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011Y1 -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011Y1
KR200266011Y1 KR2020010037948U KR20010037948U KR200266011Y1 KR 200266011 Y1 KR200266011 Y1 KR 200266011Y1 KR 2020010037948 U KR2020010037948 U KR 2020010037948U KR 20010037948 U KR20010037948 U KR 20010037948U KR 200266011 Y1 KR200266011 Y1 KR 200266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ck plate
frame
fitting r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택
Original Assignee
김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택 filed Critical 김용택
Priority to KR2020010037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011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판의 수직통공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일부 구성을 추가함과 함께 프레임의 수직부 둘레에는 다른 일부 구성을 추가하여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등받이판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장착력이 더욱 향상되어 의자의 사용과정에서 등받이판이 어떠한 경우에도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등받이판(3)의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수직통공(4)이 형성되어 상기 각 수직통공으로 철재 의자의 프레임(1) 양측에 구비된 수직부(1b)가 끼워지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판(3)에 형성된 수직통공(4)의 내부에 끼움링(5)이 끼워지고, 상기 수직통공(4)의 내부중 끼움링(5)의 위쪽에는 상기 끼움링이 더이상 상방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둘레를 따라 상부단턱(6)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통공(4)의 내부중 끼움링(5)의 아래쪽에는 상기 끼움링이 더이상 하방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둘레를 따라 하부단턱(7)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링(5)에는 내경부를 이루도록 대략 수평상태로 걸림편(8)이 일체화되고, 상기 프레임(1)의 수직부(1b) 외부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걸림돌기(9)가 형성되어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으로 끼워질 때 상기 수직부(1b)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9)가 끼움링(5)에 일체화된 걸림편(8)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편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걸리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device for setting back board of iron frame chair}
본 고안은 철재프레임 의자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프레임에 별도로 사출 성형된 등받이판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재 프레임 의자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이 철근의 절곡 및 용접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1)에는 사용시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을 대략 수평상태에서 받쳐주도록 별도로 사출 성형된 좌판(2)이 장착됨과 함께 사용자의 등부분을 대략 수직상태에서 받쳐주도록 별도로 사출 성형된 등받이판(3)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1)은 철근의 절곡 및 용접에 의해 형성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좌판(2)을 장착하기 위한 수평부(1a)가 일체화 됨과 함께 등받이판(3)을 장착하기 위한 수직부(1b)가 일체화된다.
따라서 상기 좌판(2)은 프레임(1)의 수평부(1a)에 장착장치를 통해 장착되고, 등받이판(3)은 프레임(1)의 수직부(1b )에 장착장치를 통해 장착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철재프레임 의자에서 사용시 사용자의 등부분을 대략 수직상태에서 받쳐주도록 등받이판(3)을 철재로 된 프레임(1)의 수직부(1b)에 장착하는 종래 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등받이판(3)의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수직통공(4)이 형성되어 상기 각 수직통공으로 프레임(1) 양측의 수직부(1b)가 억지 끼워진 구조이다.
따라서 프레임(1)과는 별도로 통상 사출 성형된 등받이판(3)을 상기 프레임(1)의 수직부(1b) 위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판(3)을 프레임(1)의 수직부(1b)를 향해 하방으로 수직 이동시키면 상기 프레임(1)의 양측 수직부(1b)가 상기 등받이판(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수직통공(4)으로 끼워지므로 결국 상기 등받이판(3)이 프레임(1)에 장착됨에 따라 의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의 수직부(1b) 직경은 등받이판(3)의 양측에 형성된 각 수직통공(4)의 직경보다 약간 커야함이 바람직 한데, 이는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으로 억지 끼워지도록 하여 등받이판(3)이 프레임(1)에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판(3)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는, 별도로 사출 성형된 등받이판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판의 장착력이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억지 끼워진 것에 한정되므로 등받이판의 프레임 장착력이 약해 철재프레임 의자의 사용과정에서 의자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통상 등받이판 만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동시키고 있음에 따라 상기 등받이판이 철재프레임에서 자주 분리되는 형상이 나타나고, 상기 등받이판이 한번 분리되기 시작하면 이후 분리된 등받이판을 다시 장착시켰더라도 또다시 분리되므로 견고성 저하와 함께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해 보고자 일부에서는 등받이판을 프레임에 장착시키기 전에 상기 등판이판의 수직통공 및 프레임의 수직부에 접착제를 바른 다음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억지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등받이판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그 장착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 경우 조립 공정의 추가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짐과 함께 오랜 기간이 지날 경우 접착제의 접착력 저하로 인해 등받이판이 프레임에서 다시 분리되는 문제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등받이판의 수직통공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일부 구성을 추가함과 함께 프레임의 수직부 둘레에는 다른 일부 구성을 추가하여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등받이판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장착력이 더욱 향상되어 의자의 사용과정에서 등받이판이 분리되는 어떠한 경우에도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등받이판 장착장치를 갖는 철재프레임 의자를 등받이판이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종래 등받이판 장착장치에 의해 등받이판을 철재프레임 의자에 장착하는 과정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서, 등받이판이 장착되기 전 상태도
도 2b는 종래 등받이판 장착장치에 의해 등받이판을 철재프레임 의자에 장착하는 과정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서, 등받이판이 장착된 후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등받이판 장착장치를 갖는 철재프레임 의자를 등받이판이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등받이판 장착장치에 의해 등받이판을 철재프레임 의자에 장착하는 과정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서, 등받이판이 장착되기 전 상태도
도 4b는 본 고안 등받이판 장착장치에 의해 등받이판을 철재프레임 의자에 장착하는 과정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서, 등받이판이 장착된 후 상태도
도 5는 도 4b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 등받이판 장착장치의 구성요소인 끼움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4b의 Ⅰ-Ⅰ선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1b. 수직부
3. 등받이판 4. 수직통공
5. 끼움링 6. 상부단턱
7. 하부단턱 8. 걸림편
9. 걸림돌기 10. 수직돌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등받이판의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수직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각 수직통공으로 철재 의자의 프레임 양측에 구비된 수직부가 끼워지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판에 형성된 수직통공의 내부에 끼움링이 끼워지고, 상기 수직통공의 내부중 끼움링의 위쪽에는 상기 끼움링이 더이상 상방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둘레를 따라 상부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통공의 내부중 끼움링의 아래쪽에는 상기 끼움링이 더이상 하방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둘레를 따라 하부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링에는 내경부를 이루도록 대략 수평상태로 걸림편이 일체화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 외부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프레임의 수직부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끼워질 때 상기 수직부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가 끼움링에 일체화된 걸림편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편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걸리도록 한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등받이판 장착장치를 갖는 철재프레임 의자를 등받이판이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 등받이판 장착장치에 의해 등받이판을 철재프레임 의자에 장착하는 과정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b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등받이판 장착장치의 구성요소인 끼움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b의 Ⅰ-Ⅰ선 확대단면도로서, 본 고안 실시예는 등받이판(3)의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수직통공(4)이형성되어 상기 각 수직통공으로 철재 의자의 프레임(1) 양측에 구비된 수직부(1b)가 끼워지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판(3)에 형성된 수직통공(1b)의 내부에 금속재로 된 끼움링(5)이 끼워지고, 상기 수직통공(1b)의 내부중 끼움링(5)의 위쪽에는 상기 끼움링이 더이상 상방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둘레를 따라 상부단턱(6)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통공(1b)의 내부중 끼움링(5)의 아래쪽에는 상기 끼움링이 더이상 하방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둘레를 따라 하부단턱(7)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링(5)에는 내경부를 이루도록 대략 수평상태로 걸림편(8)이 일체화되고, 상기 프레임(1)의 수직부(1b) 외부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걸림돌기(9)가 형성되어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으로 끼워질 때 상기 수직부(1b)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9)가 끼움링(5)에 일체화된 걸림편(8)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편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걸리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에서 끼움링(5)의 내경부를 이루는 걸림편(8)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상향경사진 형태로 되고, 프레임(1)의 수직부(1b)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9)는 그 상부면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되어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으로 끼워질 때 상기 수직부(1b)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9)가 끼움링(5)에 일체화된 걸림편(8)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함과 함께 통과된 이후에는 상기 걸림편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걸림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링(5)에 내경부를 이루도록 일체화된 걸림편(8)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부(1b)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9)가 끼움링(5)에 일체화된 걸림편(8)을 통과할 때 상기 분할된 각 걸림편(8)이 재질 자체의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판(3)에 형성된 수직통공(1b)의 내부중 상부단턱(6)의 위쪽에는 수직통공(4)의 중심을 향한 상태로 복수개의 수직돌출편(10)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돌출편의 끝단을 잇는 직경은 끼움링(5)의 내경부를 이루도록 일체화된 걸림편(8)의 둘레면 직경과 동일하게 되어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부(1b)가 각 수직돌출편(10)과 기밀 접촉되면서 억지 끼움된 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에 의해 등받이판을 철재로 된 프레임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장치의 구성요소인 금속재의 끼움링(5)을 등받이판(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수직통공(1b)의 내부로 끼우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등받이판(3)이 프레스의 금형상에서 성형 완료된 직후에는 상기 등받이판(3)은 성형 과정에서의 열을 상당부분 가지고 있으므로 냉각되기 전까지는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판(3)이 성형 완료된 직후 상기 등받이판에 형성된 수직통공(4)의 하부 개방부를 통해 상기 수직통공 내부로 끼움링(5)을 밀어 넣으면 어느 순간 상기 끼움링은 수직통공(4) 내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부단턱(7)를 통과하여 끼워지는데, 상기 끼워지는 끼움링(5)은 상기 수직통공(4) 내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단턱(6)에 간섭될 때 까지 끼워진 다음 정지되므로 상기하부단턱(7)와 상부단턱(6) 사이에 위치되어 있게 되고, 상기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 내부로 끼워져 하부단턱(7)와 상부단턱(6)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등받이판(3)이 완전 냉각되면 상기 등받이판은 최초 성형되었던 직후보다 미세하게 수축되면서 유동성이 없어지므로(딱딱한 상태가 되어지므로) 결국 상기 끼움링(5)은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에 끼워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 내부로 끼움링(5)의 끼움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으로 프레임(1)의 수직부(1b)를 끼워 넣으면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등받이판(3)을 프레임(1)의 수직부(1b) 위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판(3)을 프레임(1)의 수직부(1b)를 향해 하방으로 수직 이동시키면 된다.
즉, 등받이판(3)을 프레임(1)의 수직부(1b) 위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직 이동시키면 상기 프레임(1)의 양측 수직부(1b)가 상기 등받이판(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수직통공(4)으로 끼워지는데, 상기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 내부에는 이미 끼워진 상태에 있음에 따라 결국 프레임(1)의 수직부(1b)는 끼움링(5)의 내경부로 끼워져 들어가게 된다.
한편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끼움링(5)의 내경부로 끼워져 들어가게 되면, 상기 끼움링에는 내경부를 이루도록 대략 수평상태로 걸림편(8)이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의 수직부(1b) 외부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걸림돌기(9)가 형성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어느 순간 상기 프레임(1)의 수직부(1b)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9)가 끼움링(5)에 일체화된 걸림편(8)을 이기면서 통과하므로 이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수직부(1b)의 걸림돌기(9)가 끼움링(5)의 걸림편(8) 위쪽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끼움링(5)이 수직부(1b)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고,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철재프레임 의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등받이판(3)에 상부로 잡아당기는 힘을 어느 정도(의자 전체가 들릴 수 있을 정도의 힘) 만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등받이판이 프레임(1)의 수직부(1b)에서 절대로 빠져나가지는 않는다.
상기에서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 내부에 끼워진 끼움링(5)의 내경부로 끼워져 들어감에 따라 상기 프레임(1)의 수직부(1b)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9)가 끼움링(5)에 일체화된 걸림편(8)을 이기면서 통과할 때는 상기 끼움링(5)의 내경부에 일체화된 걸림편(8)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상향경사진 형태로 복수개로 분할되어 있고, 프레임(1)의 수직부(1b)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9)는 그 상부면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각 걸림돌기(9)가 걸림편(8)을 원활히 통과하게 됨은 물론 통과된 이후에는 상기 걸림돌기(9)가 걸림편(8)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걸림이 완벽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등받이판(3)의 수직통공(4) 내부에 끼워진 끼움링(5)의 내경부로 완전히 끼워져 있음에 따라 상기 프레임(1)의 수직부(1b)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9)에 끼움링(5)에 일체화된 걸림편(8)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등받이판(3)에 형성된 수직통공(1b)의 내부중 상부단턱(6)의 위쪽에 수직통공(4)의 중심을 향한 상태로 복수개의 수직돌출편(10)이 형성되어 상기 각 수직돌출편의 끝단을 잇는 직경이 끼움링(5)의 내경부를 이루는 걸림편(8)의 둘레면 직경과 동일한 상태임을 감안할 때 상기 프레임(1)의 수직부(1b)가 각 수직돌출편(10)과 기밀 접촉되면서 억지 끼움된 상태에 있게 되어 상기 등받이판(3)의 장착상태가 전,후방향은 물론 양측방향으로 유동됨이 없이 매우 견고해 진다.
그러므로 본 고안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에 의해 등받이판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수직부 바깥쪽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끼워진 끼움링의 걸림편 위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에 걸려있음에 따라 장착력의 향상되어 이후 철재프레임 의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등받이판을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리더라도 상기 등받이편이 프레임의 수직부에서 절대로 이탈되는 일이 없어 견고성이 확보됨과 함께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등받이판의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수직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각 수직통공으로 철재 의자의 프레임 양측에 구비된 수직부가 끼워지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판에 형성된 수직통공의 내부에 끼움링이 끼워지고, 상기 수직통공의 내부중 끼움링의 위쪽에는 상기 끼움링이 더이상 상방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둘레를 따라 상부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통공의 내부중 끼움링의 아래쪽에는 상기 끼움링이 더이상 하방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둘레를 따라 하부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링에는 내경부를 이루도록 대략 수평상태로 걸림편이 일체화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직부 외부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프레임의 수직부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끼워질 때 상기 수직부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가 끼움링에 일체화된 걸림편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편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끼움링에 일체화되어 내경부를 이루는 걸림편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상향경사진 형태로 되고, 프레임의 수직부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는 그 상부면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하향경사진 형태로 되어 프레임의 수직부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끼워질 때 상기 수직부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가 끼움링에 일체화된 걸림편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함과 함께 통과된 이후에는 상기 걸림편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걸림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끼움링의 내경부를 이루는 걸림편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프레임의 수직부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부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가 끼움링에 일체화된 걸림편을 통과할 때 상기 분할된 각 걸림편이 재질 자체의 탄성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등받이판에 형성된 수직통공의 내부중 상부단턱의 위쪽에는 수직통공의 중심을 향한 상태로 복수개의 수직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돌출편의 끝단을 잇는 직경은 끼움링에 일체화된 걸림편의 둘레면 직경과 동일하게 되어 프레임의 수직부가 등받이판의 수직통공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부의 일부가 각 수직돌출편과 기밀 접촉되면서 억지 끼움된 상태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프리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KR2020010037948U 2001-12-08 2001-12-08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KR200266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48U KR200266011Y1 (ko) 2001-12-08 2001-12-08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948U KR200266011Y1 (ko) 2001-12-08 2001-12-08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011Y1 true KR200266011Y1 (ko) 2002-02-25

Family

ID=7311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948U KR200266011Y1 (ko) 2001-12-08 2001-12-08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01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003B1 (ko) 2007-09-05 2010-03-09 김하늘 자세 교정 기능 의자
KR200452513Y1 (ko) 2008-07-15 2011-03-04 김영기 의자
KR102262948B1 (ko) * 2019-12-09 2021-06-09 조효석 조립성이 향상된 프레임 의자
KR102388073B1 (ko) * 2021-07-23 2022-04-19 (주)대우가구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003B1 (ko) 2007-09-05 2010-03-09 김하늘 자세 교정 기능 의자
KR200452513Y1 (ko) 2008-07-15 2011-03-04 김영기 의자
KR102262948B1 (ko) * 2019-12-09 2021-06-09 조효석 조립성이 향상된 프레임 의자
KR102388073B1 (ko) * 2021-07-23 2022-04-19 (주)대우가구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형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5318B2 (ja) 車両のカップホルダ挿入型カップアダプタ構造
US5417352A (en) Garment support with changeable hanging hook and support beams
KR200266011Y1 (ko) 철재프레임 의자의 등받이판 장착장치
JP2008025176A (ja) 便器
AU761315B2 (en) Device for adjusting shoulder anchor height
KR200421492Y1 (ko) 옷걸이
KR20080105923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4578Y1 (ko) 의자의 팔걸이
KR100875883B1 (ko) 쿠션링
JP3709133B2 (ja) 鎖錠用ロッドの支持装置
KR200260632Y1 (ko) 의자의 팔걸이
CN206370394U (zh) 改进型磁轭组件
CN210631049U (zh) 一种拆装方便的紧固件
KR200199883Y1 (ko) 의자의 팔걸이 조립구조
CN216682009U (zh) 一种高效压装装置
JP4027475B2 (ja) クリップ
ITMI980998A1 (it) Sistema di supporo di un apparecchio su un quadro elettrico
JPS634167A (ja) 基礎コンクリ−ト用型枠の支持具
KR200251870Y1 (ko) 집게
CN112247079A (zh) 一种脚手架扣件加工用冲压模具
JP2744390B2 (ja) 椅子における合成樹脂製の脚体
KR900010683Y1 (ko)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JP2005313395A (ja) ヘッドレストの表皮一体発泡成形型構造
KR101479562B1 (ko) 인서트물을 갖는 발포성형용 금형장치
JP4316989B2 (ja) 椅子における脚カバー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