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128Y1 - 회전식 육류 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육류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128Y1
KR200260128Y1 KR2020010030735U KR20010030735U KR200260128Y1 KR 200260128 Y1 KR200260128 Y1 KR 200260128Y1 KR 2020010030735 U KR2020010030735 U KR 2020010030735U KR 20010030735 U KR20010030735 U KR 20010030735U KR 200260128 Y1 KR200260128 Y1 KR 200260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hain
body portion
main body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철
Original Assignee
정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철 filed Critical 정용철
Priority to KR2020010030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12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식 육류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내 정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 배치되며,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정면에 개폐뚜껑이 구비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의 하부에 배치되며 직상부로 화기를 직화시키는 버너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황토에 싼 채로 육류가 구워지므로 황토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육류가 완전히 익혀지면서 기름기는 황토가 완전히 흡수하므로 육류가 타지도 않고 한결 육질이 부드러우면서 쫄깃쫄깃 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육류 구이기{meat grill for rotary type}
본 고안은 회전식 육류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리나 닭, 꿩 등의 가금류나 토끼 등의 육류의 표면을 황토로 감싼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열을 가해 구울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육류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이나 오리 또는 기타 육류를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구이기는 본체부의 내부 상부쪽에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육류 곶이 봉이나 석쇠판 또는 매달아 설치하는 재치용기 등에 육류를 꽂거나 안착시킨 상태에서 그 하부로부터 장작이나 숯을 연소시켜, 연소열에 의해 육류를 가열시켜 굽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육류 구이기는 연료로 사용되는 숯을 숯통에 담은 상태에서 외부에서 점화시켜 구이기의 내부에 재치 시킨 것으로, 숯을 일일이 외부에서 점화시킨 후 구이기의 내부로 이동시켜야 함으로써 외부에 별도의 점화공간과 점화시설이 요구되고, 또한 점화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화재에 대한 엄격한 주의력이 요구되며, 또한 숯통의 운반 중에 부주의로 인한 신체의 화상이나 화재의 위험 등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육류 구이기는 숯통의 위치가 구이기의 한가운데에 안착되는 상태이므로 숯의 교체시 숯통의 착탈작업이 까다로워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시 팔을 깊숙이 집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육류 구이기는 숯의 연소력 증대를 위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조이나, 이는 공기가 숯통의 저부로 직접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구이기의 일측벽에 공기 공급구가 설치된 것으로써, 유입되는 바람이 숯의 연소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단지 구이기의 내부로 산소를 공급시키는 기능밖에 할 수 없어 자연히 숯의 연소열 저하로 인한 구이시간이 연장되고, 육류에서의 지방 배출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풍미와 육질의 상태가 좋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황토의 효능을 이용하여 육류를 태우지 않고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안전성의 보강과 취급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으며, 구이기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류를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육류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내 정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 배치되며,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정면에 개폐뚜껑이 구비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의 하부에 배치되며 직상부로 화기를 직화시키는 버너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를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의 회전통과 버너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1 : 선반
12 : 개폐구 13 : 개폐문
13a : 투명창 14 : 구이실
20 : 회전통 21 : 빗장
22 : 개폐뚜껑 24 : 용기
26 : 받침판 30 : 버너
40 : 구동수단 41 : 구동축
42 : 스프로킷 43 : 베어링
44 : 지지부 45 : 제1체인
46 : 제2체인 47 : 장력조절부
48 : 축고정부 49 : 감속기
50 : 모터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의 회전통과 버너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내 정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 배치되며,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정면에 개폐뚜껑(22)이 구비된 회전통(20)과; 상기 회전통(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직상부로 화기를 직화시키는 버너(30)와; 상기 본체부(10)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통(2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으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로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그 상하로 소정의 공간이 구비됨과 동시에 각각에 개폐구(12)가 구비된 선반(11)과; 상기 선반(11)의 상하간에 배치되며, 투명창(13a)으로 이루어진 개폐문(13)이 설치된 구이실(14)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내 정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 배치되며,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정면에 개폐뚜껑(22)이 구비되며, 그 내에 저면이 아래로 둥근 형상을 이루고, 양측면이 막힌 형상인 용기(24)와; 상기 용기(24)가 안착되게 일측면이 트여지며, 타측면에 고정되며, 저면이 아래로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침판(26)으로 이루어지는 회전통(20)과;
상기 회전통(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직상부로 화기를 직화시키는 버너(30)와;
상기 본체부(10)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통(20)을 회전시키도록 회전통(20)의 일측단 후측으로 설치되는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41)상에 일체로 설치되며, 스프로킷(42)과 베어링(43)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지지부(44)와; 상기 지지부(44)상에 하나의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1체인(45) 및 제2체인(46)과; 이들 제1체인(45)과 제2체인(46)의 장력을 조절해 주도록 그 중간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47)와; 상기 구동축(41)을 따라 타측단에는 상기 구동축(41)이 고정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축고정부(48)와; 회전통(2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체인(45)과 제2체인(46)에 연결되며, 회전속도를 가감시키는 감속기(49)와; 상기 감속기(49)에 연결되며,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그 상하로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선반(11)이 구비되며, 이 선반(11)에는 육류 구이에 필요한 제반 기구가 비치되는 수용공간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상하부 선반(11)은 그 용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선반(11)에는 독립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개폐구(12)가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의 선반(11)간에는 구이실(14)이 설치되며, 이 구이실(14)을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창(13a)으로 이루어진 개폐문(13)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문(13)을 투명창(13a)으로 채택한 이유는 외부에서 구이실(14)내에서 발생되는 일련의 상황에 대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투명창(13a)은 구이실(14)내에서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버너(30)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효율적으로 대응토록 하는 점을 고려하여 고내열성 특수강화유리로 한다.
또한, 상기 구이실(14)내에 배치되는 회전통(2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회전통(20)이 구비되는 바, 이 회전통(20)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회전통(20)내에 용기(24)를 내장시켜, 이 용기(24)에 황토로 육류를 감싼 것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즉, 황토를 감싼 육류가 닿는 부분에는 그 저면으로 단면형상이 아래로 내려가는 둥근 형상으로 용기(24)를 형성시키고, 상기 용기(24)의 양측면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시켜, 용기(24)에 담긴 황토에 감싼 육류가 회전통(20)의 회전에 따라 용기(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24)는 회전통(20)내에 별도로 구비된 받침판(26)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통(20)에 내장된다.
즉, 상기 용기(2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받침판(26)에 안착되어 회전통(20)내에 내장되는데 상기 받침판(26)은 그 일측면이 용기(24)를 안착시켜 이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트여지는 단면형상이며, 타측면에 고정되도록 막힌 단면형상이며, 그 저면은 위에 안착되는 용기(24)의 형상에 따라 저면부가 아래로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40)은 회전통(20)의 일측단 후측으로 구동축(41)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41)상에 스프로킷(42)과 베어링(43)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지지부(44)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44)상에 하나의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제1체인(45) 및 제2체인(46)이 설치되며, 이들 제1체인(45)과 제2체인(46)의 장력을 조절해 주도록 지지부(44)의 중간에 장력조절부(47)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41)을 따라 타측단에는 상기 구동축(41)이 고정되어 회전되도록 축고정부(48)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2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체인(45)과 제2체인(46)에 회전속도를 가감시키는 감속기(49)가 연결되며, 상기 감속기(49)를 구동시키도록 모터(5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체부(10)의 개폐문(13)을 열고 회전통(20)의 개폐뚜껑(22)의 빗장(21)을 풀어, 개폐뚜껑(22)을 열어, 그 회전통(20)내에 내장된 받침판(26)을 꺼낸 후 이 받침판(26)에 안착된 용기(24)를 받침판(26)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이 용기(24)에 황토로 감싼 육류나 감싸지 않은 육류를 담고, 이 용기(24)를 받침판(26)에 안착시킨 후 상기 받침판(26)을 회전통(20)내 안쪽으로 밀어 넣은 후 회전통(20)의 개폐뚜껑(22)을 닫고, 빗장(21)으로 견고히 회전통(20)을 체결한 후 개폐문(13)을 닫고, 가스점화 및 전원을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육류 구이기의 가스점화 및 전원을 온시키면, 가스는 점화되어 버너(30)로부터 직상부에 위치된 회전통(20)으로 가열을 시작하며, 이와 동시에 9전원을 공급받은 모터(50)가 작동을 하며, 이 모터(50)에 연결된 감속기(49)는 모터(5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적절한 속도를 외부로 보내준다.
이어서, 상기 감속기(49)는 지지부(44)와 제1체인(45)으로 감겨 있어, 상기 지지부(44)를 구동시키는 한편, 지지부(44)에 감긴 제2체인(46)은 장력조절부(47)를 지나면서 느슨해진 제2체인(46)을 적절한 장력으로 조절하는 한편, 상기 지지부(44)상에 축고정부(48)상에 설치된 구동축(41)이 회전되며, 이 구동축(41)이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통(20)이 따라서 회전되면서, 회전통(20)내 용기(24)에 내장된 육류가 구워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는 황토에 싼 채로 육류가 구워지므로 황토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육류가 완전히 익혀지면서 기름기는 황토가 완전히 흡수하므로 육류가 타지도 않고 한결 육질이 부드러우면서 쫄깃쫄깃 해지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는 냄새가 고약한 돼지, 오리, 염소, 기타 육류나 비린내가 많이 나는 생선 등과 같은 어류를 황토에 감싼 상태에서 조리하므로, 이들 냄새는 황토의 탈취작용에 의하여 악취가 없어지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는 회전통 내에 공간에 육류를 담은 상태에서 회전통이 회전되어 육류가 구워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육류가 구워지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는 회전통 하부에 버너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점화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상의 위험도 사라지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육류 구이기는 구이실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류를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로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내 정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 배치되며,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정면에 개폐뚜껑이 구비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의 하부에 배치되며 직상부로 화기를 직화시키는 버너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육류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그 상하로 소정의 공간이 구비되며, 각각에 개폐구가 구비된 선반과; 상기 선반간에 배치되며,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개폐문이 설치된 구이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육류 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은 그 내에 저면이 아래로 둥근 형상을 이루고, 양측면이 막힌 형상인 용기와; 상기 용기가 안착되게 일측면이 트여지며, 타측면은 축에 고정되며, 저면이 아래로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받침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육류 구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통의 일측단 후측으로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상에 일체로 설치되며, 스프로킷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상에 하나의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1체인 및 제2체인과; 이들 체인들의 장력을 조절해 주도록 그 중간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구동축을 따라 타측단에는 상기 구동축이 고정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축고정부와; 회전통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체인과 제2체인에 연결되며, 회전속도를 가감시키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며,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육류 구이기.
KR2020010030735U 2001-10-09 2001-10-09 회전식 육류 구이기 KR200260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35U KR200260128Y1 (ko) 2001-10-09 2001-10-09 회전식 육류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735U KR200260128Y1 (ko) 2001-10-09 2001-10-09 회전식 육류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128Y1 true KR200260128Y1 (ko) 2002-01-10

Family

ID=7311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735U KR200260128Y1 (ko) 2001-10-09 2001-10-09 회전식 육류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1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40B1 (ko) * 2002-09-12 2005-04-07 정정규 오리구이기
KR100921343B1 (ko) 2007-11-14 2009-10-13 이상국 수평 회전식 조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40B1 (ko) * 2002-09-12 2005-04-07 정정규 오리구이기
KR100921343B1 (ko) 2007-11-14 2009-10-13 이상국 수평 회전식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528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0471216Y1 (ko) 바베큐 장치
KR200394496Y1 (ko) 하부회전식 구이장치
KR101179394B1 (ko) 석쇠판이 좌우이동 및 회전하는 고기 구이용 가마
KR101136198B1 (ko) 고기 구이용 가마
KR200260128Y1 (ko) 회전식 육류 구이기
KR101983863B1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200347663Y1 (ko) 숯불 구이장치
KR100553104B1 (ko)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장치.
KR200388614Y1 (ko) 고기구이기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101568760B1 (ko)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200196866Y1 (ko) 훈제구이화로
KR200362258Y1 (ko)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장치.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101098057B1 (ko) 훈제식 숯불구이기
KR100717073B1 (ko) 바비큐 장치
KR200380751Y1 (ko) 구이장치
KR100779226B1 (ko) 적외선 꼬치구이기
KR200227462Y1 (ko) 회전식 황토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440095Y1 (ko) 회전식 직화 조리장치
KR200305105Y1 (ko) 터널식 훈연 바베큐 구이 장치
KR101292829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숯 착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