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642Y1 -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642Y1
KR200304642Y1 KR20-2002-0032660U KR20020032660U KR200304642Y1 KR 200304642 Y1 KR200304642 Y1 KR 200304642Y1 KR 20020032660 U KR20020032660 U KR 20020032660U KR 200304642 Y1 KR200304642 Y1 KR 200304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upled
bracket
support memb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근
허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노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노모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노모아
Priority to KR20-2002-0032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6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을 이루는 회전축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의 풀림과 감김에 의해 승·하강할 때 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에 전원제어부를 구비하는 오버헤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하단부에 직교되도록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축이 상단에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가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레버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고정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면서 양단이 지지부재의 회전축과 브래킷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탈방지구의 브래킷에 결합되는 전원제어부의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와이어의 이동을 전후방향으로 작용시킴으로써 도어의 무게에 상관 없이 와이어가 정면에서 볼때 일직선상이 되도록 안내하게 되어 와이어를 풀거나 감을때 마찰음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부하를 감소시켜 부품의 마모를 줄일 수 있고, 와이어가 느슨해지면 곧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더 큰 사고로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A WIRE SECESSION PREVENTING DEVICE OF AN OVERHEAD DOOR}
본 고안은 오버헤드 도어(이하 도어라 약칭함)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가 드럼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와이어를 드럼에 풀거나 감는 전동방식에 사용되며, 도어가 사용자 부주의 및 자체의 결함으로 정지되어 장력발생부와 도어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에 장력이 소멸되면 즉시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드럼의 회전 및 와이어가 계속 풀리는 것을 조기에 중지시켜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오버헤드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0053655 호(출원일 2001. 08. 31)의 전원제어부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출원된 오버혜드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회전축(92)에 고정된 드럼(9)과 도어(10)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어(91)와, 상기 와이어(91)가 드럼(9)으로부터 풀리거나 감아질때 상기 와이어(91)가 드럼(9)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1)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구(1)는 회전축(92)에 결합된 주기어(21)에 의해 연동되도록 브래킷(5)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아이들기어(22) 및 종기어(23)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2)와, 상기 종기어(23)의 중심과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지지관(31) 및 상기 지지관(31)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는 이동관(32)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3)와, 상기 이동관(32)으로부터 상기 종기어(23)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축설되어 회전되는 회전봉(43) 및 상기 회전봉(43) 선단에 고정되는 구동롤러(41)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41)에 접하여 와이어(91)를 밀착시키도록 브래킷(6)에 결합된 압착롤러(42)를 가지는 장력발생부(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력발생부(4)의 브래킷(6)에 부착되는 지지부재(15)와, 상기 지지부재(15)에 삽입되면서 선단에 와이어(91)를 거는 가이드롤러(141)를 가지는 걸이구(14)와, 상기 걸이구(14) 후단에 직교되도록 고정된 레버(17) 그리고 레버(17)를 일측으로 탄발시키도록 개재되는 압축형 스프링(16)으로 이루어지는 전원제어부(19)를 더욱 포함하며, 도어의 정지시 상기 와이어(91)가 느슨해지면 스프링(16)의 탄발력에 의해 레버(17)가 스위치(18)를 작동시켜 구동기어(11)를 작동시키는 미도시된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제어부(19)의 작동에 있어서, 스프링(16)의 탄발력이 작으면 레버(17)가 스위치(18)를 작동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스프링(16)의 탄발력을 증가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탄발력이 강한 압축형 스프링(16)을 사용할 경우 도어(10)가 대형으로 그 무게가 크면 와이어(91)에 발생되는 장력이 스프링(16)의 탄발력보다 크므로 드럼(9)과 전원제어부(19)의 가이드롤러(141)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91)는 일직선이 되어 이동이 원활하나, 소형 도어(10)의 경우 무게가 가벼워 전원제어부(19)의 스프링(16) 탄발력이 와이어(91)의 장력보다 강하게 작용되어 전원제어부(19)의 가이드를러(141)에 끼워진 와이어(91)가 일측으로 밀린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 2에서와 같이 드럼(9)과 전원제어부(19)의 가이드롤러(141)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91)는 "S"형태가 되어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마찰음의 발생과 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제어부의 스프링을 비틀림용으로 사용하여 도어의 무게에 상관 없이 드럼과 전원제어부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정면에서 볼때 일직선상이 되도록 안내하여 와이어를 드럼의 권선홈과 항상 일치시켜 마찰음의 발생 방지 및 부하를 감소시키고, 와이어가 느슨해지면 곧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더 큰 사고로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축에 고정된 드럼과 도어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주기어에 의해 연동되도록 브래킷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아이들기어 및 종기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 상기 종기어의 중심과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는 이동관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이동관으로부터 상기 종기어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축설되어 회전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 선단에 고정되는 구동롤러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에 접하여 와이어를 밀착시키도록 브래킷에 결합된 압착롤러를 가지는 장력발생부로 이루어지는 이탈방지구에 전원제어부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하단부에 직교되도록 관통되어 끼워지는 회전축이 상단에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가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레버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고정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면서 양단이 지지부재의 회전축과 브래킷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a 및 5b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탈방지구 2 : 동력전달부
3 : 지지부 4 : 장력발생부
5, 6 : 브래킷 7 : 클러치베어링
8 : 가이드롤러 9 : 드럼
10 : 도어 11 : 구동기어
19 : 전원제어부 91 : 와이어
92 : 회전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정면도로서, 부호 1은 이탈방지구, 2는 구동기어(11) 및 드럼(9)이 고정된 회전축(92)에 결합되는 동력전달부, 3은 지지부, 4는 장력발생부, 5 및 6은 브래킷, 19는 전원제어부를 나타낸다.
먼저, 이탈방지구(1)는 미도시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11)가 회전축(92)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92)에 드럼(9)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9)과 도어(10)에 와이어(91)의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92)에 결합된 주기어(21)에의해 연동되도록 브래킷(5)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아이들기어(22) 및 종기어(23)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종기어(23)의 중심과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지지관(31) 및 상기지지관(31)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는 이동관(32)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3)와, 상기 이동관(32)으로부터 상기 종기어(23)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축설되어 회전되는 회전봉(43) 및 상기 회전봉(43) 선단에 고정되는 구동롤러(41)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41)에 접하여 와이어(91)를 밀착시키도록 브래킷(6)에 결합된 압착롤러(42)를 가지는 장력발생부(4)로 이루어지는 이탈방지구(1)에 와이어(91)를 일직선상으로 안내하는 전원제어부(1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제어부(19)는, 상기 브래킷(6)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하여 하단부(61)를 일체로 형성하게 되고, 상기 하단부(61)에 직교되도록 관통되어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회전축(101)이 상단에 형성하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스위치(18)를 작동시키는 레버(102)를 가지는 지지부재(10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0)의 레버(102)의 하단에는 지지구(103)가 회전되도록 후방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구(103)의 전방에는 와이어(91)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04)가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100)의 회전축(101)을 회전시키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면서 양단이 지지부재(100)의 회전축(101)과 브래킷(6)의 하단부(61)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비틀림 스프링(105)을 구비히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구(1)의 작동은, 미도시된 통상의 모터에 의하여 구동기어(11)를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드럼(9)에 권취된 와이어(91)가 풀림 또는 감기게 되며, 이때 회전축(92)이 회전되면서 동력전달부(2)의 주기어(21), 아이들기어(22) 그리고 종기어(23)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종기어(23)의 중심으로 축설된 회전봉(43)이 회전되면서 장력발생부(4)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장력발생부(4)는 회전봉(43) 선단에 고정된 구동롤러(41)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되는 구동롤러(41)의 회전력이 압착롤러(42)에 의하여 밀착되고 있는 와이어(91)를 하측으로 끌어당기거나 드럼(9)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한다. 상기 과정에서 구동롤러(41)의 회전과 드럼(9)으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91) 길이가 일치된 상태이므로 압착롤러(42)와 드럼(9)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91)는 항상 장력을 유지하게 되어 와이어(9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전원제어부(19)는 도 4에서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105)의 탄성력 작용이 지지부재(100)의 회전축(101)을 회전시켜 레버(102)가 전방으로 회전되도록 작용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지구(103)에 고정된 가이드롤러(104)에 끼워진 와이어(91)에 의해 도 5a와 같이 레버(102)가 수직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가 도 어(10)의 고장으로 와이어(91)가 느즌해지면 비틀림 스프링(105)의 탄성력 작용에의해 레버(102)가 도 5a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스위치(18)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스위치(18)의 작동으로 미도시된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드럼(9)으로부터 와이어(91)의 풀림을 조기에 정지시켜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19)의 비틀림 스프링(105) 탄발력 작용이 지지부재(100)의 회전축(101)을 회전시키고 최종적으로 와이어(91)를 드럼(9)의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고 드럼(9)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전방으로 작용되어 도 4에서와 같이 드럼(9)과 전원제어부(19)의 가이드롤러(104)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가 정면에서 볼때 일직선상이 되도록 안내하여 와이어를드럼(9)의 권선홈과 항상 일치시킴으로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91)가 풀고 감을때 마찰음의 발생 예방 및 부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탈방지구의 브래킷에 결합되는 전원제어부의 스프링을 비틀림용으로 사용하여 와이어의 이동을 전후방향으로 작용시킴으로써 도어의 무게에 상관없이 드럼과 전원제어부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와이어가 정면에서 볼때 일직선상이 되도록 안내하게 되어 와이어를 풀거나 감을때 마찰음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부하를 감소시켜 부품의 마모를 줄일 수 있고, 와이어가 느슨해지면 곧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더 큰 사고로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회전축(92)에 고정된 드럼(9)과 도어(10)에 양단이 고정되는 와이어(91); 상기 회전축(92)에 결합된 주기어(21)에 의해 연동되도록 브래킷(5)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아이들기어(22) 및 종기어(23)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2); 상기 종기어(23)의 중심과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지지관(31) 및 상기 지지관(31)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는 이동관(32)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3); 상기 이동관(32)으로부터 상기 종기어(23)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축설되어 회전되는 회전봉(43) 및 상기 회전봉(43) 선단에 고정되는 구동롤러(41)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41)에 접하여 와이어(91)를 밀착시키도록 브래킷(6)에 결합된 압착롤러(42)를 가지는 장력발생부(4)로 이루어지는 이탈방지구(1)에 전원제어부(19)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19)는,
    상기 브래킷(6)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하단부(61)에 직교되도록 관통되어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회전축(101)이 상단에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스위치(18)를 작동시키는 레버(102)를 가지는 지지부재(100)와;
    상기 지지부재(100)의 레버(102)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지지구(103)와,
    상기 지지구(103)에 고정되어 와이어(91)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04); 및
    상기 지지부재(100)의 회전축(101)을 회전시키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면서 양단이 지지부재(100)의 회전축(101)과 브래킷(6)의 하단부(61)에 결합되는 비틀림 스프링(1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KR20-2002-0032660U 2002-10-31 2002-10-31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KR200304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660U KR200304642Y1 (ko) 2002-10-31 2002-10-31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660U KR200304642Y1 (ko) 2002-10-31 2002-10-31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642Y1 true KR200304642Y1 (ko) 2003-02-19

Family

ID=4940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660U KR200304642Y1 (ko) 2002-10-31 2002-10-31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6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523B1 (ko) 2023-06-26 2024-05-13 주식회사 원도어시스템 산업용 자동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523B1 (ko) 2023-06-26 2024-05-13 주식회사 원도어시스템 산업용 자동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8936C (en) Pavement-marking tape applicator
KR100227563B1 (ko) 벨트식 호이스트
JP3570926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KR200304642Y1 (ko)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KR200450631Y1 (ko) 케이블 포설기
KR100415894B1 (ko)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CN107720456B (zh) 一种电网用防回卷收线器
KR200257380Y1 (ko) 오버헤드 도어의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JP6482707B1 (ja) 線状体引出し装置
CN111137731B (zh) 一种用于电力配网的放线装置
JP2009299406A (ja) 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KR20080026962A (ko) 호스 권취장치
JP2023119185A (ja) 鉄筋結束ロボット、鉄筋結束機、およびリール
JPH10191844A (ja) 電動リール一体型釣り竿
JP2506239B2 (ja) シャッタ、主にロ―ラシャッタのための駆動装置
KR200327787Y1 (ko) 권취기구용 정열장치
JP2007177489A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用チェーンホイストのブレーキ装置
JP2647178B2 (ja) 閉鎖配電盤の天井走行式ホイスト
CN220078048U (zh) 一种超细纤维皮革拉布机
CN218138279U (zh) 一种电池生产用筒纸切断装置
CN215430887U (zh) 线材缓冲装置
KR200148339Y1 (ko) 주차브레이크를 이용한 정전기발생 방지장치
JPH08121057A (ja) 手動開閉式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3236864B2 (ja) ベルト式巻上機
JP2013023317A (ja) ホース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