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727B1 -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727B1
KR101325727B1 KR1020110090792A KR20110090792A KR101325727B1 KR 101325727 B1 KR101325727 B1 KR 101325727B1 KR 1020110090792 A KR1020110090792 A KR 1020110090792A KR 20110090792 A KR20110090792 A KR 20110090792A KR 101325727 B1 KR101325727 B1 KR 10132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container
mold
plate body
coupl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296A (ko
Inventor
이래정
Original Assignee
이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정 filed Critical 이래정
Priority to KR102011009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바닥면으로 일부위가 노출되게 함몰되는 금속판체가 용기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함으로서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결합공들이 형성된 금속판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속판체를 기 준비된 용기 제조용 몰드의 내부에 수평을 이루도록 안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내부에 고온의 용액을 주입하여 그 용액이 상기 결합공들로 충진되어 상기 금속판체가 인덕션 렌지와 대면하는 바닥면으로 인접하여 상기 금속판체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일체화되게 비철금속재질의 용기본체를 주조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본체를 몰드로부터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주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몰드의 일면에는 미세한 높이를 갖는 지지돌부들을 형성하여 그 지지돌부들이 상기 금속판체의 일면에 접촉되게 함에 의해 상기 결합공들로 충진되는 용액이 상기 결합공들의 연부를 따라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금속판체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위를 갖게 용기본체를 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cooking receptacle for induction ran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다이캐스팅 되는 조리용기를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그 조리용기의 저부에 함몰되게 설치되는 금속판체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전압이 인가되어 자장을 발생하기 위한 코일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덕션 렌지는 코일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자장이 유도되고, 이 자장이 미치는 영역에 있는 금속체가 가열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인덕션 렌지는 불꽃이나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할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의 발생이 없고, 실내 산소의 소모가 적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인덕션 렌지는 용기를 가열하는 도중에 그릴에 손이 닿아도 화상의 우려가 없으며, 불꽃이 없기 때문에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없으며,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그릴에 신체부위가 접촉되어도 화상을 입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기는, 인덕션 렌지에서 발생하는 자장에 의해 자기 유도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릴에 닿는 부분인 용기의 바닥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철(Fe)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 렌지는 자장과 자기 감응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만이 사용 가능하게 되고, 조리용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용기나 석기 및 도자기 종류로 이루어진 용기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통상, 상기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 가능한 조리용기(냄비, 후라이팬, 주전자, 압력밥솥 등)는 비철금속의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도전성의 금속판이 부착되어 진다. 즉,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 가능한 용기는 비철금속과 금속재질의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용기는 이종 재질을 용접에 의한 방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는 하나, 간편하게 대량생산을 위해서 주조 성형에 의해서 제작 된다. 그러나, 주조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용기는 빈번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금속판체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바닥면으로 일부위가 노출되게 함몰되는 금속판체가 용기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함으로서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결합공들이 형성된 금속판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속판체를 기 준비된 용기 제조용 몰드의 내부에 수평을 이루도록 안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내부에 고온의 용액을 주입하여 그 용액이 상기 결합공들로 충진되어 상기 금속판체가 인덕션 렌지와 대면하는 바닥면으로 인접하여 상기 금속판체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일체화되게 비철금속재질의 용기본체를 주조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본체를 몰드로부터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주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몰드의 일면에는 미세한 높이를 갖는 지지돌부들을 형성하여 그 지지돌부들이 상기 금속판체의 일면에 접촉되게 함에 의해 상기 결합공들로 충진되는 용액이 상기 결합공들의 연부를 따라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금속판체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위를 갖게 용기본체를 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주조하기 위한 몰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 바닥면으로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위를 구비하여 상기 인덕션 렌지에서 발생하는 자장과 감응하는 금속판체; 및 상기 금속판체에는 결합공들을 형성하여 그 결합공들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에 일체로 결합되게 하며, 상기 금속판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상기 결합공들의 연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노출부위의 둘레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재질로 주조 성형되는 조리용기를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그 조리용기의 저부에 함몰되게 설치되어 바닥면으로 일부위가 노출되는 금속판체를 상기 조리용기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함으로서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즈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순차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표시에서 상부몰드(210)의 저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일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8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9a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저부에 함몰되는 금속판체의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결합공(122)들이 형성된 금속판체(120)를 준비한다. 상기 금속판체(120)는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용기 제조용 몰드(200)에 의해 성형되는 용기본체(110)의 저부에 함몰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체(120)는 용기본체(110)의 바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인덕션 렌지에서 발생하는 자장과 감응하여 용기본체(1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조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금속판체(120)에 형성되는 결합공(122)들은 상기 금속판체(1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 금속판체(120)의 외면으로 개구되게 상기 결합공(122)을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도 9a ~도 9d참조).
이와 같이 상기 결합공(121)을 개구되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금속판체(120)를 상기 몰드(200)에 위치시킨 후 용기본체(110)를 형성하기 위한 주조 성형시에 용액의 열로 인해 상기 금속판체(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주면 단부가 개구됨에 의해 소정의 텐션을 갖게 되는데, 이 때문에 상기 금속판체(120)는 상기 용기본체(110)의 성형시 주입되는 용액의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122)의 연부는 소정 경사를 이루게 절곡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금속판체(120)에 형성되는 결합공(122)들의 크기가 너무 크게 되면 상기 금속판체(120)와 재질이 상이한 비철금속(알루미늄)의 용기본체(110)와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이와는 반대로 결합공(122)의 크기가 너무 작게 되면 상기 금속판체(120)와 재질이 상이한 알루미늄재질인 용기본체(110)의 재질이 통과되지 못함으로서 좋지 않기 때문에 상기 결합공(122)들은 적당한 크기로 형성됨이 좋다.
이러한 결합공(122)들에 의해 용기본체(110)의 소재가 통과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금속판체(120)가 용기본체(110)와 일체로 견고하게 함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판체(120)는 용기본체(110) 바닥면으로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위(124)를 갖게 함몰되어 상기 인덕션 렌지에서 발생하는 자장과 감응하는 된다.
특히, 상기 용기본체(110)에 함몰되는 금속판체(1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이탈방지부(130)가 구비되며, 이러한 이탈방지부(130)는 상기 결합공(122)들의 연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노출부위(124)의 둘레에 형성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부(130)에 의해 용기본체(110)에 함몰되는 금속판체(12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금속판체(120)가 분리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10)를 주조 성형하는 몰드(200)는 상부몰드(210)와 하부몰드(220)로 이루어져 있는데, 고정된 하부몰드(220)의 상측에서 상부몰드(21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용기본체(110)를 성형한다.
참조부호(230)은 상기 상,하부몰드(210,2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용기본체 성형용 공간(202)과 연락하게 상기 상부몰드(210)에 형성되는 알루미늄 용액 주입용 탕구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하부몰드(210,220)에 구비되는 용기본체 성형용 공간(202)에 상기 금속판체(120)를 안치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몰드(210)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몰드(220)의 상부에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금속판체(120)가 안치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체(120)는 하부몰드(220)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안착됨이 좋은데, 이는 몰드에 구비되는 코어(미도시) 혹은 별도의 받침편(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몰드(220)에는 상기 상부몰드(210)가 덮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몰드(210)의 하면에는 미세한 높이를 갖는 지지돌부(212)들을 형성하여 그 지지돌부(212)들이 상기 금속판체(120)의 상면에 접촉되게 함에 의해 상기 금속판체(120)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위(124)를 갖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200)의 내부에 상기 탕구(230)를 통해 고온의 비철금속인 알루미늄 용액(L)을 주입하면, 그 알루미늄 용액(L)이 상기 금속판체(120)의 결합공(122)들로 충진되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바닥부에 상기 금속판체(120)가 일체화되는 상태로 매입된다.
이때, 상기 용액(L)의 열에 의한 상기 금속판체(120)의 비틀림 등의 변형은 상기 결합공(122)이 절단되어 형성되는 개구에 의해서 방지된다.
또한, 상기 금속판체(120)의 일면에 접촉되는 지지돌부(212)들에 의해 결합공(122)들로 충진되는 용액(L)이 상기 결합공(122)들의 연부를 따라 이탈방지부(130)를 형성하면서 상기 금속판체(120)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위(124)를 형성한다. 즉, 도 9a ~도 9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부위(지지돌부(210)들이 위치되는 부위)에는 용액(L)이 충진되지 않게 됨으로 그 부위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주조된 알루미늄재질의 상기 용기본체(110)를 상기 몰드(200)로부터 탈형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체(120)의 일부위가 상기 용기본체(110)의 저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위(124)를 구비함을 알 수 있다.
110 - 용기본체 120 - 금속판체
130 - 이탈방지부 200 - 몰드

Claims (2)

  1.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결합공들이 형성된 금속판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속판체를 기 준비된 용기 제조용 몰드의 내부에 수평을 이루도록 안치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내부에 고온의 용액을 주입하여 그 용액이 상기 결합공들로 충진되어 상기 금속판체가 인덕션 렌지와 대면하는 바닥면으로 인접하여 상기 금속판체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일체화되게 비철금속재질의 용기본체를 주조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본체를 몰드로부터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를 주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몰드의 일면에는 미세한 높이를 갖는 지지돌부들을 형성하여 그 지지돌부들이 상기 금속판체의 일면에 접촉되게 함에 의해 상기 결합공들로 충진되는 용액이 상기 결합공들의 연부를 따라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금속판체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위를 갖게 용기본체를 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10090792A 2011-09-07 2011-09-07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2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92A KR101325727B1 (ko) 2011-09-07 2011-09-07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92A KR101325727B1 (ko) 2011-09-07 2011-09-07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296A KR20130027296A (ko) 2013-03-15
KR101325727B1 true KR101325727B1 (ko) 2013-11-08

Family

ID=4817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792A KR101325727B1 (ko) 2011-09-07 2011-09-07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969A (ko) * 2003-03-26 2004-10-06 이기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11646B1 (ko) 2005-09-23 2006-08-11 (주)케이티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2961A (ko) * 2008-01-29 2009-08-03 이신근 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969A (ko) * 2003-03-26 2004-10-06 이기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11646B1 (ko) 2005-09-23 2006-08-11 (주)케이티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2961A (ko) * 2008-01-29 2009-08-03 이신근 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296A (ko) 201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5213B2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75669B1 (ko) 인덕션 히팅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11646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50868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0512891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2572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534490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12074B1 (ko) 인덕션 랜지용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20090002403U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120005362U (ko) 유도가열 조리용기용 전열판
KR100611648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JP2010240329A (ja) 炊飯器
JP3160440U (ja) 電磁調理器用土鍋
KR101987652B1 (ko) 인덕션 렌지의 밥솥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리용기
KR200316920Y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100526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JP2012010720A (ja) 炊飯器
KR101092702B1 (ko) 중력주조식 조리용기 제조금형 및 이 중력주조식 조리용기 제조금형을 이용한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080105923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07202709U (zh) 一种压力锅的线盘及压力锅
KR101865625B1 (ko) 다이캐스팅을 이용한 인덕션 렌지용 용기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인덕션 렌지용 용기
JP3122769U (ja) 電磁誘導加熱用の樹脂製食器
KR200493374Y1 (ko) 유도가열 조리용기용 전열판
CN209285121U (zh) 电烹饪器具
JP2003332035A (ja) 電磁調理器用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