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806Y1 - 자동차의리어펜더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리어펜더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806Y1
KR200239806Y1 KR2019950036991U KR19950036991U KR200239806Y1 KR 200239806 Y1 KR200239806 Y1 KR 200239806Y1 KR 2019950036991 U KR2019950036991 U KR 2019950036991U KR 19950036991 U KR19950036991 U KR 19950036991U KR 200239806 Y1 KR200239806 Y1 KR 200239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panda
fixing pin
car
rear pan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6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149U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36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806Y1/ko
Publication of KR970023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1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806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있어서 리어팬더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범퍼(30)의 내부 상부면과 리어팬더(20)의 차체 측방으로 장착된 후방프레임(10)에는 보울트로 체결되는 고정핀(50)이 고정 장착되고, 이 고정핀(30)은 범퍼(30)의 전면후방과 사이드부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40)의 "ㄴ"형 안내홈(41)에 끼워 삽입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팬더 충격흡수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팬더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체 후방의 리어팬더와 범퍼사이에 충돌시 이 범퍼와 리어팬더의 접촉면을 분리시키어 상기 범퍼에 접합 리어팬더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팬더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범퍼의 장착구조는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를 단순화시키기 위해 범퍼(30)의 플랜지 부위가 차체 후방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리어팬더(20)까지 올라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범퍼(30)와 리어팬더(20)의 접합결합구조는 범퍼(30)의 플랜지 부위와 리어팬더(20)의 단부가 접하게 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차체의 후면 충돌시 그 충격 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범퍼(30)가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밀려들어감과 동시에 범퍼(30)의 플랜지에 접하고 있던 리언팬더(20)의 단부가 동시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받아 밀려들어가게 되어 심하게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미세한 충격에서 이를 감쇠시킬 수 있는 틈새가 없으므로 가벼운 추돌사고시에도 차체의 외관을 손상시키게 되고 이는 자동차의 견고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체 후방의 리어팬더와 범퍼 사이에 충돌시 범퍼와 리어팬더의 접촉면을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범퍼에 접한 리어팬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팬더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 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팬더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낸 결합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20 : 리어팬더
30 : 범퍼 40 : 이동가이드
41 : 안내홈 50 : 고정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리어팬더와 범퍼 사이의 프레임의 고정핀에 안내홈이 구비된 이동 가이드를 삽입하여 범퍼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측방으로 변환시키어 충격에너지의 외력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리어팬더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낸 결합상태의 사시도로서, 범퍼(30)의 내부 상부면과 리어팬더(20)의 차체 측방으로 장착된 후방 프레임(10)에는 브울트로 체결되는 고정핀(50)이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50)은 이동가이드(40)의 안내홈(41)에 삽입되어 이 안내홈(41)을 따라 상기 이동가이드(40)가 이동가능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가이드(40)는 양단에 폐단면을 구비한 "ㄴ"형의 안내홈(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내홈(41)은 고정핀(50)의 직경보다 약간 큰 폭의 안내홈(41)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가이드(40)의 안내홈(41)에 고정핀(50)이 삽입되는 것이며, 이 이동가이드(40)의 양단은 범퍼(30)의 전면과 사이드부에 각각 접하게 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범퍼(30)와 리어팬더(20)의 접면은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어 서로 구조적으로 분리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 중이나 또는 주차시 범퍼(30)에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후면 충돌이나 추돌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범퍼(30)에는 가해지는 충격방향으로 밀려들어 가게 되고, 이 범퍼(30)가 밀려 들어감과 동시에 범퍼(30)의 일면은이동가이드(40)의 일단에 충격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가이드(40)가 범퍼(30)에 의해 밀리게 되면, 범퍼(30)의 내부 상부면과 리어팬더(20)의 후방프레임(10)에 고정된 고정핀(50)를 지지축으로 하여 상기 이동가이드(40)는 이 고정핀(50)을 중심으로 안내홈(41)을 따라 밀림과 동시에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인 측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 리어팬퍼(20)에 접하고있던 이동가이드(40)의 일면이 범퍼(30)의 사이드를 밀게 됨으르써 상기 리어팬더(20)과 범퍼(30)는 분리 되어진다.
따라서 밀려 들어가는 범퍼(30)의 충격력은 이동가이드(40)의 고정핀(50)에 의하여 충격방향의 측방으로 이 충격력을 전달함에 따라 리어팬더(20)에 분산된 충격력을 전달하여 최대한으로 이 리어팬더(20)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체 후방의 리어팬더와 범퍼 사이에 충돌시 범퍼와 리어팬더의 접촉면을 분리시키어 충격력을 전달함에 따라 이 범퍼에 접한 리어팬더의 손상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1)

  1. 범퍼(30)의 내부 상부면과 리어팬더(20)의 차체 측방으로 장착된 후방프레임(10)에는 보울트로 체결되는 고정핀(50)이 고정 장착되고, 이 고정핀(30)은 범퍼(30)의 전면후방과 사이드부에 각각 접하여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40)의 "ㄴ"형 안내홈(41)에 끼워 삽입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의 리어팬더 충격흡수구조.
KR2019950036991U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리어펜더충격흡수구조 KR200239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991U KR200239806Y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리어펜더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991U KR200239806Y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리어펜더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149U KR970023149U (ko) 1997-06-18
KR200239806Y1 true KR200239806Y1 (ko) 2002-07-31

Family

ID=6090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6991U KR200239806Y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리어펜더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8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149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139B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KR200239806Y1 (ko) 자동차의리어펜더충격흡수구조
KR200141615Y1 (ko) 충격흡수를 위한 차량의 시트 마운팅구조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0286961B1 (ko) 차량의 프런트프레임 보강구조
KR100440856B1 (ko) 자동차의 범퍼
KR200141341Y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KR0152181B1 (ko) 자동차용 임팩트빔 구조
KR0120841Y1 (ko) 범퍼 사이드의 차체 결합장치
KR200152676Y1 (ko) 프론트 범퍼페시아 변형방지용 브라켓
KR19980061146U (ko) 자동차용 충격 흡수 범퍼구조
KR0136915Y1 (ko) 차량용 범퍼 스테이
KR100471474B1 (ko) 와이형 프레임을 갖는 차량의 정면충돌에너지 흡수구조
KR100302359B1 (ko) 자동차의범퍼시스템
KR100422787B1 (ko) 차량용 범퍼 장착 구조
KR19980021828U (ko)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KR200144267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 완충장치
KR200149005Y1 (ko) 차량의 범퍼 조립구조
KR19980030402U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용 롱지
KR20000065817A (ko) 중앙분리대 충격흡수장치
KR20040025038A (ko) 충돌성능 향상을 위한 범퍼 구조
KR20000044090A (ko) 버스용 리어범퍼의 강도보강구조
KR19980055869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19980033975U (ko) 범프 스테이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48254U (ko) 자동차용 프론트 프레임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