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855B1 - 자동차의 범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855B1
KR100440855B1 KR10-2001-0035201A KR20010035201A KR100440855B1 KR 100440855 B1 KR100440855 B1 KR 100440855B1 KR 20010035201 A KR20010035201 A KR 20010035201A KR 100440855 B1 KR100440855 B1 KR 10044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cover
bumper
stay
collision
interp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403A (ko
Inventor
이호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8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8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0Elastome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86Bumper fascias and fasten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범퍼 커버를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치우친 충돌이 발생될 때 충분한 충격 에너지 흡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저속 충돌시에도 쉽게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어 즉, 교환 수리의 우려가 억제됨으로써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좌,우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멤버(10)와; 사이드 멤버(10)의 전방에 위치되며, 내면에 압소버(21)가 개재된 범퍼 커버(20)와; 사이드 멤버(10)와 범퍼 커버(20) 사이에 개재되며, 범퍼 커버(20)에 상부 또는 하부로 편중된 충돌이 발생될 때 비틀림 에너지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1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범퍼{A BUMPER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범퍼(bumper)는 자동차의 전면과 후면에 마련되어 충돌사고시 충격력을 흡수함으로써 운전자와 탑승자의 보호 그리고 차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동차의 범퍼는, 자동차의 바디 전면에 범퍼 커버를 마련하고, 이 범퍼 커버의 내면에 압소버를 개재하며, 스테이 및 빔을 통해 좌,우 사이드 멤버에 범퍼 커버를 연결함으로써 충돌 발생시 범퍼 커버와 압소버 그리고 빔과 스테이를 통해 좌,우 사이드 멤버에 전달함으로써 완충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범퍼는, 정면 충돌을 기준으로 하여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와서 상대적으로 지상고가 높은 차량(예를들면 출원인의 상표 갤로퍼등과 같은 레저용 차량)과 승용차간의 충돌 발생시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없었고, 특히 저속 충돌시에도 범퍼의 손상이 심하게 발생되어 수리비의 과다로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감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발생되고 있다.
즉, 지상고가 높은 차량과 일반 승용차간의 충돌이 발생될 때 승용차의 범퍼 상부측으로 편중된 하중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따라 적은 충격에 의해서도 빔 및 스테이 등의 변형이 야기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미국특허 제 605633호에서는, 좌,우 사이드 멤버(side member;1)상에 브래킷(bracket;2)을 각각 고정 설치하고 커버(cover;3)의 내측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빔(beam;4)을 설치한 뒤, 브래킷(2)과 빔(4)의 좌,우 양단에 "L"형상의 연결부재(5)를 고정 설치한 범퍼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범퍼는, 충돌이 발생되면, 빔(4)이 사이드 멤버(1)까지의 거리만큼 휨 변형 및 비틀림 발생을 통해 어느정도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여 저속 충돌시 사이드 멤버(1)의 변형을 방지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범퍼에 있어서는, 충돌시 빔(4)이 변형함으로써 충격 에너지 흡수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저속 충돌시에도 연결부재(5)가 쉽게 변형되어 빔(4)의 비틀림 에너지 이용이 저조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충돌 발생시에 빔(4)이 모든 충격을 받음으로써 연결부재(5)가 쉽게 변형되어 수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범퍼 커버를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치우친 충돌이 발생될 때 충분한 충격 에너지 흡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저속 충돌시에도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범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의 좌,우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전방에 위치되며, 내면에 압소버가 개재된 범퍼 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와 범퍼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범퍼 커버에 상부 또는 하부로 편중된 충돌이 발생될 때 비틀림 에너지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의 단면도.
도 2는 요부 발췌 정면도.
도 3은 완충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종래 범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좌,우)사이드 멤버 20 : 범퍼 커버 21 : 압소버
100 : 완충수단 110 : 스테이 111 : 연결대
112 : 걸림홈 113 : 가이드 돌기 120 : 플랜지
121 : 걸림홈 122 : 걸림돌기 130 : 회전봉
131 : 돌기 140 : 빔 150 : 연결부재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좌,우 사이드 멤버(side member;10)와 범퍼 커버(bumper cover;20) 그리고 완충수단(100)으로 대별된다.
좌,우 사이드 멤버(10)는 차체의 좌,우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범퍼 커버(20)는 사이드 멤버(10)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내면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압소버(21)가 개재된다.
완충수단(100)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사이드 멤버(10)와 범퍼 커버(20) 사이에 개재되어 범퍼 커버(20)에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편중된 충돌이 발생될 때 비틀림 에너지를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완충수단(100)의 상세 구조를 보면, 스테이(stay;110) 그리고 회전봉(130)과 빔(beam;140)으로 이루어진다.
스테이(110)는, 후면에 연결대(111)가 마련되어 사이드 멤버(10)에 고정되며, 전면과 좌,우 양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스테이(110)의 일측 상,하면에는 소정폭으로 걸림홈(112)이 형성된다.
플랜지(120)는, 스테이(110)의 전면측 상,하 양측면에 각각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심면에는 소정폭으로 걸림홈(121)이 형성되며, 이 걸림홈(121)의 양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걸림돌기(122)가 형성된다.
회전봉(130)은 스테이(110)의 내면에 좌,우 방향으로 끼워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하 외주면에는 전술한 스테이(110)의 일측 상,하면에 형성된 걸림홈(112)에위치되는 돌기(131)가 형성된다.
이때 특히 돌기(131)가 끼워 삽입되어 상호간의 사이에 걸림력이 발생되도록 걸림홈(112)의 내면에는 돌기(131)가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113)가 돌출 형성된다.
빔(140)은 범퍼 커버(20)의 내측 상,하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연결부재 (150)를 통해 회전봉(130)과 결합된다.
즉, 연결부재(150)의 일단은 빔(140)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봉(13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특히 연결부재(150)의 결합위치는 플랜지(120)의 걸림홈(121)과 인접된 위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범퍼 커버(20)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편중된 충돌이 가해지게 되면, 범퍼 커버(20)의 내측에 위치된 빔(140)에 전달되고, 동시에 연결부재(150)를 통해 회전봉(130)에 전달되면서 회전봉(130)이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된다.
이와같이 회전봉(130)이 회전하려는 힘을 받으면 회전봉(130)은 연결부재(150)와 플랜지(120)의 걸림홈(121)에 형성된 걸림돌기(122)간의 걸림력과, 회전봉(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31)와 스테이(110)의 가이드 돌기(113)간의 걸림력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즉, 아주 저속의 편중된 충돌시에는 이들간의 걸림력만으로 충격 흡수를 할 수 있게되는 것이고, 정면 출동시에는 회전봉(130)은 회전하려는 힘을 받지 않으면서 상기 걸림력만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또한 어느정도 이상의 저속 충돌시에는 연결부재(150) 및 돌기(131)가 걸림홈(121)내의 걸림돌기(122)와 스테이(110)의 가이드 돌기(113)를 파손하는 형태로 회전봉(130)이 회전되게 되어 이를 통해 충격 흡수를 도모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회전봉(130)이 토오션 바(torsion bar)와 같이 비틀림을 통해 충격력을 흡수하게되는 것이다.
이때 고속 충돌시에는 전술한 동작에 의해 완충된 뒤 사이드 멤버(10)에 충격력이 분산 흡수됨으로서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범퍼 커버와 사이드 멤버 사이에 개재된 완충수단 즉, 스테이와 회전봉 그리고 빔과 연결부재 등을 통해 범퍼 커버의 상부 또는 하부에 편중된 충돌이 발생될 때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저속 충돌시에는 사이드 멤버 등의 손상없이 충격 흡수가 가능하여 교환 수리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차체의 좌,우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좌,우 사이드 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전방에 위치되며, 내면에 압소버가 개재된 범퍼 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와 범퍼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범퍼 커버에 상부 또는 하부로 편중된 충돌이 발생될 때 비틀림 에너지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완충수단은, 좌,우 양측과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에는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는 연결대가 연장 형성되며, 일측 상,하면에는 소정폭의 걸림홈이 형성된 스테이와;
    상기 스테이의 전면 상,하 양측면으로 각각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면에는 좌,우 내면에 걸림돌기가 복수 형성된 걸림홈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스테이에 끼워 삽입되며, 상,하 외주면에는 스테이의 걸림홈에 개재되는 돌기가 형성된 회전봉과;
    상기 범퍼 커버의 상,하 내측면에 마련되며, 플랜지의 걸림홈과 인접되게 위치되는 연결부재를 통해 회전봉과 연결되는 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의 걸림홈 내면에는 회전봉의 돌기가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KR10-2001-0035201A 2001-06-20 2001-06-20 자동차의 범퍼 Expired - Fee Related KR10044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201A KR100440855B1 (ko) 2001-06-20 2001-06-20 자동차의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201A KR100440855B1 (ko) 2001-06-20 2001-06-20 자동차의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03A KR20020097403A (ko) 2002-12-31
KR100440855B1 true KR100440855B1 (ko) 2004-07-19

Family

ID=2771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2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0855B1 (ko) 2001-06-20 2001-06-20 자동차의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828B1 (ko) 2007-12-07 2013-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범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855B1 (ko) * 2001-07-21 2004-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범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857U (ko) * 1987-07-09 1989-01-19
JPH01106343A (ja) * 1987-10-20 1989-04-24 Canon Electron Inc 光ビーム装置
JPH0761297A (ja) * 1993-08-30 1995-03-07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バンパに加わるエネルギの吸収構造
KR970035107U (ko) * 1995-12-02 1997-07-26 자동차용 범퍼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857U (ko) * 1987-07-09 1989-01-19
JPH01106343A (ja) * 1987-10-20 1989-04-24 Canon Electron Inc 光ビーム装置
JPH0761297A (ja) * 1993-08-30 1995-03-07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バンパに加わるエネルギの吸収構造
KR970035107U (ko) * 1995-12-02 1997-07-26 자동차용 범퍼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828B1 (ko) 2007-12-07 2013-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03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139B1 (ko) 자동차의 범퍼 스테이 구조
RU24165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я удара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0453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0195498B1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102315841B1 (ko) 다중 차량추돌 완충장치
KR20050015333A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100370940B1 (ko) 자동차용 롤러식 충격흡수 방어안전범퍼
KR0129394Y1 (ko) 범퍼 스테이 완충구조
KR19980068372U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100369001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200161432Y1 (ko) 범퍼 리인포스먼트구조
KR20050045076A (ko) 차량용 범퍼 백빔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0178926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의 완충구조
KR19990021417U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KR19990033754A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부착용 범퍼스테이
KR980007658U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100193664B1 (ko) 자동차용 범퍼
KR0136915Y1 (ko) 차량용 범퍼 스테이
KR19980068374U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19980017902U (ko) 충격 흡수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20030024979A (ko) 자동차의 범퍼
KR19990011006U (ko) 자동차의 다단계 붕괴식 충격흡수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