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923A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923A
KR20080105923A KR1020070054118A KR20070054118A KR20080105923A KR 20080105923 A KR20080105923 A KR 20080105923A KR 1020070054118 A KR1020070054118 A KR 1020070054118A KR 20070054118 A KR20070054118 A KR 20070054118A KR 20080105923 A KR20080105923 A KR 2008010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late
conductive
mold
cooking vessel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219B1 (ko
Inventor
장만식
Original Assignee
장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만식 filed Critical 장만식
Priority to KR102007005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21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9/00Foods and beverages: apparatus
    • Y10S99/14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일체화되는 도전성 금속재질의 도전판; 및 상기 용기본체와 동일한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도전판의 상면에 균일하게 배열 결합되는 다수의 이탈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되는 이종 재질로 된 조리용기를 다이캐스팅 성형에 의해 성형하여도 그 이종 재질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특히 다이캐스팅시 발생되는 고압에 의해 도전판이 금형 내의 원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인덕션 렌지, 조리용기, 도전판, 다이캐스팅, 끼움고정편, 이탈방지구

Description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COOKING RECEPTACLE FOR INDUCTION RAN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도 1은 종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에 구비되는 도전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전판의 주요 구성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본체 20 - 도전판
21 - 장공 22 - 소공
24,24' - 돌출편 25 - 트임부
30 - 이탈방지구 40 - 끼움고정편
50 - 금형 51 - 하부금형
52 - 상부금형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이 인가되어 자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이 내장되어 있어 이 코일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일에는 자장이 유도되어 이 자장의 범위 내에 있는 금속체를 가열하는 원리이다.
이와 같은 인덕션 렌지는 불꽃이나 유해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할 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의 발생이 없고, 실내 산소의 소모가 적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인덕션 렌지는 상기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자기감응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만이 사용 가능하고, 조리용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용기나 석기 및 도자기류로 이루어진 용기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용기 자체(1)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비도전성 재질로 성형하고, 용기(1)의 바닥면 에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도전판(2)을 다이캐스팅 주조에 의해 일체화시킨 조리용기(A)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전판(2)은 원판형으로 용기(1)와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해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장공(2a)과 상기 장공(2a)들의 사이 사이에 균일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소공(2b)들이 형성되어 다이캐스팅 주조시 주입되는 용액이 상기 장공(2a)과 소공(2b)들을 통해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전판(2)의 외측 및 내측 둘레에는 상기 용기(1)와의 일체화 작업시 용기(1)의 바닥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다이캐스팅 금형(3)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삽입홈(3a)으로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출부(2c)가 구비되며, 이 삽입돌출부(2c)는 조리용기(A)의 성형 후, 후가공처리를 통해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게 된다.
즉,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이캐스팅 금형(3)의 내에는 도전판(2)이 용기(1)의 바닥면 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도전판(2)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삽입홈(3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전판(2)에 구비된 삽입돌출부(2c)를 금형(3) 내에 구비된 삽입홈(3a)에 삽입 고정시킨 상태에서 비도전성 재질의 용액을 주입하여 성형함으로써, 용기(1)와 도전판(2)이 일체화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도전판(2)에 구비된 삽입돌출부(2c)만을 이용하여 다이캐스팅 금형(3) 내부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다이캐스팅 주조의 특성 상 용액의 주입시 고압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그 압력에 의해 도전판(2)이 임의적으로 움직여 금형(3)의 삽입홈(3a)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도전판(2)이 용기(1)의 바닥면 중앙부분에 일체화되지 않는 불량한 제품으로 성형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캐스팅 주조에 의해 도전판과 용기의 일체화 제조시 도전판이 원래의 위치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일체화되는 도전성 금속재질의 도전판; 및 상기 용기본체와 동일한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도전판의 상면에 균일하게 배열 결합되는 다수의 이탈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도전성 금속재질의 평판구조로 상면에는 균일하게 배열된 다수의 이탈방지구가 조립되고, 외측면과 내측면 둘레에는 다수의 끼움고정편이 구비된 도전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판에 구비된 끼움고정편을 하부금형 내의 끼움홈으로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도전판에 구비된 이탈방지구가 상부금형에 밀착되도록 상기 도전판을 금형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금형 내부에 비도전성 금속재질의 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도전판과 일체화되는 조리용기로 다이캐스팅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조리용기를 금형으로부터 탈형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돌출된 끼움고정편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기에 구비되는 도전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전판의 주요 구성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기는 크게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용기본체(도5c의 10)와, 상기 용기본체(도5c의 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인덕션 렌지에서 발생되는 자장과 감응하여 발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도전판(20) 및, 상기 도전판(20)의 상면에 균일하게 배열 결합되어 조리용기의 제조시 도전판(20)이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전판(20)은 도전성 금속재질인 철(Fe) 또는 철이 함유된 합금으로 구성되 어 다이캐스팅 금형(50) 내부에 삽입 고정시킨 상태에서 용기본체(도5c의 10)의 소재가 되는 비도전성 금속재질의 용액을 주입함으로써, 용기본체(도5c의 10)의 바닥면에 일체화 성형된다.
이러한 도전판(2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다이캐스팅 성형시 용기본체(도5c의 10)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수단(23)이 구비된다.
결합수단(23)은 상기 도전판(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는 다수의 장공(21)과, 상기 다수의 장공(21) 사이 사이에 균일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소공(22)들로 구성된다.
즉, 다수의 장공(21)과 소공(22)들에 의해 용기본체(도5c의 10)의 소재인 비도전성 금속재질의 용액이 통과되어 성형됨으로써, 상기 도전판(20)이 용기본체(도5c의 10)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또한, 상기 장공(21)과 소공(22)들의 주연부에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24)(24')들이 구비된다. 상기 돌출편(24)(24')은 도전판(20)이 가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변형을 최대한 억제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다수의 장공(21)과 소공(22)들 중 일부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일부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열에 의해 팽창이 상하로 고르게 발생되도록 하여 가열시 도전판(20)이 구부러지게 되는 등의 변형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공(21)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4)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소공(22)들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4')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 이다.
또한, 상기 도전판(20)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장공(21)들의 선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를 절개시키는 트임부(25)가 구비된다.
상기 트임부(25) 역시 도전판(20)의 가열에 의해 팽창하는 경우, 변형에 의해 중앙 부분이 솟아오르게 되는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전판(20)의 내측 둘레면 장공(21)에 해당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도전판(20)의 내측면 단부가 소정의 텐션을 갖는 자유단으로 형성함으로써, 도전판(20)의 팽창을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게 하여 도전판(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전판(20)에는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금형(50) 내부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30)가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금형(50) 내부에 주입되는 용액의 고압력에 의해 도전판(20)이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이탈방지구(30)는 도전판(20)의 상면 적절한 위치에 배열 조립되는 다수의 돌기로 구성된다. 이때, 이탈방지구(30)는 용기본체(도5c의 10)의 재질과 동일한 비도전성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도전판(20)의 상면에 끼워 조립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도전판(20)에 조립시 상부금형(52)과 접촉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구(30)에 의해 금형(50)이 직접 도전판(20)을 눌러주기 때문에 다이캐스팅 성형에 따른 고압이 발생되더라도 도전판(20)이 원래의 위치 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구(30)가 용기본체(도5c의 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이캐스팅 성형 과정에서 일부 용융됨으로써, 상기 도전판(20)과 용기본체(10)의 일체화를 더욱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전판(20)이 다이캐스팅 성형에 의해 용기본체(도5c의 10)에 일체화 되는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전성 금속재질로써, 상면에는 균일하게 배열된 다수의 이탈방지구(30)와, 외측면과 내측면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고정편(40)이 구비된 도전판(20)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끼움고정편(40)은 다이캐스팅 성형시 금형(50) 내부에 형성되는 끼움홈(51a)에 끼워져 도전판(20)이 임의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고정편(40)은 도전판(20)의 외측면과 내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도전판(20)의 하부로 약간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끼움고정편(40)은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어 적절한 텐션 이 유지되기 때문에 금형(50)에 구비된 끼움홈(51a)에 끼워졌을 때 강한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전판(20)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도전판(20)에 구비된 끼움고정편(40)은 하부금형(51) 내의 끼움홈(51a)에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도전판(20)에 구비된 이탈방지구(30)는 상부금형(52)에 밀착되도록 상기 도전판(20)을 금형(50) 내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도전판(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도전판(20)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금형(50) 내부에 비전도성 금속재질의 용액을 주입하여 충진되면서 상기 도전판(20)과 일체화되도록 용기본체(10)를 다이캐스팅 성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에는 상기 도전판(20)에 구비된 끼움고정편(40)이 하부금형(51a)에 끼워 고정되어 있고, 이탈방지구(30)는 상부금형(52)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도전판(20)은 금형(50) 내부에 다이캐스팅에 의한 고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이탈됨 없이 용기본체(10)의 바닥면 정위치에서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조리용기의 성형이 완료되면, 조리용기를 금형(50)에서 탈형시킨 후,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끼움고정편(40)을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조리용기의 성형과정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되는 이종 재질로 된 조리용기를 다이캐스팅 성형에 의해 성형하여도 그 이종 재질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특히 도전판에 구비되는 끼움고정편과 이탈방지구에 의해 다이캐스팅시 발생되는 고압에 의해 도전판이 금형 내의 원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용기본체(10);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면에 일체화되는 도전성 금속재질의 도전판(20); 및
    상기 용기본체(10)와 동일한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도전판(20)의 상면에 균일하게 배열 결합되는 다수의 이탈방지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20)은,
    표면에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는 다수의 장공(21)과, 상기 장공들 사이에 배열되는 다수의 소공(22)들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23)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23)을 구성하는 다수의 장공(21)과 소공(22)의 주연부에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24)(2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21)의 주연부에 돌출되는 돌출편(24)는 도전판(2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소공(22)의 주연부에 돌출되는 돌출편(24')는 도전판(2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판(20)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장공(21)으로 연장되는 트임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5. 도전성 금속재질의 평판구조로 상면에는 균일하게 배열된 다수의 이탈방지구(30)가 조립되고, 외측면과 내측면 둘레에는 다수의 끼움고정편(40)이 구비된 도전판(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판(20)에 구비된 끼움고정편(40)을 하부금형(51) 내의 끼움홈(51a)으로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도전판(20)에 구비된 이탈방지구(30)가 상부금형(52)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도전판(20)을 금형(50) 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금형(50) 내부에 비도전성 금속재질의 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도전판(20)과 일체화되는 조리용기로 다이캐스팅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조리용기를 금형(50)으로부터 탈형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돌출된 끼움고정편(40)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고정편(40)은,
    상기 도전판(20)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절곡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30)는,
    상기 용기본체(10)와 동일한 재질인 비도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금형(50)에 고정시 상부금형(52)에 접촉 가능한 높이로 돌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20070054118A 2007-06-01 2007-06-01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10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18A KR100910219B1 (ko) 2007-06-01 2007-06-01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18A KR100910219B1 (ko) 2007-06-01 2007-06-01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923A true KR20080105923A (ko) 2008-12-04
KR100910219B1 KR100910219B1 (ko) 2009-07-31

Family

ID=4036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118A KR100910219B1 (ko) 2007-06-01 2007-06-01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102B1 (ko) * 2015-02-16 2015-07-16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렌지에 사용되는 가열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222B1 (ko) 2012-08-01 2012-10-29 투지텍 주식회사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2349484B1 (ko) * 2020-10-13 2022-01-10 (주)세광테크 다이캐스팅에 의한 인덕션 렌지용 주조체 조리기구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448A (ko) * 2007-04-13 2007-05-30 정정숙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102B1 (ko) * 2015-02-16 2015-07-16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렌지에 사용되는 가열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219B1 (ko) 200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72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100534491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893105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KR100910219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5515316A5 (ko)
KR101275669B1 (ko) 인덕션 히팅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0099196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KR100402929B1 (ko)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611646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0381A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JP4725888B2 (ja) カップ状容器及びその熱成形方法
KR10100526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112074B1 (ko)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JP5612779B2 (ja) 鋳造ホイールおよび鋳型
KR20070047263A (ko)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JP4891190B2 (ja) コネクタ部付きの回路基板搭載用ケースの製造方法
KR10092556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이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498778B1 (ko) 인덕션 레인지용 금속판 및 그 금속판을 사용하여 조리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
KR101742178B1 (ko) 이너 볼 조인트 제조방법
JP2010228256A (ja) 樹脂成形金型
KR10119422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32572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78996B1 (ko) 뚝배기 받침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259B1 (ko) 인덕션 렌지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6187493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の被加熱調理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