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810Y1 -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810Y1
KR200175810Y1 KR2019990022022U KR19990022022U KR200175810Y1 KR 200175810 Y1 KR200175810 Y1 KR 200175810Y1 KR 2019990022022 U KR2019990022022 U KR 2019990022022U KR 19990022022 U KR19990022022 U KR 19990022022U KR 200175810 Y1 KR200175810 Y1 KR 200175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signal
signal
generator
alarm
head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문
Original Assignee
한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문 filed Critical 한상문
Priority to KR2019990022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소등경보장치는 조명스위치봉의 회전가동단부내에 신호발생부를 설치하고 조명스위치봉의 고정단부내에 상기 신호발생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설치한 구조로서 그 구조가 대단히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조명스위치봉내에 설치되므로 설치가 대단히 간단하므로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됨과 아울러 상기 신호발생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의 상호신호가 차단되게되면 경보발생부에서 경보음을 발생시켜 전조등의 소등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되므로 야간주행시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 {An alarm apparatus of putting out headlights during night driving }
본 고안은 야간주행중 전조등이 소등된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의 야간주행중 운전자가 전조등이 소등된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조등의 소등상태에서의 야간주행시 운전자에게 전조등의 소등상태를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차량의 안전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조등소등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야간운전시, 차량이 신호대기상태에 있으면 받데리의 방전을 감소시키기위하여 전조등을 소등상태로 유지시키고 주행신호가 점등되면 다시 전조등을 점등시키고 주행하며, 비좁은 골목길에서 반대방향에서 마주보고 오는 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위하여 전조등을 소등하고 주행하며 다른 차량이 없는 경우에 다시 전조등을 점등시켜 주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운전자들의 운전습관이다. 그러나.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전조등을 소등시킨 상태에서 다시 재출발할 경우, 전조등의 소등상태를 인지하지못하고 전조등이 소등된 상태로 어두운 밤길을 주행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교통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크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89-10197호에는 자동차의 클러치페달에 전조등작동부가 연동작동되게 한 '자동차 정지감지장치를 이용한 자동차브레이크 및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2-2069 호에 '자동차의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여 자동차용 전조등을 자동으로 점등소등하는 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제안된 바 있으나,이러한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게되어 설치하기가 난해하고 불편할뿐아니라 설치비용이 고가로서 일반에게 이용되지않고 있다.
본 고안은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야간주행시 전조등이 소등된 상태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소등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안전운행을 도모함과 아울러 그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전조등소등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운전석의 핸들의 하부에서 일측에 돌출고정된 조명스위치봉의 회전가동단부내에 회전가동단부와 함께 가동되며 고정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신호발생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가동단부에 인접한 조명스위치봉의 고정단부내에 상기 위치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위치신호를 감지하는 위치신호수신부가 설치되며, 상기 위치신호수신부의 출력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발생부를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소등경보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소등경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가 설치된 조명스위치봉이 장착된 핸들부분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스위치봉의 정면도로서,
a는 전조등의 점등상태, b는 전조등의 소등상태를 나타낸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의 구성도
a는 위치신호발생부의 구성도, b는 위치신호수신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조명스위치부 3. 신호발생부 4. 신호수신부
5. 경보발생부 21. 회전가동단부 22. 고정단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조등소등경보장치(A)는,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들(1)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돌출고정된 조명스위치봉(2)의회전가동단부(21)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가동단부(21)와 함께 가동되고 고정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신호발생부(3)와, 상기 위치신호발생부(3)의 신호의 변화에 따라 작동되며 상기 회전가동단부(21)에 인접한 조명스위치봉(2)의 고정단부(22)내에 설치되는 위치신호수신부(4)와, 상기 위치신호수신부(4)에 접속되며 상기 위치신호수신부(4)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미리 기억된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5)를 포함한다.
본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신호발생부(3)는 자력을 갖는 자석이 사용되거나,반사거울, 또는 도3a,b에 도시된 바와같이, 특정의 주파수가 발생되도록 작동되며 전원부(31)와 신호를 일정주파수를 송신하는 송신부(32)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신호수신부(4)는 상기 위치신호발생부(3)에서 발생되는 위치신호발생부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경보발생부(5)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신호수신부(4)는 전원부(41),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부(42), 상기 위치수신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전환부(43)로 구성되고, 상기 전환부(43)는 상기 위치신호발생부(3)의 출력신호가 상기 위치신호수신부(4)의 위치수신부(42)내에 수신되면 '오프'되고 상기 위치신호발생부(3)의 출력신호가 위치수신부(42)에 수신되지않으면 '온'되어 상기 경보발생부(5)를 작동시키게 된다.상기 위치신호수신부(4)의 전원부(41)는 온/오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위치신호발생부(3)에 반사거울이 사용될 경우, 상기 위치신호수신부(4)에는 광선조사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경보발생부(5)는 상기 위치신호수신부(4)의 전환부(43)에서 출력된 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기억되어 있는 멜로디 또는 LED에의한 점멸신호를 발생시킨다. 본실시예에서는 상기 경보발생부(5)가 위치신호수신부(4)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도선을 통하여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 21a는 회전가동단부(21)내의 위치신호발생부(3)의 위치표시이고, 22a는 고정단부(22)내의 위치신호수신부(4)의 위치표시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소등경보장치(A)는 야간주행시,도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행중인 전조등이 점등된 상태에서는 회전가동단부(21)내에 설치된 위치신호발생부(3)와, 고정단부(22)내에 설치된 위치신호수신부(4)가 서로 일직선상으로 위치되는 위치표시(21a)(22a)가 일직선상으로 위치된다(이 상태에서는 전조등이 켜진상태로 위치된다) . 이 상태에서는 위치신호발생부(3)의 자력 또는 특정주파수의 신호가 위치신호수신부(4)내의 수신부(42)내로 입력되므로 위치신호수신부(4)의 전환부(43)는 '오프'되어 경보발생부(5)가 작동되지않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도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호대기시에는 전조등을 소등시키고 미등만이 점등된 상태로 하고자, 조명스위치봉(2)의 회전가동단부(21)를 전조등소등위치로 회전시키면 위치표시(21a)(22a)가 불일치하게 되므로, 신호발생부(3)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신호수신부(4)의 수신부(42)내에 수신되지않으므로 전환부(43)가 '온'상태로 되어 경보발생부(5)에 저장된 멜로디 또는 LED의 점멸신호가 발생되므로 운전자는 전조등이 소등된상태임을 감지하고 출발시 전조등을 다시 점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운전자가 전조등을 켜지않고 계속주행하게되면 경보발생부(5)에서 경보멜로디가 계속발생되므로 일정거리 주행후 운전자는 전조등의 소등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소등경보장치는 조명스위치봉의 회전가동단부내에 위치신호발생부를 설치하고 조명스위치봉의 고정단부내에 상기 위치신호발생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신호수신부를 설치한 구조로서 그 구조가 대단히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조명스위치봉내에 설치되므로 설치가 대단히 간단하므로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됨과 아울러 상기 위치신호발생부와 상기 위치신호수신부의 상호 교환되는 신호가 차단되게되면 경보발생부에서 경보음을 발생시켜 전조등의 소등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되므로 야간주행시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조등소등경보장치에 있어서, 핸들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돌출고정된 조명스위치봉의 회전가동단부내에 설치되며 고정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신호발생부와,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위치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회전가동단부에 인접한 조명스위치봉의 고정단부내에 설치되는 위치신호수신부와, 상기 위치신호수신부에 접속되며 상기 위치신호수신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미리 기억된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소등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신호발생부는 자력이 발생되는 자석이고, 상기 위치신호수신부는 상기 위치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위치신호발생부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경보발생부에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전원부,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부, 상기 위치수신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전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소등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위치신호발생부는 반사거울이 사용되고, 위치신호수신부에는 반사거울로 광선을 조사하는 광선조사부와, 상기 광선조사부에서 반사된 광선을 수신하는 위치수신부와, 상기 위치수신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전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소등경보장치
KR2019990022022U 1999-10-13 1999-10-13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 KR200175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22U KR200175810Y1 (ko) 1999-10-13 1999-10-13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22U KR200175810Y1 (ko) 1999-10-13 1999-10-13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810Y1 true KR200175810Y1 (ko) 2000-03-15

Family

ID=1959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22U KR200175810Y1 (ko) 1999-10-13 1999-10-13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8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5810Y1 (ko) 야간주행중 전조등소등경보장치
KR100855431B1 (ko) 다기능 램프를 구비한 사이드미러
JPH0217372B2 (ko)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0180312B1 (ko) 자동차의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100224062B1 (ko) 자동차의 야간주행시 보행자 안전장치
KR0149145B1 (ko)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 장치
KR0124989Y1 (ko) 자동차의 차량등 자동 점등장치
KR19990005613A (ko) 야간 운전시 전조등의 동작상태를 알리는 장치 및 방법
KR101854178B1 (ko) 스텔스 차량 알림 장치
KR0144759B1 (ko) 스페어전구 자동점등장치
KR0151334B1 (ko) 자동차의 주간 헤드램프 점등시 자동 멜로디 경고음 장치
KR100238415B1 (ko) 야간 정지시 턴 시그널 램프 제어 장치
KR0137160B1 (ko) 명암가변식 방향전환 램프 점멸장치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200213505Y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자동 점멸장치
KR200216006Y1 (ko) 비상신호 알림 및 후방시야 확보용 램프
KR200216992Y1 (ko) 차량의 브레이크등 제어장치
KR0144758B1 (ko) 스페어전구 자동점등장치
KR0123291Y1 (ko) 자동차 점·소등 되는 주차등
KR19980084018A (ko) 자동차 후방 조명장치
KR0129707B1 (ko) 자동차용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KR0138482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전환장치
KR0127548Y1 (ko) 자동차용 번호등의 광조절장치
KR19980044090A (ko) 차량용 장애물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