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081Y1 -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81Y1
KR200396081Y1 KR20-2005-0018159U KR20050018159U KR200396081Y1 KR 200396081 Y1 KR200396081 Y1 KR 200396081Y1 KR 20050018159 U KR20050018159 U KR 20050018159U KR 200396081 Y1 KR200396081 Y1 KR 200396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friction pad
friction
close contact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종길
Priority to KR20-2005-0018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64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through apertures in the rim, e.g. fastening from one lateral side to the other lateral side of the rim; extending axially through the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다수의 마찰돌기를 형성한 마찰패드의 양측 선단을 연장하여 타이어의 접지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설치하고, 타이어 휠에 부착한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조작하여 타이어 둘레에 상기 마찰패드를 밀착고정시키는 타이어 미끄럼 방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선단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결착구를 형성한 외측밴딩부와;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타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끈으로 형성한 내측밴딩부재와; 상기 내측밴딩부재의 길이방향 선단에 소정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체결고리; 상기 체결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견인바의 단턱에 걸어서 마찰패드를 타이어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고정시키는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마찰패드를 차량의 종류 및 타이어의 직경에 따라 우레탄 재질을 포함하는 끈으로 형성된 내측밴딩부재와 미리 결착위치를 설정한 외측밴딩부의 체결위치를 조정하면서 호환성있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타이어의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마찰패드가 견인구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당겨지도록 설치함에 따라서 타이어의 접지부에서 마찰패드가 옆으로 돌아가거나 이탈되지 않고 최초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빙판길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TIRE NONSLIP APPARATUS}
본 고안은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종류 또는 직경에 따라 마찰패드를 호환성있게 탈.부착시킬 수 있고, 동시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타이어의 둘레에 부착된 마찰패드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미끄럼방지장치는 눈이 쌓인 도로 또는 빙판길을 주행할 때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이어에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안전장치로써, 타이어 접지면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타이어의 접지면에 밀착 고정되는 금속재의 체인과, 이 체인의 양측단을 타이어의 후방에서 각각 별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방사형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스노우 체인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금속재의 스노우 체인 대신에 납작하고 일정한 폭을 가진 합성수지재등의 몸체에 다수의 마찰돌기 및 마찰편을 구성시킨 마찰패드를 마련하고, 이 마찰패드를 지면과 마찰접촉하는 타이어의 접지부 즉, 타이어의 둘레에 소정간격으로 부착한 다음, 타이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된 와이어 및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가 산업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전술한 종래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타이어의 접지부의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타이어(T)의 후방에 설치된 와이어(1)와 타이어(T)의 전방에 설치된 기어뭉치의 견인구(10)에 마찰패드(2)의 양측을 각각 고정시켜야 하는 바, 다수의 마찰돌기(3)를 형성한 몸체를 타이어(T)의 접지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빙판길의 노면마찰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마찰패드(2)와, 타이어(T)의 외측에 밀착되는 상기 다수의 마찰패드(2)로 부터 각각 연장된 외측의 양측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봉(4)과, 타이어의 직경보다 적게 타이어(T)의 내측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마찰패드(2)로 부터 연장된 내측의 양측 선단을 타이어(T)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와이어(16)와, 견인바(5)의 단턱(6)에 상기 연결봉(4)을 탈.부착하도록 형성한 기어뭉치의 견인구(10)를 구성하고 있으며, 설치과정에서 돌리개(6)로 견인구(10)의 기어뭉치를 회전작동시키면 각각의 마찰패드(2)가 타이어(T)의 중심측으로 당겨져 고정되도록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설치과정에서 타이어의 내측에서 마찰패드를 고정하는 와이어는 타이어의 둘레에 부착시킨 다수의 마찰패드의 내측부위를 상호 지지하도록 환형에 가까운 스틸부재로 형성하는 바, 타이어의 직경에 대비하여 와이어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마찰패드가 타이어의 후방측으로 비틀린 체결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타이어의 직경에 대비하여 와이어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마찰패드가 타이어의 전방측으로 벗겨져 주행중에 이탈되는 등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마찰패드를 설치할 때 타이어의 직경에 맞추어 적정하게 와이어를 선정하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이어의 내측에 직접 밀착 고정되도록 몸체의 일측 선단이 밸트형태로 연장된 마찰패드를 타이어에 휘감아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견인바에 의하여 다수의 마찰패드 양측을 별도로 지지하여야 하므로서 장기간 차량주행 중에 타이어의 둘레에 부착된 마찰패드의 고정위치가 옆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빙판길의 미끄럼방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마찰패드를 차량의 종류 및 타이어의 직경에 따라 적정하게 설치하도록 하여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타이어 둘레에 부착되는 다수의 마찰패드의 양측 선단을 각각 고정하되 동시에 견인구의 중심측으로 견인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마찰패드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마찰돌기를 형성한 마찰패드의 양측 선단을 연장하여 타이어의 접지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설치하고, 타이어 휠에 부착한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조작하여 타이어 둘레에 상기 마찰패드를 밀착고정시키는 타이어 미끄럼 방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선단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결착구를 형성한 외측밴딩부와;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타측 선단으로 부터 연장시킨 내측밴딩부재와;
상기 내측밴딩부재의 길이방향 선단에 소정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체결고리; 및
상기 체결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견인바의 단턱에 걸어서 마찰패드를 타이어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고정시키는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외측밴딩부에 형성한 다수의 결착구를 "ㅁ"형상의 스틸부재로 구성하여 조립시 상기 내측밴딩부재를 상기 결착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움 설치하도록 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내측밴딩부재를 우레탄 재질 또는 합성섬유재를 포함하는 끈으로 형성한 것에 있으며, 상기 내측밴딩부재의 길이방향 선단에 "ㅁ"형상의 스틸부재로 구성한 다수의 체결고리를 형성하여 조립시 상기 슬라이드 견인바의 단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서 마찰패드를 타이어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당겨서 고정하도록 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다수의 마찰돌기를 형성한 마찰패드의 양측 선단을 연장하여 타이어의 접지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설치하고, 타이어 휠에 부착한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조작하여 타이어 둘레에 상기 마찰패드를 밀착고정시키는 타이어 미끄럼 방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선단에 결착구를 형성한 외측밴딩부와;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타측 선단에 구비된 걸림쇠와;
일측에는 상기 걸림쇠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다수개의 체결쇠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견인구에 연결되는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내측밴딩부재; 및
상기 체결고리를 슬라이드 견인바의 단턱에 걸어서 다수의 마찰패드를 타이어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고정시키는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장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휠에 설치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기어뭉치의 견인구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승합차 또는 승용차의 타이어휠 내측에서 내측밴딩부재를 타이어휠(W)의 틈사이로 삽입 또는 인출시켜서 타이어(T)의 형태 및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견인구에 마찰패드를 타이어 접지부에 설치하도록 구성된 바,
다수의 마찰돌기(2)를 형성한 마찰패드(20)의 양측 선단을 연장하여 타이어( T)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이격 설치하고, 타이어 휠(W)에 부착한 기어뭉치의 견인구(30)를 조작하여 타이어(T) 둘레에 상기 마찰패드(20)를 밀착고정시키는 타이어 미끄럼 방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T)의 외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20)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선단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결착구(41)(42)를 형성한 외측밴딩부(26)(27)와 상기 타이어(T)의 내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20)의 타측 선단으로 부터 연장시킨 내측밴딩부재(21)(22)를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내측밴딩부재(21)의 길이방향 선단에 소정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체결고리(23)(24)(25)와 상기 체결고리(23)(24)(25)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견인바(31)(32)의 단턱(33)에 걸어서 마찰패드(20)를 타이어(T)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당겨서 고정시키는 기어뭉치의 견인구(30)를 구성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밴딩부(26)(27)에 형성한 다수의 결착구(41)(42)를 "ㅁ" 형상 기타 다각형상의 스틸부재로 구성하고, 조립시 상기 내측밴딩부재(21)(22)의 선단부를 상기 결착구(41)(4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움 설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내측밴딩부재(21)(22)를 우레탄 재질 또는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끈으로 형성하여 조립시 상기 슬라이드 견인바(31)(32)의 단턱(33)에 선택적으로 걸어서 마찰부재(20)가 타이어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당겨져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밴딩부에 형성한 체결고리를 "ㅁ" 형상 기타 다각형상의 스틸부재로 구성하되, 타이어의 직경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다수의 체결고리로 구성하여 조립시 상기 슬라이드 견인바(31)(32)의 단턱(33)에 선택적으로 걸어서 마찰부재(20)가 타이어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당겨져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뭉치의 견인구(30)는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휠(W)의 중심에 상응하도록 바디(34)의 중심측에 설치된 구동기어(36)와, 상기 구동기어(36)에 소정 배율로 치합된 연동기어(37) 및 피동기어(38)를 구비한 기어뭉치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기어(36)의 치합 회동에 따라 피동기어(38)가 회전하면서 각각의 견인바(31)(32)를 견인구(30)의 중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한 바, 상기 외측밴딩부(26)(27)의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결착구(41)는 승용차나 승합차등의 차량에 따라 적정한 부착위치를 유지하도록 타이어(T)의 직경과 타이어휠(W)의 틈사이로 결합되는 내측밴딩부재(21)(22)의 타이어 체결상태를 고려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마찰패드(20)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된 외측밴딩부(26)(27)가 결착구(41)로 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시킨 제2의 결착구(42)를 별도로 형성하거나 다수의 결착구(41)(42)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수의 체결고리(23)(24)(25)와 다수의 결착구(41)(42)를 동시에 조합하는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마찰패드(20)의 타측으로 부터 지지구(29)를 통하여 끈 형상으로 연장된 상기 내측밴딩부재(21)(22)도 그 길이방향의 선단에 구비된 다수의 체결고리(23)(24)(25)를 금속재 및 마그네틱 자성부재를 포함한 O-링이나 다른 기하학적 형태로 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그 배치형태를 차량 및 타이어의 직경을 고려하여 끈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밴딩부재(50)의 일측 선단에는 체결고리(52)가 하나로 형성되지만, 타측 선단에는 타이어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는 체결쇠(54, 56, 58)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찰패드(20)의 타측 선단에는 걸림쇠(60)가 우레탄 재질의 마찰패드(20) 내에 인서트 사출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이어(T)의 직경에 따라 다수개의 체결쇠(54, 56, 58)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걸림쇠(60)에 걸어 그 길이를 결정한 다음 체결고리(52)를 견인바(31)(32)의 단턱(33)에 걸어서 마찰패드(20)를 타이어(T)의 중심축으로 당기면 마찰패드(20)가 타이어(T)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승합차 또는 승용차의 타이어휠 내측에서 별도로 와이어(1)을 사용하지 않고 마찰부재(20)의 내측밴딩부재(21)(22)를 타이어(T)를 감아 타이어휠(W)의 틈사이로 삽입 또는 인출시켜서 타이어(T)의 형태 및 직경에 따라 적절하게 체결위치를 조절하면서 마찰패드(20)를 타이어 접지부에 탈.부착할 수 있는 바,
설치과정에서 사용자는 마찰패드(20)에 형성된 다수의 마찰돌기(2)가 타이어(T)의 접지부가 되도록 마찰패드(20)의 저면을 타이어(T)의 둘레에 밀착시킨 후, 타이어(T)의 내측을 휘감도록 내측밴딩부재(21)(22)를 각각 타이어휠(W) 사이의 틈으로 인출시켜서 타이어(T)의 외측에 밀착된 마찰패드(20)의 외측밴딩부(26)(27)에 각각 형성된 결착구(41)(42)에 통과시키되, 타이어(T)의 직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기 결착구(41)(42) 중 어느 하나에 통과시켜 타이어(T)의 외측으로 당긴다.
이어서, 사용자는 외측밴딩부(26)(27)의 배치가 견인구(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견인바(31)(32)의 위치에 상응하는지 확인한 후 상기 내측밴딩부재(21)(22)의 체결고리(23)(24)(25) 중 어느 하나를 견인바(31)(32)의 단턱(33)에 걸어서 결합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차량 및 타이어의 직경에 따라 미리 설정된 체결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승용차용 타이어의 경우에는 그 직경이 비교적 작은 것을 고려하여 상위에 형성된 체결고리(25)를 각각의 견인바(31)(32)의 단턱(33)에 결합할 수 있으며, 승합차나 화물차용 타이어의 경우에는 그 직경이 비교적 큰 것을 고려하여 하위에 형성된 체결고리(23)를 각각의 견인바(31)(32)의 단턱(33)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체결고리의 결합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3내지 4개의 마찰패드(20)를 타이어(T)의 둘레에 부착하는 과정이며, 사용자는 돌리개(7)를 이용하여 견인구(30)의 구동기어(36)를 회전시켜, 각각 치합된 연동기어(37) 및 피동기어(38)가 소정의 치차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견인바(31)(32)를 타이어(T) 또는 견인구(3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타이어(T)의 둘레에 부착된 각각의 마찰패드(20)를 동시에 견인구(20)의 중심측으로 당겨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빙핀길등의 차량 주행 중 마찰패드(20)에 가해지는 노면마찰력에 대하여 마찰패드(20)는 견인구(30)의 중심측으로, 즉 외측밴딩부(26)(27) 및 내측밴딩부재(21)(22)를 통하여 마찰부재(20)의 양측을 지지하는 각각의 견인바(31)(32)는 타이어(T)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이격된 다수의 마찰부재(20)를 견인구(30)의 중심측으로 각각 균등하게 분산 및 고정하는 작용을 수행하며, 그에 따라 타이어(T)의 둘레를 따라 타이어 접지부에 부착된 마찰패드(20)가 옆으로 돌아가거나 이탈되지 않고 최초 설치상태를 유지하면서 빙판길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장기간 사용과정에서 마찰패드(2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나 직경 및 형태가 다른 차량에 별도로 체결위치를 조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는 타이어(T)의 외측에서 간단하게 돌리개(7)를 이용하여견인구(30)에 내장된 구동기어(37)와 연동기어(38) 및 피동기어(39)의 기어뭉치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마찰패드(20)의 양측을 고정하고 있는 각각의 견인바(31)(32)가 견인구(30)의 중심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는 단턱(33)에 결합된 체결고리(23)(24)(25)를 용이하게 해체 및 재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마찰패드를 차량의 종류 및 타이어의 직경에 따라 우레탄 재질을 포함하는 끈으로 형성된 내측밴딩부재 및 미리 결착위치를 설정시킨 외측밴딩부의 체결위치를 조정하면서 호환성있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타이어의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마찰패드가 견인구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당겨지도록 설치함에 따라서 타이어의 접지부에서 마찰패드가 옆으로 돌아가거나 이탈되지 않고 최초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빙판길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장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휠에 설치한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기어뭉치의 견인구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휠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와이어 10, 30 : 견인구
20 : 마찰패드 21, 22 : 외측밴딩부
23, 24, 25 : 체결고리 26, 27 : 내측밴딩부재
31, 32 : 견인바 36 : 구동기어
37 : 연동기어 38 : 피동기어
41, 42 : 결착구

Claims (6)

  1. 다수의 마찰돌기를 형성한 마찰패드의 양측 선단을 연장하여 타이어의 접지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설치하고, 타이어 휠에 부착한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조작하여 타이어 둘레에 상기 마찰패드를 밀착고정시키는 타이어 미끄럼 방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선단에 결착구를 형성한 외측밴딩부와;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타측 선단으로 부터 연장시킨 내측밴딩부재와;
    상기 내측밴딩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부착시킨 체결고리; 및
    상기 체결고리를 슬라이드 견인바의 단턱에 걸어서 다수의 마찰패드를 타이어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고정시키는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선단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결착구를 형성한 외측밴딩부와;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타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길이방향 선단에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고리를 구비한 내측밴딩부재; 및
    상기 다수의 체결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견인바의 단턱에 걸어서 다수의 마찰패드를 타이어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고정시키는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밴딩부재를 우레탄 재질이 포함된 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밴딩부에 형성한 체결고리를 다각 형상의 스틸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딩부에 형성한 결착구를 다각 형상의 스틸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6. 다수의 마찰돌기를 형성한 마찰패드의 양측 선단을 연장하여 타이어의 접지부에 방사상으로 이격 설치하고, 타이어 휠에 부착한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조작하여 타이어 둘레에 상기 마찰패드를 밀착고정시키는 타이어 미끄럼 방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일측으로 부터 연장되는 선단에 결착구를 형성한 외측밴딩부와;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밀착되는 마찰패드의 타측 선단에 구비된 걸림쇠와;
    일측에는 상기 걸림쇠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다수개의 체결쇠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견인구에 연결되는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내측밴딩부재; 및
    상기 체결고리를 슬라이드 견인바의 단턱에 걸어서 다수의 마찰패드를 타이어의 중심측으로 동시에 고정시키는 기어뭉치의 견인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2005-0018159U 2005-06-23 2005-06-23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96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159U KR200396081Y1 (ko) 2005-06-23 2005-06-23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159U KR200396081Y1 (ko) 2005-06-23 2005-06-23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81Y1 true KR200396081Y1 (ko) 2005-09-15

Family

ID=4369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159U KR200396081Y1 (ko) 2005-06-23 2005-06-23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20B1 (ko) 2012-07-27 2013-09-17 황성민 타이어 체인
KR200474874Y1 (ko) 2014-05-08 2014-10-22 위대복 차량용 스노우 체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20B1 (ko) 2012-07-27 2013-09-17 황성민 타이어 체인
KR200474874Y1 (ko) 2014-05-08 2014-10-22 위대복 차량용 스노우 체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227B1 (en) Self-tensioning tire cable chain system
US6530406B1 (en) Chain tighte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3507243A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
US20150306926A1 (en) Tire Traction Devices
US10328757B1 (en) Chain apparatus for use with a vehicular tire to enhance traction on slippery terrain
EP2050590B1 (en) Snow chains mounted from the outside, with a device for fastening to the wheel
KR200396081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US4836258A (en) Attachment apparatus for a tire mat
US11059335B2 (en) Tire traction devices
EP3736144B1 (en) Anti-skid device with external mounting for large wheels
US20120025596A1 (en) Traction belt attachment
CN106080062B (zh) 一种轮胎防滑装置
US5020396A (en) Chain lumper
EP2008838A1 (en) Wheel rim anti-scratch device for snow chains
US5899536A (en) Tire chain wrapper
KR200323575Y1 (ko) 타이어 체인
KR20032357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JP3124113U (ja) タイヤ用滑止具
KR20039327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358911Y1 (ko) 수송용 자동차의 복륜타이어 외륜에 적용되는 스노우체인
KR101354404B1 (ko) 스노 체인
KR100350240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구
KR100665545B1 (ko) 타이어 체인
KR200323909Y1 (ko) 타이어 체인
KR200393271Y1 (ko) 자동차용 타이어휠 체결형 스노우체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