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439Y1 - 차량용 제동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동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439Y1
KR200254439Y1 KR2020010000274U KR20010000274U KR200254439Y1 KR 200254439 Y1 KR200254439 Y1 KR 200254439Y1 KR 2020010000274 U KR2020010000274 U KR 2020010000274U KR 20010000274 U KR20010000274 U KR 20010000274U KR 200254439 Y1 KR200254439 Y1 KR 200254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ehicle
lens
reflector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이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재 filed Critical 이명재
Priority to KR2020010000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439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제동등(stop lamp)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제동등은, 차량의 후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가 작동함에 따라 점등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고, 상기 램프가 투과되도록 상기 램프를 내장하는 렌즈와; 일사량에 따라 회동각이 조절되도록 상기 렌즈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이 회동되도록 구비된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제동등{STOP LAMP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제동등(stop lamp)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뒤따르는 차량에 대하여 제동등의 온(on)/오프(off) 상태를 명확하게 전달하여 안전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차량용 제동등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미등(tail lamp)은 후미등으로서만 사용되는 단독식과, 제동등이나 방향지시등과 겸용으로 되어 있는 겸용식이 있으나, 상기한 겸용식은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제동등도 단독식과 겸용식이 있으며, 각각 안전기준에 정해진 밝기와 렌즈의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동등은 차량의 주제동장치와 연동하여 점멸하기 때문에 기계식과 유압식이 있다.
상기한 기계식 제동등 스위치는 브레이크 페달(break pedal)을 밟으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스위치 내의 로드가 스프링으로 밀려가서 접점을 닫아 제동등이 점등한다.
이와 같은 제동등이 낮은 광도를 유지하는 경우, 야간 운전과 일사량이 적은 시간대에는 후방 차량에 점등과 점멸을 명확히 전달하나, 오전과 오후의 그림자가 긴 시간대에 해를 등지고 운전할 경우, 햇빛이 미등을 반사하여 미등이 점등 수준의 밝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이를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는 전방 차량의 브레이크의 작동 유무를 명확하게 판단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제동등에 고 광도를 유지함에는 낮 시간대 일사량이 많은 시간은 후방 차량에 점등과 점멸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는 있으나, 야간 주행 중에는 고 광도의 제동등이 점등하면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초래하여 안전 운전의 방해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후방의 차량에게 명확하게 보이도록 한 차량용 제동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제동등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램프 20. 렌즈
30. 반사경 32. 슬라이딩부
33. 제2자석부재 50. 미끄럼부재
51. 제1전자석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제동등은, 차량의 후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가 작동함에 따라 점등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고, 상기 램프가 투과되도록 상기 램프를 내장하는 렌즈와; 일사량에 따라 회동각이 조절되도록 상기 렌즈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이 회동되도록 구비된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제동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차량용 제동등의 구성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제동등은, 차량의 후미 일측에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 또는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에 설치되어 차량의 브레이크가 작동함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11)와, 상기 램프(11)를 보호하고, 이 램프(11)가 점등되어 투과되도록 램프(11)를 내장하는 렌즈(20)와, 차량 외부의 일사량에 따라 회동각이 조절되도록 렌즈(20)의 상부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반사경(30)과, 상기 반사경(30)이 회동되도록 구비된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수단은 반사경(30)이 렌즈(20)의 후미 일측에서 회동되도록 반사경(30)의 후미 일측에 설치된 힌지축(31)과, 상기 힌지축(31)의 후방으로 반사경(30)의 후미에 라운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20)의 공간부(A)에 수납된 슬라이딩부(32)와, 상기 슬라이딩부(32)와 접촉되어 반사경(30)이 회동되도록 하는 미끄럼부재(50)와, 상기 슬라이딩부(32)와 미끄럼부재(50)에 각각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32)와 미끄럼부재(50)가 접촉 및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석부재와, 상기 자석부재의 일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자석부재에 연결 설치된 전원공급장치(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석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부재(50)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장치(40)와 직접 연결되는 제1전자석부재(51)와, 상기 슬라이딩부(32)에 설치된 제2자석부재(33)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2자석부재(33)는 일반적인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사경(30)의 오픈 각도(α)는 렌즈(20)에 후미 일측에 대하여 즉, 힌지축(31)을 기준하여 약 45도로 오픈(open)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회동수단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반사경(30)이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 어떠한 회동수단에도 본 고안이 완성되는 데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41은 상기 제1전자석부재(5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자석부재(51)와 제2자석부재(33)는 각각 다른 극이 되어 슬라이딩부(32)와 미끄럼부재(50)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제동등은 종래의 브레이크등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제동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차량용 제동등의 작용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작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제동등은, 회동 가능한 반사경(30)을 구비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는 상기 반사경(30)이 렌즈(20)를 덥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오프(off)된 상태이다.
그러다가 차량의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가 온(on)되고, 제1전자석부재(51)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1전자석부재(51)와 제2자석부재(33)는 동일극이 되어 서로 밀어내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반사경(30)의 슬라이딩부(32)가 미끄럼부재(5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약 45도로 회동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반사경(30)이 후방을 향해 열리는 구조이므로 렌즈(20)의 발광면이 위를 향해 비추어주면 이를 반사경(30)이 일정 각을 유지하여 후방으로 비추게 되고, 특정 시간대의 구분 없이 주행의 안전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 중에는 반사경(30)이 제동등의 상단을 덮고 있는 상태로 기존의 제동등 높이의 절반 정도만 돌출되어 장착 차량의 운전자의 룸미러 가시 면적을 확대하였고, 또한 후방 차량의 운전자는 제동등의 면적의 확대를 인지함으로서 햇빛의 광도가 높아도 제동등의 전등유무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제동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일사량에 따라 램프가 설치된 렌즈를 개폐하여, 일몰 또는 일출시 햇빛의 길이가 길어도 뒤따르는 차량에 제동등의 점멸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어, 후방 차량의 추돌 등을 미연이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차량의 후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가 작동함에 따라 점등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고, 상기 램프가 투과되도록 상기 램프를 내장하는 렌즈와;
    일사량에 따라 회동각이 조절되도록 상기 렌즈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이 회동되도록 구비된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등.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반사경이 상기 렌즈의 후미 일측에서 회동되도록 상기 반사경의 후미 일측에 설치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후방으로 상기 반사경의 후미에 라운드되게 형성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와 접촉되어 상기 반사경이 회동되도록 하는 미끄럼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미끄럼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미끄럼부재가 접촉 및 탈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자석부재와;
    상기자석부재의 일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연결 설치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등.
  3. (정정)제2항에 있어서,
    상기자석부재는,
    상기 미끄럼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직접 연결되는 제1전자석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된제2자석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렌즈에 후미 일측에 대하여 약 45도로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동등.
KR2020010000274U 2001-01-05 2001-01-05 차량용 제동등 KR200254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74U KR200254439Y1 (ko) 2001-01-05 2001-01-05 차량용 제동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274U KR200254439Y1 (ko) 2001-01-05 2001-01-05 차량용 제동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461A Division KR20020054396A (ko) 2000-12-28 2000-12-28 차량용 제동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439Y1 true KR200254439Y1 (ko) 2001-12-01

Family

ID=7309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274U KR200254439Y1 (ko) 2001-01-05 2001-01-05 차량용 제동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4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915B1 (ko) * 2008-11-24 2011-10-18 한국지엠 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조등
KR20170003484U (ko) 2016-03-31 2017-10-12 김근형 차량용 제동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915B1 (ko) * 2008-11-24 2011-10-18 한국지엠 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조등
KR20170003484U (ko) 2016-03-31 2017-10-12 김근형 차량용 제동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43908A (en) Automatic vehicle lighting control
KR200254439Y1 (ko) 차량용 제동등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GB2368115A (en) Anti-Dazzle Headlamp
CN208382021U (zh) 机动车照明光学模组
KR20020054396A (ko) 차량용 제동등
CN201124793Y (zh) 汽车转向照明控制系统
CN1757541A (zh) 汽车转向照明灯
JP3574852B1 (ja) ドアミラー
KR200291423Y1 (ko) 차량의 헤드램프 어셈블리
JP2002289008A (ja) 車両用前照灯
CN209938430U (zh) 一种汽车会车灯
KR100187174B1 (ko) 헤드램프 제어장치
KR200262210Y1 (ko) 도로안전 반사유도체
KR910005750Y1 (ko) 자동차 전조등을 이용한 안개등장치
KR100197228B1 (ko) 차량의 헤드램프용 주사빔 전환장치
KR100301405B1 (ko) 차량 전조등의 광조사폭 조절장치
KR100439911B1 (ko) 자동차의 도어 램프 구동 장치
KR19980030324A (ko) 상향등 차폐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헤드램프
KR100411000B1 (ko) 헤드램프자동제어장치
CN2308797Y (zh) 汽车夜视转向角自动补偿盲区照明装置
KR200145162Y1 (ko) 헤드램프 표시등
CN117308018A (zh) 一种多功能型汽车大灯
KR200175810Y1 (ko)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
KR200294631Y1 (ko) 전구가 구비된 싸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