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376Y1 -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 - Google Patents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376Y1
KR200258376Y1 KR2020010029963U KR20010029963U KR200258376Y1 KR 200258376 Y1 KR200258376 Y1 KR 200258376Y1 KR 2020010029963 U KR2020010029963 U KR 2020010029963U KR 20010029963 U KR20010029963 U KR 20010029963U KR 200258376 Y1 KR200258376 Y1 KR 200258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forklift
cargo
hydraulic devic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철
Original Assignee
한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철 filed Critical 한승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376Y1/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중지지 장치를 별도로 장착하여 차체의 무게를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최대의 화물 이송이 가능토록 하고, 크롤라식 트랙을 통해 좁고 협소한 습지 및 비포장된 작업장에서도 이동이 용이토록하며, 포크를 전/후진 가능토록 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차체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목적하는 화물을 양중하고자 하중지지를 위한 유압장치를 구비하며,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하여 습지 및 비포장된 장소에서의 작업에 자유로움을 제공해주며, 하중지지 유압장치를 구비하여 차량의 뒤 들림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화물을 양중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Apparatus for fork lift having crawl type track}
본 고안은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중지지 장치를 별도로 장착하여 차체의 무게를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최대의 화물 이송이 가능토록 하고, 크롤라식 트랙을 통해 좁고 협소한 습지 및 비포장된 작업장에서도 이동이 용이토록하며, 포크를 전/후진 가능토록 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지게차는 비교적 고중량의 하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이것을 제한된 구역내에서 소망하는 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그 동력원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엔진 지게차와 전동 지게차로 나누어지며, 전자는 주로 아웃도어 영역에서 사용되고, 후자는 매연이나 소음의 발생이 적기 때문에 인도어 영역에서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지게차는, 몸체부에 소정의 유압탱크 및 상하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상하 프레임에는 수직방향으로 두 개의 리프터아암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프터아암은 상기 유압탱크에서 공급된 유압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에 장착되어 상하이동하여 일정한 높이까지 무거운 물건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지게차는, 작업영역이 지면으로부터 높고 좁은 곳에서 작업할 때에는 지게차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장치가 없어서 매우 위험하고, 또한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지게차를 이용하여 상,하역되는 화물의 무게가 지게차의 정격 하중을 초과화는 경우에도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바퀴와 차체의 무게 때문에 습지 및 비포장된 장소에서는 이동이 어려워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지게차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중지지 장치를 별도로 장착하여 차체의 무게를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최대의 화물 이송이 가능토록 하고, 크롤라식 트랙을 통해 좁고 협소한 습지 및 비포장된 작업장에서도 이동이 용이토록하며, 포크를 전/후진 가능토록 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는,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엔진에 의해 발생한 동력으로 지게차를 전/후진,좌/우회전시키는 크롤라식 트랙과;
상기 몸체의 전면부 하단에 설치되고, 한쌍의 하중지지대를 유압으로 전/후진시키는 제1유압장치와;
상기 제1유압장치의 상단에 구비되어, 화물을 안착시켜 이송하며, 화물 안착시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한쌍의 하중지지대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게차의 무게 중심을 유지시켜주는 한쌍의 하중지지레버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유압장치와;
상기 한쌍의 하중지지레버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하중분산깔판과;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유압으로 리프트를 전/후진시키는 제3유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는,
바닥면과의 마찰시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습지 및 비포장된 장소에서 미끄럼 방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크롤라식 트랙의 재료를 충격 흡수가 강한 고무판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의 측면도,
도 3은 하중지레버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하중분산깔판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지게차의 측면도,
도 4는 리프트의 동작 상태를 보인 지게차의 측면도,
도 5는 포크의 상승,하강 동작을 보인 지게차의 측면도,
도 6은 화물을 완충부재상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인 지게차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
120 ..... 크롤라식 트랙
131 ..... 하중지지대
132, 134, 160 ..... 제1, 제2, 제3 유압장치
133 ..... 하중지지레버
135 ..... 하중분산깔판
140 ..... 완충부재
150 ..... 리프트
170 ..... 포크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1000)의 사시도이고,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1000)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하단에는 엔진에 의해 발생한 동력으로 지게차(1000)를 전/후진, 좌/우회전시키는 크롤라식 트랙(120)이 장착되고, 상기 몸체(110)의 전면부 하단에는 한쌍의 하중지지대(131)를 유압으로 전/후진시키는 제1유압장치(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유압장치(132)의 상단에는 화물을 안착시켜 이송하며, 화물 안착시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재(1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하중지지대(131)의 끝단부에는 상기 지게차(1000)의 무게 중심을 유지시켜주는 한쌍의 하중지지레버(133)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유압장치(134)가 구비되고, 상기 하중지지레버(133)의 끝단부에는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하중분산깔판(135)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전면부에는 유압으로 리프트(150)를 전/후진시키는 제3유압장치(160)가 구비되며, 상기 리프터(150)의 전면에는 화물을 이송시키는 포크(17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운전중 안전 운행을 위해 잡기위한 손잡이(171)가 구비되며, 그 손잡이(171)의 주변에는 램프(172)가 구비되며, 아울러 손잡이(171)와 램프(172)의 주변에는, 시동키(173), 핸드클러치(174), 액셀레이터(가속기)(175), 전후진레버(176), 좌측회전레버(177), 우측회전레버(178), 리프트 전후진레버(179), 포크상승하강레버(180), 우측유압전후진레버(181), 좌측유압후진레버(182), 좌측하중지지레버(183), 우측하중지지레버(184)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중 참조부호 151은 상기 리프트상하레일을 나타내고, 152는 리프트지지대를 나타내며, 160은 리프트(150)를 전,후진시키는 리프트 전후진 레일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제1/제2/제3 유압장치(132)(134)(160)는 통상의 유압장치로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유압으로 하중지지대, 하중지지레버, 리프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거나,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10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조작자)가 지게차(1000)의 후면 하단에 설치된 발판(도면에는 미도시)에 올라선 후, 한쪽 손은 손잡이(171)를 잡고, 다른 손을 이용하여 시동키(173)를 조작하여 시동을 켠다.
그 후 핸드클러치(174)를 조작한 후 액셀레이터(175)를 조작하여 가속하며, 전후진레버(176)를 조작하면, 크롤라식 트랙(120)이 전,후진 조작에 대응하게 전진, 또는 후진되어 지게차(10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로라식 트랙(120)의 재질은, 바닥면과의 마찰시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습지 및 비포장된 장소에서 미끄럼 방지가 가능하며, 충격 흡수가 강한 고무판을 적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지게차(1000)를 전진시켜 화물(196)에 놓인 위치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지게차(1000)를 멈추고, 리프트전후진레버(179)를 전진측으로 조작한다. 상기 리프트 전후진레버(179)가 전진측으로 조작되면, 제3유압장치(160)에 의해 리프트(150)가 전진하게 되고, 이때 리프트(150)의 하단에 장착된 포크(170)가 화물(196)을 올려놓는 파렛트(195)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유압장치(132)를 동작시켜 한쌍의 하중지지대(131)를 앞쪽으로 이동시킨다. 도 2는 상기 하중지지대(131)가 제1유압장치(132)의 내부에 삽입된 초기 상태에서 하중지지대(131)가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후 하중지지대(131)가 적절히 앞쪽으로 이동하면, 제2유압장치(134)를 동작시켜 하중지지레버(13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하중분산깔판(135)이 지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하중지대(131)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인출되는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도 3은 상기 하중지지레버(133)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하중분산깔판(135)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리프트(150)의 전진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지게차는 포크의 상승 또는 하강은 가능하나, 전진 및 후진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지게차 자체를 화물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켜 포크를 파렛트하단에 형성된 홀로 삽입시킨 후 화물을 들어 이송시키게 된다. 이 경우 지게차가 화물에 너무 근접한 경우 다시 후진을 하여 화물과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50)의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므로, 화물(196)에 적당히 접근한 후, 리프트(150)만을 전진시켜파렛트(195) 사이에 형성된 홀로 포크(170)를 삽입시킨다.
그런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170)를 상승시켜 화물(196)을 들게된다. 그런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196)을 몸체(110)쪽으로 당긴 후 완충부재(140)상에 화물(196)을 올려놓는 후, 화물(196)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좀 더 안정적으로 화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완충부재(140)는 고무판 재질로서, 화물(196)이 완충부재(140)에 안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화물(196)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중하는 화물(196)의 무게에 차체의 무게를 결정짓는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물론, 화물(196)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상기 완충부재(140)상에 화물(196)을 올리지 않고, 포크(170)상에 화물(196)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송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한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에 따르면, 양중하는 화물의 무게에 의해 차체의 무게가 결정되는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불필요한 지게차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크롤라식 트랙을 사용함으로써, 좁고 협소한 습지에서도 바닥면의 손상없이 자유자재로 작업이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다.

Claims (2)

  1. 몸체(1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엔진에 의해 발생한 동력으로 지게차(1000)를 전/후진, 좌/우회전시키는 크롤라식 트랙(120)과;
    상기 몸체(110)의 전면부 하단에 설치되고, 한쌍의 하중지지대(131)를 유압으로 전/후진시키는 제1유압장치(132)와;
    상기 제1유압장치(132)의 상단에 구비되어, 화물(196)을 안착시켜 이송하며, 화물(196) 안착시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재(140)와;
    상기 한쌍의 하중지지대(131)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게차(1000)의 무게 중심을 유지시켜주는 한쌍의 하중지지레버(133)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유압장치(134)와;
    상기 한쌍의 하중지지레버(133)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하중분산깔판(135)과;
    상기 몸체(11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유압으로 리프트(150)를 전/후진시키는 제3유압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롤라식 트랙(120)은,
    바닥면과의 마찰시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습지 및 비포장된 장소에서미끄럼 방지가 가능하도록 충격 흡수가 강한 고무판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
KR2020010029963U 2001-03-13 2001-09-28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 KR20025837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10 2001-03-13
KR20010006810 2001-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376Y1 true KR200258376Y1 (ko) 2001-12-29

Family

ID=7310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963U KR200258376Y1 (ko) 2001-03-13 2001-09-28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3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5105A (en) Vehicle
EP0553086B1 (en) Self elevating forklift truck
KR200258376Y1 (ko) 크롤라식 트랙을 장착한 지게차
GB2440676A (en) Restraint for fork-lift truck
JP2004244144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パレットロック装置
JP7239230B1 (ja) 荷物搬送装置、荷物搬送方法
KR20140145756A (ko) 리치 타입 지게차의 레그 구조
KR20080011736A (ko)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JPH06345397A (ja) 移載装置付無人搬送車
JP4766997B2 (ja) 昇降式荷受台の安全装置
CN219384671U (zh) 一种叉车移动装置
JP2004262621A (ja) 故障車両の移送台車
JP3650024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2006103926A (ja) フォークリフト
KR100467966B1 (ko) 형강 이송용 캐리어
KR102006394B1 (ko) 화물차량 일체형 지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장치 일체형 기능성 화물차량
JP3017833U (ja) 上下ローダー
JP2007137146A6 (ja) 昇降式荷受台の安全装置
JP2003072452A (ja) 貨物搬送用車両
JP2021160863A (ja) 車両のリフトアップ装置
JPH08208195A (ja) ワーク荷役装置
JPH057893Y2 (ko)
JP2002167188A5 (ko)
JP3717367B2 (ja) 荷役用車両
JPH1121095A (ja) 掬い上げ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