(40)의 위치를 절곡시 수축되는 해당 일면에 밀착시켜 배치되게 하여 고정끈(40)이 연성부재(51)의 절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해당 면과의 중첩된 상태로 배열되게 하며, 상기 연성부재(51) 상에 주름부를 연속되게 형성하되 연성부재(51)의 중앙 영역에 집중되게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라인(41)은 전방유입홀(2)에 삽입 개재된 상태에서 양측 후방유입홀(3) 각각으로 순차 진입되어 해당 양끝단이 외부로 인출되게 구성하되 착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영역 상으로 노출 배열된 상태에서 후방유입홀(3)로 삽입 유도되게 구성하며,
    상기 하부라인(42)은 일단이 조절수단(60)에 구속된 상태에서 해당 타단을 후방유입홀(3)과 하단유입홀(1)로 순차 진입되게 하여 하단유입홀의 형상에 따라 선회시켜 전방유입홀(2)을 거친 후 재차 하단유입홀(1)로의 순차 진입이 이루어져 타측 후방유입홀(3)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라인(41)은 해당 조절수단(60)의 조작에 의해 두건부(20)로부터 안면부(10)로 이어지는 상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이면서 착용자의 귀가 걸림 고정되는 노출 부위의 노출 정도를 가변되게 하고, 상기 하부라인(42)은 해당 조절수단(60)의 조작에 따라 착용자의 턱이 위치되는 안면부(10)의 하단 영역을 압축시켜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60257A 2014-05-20 2014-05-20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KR10165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257A KR101651727B1 (ko) 2014-05-20 2014-05-20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257A KR101651727B1 (ko) 2014-05-20 2014-05-20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477A KR20150133477A (ko) 2015-11-30
KR101651727B1 true KR101651727B1 (ko) 2016-08-26

Family

ID=5486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257A KR101651727B1 (ko) 2014-05-20 2014-05-20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7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32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
KR20180061736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사각마스크
KR20180061724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넥마스크
KR101925406B1 (ko) * 2018-04-23 2018-12-06 배수호 가드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0166A (zh) * 2016-06-30 2019-02-05 株式会社科莱尔 口罩、呼吸负荷型口罩以及口罩盒
KR102090238B1 (ko) * 2018-10-25 2020-03-17 공의산업 주식회사 안면 마스크
IT202000008542A1 (it) * 2020-04-21 2021-10-21 Paola Maltese Designer “dispositivo di protezione individuale delle vie respiratorie”
KR200492922Y1 (ko) * 2020-07-27 2021-01-05 남궁지환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04Y1 (ko) * 2011-12-30 2012-06-11 기 용 박 원통형 방한 마스크
KR101297466B1 (ko) * 2012-10-30 2013-08-16 손외남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970U (ko) * 2008-10-07 2010-04-15 김명훈 끈 조절이 용이한 안면 가리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04Y1 (ko) * 2011-12-30 2012-06-11 기 용 박 원통형 방한 마스크
KR101297466B1 (ko) * 2012-10-30 2013-08-16 손외남 다단 분리형 보습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32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
KR20180061736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사각마스크
KR20180061724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유니에어 조임 기능이 부가된 넥마스크
KR101925406B1 (ko) * 2018-04-23 2018-12-06 배수호 가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477A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27B1 (ko)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KR101544582B1 (ko) 듀얼마스크
KR101985567B1 (ko) 착용이 용이하면서 김서림을 방지한 방진마스크
KR101958385B1 (ko) 조임 기능이 부가된 사각마스크
US20140144430A1 (en) Protective Breathing Mask with Fabric Hood
KR101919343B1 (ko) 마스크
JP2018507009A (ja) ストラップの長さを調整するバックル及びこれを備える呼吸マスク
KR20180134694A (ko)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CN104955528A (zh) 呼吸防护装置带具组件
KR20180029313A (ko) 방진 마스크
KR20180002801U (ko) 이중 구조의 방진 마스크
JP2018527076A (ja) ストラップを接続するためのバックル及びそれを含む呼吸マスクハーネス
US7003812B1 (en) Chinstrap for protective garment having collar and protective garment having chinstrap and having collar
CN112493573A (zh) 防尘口罩
KR101515326B1 (ko) 투피스 타입의 보호피, 이를 이용한 입체형 방진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875126B1 (ko) 산업 및 보건용 호흡마스크
KR101958362B1 (ko) 조임 기능이 부가된 넥마스크
KR101703031B1 (ko) 고글 마스크
KR200456944Y1 (ko) 방진 마스크용 지지구
KR101958379B1 (ko) 조임 기능이 부가된 마스크
KR102005215B1 (ko) 호흡기 보호구 전용 필터 조립체
SE508688C2 (sv) Andningsskydd med huva och bandsystem samt därtill anslutet filter
KR101651728B1 (ko) 조임수단이 부여되는 마스크
KR20090104961A (ko) 공기순환관을 갖는 마스크
KR102361833B1 (ko) 마스크가 결합된 산업용 두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