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716Y1 -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716Y1
KR200252716Y1 KR2019960050511U KR19960050511U KR200252716Y1 KR 200252716 Y1 KR200252716 Y1 KR 200252716Y1 KR 2019960050511 U KR2019960050511 U KR 2019960050511U KR 19960050511 U KR19960050511 U KR 19960050511U KR 200252716 Y1 KR200252716 Y1 KR 200252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ross bar
mounting structure
bar mounting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489U (ko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60050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716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4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4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716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브라켓(1)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3)를 대각선방향으로 형성하여 상하부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이 브라켓(1)에 크로스바아(2)를 끼워 접촉이 되는 사면의 연결부(4)를 갖도록 하여 브라켓(1)의 플랜지부(3)가 모서리에 위치하므로 종래와 같이 브라켓(1)에 크로스바아(2)를 상하 2곳에만 마운팅시킬 수 있는 것을 상하 및 좌우 4곳의 연결부(3)을 용접작업으로 연결하여 마운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크로스바아를 연결하는 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여 마운팅 강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도 1 에서와 같이 크로스바아는 원형단면을 이루고 있고 이를 마운팅시키는 브라켓은 사각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면서 상하로 분리되어 양측의 플랜지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에서와 같이 크로스바아와 브라켓을 결합시에는 상하부는 용접으로 연결되지만 좌우는 상하브라켓의 연결로 인하여 크로스바아에는 연결이 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바아가 브라켓에 상하부만 용접결합이 되어져 결합강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크로스바아를 연결하는 브라켓의 구조를 변경하여 결합부위를 중가시키어 마운팅 강성을 높이도록 한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로 분리 제작되는 브라켓을 연결시키는 플랜지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하여 크로스바아와 결합시 사방위치에서 용접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바아 마운팅 사이드브라켓과 크로스바아의 결합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브라켓
2:크로스바아
3:플랜지부
4:연결부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3 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로스바아(2)를 고정시키도록 상하로 분리 제작하여 연결되는 브라켓(1)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3)를 대각선방향으로 형성하여 상하부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이 브라켓(1)에 크로스바아(2)를 끼워 접촉이 되는 사면의 연결부(4)를 용접작업으로 마운팅시킨다.
이렇게 구성한 본 고안은 브라켓(1)의 플랜지부(3)가 모서리에 위치하여 종래와 같이 브라켓(1)에 크로스바아(2)를 상하 2곳에만 마운팅시킬 수 있는 것을 상하 및 좌우 4곳의 연결부(3)을 용접작업으로 연결하여 마운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크로스바아를 브라켓에 연결부위의 증대로 마운팅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강성의 저하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브라켓(1)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3)를 대각선방향으로 형성하여 상하부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이 브라켓(1)에 크로스바아(2)를 끼워 접촉이 되는 사면의 연결부(4)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
KR2019960050511U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 KR200252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511U KR200252716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511U KR200252716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89U KR19980037489U (ko) 1998-09-15
KR200252716Y1 true KR200252716Y1 (ko) 2001-12-13

Family

ID=5399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511U KR200252716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7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89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2716Y1 (ko) 자동차의 크로스 바아 마운팅구조
JP3005640B2 (ja) 自動車用ベルトモールにおけるブラケット構造
KR200187946Y1 (ko) 프런트 스트러트 마운팅 구조
KR200143785Y1 (ko) 정션박스 결합용 브래킷과 리이브구조
KR200142241Y1 (ko) 자동차의 쿼터인너패널 구조
KR200238088Y1 (ko) 차량의 보디 마운팅 브라켓트 구조
KR200192396Y1 (ko) 자동차의 루프 패널 결합구조
KR200201349Y1 (ko) 자동차의 슈라우드 스테이 브라켓
KR19980031361A (ko) 자동차 견인후크의 취부구조
KR0173646B1 (ko) 자동차의 하부 차체조립체와 사이드 차체조립체의 결합구조
KR950014414B1 (ko) 자동차의 차체구조
KR0173612B1 (ko) 차량의 일체형 지지루프 구조
KR200247120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서포트 패널 보강구조
JPS62255259A (ja) バンパ表皮の取付構造
KR19980020423A (ko) 스티어링 샤프트 컬럼 고정 브라켓
KR200158374Y1 (ko) 자동차의 트림 마운팅 브라켓트 위치고정용 홈
KR19980022451U (ko) 자동차의 리어스커트패널
KR19980036996U (ko) 자동차의 도어 장착구조
JPH0113668Y2 (ko)
KR200284823Y1 (ko) 자동차의도어빔브라켓구조
KR200188444Y1 (ko) 승합차의 도크박스(Torque Box) 취부구조
JPS6294476A (ja) スポイラの取り付け構造
KR19980043719U (ko) 휠 하우스 부의 강성 보강 구조
KR19980022064A (ko) 연료 탱크 스트랩 브라켓
KR19980019890A (ko) 루프 몰드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