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683Y1 -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683Y1
KR900010683Y1 KR2019870017923U KR870017923U KR900010683Y1 KR 900010683 Y1 KR900010683 Y1 KR 900010683Y1 KR 2019870017923 U KR2019870017923 U KR 2019870017923U KR 870017923 U KR870017923 U KR 870017923U KR 900010683 Y1 KR900010683 Y1 KR 900010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rtions
locking
engag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939U (ko
Inventor
황장성
Original Assignee
황장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장성 filed Critical 황장성
Priority to KR2019870017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683Y1/ko
Publication of KR890009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9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횡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프레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1 : 상부 프레임
1-2 : 하부 프레임 2 : 수평부
3 : 축받침부 4 : 취부부
5, 5' : 상부 지지부 6, 6' : 단부
7, 7' : 계지부 8, 8' : 걸림돌기
9, 9' : 경사면 11 : 수평부
12 : 축받침부 13, 13' : 하부 지지부
14, 14' : 돌출부 15, 15' : 협지부
16, 16' : 돌부 17, 17' : 삽착요흡
18, 18' : 걸림홈
본 고안은 소형 전자계기에 사용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삽착되는 원형자석과 외부로 삽착되는 원통상의 요크를 삽착시키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4도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이 대략 ㅁ자형으로 폐쇄되는 형상으로 되고, 상하부에 축받침부(21)(22)를 형성하며 양측에 수직 지지부(23)(23')를 형성하여 이의 내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원호면으로 되는 협지부(24)(24')를 형성하고 이 밑으로 돌부(25)(25')를 돌설하여 구성된 것이며, 또한 상기 수직 지지부(23)(23')의 외측을 원호면으로 하여서 이에 요크 삽입부(26)(26')로 되고, 부호 27, 27는 프레임(20)을 취부시켜주는 취부부이다.
따라서, 상기 양측의 수직 지지부(23)(23')내측에 원호면으로 되는 협지부(24)(24') 사이에 원형 자석(10)을 힘을 가하여 삽착시키고, 상기 양 수직 지지부(23)(23')에 원통상의 요크(19)를 삽착시켜서 이를 소형전자계기의 조립기체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레임(20)은 상기 원형자석(10)을 양 수직 지지부(23)(23')의 내측으로 형성된 협지부(24)(24') 사이로 삽착할시에 적절한 힘을 가하여 삽착시키게 되며, 이때에 프레임(20)은 합성수지로 약간의 탄력이 있게 제조되지만, 프레임(20)의 전체의 형상이 ㅁ자형으로 폐쇄되어 상기한 삽착시에 파손이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상기 프레임(20)에 원형자석(10)을 삽착시, 불량율이 높게 되어 소형 전자계기의 조립시에 큰 문제점으로 되어 왔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 하부로 분리하여 구성된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부프레임의 중간부의에 축받침부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취부부가 형성된 수평부 저면 양측에서 하향 연장하여 상부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에 단부를 두고 끝부에 일측 저면에 경사면을 가진 걸림돌기를 내향 돌설된 계지부를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축받침부가 형성된 수평부 양끝부에서 하부 지지부를 상향 연장하여 이 내측으로 각각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에 내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원호면을 가진 협지부를 형성하고 이 상하부에 돌부를 형성하고 상기하부 지지부의 원호면으로 되는 외측으로 끝부위에 걸림홈을 가진 삽착요홈을 각각 형성하여 이에 상부 프레임의 계지부가 삽착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계지결합하여 프레임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원형자석을 프레임의 내측으로 형성된 협지부에 삽착시에는 우선 하부 프레임의 양 하부지지부의 돌출부에 대향 돌설된 협지부 사이에 삽입함으로서 삽입이 지극히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 하부 지지부의 상단 끝부가 자유단으로 되고, 이 프레임 자체가 비교적 탄력성이 좋은 합성수지재로 되어서 원형자석은 삽착시에 약간 확개가 지극히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부 프레임의 양 계지부를 상부 프레임의 하부지지부에 외측으로 요설된 삽착요홈에 삽입하여 약간 하향으로 살짝 밀면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 하부 프레임의 조립이 끝나게 되며, 이때에 계지부 끝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삽착요홈으로 계지부를 삽입시에 이를 안내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계지부가 약간 외측으로 확개되어지게 되지면, 곧 이어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착되어 원상으로 복귀되는 것이다.
다음에 상, 하부 지지부 사이에 원통상의 요크를 삽입함으로서 조립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효과는, 프렘임을 상, 하부 프레임으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서 원형자석의 삽착할시에 발생되는 파손을 방지하여 불량율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킴으로 원가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되는 효과를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레임(1)을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으로 분리하여 구성한다.
상부 프레임(1-1)은 상방으로 중앙부위에 측받침부(3)를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 구멍이 천설된 취부부(4)를 가진 수평부(2)를 형성하며, 이 지부에서 하향으로 연장하여 수직 지지부(5)(5')를 형성하여 이에 단부(6)(6')를 두고 계지부(7)(7')를 햐향 형성하되 이끝부에 상호 대향되게 걸림돌기(8)(8')를 돌설하고 이 지부 일측으로 각각 경사면(9)(9')을 형성한다.
하부 프레임(1-2)은 수평부(11)를 두고 이 중간부위에 축받침부(12)를 형성하고, 양 끝부에서 하부지지부(13)(13')를 상향 연장하되, 내측으로 대향되게 돌출부(14)(14')를 돌설하여 이에 내측으로 대향되게 원호면을 가진 협지부(15)(15')를 형성하고 이 상하부로 돌부(16)(16')를 각각 돌설하며, 상기 하부 지지부(13)(13')의 외측은 원호면으로 하고, 이 상부에 삽착요홈(17)(17')을 요설하고, 이 끝부에 걸림홈(18)(18')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0은 원형자석이고, 19는 원통상이 요크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하부 프레임(1-2)의 양 하부 지지부(13)(13')의 내측으로 대향 돌설된 돌출부(14)(14')의 역시 내측으로 대향형성되고 원호면을 가진 협지부(15)(15') 사이로 또한 돌부(16)(16') 사이로 원형자석(10)을 삽착시킨다.
다음에, 이 원형자석(10)이 삽착된 하부 프레임(1-2)의 양 하부 지지부(13)(13')의 외측으로 요설된 삽착요홈(17)(17')의 상단부로 상기 상부 프레임(1-1)이 상부 지지부(5)(5')에서 연장 형성된 계지부(7)(7')의 끝부에 돌설된 걸림돌기(8)(8')의 지부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9)(9')을 대고 하향으로 압압하면 양계지부(7)(7') 및 상부 지지부(5)(5')가 외측으로 약간 확개되면서 하향하여 상기 계지부(7)(7')의 끝부에 형성된 양측 걸림돌기(8)(8')가 삽착요홈(17)(17')의 끝부에 형성된 걸림홈(18)(18')에 삽입됨과 동시에 단부(6)(6')가 하부 지지부(13)(13')의 상단면에 당접되어져서 상, 하부 프레임(1-1)(1-2)이 결속되어 진다.
이때에 삽착요홈(17)(17')에 계지부(7)(7')가 꼭맞게 삽착되어서 이 상, 하부 프레임(1-1)(1-2)의 전후의 요동됨이 없이 확고하게 조립이 되어진다.
다음에 계지부(7)(7')와 하부 지지부(13)(13')에 결합된 외측면이 원호면으로 되어 있어서 이에 원통상의 요크(19)를 삽입시키며 이 요크(19)의 상단면이 상기 상부 지지부(15)(15')의 단부(6)(6')에 당접되어 그삽입이 정지되어져서 삽입이 완전히 끝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효과는 종래의 ㅁ자형의 폐쇄되는 형상으로 프레임(20)을 일체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 내부로 원형자석(10)을 삽착시에 프레임(20)이 파손되어 불량율이 높게되어 크게 문제점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1)은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으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서, 원형자석(10)을 삽착시에 하부 프레임(1-2)의 하부 지지부(13)(13')의 돌출부(14)(14')의 내측으로 형성된 협지부(15)(15')에 삽착시 상기 하부 지지부(13)(13')의 상단이 자유단으로 되고, 또한 이 프레임(1)이 비교적 탄력성이 좋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서 이 탄력성으로 외측으로 약간 확개시에 파손이나 절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1-1)을 하부 프레임(1-2)과 결합시에도 상기한 것에 의하여 그 결합이 지극히 용이하게되며, 상 하부 프레임(1-1)(1-2)의 결합후에도 상기 계지부(7)(7')가 삽착요홈(17)(17') 확고하게 삽착되어 전후 또는 좌우로 요동됨이 없으며, 걸림돌기(8)(8')와 걸림홈(18)(18')의 계지로 다시 분리하기가 어렵게 되어서 그 결합성이 뛰어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형자석(10)에 삽입하여 조립시에 불량성이 대폭 감소되며, 이에 수반하여 생산성의 제고됨은 물로 그 견고성도 가일층 배가 되는 효과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 프레임(1-1)의 중간부위에 축받침부(3)와 양측으로 취부부(4)가 형성된 수평부(2) 저면 양측에서 하향 연장하여 상부 지지부(5)(5')를 형성하고 이에 단부(6)(6')를 두고 끝부에 일측 저면에 경사면(9)(9')을 가진 걸림돌기(8)(8')를 내향 돌설된 계지부(7)(7')를 형성하며, 하부 프레임(1-2)의 중간부위에 축받침부(12)가 형성된 수평부(11) 양 끝부에서 하부 지지부(13)(13')를 상향 연장하여 이 내측으로 각각 돌출부(14)(14')를 형성하여 이에 내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원호면을 가진 협지부(15)(15')를 형성하고 이 상하부에 돌부(16)(16')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지지부(13)(13')의 원호면으로 되는 외측으로 끝부위에 걸림홈(18)(18')을 가진 삽착요홈(17)(17')을 형성하여 이에 상부 프레임(1-1)의 계지부(7)(7')가 삽착되어 상기 걸림돌기(8)(8')가 상기 걸림홈(18)(18')에 계지 결합되어 프레임(1)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KR2019870017923U 1987-10-21 1987-10-21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KR900010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923U KR900010683Y1 (ko) 1987-10-21 1987-10-21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923U KR900010683Y1 (ko) 1987-10-21 1987-10-21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939U KR890009939U (ko) 1989-05-31
KR900010683Y1 true KR900010683Y1 (ko) 1990-11-26

Family

ID=1926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923U KR900010683Y1 (ko) 1987-10-21 1987-10-21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6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939U (ko) 198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51417A (en) Lead wire holder
US4803749A (en) Mounting plate for a hinge for mounting a door on furniture frames of varying thickness
KR900010683Y1 (ko) 소형 전자계기의 프레임
JPH07327555A (ja) 釣り用リールシートの摺動フード
JP2002235712A (ja) ストラップ固定用クリップ
GB2102992A (en) Watchcase structure
KR0113951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삽입구조
US5457618A (en) Rear combination lamp bulb body fixing structure
KR940001967Y1 (ko) 냉장고의 중간힌지
KR890007091Y1 (ko) 프로젝션(projection) t. v의 스크린 고정 장치
JPH11339630A (ja) ヒューズ用プラーの保持構造
KR0126241Y1 (ko) 착탈가능한 윈도우를 구비한 카세트 도어
KR900008744Y1 (ko) 음향기기의 스피이커 박스 착탈장치
KR940005603Y1 (ko) 코일쎄퍼레이터용 인너암(inner arm)취부구조
KR200146437Y1 (ko) 전자접촉기의 스프링 이.탈착이 용이한 스프링 지지구조
KR940000417Y1 (ko) 동축형 스피커 지지구의 결합장치
KR960006771Y1 (ko) 냉장고용 도어
KR950007764Y1 (ko) 카세트 테이프의 릴
KR890005705Y1 (ko) 편향요크에서 퀵-리턴(Quick-Return) 권선을 위한 페라이트 코어의 구조
KR900002299Y1 (ko) 모니터의 마그네트 코어와 시그날 케이블 고정장치
JPS59124106A (ja) 変成器の組立構造
KR900011357Y1 (ko) 모니터 본체와 회전 및 경사조절 테이블과의 결합장치
JPH0594981U (ja) 螢光灯の取付装置
JPS62149569U (ko)
KR970003833Y1 (ko) 편향요크의 단자판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