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22Y1 -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 Google Patents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22Y1
KR200492922Y1 KR2020200002747U KR20200002747U KR200492922Y1 KR 200492922 Y1 KR200492922 Y1 KR 200492922Y1 KR 2020200002747 U KR2020200002747 U KR 2020200002747U KR 20200002747 U KR20200002747 U KR 20200002747U KR 200492922 Y1 KR200492922 Y1 KR 200492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wearer
cover
mask
sh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지환
김사무엘
Original Assignee
남궁지환
김사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지환, 김사무엘 filed Critical 남궁지환
Priority to KR2020200002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는 셔츠부와, 상기 셔츠부의 목 부분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목과 안면부를 감싸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결합하고 일부가 착용자의 목 뒤쪽에 노출되어 안면부를 감싼 후 상기 전면덮개의 쪼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T-shirt with mask function}
본 고안은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호흡기를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코로나 19의 생활 속 방역 중에서 마스크 착용은 필수다.
하지만,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여러모로 불편하고 특히, 여름철 마스크 안쪽에 습기가 차고 답답하여 마스크를 벗으려고 한다.
이렇게 마스크를 쓰고 벗는 반복적인 동작과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것은 여간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마스크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목 폴라의 목 부분을 마스크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목 폴라의 목 부분을 밴딩 처리하고 목 부분의 길이를 조금 늘리는 구성만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순히 목 폴라의 목 부분이 마스크 역할을 한다는 것에 불과하며, 목 폴라의 목 부분이 마스크 역할을 할 때 발생하는 오염 문제나 사용자의 편의성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323호(2011.05.25)
본 고안의 목적은 티셔츠의 목 부분을 통해 착용자의 안면부를 감쌀 수 있는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목 부분에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를 내장할 수 있는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의 안면부에 맞게 길이 및 감싸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는 셔츠부와, 상기 셔츠부의 목 부분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목과 안면부를 감싸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결합하고 일부가 착용자의 목 뒤쪽에 노출되어 안면부를 감싼 후 상기 전면덮개의 쪼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 방향으로 잡아당길 시 착용자의 목 앞쪽과 안면부를 감싸는 전면덮개와, 상기 전면덮개와 봉제 되어 착용자의 목 뒤쪽을 감싸는 후면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덮개는 외부에 노출되는 겉감과, 상기 겉감과 봉제 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와 맞대어지는 안감과,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형성되어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가 내장되는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1 내부공간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가 삽입되는 제2 내부공간과, 상기 안감에 형성되어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가 출입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에는 상기 제1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단 가로 제봉선과, 상기 제1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의 구획을 구분하는 상단 가로 제봉선과,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상기 제2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전면덮개와 상기 후면덮개의 경계선을 나타내는 한 쌍의 세로 제봉선과, 착용자의 목 또는 안면부 길이에 맞게 전면덮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접힘선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일부분이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분이 착용자의 목 뒤쪽에 노출되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와 결합하여 상기 전면덮개의 쪼임 정도를 조절 또는 고정하는 조절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면덮개에는 상기 탄성밴드의 나머지 일부분이 목 뒤쪽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노출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에 의하면, 목 부분을 통해 착용자의 안면부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목 부분에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안면부에 맞게 길이 및 쪼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의 전면덮개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의 후면덮개 내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10)는 셔츠부(100), 커버부(200) 및 조절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셔츠부(100)는 일반적인 티셔츠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착용자의 목 부분을 제외한 몸통과 팔 부분을 덮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셔츠부(100)의 목 부분에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착용자의 목을 감싸고, 호흡기 부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할 시에는 착용자가 상 방향으로 잡아당겨 목을 비롯하여 안면부가 감싸지도록 하여 호흡기를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는 상 방향으로 잡아당길 시 착용자의 목 앞쪽과 안면부를 감싸는 전면덮개(200a) 및 전면덮개(200a)와 봉제 되어 착용자의 목 뒤쪽을 감싸는 후면덮개(200b)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덮개(200a)와 후면덮개(200b)에 대한 내용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조절부(300)는 커버부(200)와 결합하여 안면부를 감싼 상태의 전면덮개(200a)의 쪼임 정도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안면부와 전면덮개(200a)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오염물질이 착용자의 안면부와 전면덮개(200a) 사이에 틈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300)는 일부가 착용자의 목 뒤쪽에 노출되어 착용자가 안면부를 감싼 상태에서 목 뒤쪽으로 손을 움직여 조절부(3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10)의 전면덮개(200a)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의 전면덮개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10)는 셔츠부(100), 셔츠부(100)의 목 부분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목과 안면부를 감싸는 커버부(200) 및 커버부(200)와 결합하고 일부가 착용자의 목 뒤쪽에 노출되어 안면부를 감싼 후 전면덮개(200a)의 쪼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는 상 방향으로 잡아당길 시 착용자의 목 앞쪽과 안면부를 감싸는 전면덮개(200a) 및 전면덮개(200a)와 봉제 되어 착용자의 목 뒤쪽을 감싸는 후면덮개(200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면덮개(200a)는 외부에 노출되는 겉감(210) 및 겉감(210)과 봉제 되고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와 맞대어지는 안감(22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겉감(210)과 안감(220) 사이에는 보건용, 미세먼지차단용 또는 비말차단용 등의 마스크나 마스크 필터가 내장되는 제1 내부공간(230)과 제1 내부공간(230)의 상단에 형성되어 조절부(300)가 삽입되는 제2 내부공간(24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안감(220)에는 제1 내부공간(230)에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를 삽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250)가 형성되어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의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목적에 따른 변경 및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를 분리하여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의 불필요한 사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겉감(210)과 안감(220)에는 하단 가로 제봉선(201), 상단 가로 제봉선(202) 및 세로 제봉선(203)이 구비될 수 있다.
하단 가로 제봉선(201)은 제1 내부공간(230)의 하단을 구획하여 제1 내부공간(230)에 삽입된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가 하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단 가로 제봉선(202)은 제1 내부공간(230)의 상단을 구획하여 제1 내부공간(230)에 삽입된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가 상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 내부공간(230)과 제2 내부공간(240)의 구획을 구분하는 역할도 함으로써 제1 내부공간(230)에 구비된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가 제2 내부공간(240)을 침범하거나 제2 내부공간(240)에 구비된 조절부(300)가 제1 내부공간(230)을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로 제봉선(203)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내부공간(230) 및 제2 내부공간(240)을 좌우양단을 구획하여 제1 내부공간(230)에 삽입된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나 제2 내부공간(240)에 구비된 조절부(300)가 좌우양단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면덮개(200a)와 후면덮개(200b)의 경계선을 나타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겉감(210)과 안감(220)에는 접힘선(204)이 구비되어 겉감(210)과 안감(220)이 일정부분 접혀진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목 또는 안면부 길이에 맞게 전면덮개(200a)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목 또는 안면부 길이의 착용자는 접힘선(204)에 의해 전면덮개(200a)의 일정부분이 접혀진 상태 그대로 사용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목 또는 안면부의 길이가 긴 착용자는 접힘선(204)에 의해 접혀져 있던 전면덮개(200a)의 일정부분이 펴짐으로써 전면덮개(200a)의 길이가 늘어나 상대적으로 목 또는 안면부의 길이가 긴 착용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10)의 조절부(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의 후면덮개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10)는 셔츠부(100), 셔츠부(100)의 목 부분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목과 안면부를 감싸는 커버부(200) 및 커버부(200)와 결합하고 일부가 착용자의 목 뒤쪽에 노출되어 안면부를 감싼 후 전면덮개(200a)의 쪼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는 상 방향으로 잡아당길 시 착용자의 목 앞쪽과 안면부를 감싸는 전면덮개(200a) 및 전면덮개(200a)와 봉제 되어 착용자의 목 뒤쪽을 감싸는 후면덮개(200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300)는 탄성밴드(310)와 조절구(320)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부분이 전면덮개(200a)의 제2 내부공간(240)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분이 착용자의 목 뒤쪽에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덮개(200b)에는 탄성밴드(310)의 나머지 일부분이 목 뒤쪽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노출구멍(260)이 구비되어 탄성밴드(310)의 나머지 일부분이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조절구(320)는 탄성밴드(310)와 결합하여 착용자의 누름 동작을 통해 탄성밴드(310)가 착용자의 안면부와 뒤통수를 감싸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전면덮개(200a)의 쪼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누름 동작을 해제하여 조절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덮개(200a)의 쪼임 정도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안면부와 전면덮개(200a)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오염물질이 착용자의 안면부와 전면덮개(200a) 사이에 틈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100: 셔츠부 200: 커버부
200a: 전면덮개 200b: 후면덮개
210: 겉감 220: 안감
230: 제1 내부공간 240: 제2 내부공간
250: 개구부 260: 노출구멍
201: 하단 가로 제봉선 202: 상단 가로 제봉선
203: 세로 제봉선 204: 접힘선
300: 조절부 310: 탄성밴드
320: 조절구

Claims (5)

  1. 셔츠부와,
    상기 셔츠부의 목 부분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목과 안면부를 감싸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결합하고 일부가 착용자의 목 뒤쪽에 노출되어 상 방향으로 잡아당길 시 착용자의 목 앞쪽과 안면부를 감싸는 상기 커버부의 전면덮개의 쪼임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 방향으로 잡아당길 시 착용자의 목 앞쪽과 안면부를 감싸는 전면덮개와, 상기 전면덮개와 봉제 되어 착용자의 목 뒤쪽을 감싸는 후면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덮개는 외부에 노출되는 겉감과, 상기 겉감과 봉제 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와 맞대어지는 안감과,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형성되어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가 내장되는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1 내부공간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가 삽입되는 제2 내부공간과, 상기 제1 내부공간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안감에 형성되어 마스크 또는 마스크 필터가 상하방향으로 출입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에는 상기 제1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단 가로 제봉선과, 상기 제1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의 구획을 구분하는 상단 가로 제봉선과, 상기 제1 내부공간 및 상기 제2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전면덮개와 상기 후면덮개의 경계선을 나타내는 한 쌍의 세로 제봉선과, 착용자의 목 또는 안면부의 상하길이에 맞게 전면덮개의 길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접힘선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는 일부분이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분이 착용자의 목 뒤쪽과 상기 후면덮개 사이에 노출되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와 결합하고, 착용자의 목 뒤쪽과 상기 후면덮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덮개의 쪼임 정도를 조절 또는 고정하는 조절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면덮개에는 상기 탄성밴드의 나머지 일부분이 목 뒤쪽과 상기 후면덮개 사이에 노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노출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00002747U 2020-07-27 2020-07-27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KR200492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47U KR200492922Y1 (ko) 2020-07-27 2020-07-27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47U KR200492922Y1 (ko) 2020-07-27 2020-07-27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22Y1 true KR200492922Y1 (ko) 2021-01-05

Family

ID=7413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47U KR200492922Y1 (ko) 2020-07-27 2020-07-27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2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323A (ko) 2009-11-19 2011-05-25 채준영 마스크와 만난 폴라티
KR20150133477A (ko) * 2014-05-20 2015-11-30 채성원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KR102058424B1 (ko) * 2018-06-27 2019-12-23 박용관 마스크를 가진 목 상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323A (ko) 2009-11-19 2011-05-25 채준영 마스크와 만난 폴라티
KR20150133477A (ko) * 2014-05-20 2015-11-30 채성원 상하 구분 조임이 실시되는 마스크
KR102058424B1 (ko) * 2018-06-27 2019-12-23 박용관 마스크를 가진 목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103B1 (en) Protective hood with integrated externally adjustable nose clip
CA2223345A1 (en) Full face helmet with breathing mask
US20210329993A1 (en) Protective face mask
US6754909B1 (en) Neck gator
KR102058424B1 (ko) 마스크를 가진 목 상의
KR100678716B1 (ko) 필터를 갖는 마스크
JP7471008B2 (ja) マスク
KR200492922Y1 (ko) 마스크 기능을 구비한 티셔츠
US20080223372A1 (en) Modified eye and mouth mask structure for escape from dense smoke of fire accident
JP4131333B2 (ja) 衣服
JP5815930B2 (ja) シールド付防塵フード
KR101840600B1 (ko) 작업복
KR101539947B1 (ko) 안면보호대
JP3205333U (ja) 耳カバー付きマスク
KR20240010118A (ko) 마스크 기능이 있는 티셔츠
KR101314798B1 (ko) 원통형 스카프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US7762256B2 (en) Protective device
KR20200026014A (ko) 셔츠
JP3229636U (ja) フェイスマスク
KR102568990B1 (ko) 마스크
JP3227801U (ja) マスク
JP3227801U6 (ja) マスク
JP3216133U (ja) 日除け帽子
US20230337763A1 (en)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