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405Y1 -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405Y1
KR200254405Y1 KR2020010026746U KR20010026746U KR200254405Y1 KR 200254405 Y1 KR200254405 Y1 KR 200254405Y1 KR 2020010026746 U KR2020010026746 U KR 2020010026746U KR 20010026746 U KR20010026746 U KR 20010026746U KR 200254405 Y1 KR200254405 Y1 KR 200254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hain
mounting
snow ch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길
Original Assignee
김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길 filed Critical 김세길
Priority to KR2020010026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405Y1/ko

Links

Landscapes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노우 체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바퀴의 외면에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밴드(B)와 작동부재(T)와 내측지지구(13)로 된 공지의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상기 장착밴드(B)는 탄성질의 고무로 된 밴드체(1)에 금속질의 체인체(3)를 길이 방향으로 결속하여 구성하여 상기 작동부재(T)는 원판형의 케이스체(4)내부에 회동되도록 장치된 작동판(5)의 저면에 구동기어(8)를 형성하여 케이스체(4)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결합된 이동편(7)의 상면에 형성된 종동기어(9)를 구동기어(8)에 치합하여 작동판(5)의 회동에 따라 각각의 이동편(7)이 내외측으로 이동되게 장치하며, 상기 밴드체(1)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공(11)에 이동편(7)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고리(10)를 각각 끼워 결합하여서 구성된 것으로, 스노우체인의 장착이 간편하고 사용시 마찰력이 증대될 뿐 아니라, 분해하면 외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Snow chain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 바퀴에 장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스노우 체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착이 간편하고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눈이 쌓여 있을 경우 자동차의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바퀴에 체인을 장착하였다.
상기 체인은 금속질의 와이어로 구성된 것으로서, 운자들이 바퀴에 장착하기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체인의 내측을 바퀴내측에 결속하고 체인의 외측을 바퀴외측에서 별개의 탄성밴드로 결속하여야 되며 다수의 탄성밴드를 일일이 결속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뿐아니라 각각의 탄성밴드를 당겨서 타측에 걸어야 되기 때문에 많은 힘이 소모되었다. 특히 여성 운전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체인장착작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탄성밴드가 긴밀하게만 꺼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체인이 바퀴의 외면에 밀착지지되지 않으므로 마찰력이 저하되며, 심한 경우에는 체인이 불의하게 이탈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근래에는 탄성질의 고무로 구성한 체인이 있으나, 이는 중량이 가벼운 잇점이 있으나, 눈과의 마찰력이 작기 때문에 미끄럼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널리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상기 체인들은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고 평상시에는 트렁크통에 보관하는 것으로 그 외형이 커서 트렁크내의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바퀴에 스노우 체인을 장착함에 있어 간단하고 빠른 시간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금속재체인과 고무재 체인을 결합형성하여 눈길과의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설명
B : 장착밴드 T : 작동부재 1 : 밴드체
3 : 체인체 4 : 케이스체 5 : 작동판
7 : 이동편 8 : 구동기어 9 : 종동기어
10 : 걸고리 11 : 걸림공
본 고안은 자동차 바퀴의 외면에 장착하는 공지의 체인에 있어서 판체형의 고무판으로 된 밴드체 내에 금속질의 체인체가 결합 된 장착밴드를 다수개 구성하여, 상기 장착밴드의 일측부에 걸고리로 이동판을 연결하며 운반형의 케이스내부에 장치된 작동한 내면에 구동기어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종동기어를 형성하여 각각 작동판의 이동기어가 회동기어에 치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작동판을 일측으로 회동하면 각각의 이동판이 내측으로 이동되어 장착밴드가 조여지며, 또한, 작동판을 타측으로 회동하면 각각의 이동판이 외측으로 이동되어 장착밴드가 느슨해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좌우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체형의 탄성질고무로 된 밴드체(1)의 중앙부에 공간부(2)를 형성하고 금속질의 체인체(3)를 공간부(2)에 좌우길이 방향으로 양단부를 결속하여서 장착밴드(B)를 구성한다.
또한, 원판형의 케이스체(4)내부에 작동판(5)를 양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장치하고, 케이스체(4)의 내주면(4a)와 외주면(4b)에 통과공(6)을 다수개 형성하여 다수의 통과공(6)에 다수의 이동편(7)을 관통되게 결합하여, 작동부재(T)를 구성한다. 또한, 작동판(5)의 저면에 구동기어(8)를 형성하고 이동편(7)의 상면에 종동기어(9)를 형성하여 구동기어(8)에 각각의 종동기어(9)를 치합한다.
즉, 케이스체(4)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다수의 이동편(7)이 구동기어(8)와 종동기어(9)에 의하여 내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장치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편(7)의 외측끝단부에 걸고리(10)를 연결하고 상기 장착밴드(B)의 밴드체(1) 일측 단부에 걸림공(11)을 형성하여 걸고리(10)를 걸림공(11)에 걸어 끼우면 이동편(7)과 밴드체(1)가 연결된다.
또한, 장착밴드(B)의 밴드체(1) 타측단부에 걸고리(12)를 장치하여 별개로 구성된 원형의 내측지지구(13)에 걸고리(12)를 걸어 끼울수 있도록 장치한다.
미설명부호 14는 작동판(5)을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이며, 15는 핸들(14)을 결합하기 위한 지지홈이며, 16은 자동차 바퀴이며, a는 내측지지구(13)의 연결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바퀴(16)의 내면에 내측지지구(13)를 위치시키며, 이때 일직선상으로 된 내측지지구(13)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연결구(a)를 결합하면 전체 외형이 원형의 상태로 유지된다.
계속하여 각각의 장착밴드(B)를 내측지지구(13)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밴드체(1)타측단부에 장치된 걸고리(12)를 내측지지구(13)에 걸어끼운다.
또한, 각각의 밴드체(1)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공(11)에 각각의 이동편(7)의 걸고리(10)를 걸어 끼우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 바퀴(16)의 내외측에 내측지지구(13)와 작동부재(T)가 위치되면서 자동차바퀴(16)의 외주면에 다수의 장착밴드(B)가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자동차 바퀴(16)에 스노우체인이 느슨하게 감겨 있으므로, 핸들(14)을 지지홈(15)에 끼우고 작동판(5)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원운동되는 구동기어(8)에 치합된 종동기어(9)에 의하여 이동편(7)이 내측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에 따라, 장착밴드(B)가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자동차 바퀴(16)에 밀착지지되는 것이다.
장착밴드(B)의 당겨짐이 완료되면 작동판(5)의 회동을 정지하고 잠금장치(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작동판(5)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어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를 주행하면, 장착밴드(B)에 의하여 마찰력이 증대되므로 안전한 눈길주행이 보장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장착밴드(B)는 탄성질 고무의 밴드체(1)와 금속질의 체인체(3)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연질의 밴드체(1)와 경질의 체인체(3)의 특성이 상호보완되면서 미끄럼 방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밴드체(1)는 자동차 바퀴(6)와의 밀착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반면 눈과의 마찰력이 약한 단점이 있으나, 체인체(3)에 의하여 마찰력이 증대되면서 밴드체(1)에 부착되는 눈이 쉽게 제거되는 것이다.
사용이 완료된 스노우체인은 장착의 역순으로 해체하는 것으로서 작동판(5)을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자동차 바퀴(6)에 긴밀하게 밀착되었던 스노우체인이 느슨한 상태가 되므로 각각의 걸고리(10)(12)를 해체하면 내측지지구(13)와 장착밴드(B)와 작동부재(T)가 각각 분리되어 부피가 최소화 되므로 별개의 보관케이스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바퀴에 씌워진 장착밴드를 긴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각각을 개별적으로 힘들여서 당기는 일 없이 작동부재의 작동판을 회동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간편하게 체인 장착작업을 단시간에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아니라, 여성운전자들도 쉽게 스노우체인을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질이 고무체인과 금속제의 체인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체인이 갖고 있는 재질적 약점이 서로 보완되면서 마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부품들이 분해되므로 분해된 상태에서 전체 외형이 최소화되므로 취급과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차종의 바퀴에 적용되며 눈길에서의 안전한 주행을 보장 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바퀴의 외면에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밴드(B)와 작동부재(T)와 내측지지구(13)로 된 공지의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상기 장착밴드(B)는 탄성질의 고무로 된 밴드체(1)에 금속질의 체인체(3)를 길이 방향으로 결속하여 구성하여 상기 작동부재(T)는 원판형의 케이스체(4)내부에 회동되도록 장치된 작동판(5)의 저면에 구동기어(8)를 형성하여 케이스체(4)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결합된 이동편(7)의 상면에 형성된 종동기어(9)를 구동기어(8)에 치합하여 작동판(5)의 회동에 따라 각각의 이동편(7)이 내외측으로 이동되게 장치하며, 상기 밴드체(1)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공(11)에 이동편(7)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고리(10)를 각각 끼워 결합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노우체인
KR2020010026746U 2001-09-01 2001-09-01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0254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746U KR200254405Y1 (ko) 2001-09-01 2001-09-01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746U KR200254405Y1 (ko) 2001-09-01 2001-09-01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405Y1 true KR200254405Y1 (ko) 2001-11-23

Family

ID=7310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746U KR200254405Y1 (ko) 2001-09-01 2001-09-01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4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2164A (ja) * 2006-01-03 2009-06-11 ボズクルト,エムラー 滑り止め装置のための中央締め付け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有する滑り止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2164A (ja) * 2006-01-03 2009-06-11 ボズクルト,エムラー 滑り止め装置のための中央締め付け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有する滑り止め装置
KR101019552B1 (ko) 2006-01-03 2011-03-08 엔더 보즈커트 활주방지 장치용 중앙 조임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활주방지 장치
JP4879280B2 (ja) * 2006-01-03 2012-02-22 ボズクルト,エムラー 締め付けシステムおよび滑り止めまたは牽引力強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8224C (en) Vehicle wheel lifting block apparatus for climbing out of depressions in viscous surfaces
AU2009336996B2 (en) Strap coiling and releasing device for winch
US8720509B2 (en) Tension device for a nonskid chain
JPH04502607A (ja) タイヤリフト/キャリヤーウインチのための綱車アセンブリー
KR101896190B1 (ko) 자동차 바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254405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130100322A (ko) 휠을 구비한 차량의 스키드 방지 장치
WO2019127620A1 (zh) 防滑链
RU2666982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колесный диск
KR200278767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WO2013067478A2 (en) Cable tensioning device utility applications
KR200396081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288211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0297157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WO2007011090A1 (en) A snow chain
KR200323575Y1 (ko) 타이어 체인
KR101221027B1 (ko) 타이어용 넌슬립 커버
KR20032357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100603015B1 (ko) 차량용 보조바퀴
KR200253265Y1 (ko) 스노우체인 결속장치
JP3217476U (ja) 自動車用滑り止め装置
KR102160363B1 (ko) 차량용 림 일체형 스노우 체인
KR101702610B1 (ko) 이중결속 스노우체인
KR200298066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100665545B1 (ko) 타이어 체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