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380Y1 -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380Y1
KR200257380Y1 KR2020010026937U KR20010026937U KR200257380Y1 KR 200257380 Y1 KR200257380 Y1 KR 200257380Y1 KR 2020010026937 U KR2020010026937 U KR 2020010026937U KR 20010026937 U KR20010026937 U KR 20010026937U KR 200257380 Y1 KR200257380 Y1 KR 200257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tension
gear
overhea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관
Original Assignee
허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관 filed Critical 허재관
Priority to KR2020010026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380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을 이루는 회전축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의 풀림과 감김에 의해 승·하강할 때 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가지는 오버헤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는,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와이어를 드럼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발생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구는 상기 한 쌍의 드럼에 권취된 각각의 와이어가 이탈을 방지하도록 풀고 감을 때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드럼으로부터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가 장력발생부의 구동 롤러 및 압착롤러 사이에 밀착된 상태에서 끼워져 이동됨으로써 와이어는 항상 장력이 발생되어 드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의 위치에 따라 장력발생부가 이동되면서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져 항상 와이어가 안전하게 드럼에 권치할 수 있고, 체인 및 모터를 이용한 전동방식의 경우 장력발생부와 도어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에 장력이 소멸되면 즉시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드럼으로부터 와이어가 풀리는 것을 정지시켜 와어어의 이탈을 방지하여 항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A WIRE SECESSION PREVENTING DEVICE OF AN OVERHEAD DOOR}
본 고안은 오버헤드 도어(이하 도어라 약칭함)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에 권취되어 있던 와이어가 풀림으로 도어가 하강할 때에는 풀리는 속도와 대응하도록 끌어 당겨서 와이어가 이탈됨을 방지하게 되고, 반대로 도어가 승강할 때에는 일정한 장력을 작용시켜 드럼에 안전하게 권취되도록 하며, 와이어를 드럼의 권취홈에 일치시키도록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버헤드 도어(10)는 도 6에서와 같이 수평을 이루는 회전축(92)의 일측에 고정된 구동기어(11)와, 상기 구동기어(11)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92)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드럼(9)과, 상기 드럼(9)에 권취된 와이어(91)와, 상기 와이어(91)의 선단이 도어(10)의 양측 하단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9)에 와이어(91)가 감기거나 풀릴 때에 도어(10)가 트랙(12)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구동기어(11)는 미도시된 통상의 체인 및 핸들을 이용하는 수동방식과, 체인 및 모터를 이용한 전동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종래의 오버헤드 도어(10)는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시켜 출입 공간을 최대로 확보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도어(10)의 하강시 도어(10)의 저면에물체가 놓여있거나 트랙과 접촉으로 인하여 하강이 정지될 경우 드럼(9)에 권취되었던 와이어(91)는 정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풀리게 되어 와이어(91)가 드럼(9)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와이어(91)가 드럼(9)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도어(10)를 하강시킬 때에 발생되는 것으로 도어(10)를 상승시킬 때에는 드럼(9)에 권취되는 와이어(91)가 도어(10)의 자중에 의하여 장력이 발생되므로 드럼(9)으로부터 와이어(91)가 이탈되는 것은 거이 없다.
상기 와이어(91)가 드럼(9)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구동기어(11)로 전달된 회전력은 회전축(9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회전축(92) 양측에 설치된 드럼(9)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와이어(91)를 풀게된다. 상기 드럼(9)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91)는 선단이 도어(10)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어(10)의 자중이 작용되어 장력이 발생됨과 동시에 도어(10)가 트랙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10)의 풀림과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던 도어(10)의 하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물체가 놓이거나 트랙(12)을 따라 하강하던 도어(10)가 걸려서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멈추면 드럼(9)의 회전이 정지되어야만 와이어(91)가 풀리지 않게 되나 드럼(9)은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와이어(91)를 계속 풀리게 함으로써 풀린 와이어(91)가 드럼(9)에서 이탈되어 향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10)의 하강시 트랙(12)을 따라 원활하게 하강하지 못하고 일순간 정지할 경우에도 드럼(9)으로부터 풀린 와이어(91)가 서로 엉켜서 향후 와이어991)의 풀림 및 감김이 원활하지 못하여 도어(10)의 개폐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드럼의 하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하강을 위하여 드럼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함은 물론 하강하던 도어가 정지되어도 드럼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를 끌어당겨 장력을 계속 유지시킴으로써 와이어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하는데 있다.
또한, 드럼의 외주연으로부터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의 위치에 따라 장력발생부가 이동되면서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져 항상 와이어가 안전하게 드럼에 권치되도록 함은 물론 체인 및 모터를 이용한 전동방식의 경우 장력발생부와 도어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에 장력이 소멸되면 즉시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드럼으로부터 와이어가 풀리는 것을 정지시켜 와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을 이루는 회전축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의 풀림과 감김에 의해 승·하강할 때 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를 가지는 오버헤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는, 주기어와, 상기 주기어에 의해 연동되는 아이들기어 및 종기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 상기 종기어의 중심과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는 이동관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상기 이동관으로부터 상기 종기어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축설되어 회전되는 회전봉과 상기회전봉 선단에 고정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에 접하여 와이어를 밀착시키는 압착롤러를 가지는 장력발생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기어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아이들기어 및 종기어를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한 브래킷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장력발생부의 압착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한 브래킷을 상기 이동관 선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탈방지구는 상기 한 쌍의 드럼에 권취된 각각의 와이어가 이탈을 방지하도록 풀고 감을 때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와이어 공급용 장력발생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에 전원제어부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오버헤드 도어를 도시한 계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탈방지구 2 : 동력전달부
3 : 지지부 4 : 장력발생부
5, 6 : 브래킷 7 : 클러치베어링
8 : 가이드롤러 9 : 드럼
10 : 도어 11 : 구동기어
91 : 와이어 92 : 회전축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정면도로서, 부호 1은 이탈방지구, 2는 구동기어(11) 및 드럼(9)이 고정된 회전축(92)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 3은 지지부, 4는 장력발생부, 5 및 6은 브래킷을 나타낸다.
상기 이탈방지구(1)는 수평을 이루는 회전축(92)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드럼(9)에 권취된 와이어(91)의 풀림과 감김에 의해 승 하강할 때 와이어(91)가 드럼(9)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동력전달부(2)는 주기어(21)와, 상기 주기어(21)에 의해 연동되는 아이들기어(22) 및 종기어(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기어(21)는 드럼(9)을 회전시키는 회전축(9)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아이들기어(22) 및 종기어(23)는 판상의 브래킷(5)에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브래킷(5)은 상기 회전축(9)에 걸려서 지지되면서 함께 회동되지 않도록 상부를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5)에 결합된 아이들기어(22)가 상기 주기어(21)와 항상 맞물려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92)에 결합된 브래킷(5)의 상부 일측에 도 2에서와 같이 링(13)을 고정시켜 주기어(21)와 링(13) 사이에 항상 위치되어 있도록 한다.
지지부(3)는 상기 종기어(23)의 중심과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중공형태의 지지관(31) 및 상기 지지관(31)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는 중공형태의 이동관(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관(312)의 일단은 브래킷(5)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종기어(2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브래킷(5)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관(32)이 끼워진 후 수평으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장력발생부(4)는 상기 이동관(32)으로부터 종기어(23)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축설되면서 종기어(23)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봉(43)과, 상기 회전봉(43) 선단에 고정되는 구동롤러(42) 및 상기 구동롤러(42)에 접하여 와이어(91)를 밀착시키는 압착롤러(42)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봉(43)은 상기 종기어(23)에 끼워진 후 좌우 슬라이딩되면서도 종기어(23)와 함께 회전하도록 삽입 부위의 단면을 사각형태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력발생부(4)의 압착롤러(42)를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한 브래킷(6)을 상기 이동관(32) 선단에 결합시켜 압착롤러(42)가 항상 구동롤러(42)와 맞닿으면서 사이에 끼워지는 와이어(91)를 밀착하고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2)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롤러(42)의 회전수와드럼(9)으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91)의 길이는 드럼(9)의 외주면에 와이어가(91)가 밀착되어 있도록 장력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며, 항상 와이어에 장력이 유지되어 있도록 동력전달부(2)의 주기어(21), 아이들기어(22) 그리고 종기어(23)의 톱니 수를 드럼(9)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구(1)는 상기 한 쌍의 드럼(9)에 권취된 각각의 와이어(91)가 이탈을 방지하도록 풀고 감을 때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면서, 드럼(9)에 에서 풀리고 감기는 위치가 좌우로 이동될 때 상기 장력 발생부(4)가 고정된 지지부(3)의 이동관(32)이 지지관(31)으로 출몰되면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구(1)의 작동은, 미도시된 통상의 체인 및 핸들을 이용하는 수동방식에 의하여 구동기어(11)를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드럼(9)에 권취된 와이어(91)가 풀림 또는 감기게 되며, 이때 회전축(2)이 회전되면서 동력전달부(2)의 주기어(21), 아이들기어(22) 그리고 종기어(23)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동시에 종기어(23)의 중심으로 축설된 회전봉(43)이 회전되면서 장력발생부(4)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장력발생부(4)는 회전봉(43) 선단에 고정된 구동롤러(42)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되는 구동롤러(42)의 회전력이 압착롤러(42)에 의하여 밀착되고 있는 와이어(91)를 하측으로 끌어당기거나 드럼(9)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한다. 상기 과정에서 구동롤러(42)의 회전과 드럼(9)으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91) 길이가 일치된 상태이므로 압축롤러(42)와 드럼(9)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91)는 항상 장력을 유지하게 되어 외이어(9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럼(9)에 권취된 와이어(91)의 풀고 감는 위치의 변화가 생겨도 와이어(91)가 장력발생부(4)의 구동롤러(41)와 압착롤러(42)로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브래킷(6) 상측에 가이드롤러(8)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이탈방지구(1)의 주기어(21)와 상기 브래킷(5)의 상단 결합부분을 이등분으로 분할 형성한 후 상호 회전축(92)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92)에도 편리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장력발생부(4)의 압착롤러(42)는 지지구(46)에 축설되고, 상기 지지구(46)는 상기 브래킷(6)에 체결되는 조정볼트(44)와 그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45)에 의해 밀착되도록 하여 장기 사용으로 구동롤러(41)와 압착롤러(42)가 마모되어 와이어(91)에 작용되는 압착력이 약화될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 별도의 압착롤러(42)의 압력조정을 불필요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드럼(9)에 권취되었던 와이어(91)가 풀릴 때에 이탈되는 것이 주원인임을 고려하여 상기 종기어(23)의 중심에 클러치베어링(7)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베어링(7)은 상기 회전봉(43)의 선단에 고정된 구동롤러(42)가 드럼(9)에 권취된 와이어(91)를 풀릴 때만 그 구동력이 회전봉(43)의 선단에 고정된 구동롤러(42)에 전달시킴으로써 와이어(91)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장력을 제공하여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와이어(91)가 드럼(9)에 감길 때에는 클러치베어링(7)의 구동력이 회전봉(43)의 선단에 고정된 구동롤러(42)에 전달되지 않고 구동롤러(41)와 압착롤러(42)에 밀착된 상태에서 와이어(91)에 도어(10)의 자중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장력만을 제공함으로써 드럼(9)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감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미도시된 체인 및 모터를 이용한 전동방식에 의하여 구동기어(11)를 회전시킬 경우, 장력발생부(4)의 브래킷(6)에 지지부재(15)를 부착하고, 상기 지지부재(15)에 일단이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면서 선단에 와이어(91)를 거는 가이드롤러(141)를 가지는 걸이구(14)를 마련하며, 상기 걸이구(14) 후단에 직교되도록 고정된 레버(17) 그리고 레버(17)를 일측으로 탄발시키도록 개재되는 스프링(16)으로 이루어지는 전원제어부(19)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19)는 장력발생부(4)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던 와이어(91)가 도어(10)의 하중에 의하여 당겨지지 않아 늘어나면 상기 스프링(16)의 탄발력에 의해 걸이구(14)가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레버(17)가 스위치(18)를 작동시켜 상기 모터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와이어(91)가 드럼(9)으로부터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하고 이상여부를 조기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드럼으로부터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가 장력발생부의 구동롤러 및 압착롤러 사이에 밀착된 상태에서 끼워져 이동됨으로써 와이어는 항상 장력이 발생되어 드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의 위치에 따라 장력발생부가 이동되면서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져 항상 와이어가 안전하게 드럼에 권치할 수 있고, 체인 및 모터를 이용한 전동방식의 경우 장력발생부와 도어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에 장력이 소멸되면 즉시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드럼으로부터 와이어가 풀리는 것을 정지시켜 와어어의 이탈을 방지하여 항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수평을 이루는 회전축(92)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드럼(9)에 권취된 와이어(91)의 풀림과 감김에 의해 승·하강할 때 와이어(91)가 드럼(9)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1)를 가지는 오버헤드 도어(10)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는(1),
    주기어(21)와, 상기 주기어(21)에 의해 연동되는 아이들기어(22) 및 종기어(23)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2);
    상기 종기어(23)의 중심과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지지관(31) 및 상기 지지관(31)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는 이동관(32)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3); 및
    상기 이동관(32)으로부터 상기 종기어(23)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축설되어 회전되는 회전봉(43)과 상기 회전봉(43) 선단에 고정되는 구동롤러(42) 및 상기 구동롤러(42)에 접하여 와이어(91)를 밀착시키는 압착롤러(42)를 가지는 장력발생부(4)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기어(21)는 상기 회전축(9)에 고정되고, 상기 아이들기어(22) 및 종기어(23)를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한 브래킷(5)이 상기 회전축(9)에 결합되며, 상기 장력발생부(4)의 압착롤러(42)를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한 브래킷(6)을 상기 이동관(32) 선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탈방지구(1)는 상기 한 쌍의 드럼(9)에 권취된 각각의 와이어(91)가 이탈을 방지하도록 풀고 감을 때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43)의 선단에 고정된 구동롤러(42)가 드럼(9)에 권취된 와이어(91)가 풀릴 때만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종기어(23)의 중심에 클러치베어링(7)이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베어링(7)에 상기 회전봉(43)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9)으로부터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91)를 장력발생부(4)로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브래킷(6)에 가이드롤러(8)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1)를 기존에 설치된 회전축(92)에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주기어(21)와 상기 브래킷(5)의 상단 결합부분을 이등분으로 분할 형성한 후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발생부(4)의 압착롤러(42)는 지지구(46)에 축설되고, 상기 지지구(46)는 상기 브래킷(6)에 체결되는 조정볼트(44)와 그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45)에 의해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발생부(4)의 브래킷(6)에 부착되는 지지부재(15)와, 상기 지지부재(15)에 삽입되면서 선단에 와이어(91)를 거는 가이드롤러(141)를 가지는 걸이구(14)와, 상기 걸이구(14) 후단에 직교되도록 고정된 레버(17) 그리고 레버(17)를 일측으로 탄발시키도록 개재되는 스프링(16)으로 이루어지는 전원제어부(19)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레버(17)가 스위치(18)를 작동시켜 전원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KR2020010026937U 2001-09-03 2001-09-03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KR200257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937U KR200257380Y1 (ko) 2001-09-03 2001-09-03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937U KR200257380Y1 (ko) 2001-09-03 2001-09-03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53655A Division KR100415894B1 (ko) 2001-08-31 2001-08-31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380Y1 true KR200257380Y1 (ko) 2001-12-24

Family

ID=7306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937U KR200257380Y1 (ko) 2001-09-03 2001-09-03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3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284B1 (ko) 2007-07-13 2008-08-08 이지섭 다기능 다목적 기능을 구비하는 방범창문의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284B1 (ko) 2007-07-13 2008-08-08 이지섭 다기능 다목적 기능을 구비하는 방범창문의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852B1 (ko) 전선 권취장치
JP2005510252A (ja) 巻上げ/巻き戻しする日よけのための装置。
KR100262999B1 (ko) 수동 체인 블록
KR101499669B1 (ko) 케이블 포설기
KR100415894B1 (ko)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JP5458397B2 (ja) 水門開閉装置
KR200257380Y1 (ko)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KR20020001391A (ko) 와이어로프 교체장치
KR200304642Y1 (ko)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CN1304368A (zh) 自行车传动装置变速机构的索缆导向器
CN210460316U (zh) 一种电动玻璃升降器
KR102490738B1 (ko) 전선교체작업용 권취장치
KR200205440Y1 (ko) 케이블 드럼
JP2506239B2 (ja) シャッタ、主にロ―ラシャッタのための駆動装置
JPH0756301Y2 (ja) エンドレスウインチ
JP3730852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KR200261903Y1 (ko) 오버헤드 셔터의 구동장치
JPS6334402Y2 (ko)
KR100380523B1 (ko) 오버헤드 셔터의 구동장치
CN220766352U (zh) 一种锚绞机带式刹车装置
KR100879388B1 (ko) 과부하방지용 동력차단장치가 설치된 고온 조업용 오토 통
JP2020058312A (ja) 釣り機
JP2001103629A (ja) 架空地線への光ケーブル巻付機
JPH02184207A (ja) 閉鎖配電盤の天井走行式ホイスト
KR200489990Y1 (ko) 호스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