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870Y1 - 집게 - Google Patents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870Y1
KR200251870Y1 KR2020010020572U KR20010020572U KR200251870Y1 KR 200251870 Y1 KR200251870 Y1 KR 200251870Y1 KR 2020010020572 U KR2020010020572 U KR 2020010020572U KR 20010020572 U KR20010020572 U KR 20010020572U KR 200251870 Y1 KR200251870 Y1 KR 200251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tting
tongs
leg po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김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기 filed Critical 김정기
Priority to KR2020010020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870Y1/ko

Links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선단에 개구(21)를 가지며 양측으로는 수직한 끼움부(23)를 형성하고, 이 끼움부(23)엔 통공(24)을 형성하고 양 끼움부(23) 사이의 바닥면엔 통공(25)을 갖는 돌출부(25)를 형성한 몸체(20)와; 상기 끼움부(23)의 통공(24)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를 가지며, 그 선단엔 상기 몸체(20)와 대응하는 개구(11)를 가지며, 후단엔 하방으로 길게 내려오는 다리부(13)를 갖는 상가이드(10)와; 상기한 몸체(20)의 통공(26)에 핀에 의하여 결합하는 통공(32)을 갖는 연결부(31)와 이 연결부(31)와 연속하여 상방으로 수직하게 올라와 수평으로 전개하는 상면(35)을 갖는 상노부(30)로 구성되며, 상기한 상가이드(10)의 다리부(13)의 내측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노브(30)의 통공(32) 전방엔 계단부(34)가 형성되고 그 통공(32)의 후부엔 또 다른 돌기(33)가 형성되어 이 돌기(33)는 상기한 다리부(13)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게{clip}
본 고안은 집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엔 필요한 물건을 연결하고 타단엔 집게가 형성되는 구조에서 사용되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집게의 구조는 여러 형태가 있다.
특히 코일 형상의 줄이 형성되고 그 일단엔 각종 물품 등을 연결하고 타단엔 집게가 형성되어 이 집게를 바지 주머니의 일측에 고정하는 구조의 것이 나와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집게는 그 집게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렵고 제조상 제조비가 비싼 단점이 있고 또한 견고한 고정을 보장 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의 집게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그 제조비를 절감하고 또 조립이 편리함과 아울러 견고한 고정이 보장되는 집게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상가이드(10)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몸체(20)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상노브(30)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 선단에 개구(21)를 가지며 양측으로는 수직한 끼움부(23)를 형성하고, 이 끼움부(23)엔 통공(24)을 형성하고 양 끼움부(23) 사이의 바닥면엔 통공(25)을 갖는 돌출부(25)를 형성한 몸체(20)와; 상기 끼움부(23)의 통공(24)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를 가지며, 그 선단엔 상기 몸체(20)와 대응하는 개구(11)를 가지며, 후단엔 하방으로 길게 내려오는 다리부(13)를 갖는 상가이드(10)와; 상기한 몸체(20)의 통공(26)에 핀에 의하여 결합하는 통공(32)을 갖는 연결부(31)와 이 연결부(31)와 연속하여 상방으로 수직하게 올라와 수평으로 전개하는 상면(35)을 갖는 상노부(30)로 구성되며, 상기한 상가이드(10)의 다리부(13)의 내측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노브(30)의 통공(32) 전방엔 계단부(34)가 형성되고 그 통공(32)의 후부엔 또 다른 돌기(33)가 형성되어 이 돌기(33)는 상기한 다리부(13)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의 상가이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가이드(10)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11)르 가지고 있으며, 그 저면엔 다수의 돌기(1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반대쪽엔 하방으로 내려오는 2 개의 다리부(13)와 형성되고다리부(13)의 시작 위치 지점엔 끼움돌기(1)가 형성된다.
끼움 돌기(1)는 좌우 한쌍 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2 는 도 1 의 상가이드(10)와 결합되는 몸체(20)이다.
몸체(20)의일측엔 마찬가지로 개구(21)와 돌기(22)가 형성되고, 개략 중간의 좌추측으로는 끼움부(23)을 한쌍 형성하고 있다.
끼움부(23)엔 통공(24)이 형성되어 이 통공(24)에 상가이드(10)의 끼움돌기(1)가 끼워져 결합된다.
끼움부(23)의사이의 평면엔 돌출부(25)가 2 개 형성되고 이 돌출부(25) 각각엔 통공(26)이 1개씩 형성된다.
도 3 은 상노브(30)이다.
상노브(30)는 일측이 하방으로 내려오는 연결부(31)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31) 하단엔 통공(32)이 형성된다
통공(32)의 일측엔 좌우 대칭으로 돌기(33)가 형성된다.
그리고 통공(32)를 갖는 연결부(31) 하부의 형상은 개략 원형상이다. 그러나 그 원형상 중 일부는 다른 원주보다 더 직경이 큰 계단부(34)를 갖는다.
상노브(30)의 상부면 두께 부엔 즉 연결부(31)와 상면(35)을 연결하는 그 부위엔 경사면(36)을 형성한다.
상기한 상노브(30)는 몸체(20)와 결합된다.
상노브(30)의 통공(32)는 몸체(20)의 돌출부(25)의 통공(26)에 맞추어 핀으로 간편하게 결합하여 고정 한다. 이는 핀에 의한 조립이므로 강제로 힘을 줄 필요없이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
그리고 상노브(30)의 돌기(33)는 상가이드(10)와 함께 설치할 때 상가이드(10)의 'a' 부위에 접촉된다
도 4 는 상노브(30)와 상가이드(10) 사이의 결합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노브(30)의 통공(32)은 몸체(20)의 통공(26)과 나란히 하여 핀에 의하여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계단부(34)는 도 2 및 도 4 에 도시한 'b' 면에 꼭 끼워진 상태로 된다
이때 상노브(30)의 돌기(33)는 도 1 및 도 4 에 도시하 바와 같이, 상가이드(10)의 'a' 면에 접촉한다.
이 경우, 상노브(30)는 그 계단부(34)의 구성에 의해 통공(32)에 결합된 핀을 축 중심으로 한 회전이 억제되고 어느 정도 힘을 주어야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노브(30)를 화살표 방향으로 즉, 상부로 올릴 경우, 통공(32)을 기점으로 한 축은 고정되었고, 상가이드(10)의 끼움돌기(1)는 몸체(20)의 끼움부(23)에 형성한 통공(24)에 고정되었기 때문에 상가이드(10)의 다리부(13)는 아래로 내려 올수 밖에 없다. 즉, 상노브(30)를 위로 제끼면 통공(32)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상노브(30)가 회전하고 끼움돌기(1)에 고정되어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돌기(33)가 다리부(13)의 내측 구배면인 'a' 면을 타고 올라 가므로 결국 시계반대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놓인 상가이드(10)의 다리부(13)가 아래로 개방된 개구로 내려가므로 결국 상가이드(10)의 집게 앞쪽이 벌어져 집게가 입을 벌린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다른 집게의 구조 보다 집게의 구조가 복잡한 형상이 아닌 간단한 형상으로 구성 가능하므로 그 금형을 만들기가 용이하고 제조비가 저렴하여 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상의 고장도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상가이드(10)와 몸체(20)의 집게 선단부가 가운데가 개방된 개구(11,21)로 형성되어 있어 재료비의 절감과 함께 더욱 견고하게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일반 구조의 집게는 상하 두면에 의한 고정이라면,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가 각각 2 개의 면에서 잡아 주므로 즉, 2 곳에서 4 면에 의한 고정이므로 고정이 더욱 견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금형 제작이나 사출 제작시, 그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의 조립이 간편한 효과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집게는 예들들어, 휴대폰 줄의 집게나 카메라 가방 등의 각종 가방에 또는 기타 여러 용도의 집게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선단에 개구(21)를 가지며 양측으로는 수직한 끼움부(23)를 형성하고, 이 끼움부(23)엔 통공(24)을 형성하고 양 끼움부(23) 사이의 바닥면엔 통공(25)을 갖는돌출부(25)를 형성한 몸체(20)와;
    상기 끼움부(23)의 통공(24)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를 가지며, 그 선단엔 상기 몸체(20)와 대응하는 개구(11)를 가지며, 후단엔 하방으로 길게 내려오는 다리부(13)를 갖는 상가이드(10)와;
    상기한 몸체(20)의 통공(26)과 일체로 핀에 의하여 결합하는 통공(32)를 갖는 연결부(31)와 이 연결부(31)와 연속하여 상방으로 수직하게 올라와 수평으로 전개하는 상면(35)을 갖는 상노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가이드(10)의 다리부(13)의 내측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노브(30)의 통공(32) 전방엔 계단부(34)가 형성되고 그 통공(32)의 후부엔 돌기(33)가 형성되어 이 돌기(33)는 상기한 다리부(13)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KR2020010020572U 2001-07-07 2001-07-07 집게 KR200251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572U KR200251870Y1 (ko) 2001-07-07 2001-07-07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572U KR200251870Y1 (ko) 2001-07-07 2001-07-07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870Y1 true KR200251870Y1 (ko) 2001-11-17

Family

ID=7306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572U KR200251870Y1 (ko) 2001-07-07 2001-07-07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8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21558A (ko) 연결부재와 그 제조방법
KR970014628A (ko) 커넥터를 구비한 코드
EP0353730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s
TW201721338A (zh) 按鍵結構及具有該按鍵結構的電子裝置
EP0874116A1 (en) Hinged lock key
KR200251870Y1 (ko) 집게
CN100471413C (zh) 拉链的滑动块
US6675448B2 (en) Magnetic closure, particularly for bags and the like
US4876974A (en) Snap fit presser foot assembly for a sewing machine
JP7432834B2 (ja) 装身具用連結部品及び装身具
KR102486966B1 (ko) 스냅 단추
JPS6021815Y2 (ja) ケ−ス結合装置
TW200512410A (en) Valve having a junction type housing
CN220212164U (zh) 一种活动的镶嵌结构及戒指
CN217906569U (zh) 用于服饰的开合扣
KR200270253Y1 (ko) 코받침 연동구조
KR200179943Y1 (ko) 핸드폰 걸이줄의 고정구
KR200228296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커버 오픈 장치
KR19980025450U (ko) 가방용 괘정구의 탄발구조
KR200183273Y1 (ko) 파라솔 지주
KR940008507Y1 (ko) 파라솔용 살의 힌지
KR960028854A (ko) 끈걸이구
CN102304993B (zh) 开关门装置
KR19980055938U (ko) 열쇠고리
KR910005377Y1 (ko) 인장을 내장한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