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335Y1 -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335Y1
KR200237335Y1 KR2020010000164U KR20010000164U KR200237335Y1 KR 200237335 Y1 KR200237335 Y1 KR 200237335Y1 KR 2020010000164 U KR2020010000164 U KR 2020010000164U KR 20010000164 U KR20010000164 U KR 20010000164U KR 200237335 Y1 KR200237335 Y1 KR 200237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long hole
headrest
armres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
Priority to KR2020010000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335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는 차량용 시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 중의 하나와 연동하는 회전커버가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장자리부위에 원호 형상의 장공을 형성하는 폴가이드가 회전커버에 근접하여 지지축에 고정되며, 폴가이드의 장공에 위치하는 축핀이 회전커버에 설치되고, 선단부가 폴가이드의 장공의 대직경부에 밀착되는 폴이 폴가이드의 장공에 위치하여 축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커버를 초기상태로 리턴하는 제1탄성부재가 지지축 상에 설치되어 회전커버와 폴가이드 사이에 설치되고, 폴을 축핀을 중심으로 정회전과 역회전 중의 어느 하나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재가 폴과 회전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의 각도를 무단으로 조정하기 때문에, 미세한 각도로도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를 조정할 수 있어 탑승자의 신체에 맞추어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단력이 대부분 폴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보강되어 제품의 수명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ANGLE ADJUSTER OF SEAT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의 전후 각도를 조정하거나 암레스트의상하 각도를 조정하는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의 각도를 무단으로 조정함과 더불어 구조적으로 보강함으로써 각도의 조정각을 무단으로 용이하게 조정함과 더불어 제품의 수명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운전자와 승객과 같은 탑승자의 안락함을 제공하고, 각 요소를 조절하여 탑승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시트쿠션,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는 암레스트 그리고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로 구성되며, 사고시의 안전성을 증대하기 위한 안전벨트가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암레스트와 헤드레스트에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각도조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종래의 각도조정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미도시)의 상부면에 삽입 설치되는 지지축(101)의 상부에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보유한 회전커버(10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버(102) 사이에 위치한 래칫기어(103)가 상기 지지축(101)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커버(102)에 설치된 핀축(104)에는 래칫(10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칫기어(103)의 둘레면에 형성된 기어부(103a)에 치합되며, 상기 회전커버(102)를 리턴하는 제1스프링(106)과 상기 래칫(105)의 선단부를 탄성 지지하여 핀축(104)을 중심으로 래칫(105)을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는 제2스프링(107)이 각각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커버(102)에는 헤드레스트나 암레스트가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래칫기어(103)의 상부에는 래칫(105)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으로 작동하는 래칫작동부(103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래칫(105)의 선단부에는 상기 래칫기어(103)의 기어부(103a)와 치합되는 기어부(105a)가 형성됨과 더불어 래칫기어(103)의 중앙부에는 상기 래칫기어(103)의 래칫작동부(103b)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05b)가 함몰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는 초기에 실선과 같이 제2스프링(107)에 의하여 래칫(10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탄성력으로 작동되어 래칫(105)의 기어부(105a)가 래칫기어(103)의 기어부(103a)에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커버(10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나 암레스트가 회전할 수 있으며, 래칫(105)의 기어부(105a)가 래칫기어(103)의 기어부(103a)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커버(102)가 단계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105)과 회전커버(102)가 마지막 단계로 회전하게 되면, 래칫기어(103)의 래칫작동부(103b)가 래칫(105)을 시계방향으로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스프링(107)이 래칫(105)을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으로 래칫(105)을 탄성 지지하게 되어 도면상 쇄선과 같이 래칫(105)의 기어부(105a)가 래칫기어(103)의 기어부(103a)와 이격된다.
이 때 래칫(105)의 기어부(105a)가 래칫기어(103)의 기어부(103a)와 이격된 상태에서 제1스프링(106)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커버(102)와 래칫(105)이 초기 상태로 리턴되며, 이에 따라 래칫기어(103)의 래칫작동부(103b)가 래칫(105)을 반시계방향으로 작동하여 초기의 실선과 같이 초기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종래에는 회전커버(102)를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회전커버(102)에 결합된 헤드레스트 또는 암레스트의 회전각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회전커버, 래칫 및 헤드레스트 등을 초기 상태로 리턴하기 위해서는 제1스프링의 탄성계수를 크게 하게 되어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력이 래칫의 기어부가 래칫기어의 기어부 사이에 작동하기 때문에, 래칫과 래칫기어의 기어부의 전단면으로 전단력이 작동하게 되어 이 기어부가 파손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칫과 래칫기어의 기어부의 파손되기 쉬워서 기어부의 치형을 크게 하거나 다수의 치형이 상호 맞물리도록 제조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회전커버 및 이와 결합된 헤드레스트 등의 회전각의 조정각도를 줄이게 된다는 다른 단점이 있다.
더우기 종래에 적용되는 두꺼운 래칫기어를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외형을 절단 가공하는 기계와 더불어 기어부를 가공하는 기계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증대하게 되는 등의 또다른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의 각도를 무단으로 조정함과 더불어 탄성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단력의 전단면을 증대하여 구조적으로 보강함으로써, 각도의 조정각을 무단으로 용이하게 조정하고, 제품의 수명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의 회전 중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의 회전각을 조정하는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 중의 하나와 연동하는 회전커버가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장자리부위에 원호 형상의 장공을 형성하는 폴가이드가 상기 회전커버에 근접하여 상기 지지축에 고정되며, 상기 폴가이드의 장공에 위치하는 축핀이 상기 회전커버에 설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폴가이드의 장공의 대직경부에 밀착되는 폴이 상기 폴가이드의 장공에 위치하여 상기 축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커버를 초기상태로 리턴하는 제1탄성부재가 상기 지지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커버와 폴가이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폴을 축핀을 중심으로 정회전과 역회전 중의 어느 하나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재가 상기 폴과 회전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폴가이드의 장공의 한쪽에 상기 폴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폴리턴삽입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단면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2의 B부의 확대도,
도 6은 종래에 관련하는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커버 2 : 지지축
3 : 폴가이드 3a : 장공
3b : 폴리턴삽입부 3c : 대직경부
3d,5a : 요철부 4 : 축핀
5 : 폴 6,7 : 제1,제2탄성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예로서 차량의 헤드레스트(10)에 적용되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각도조정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10)와 암레스트(미도시)의 회전 중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10)와 암레스트의 회전각을 조정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게 되며, 회전커버(1)가 지지축(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버(1)에 상기 헤드레스트(10)를 설치하여 헤드레스트(10)가 상기 지지축(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축(2)에는 폴가이드(3)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커버(1)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폴가이드(pawl guide)(3)의 가장자리부위에 원호 형상의 장공(3a)을 형성함과 더불어 도면상 상기 장공(3a)의 하단부에 장공(3a)의 폭보다 작은 폴리턴삽입부(3b)를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회전커버(1)에는 상기 폴가이드(3)의 장공(3a)에 위치하는 축핀(4)이 설치되고, 상기 축핀(4) 상에는 폴(pawl)(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폴가이드(3)의 장공(3a)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폴(5)의 선단부가 상기 폴가이드(3)의 장공(3a)의 대직경부(3c)에 밀착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는 상기 회전커버(1)를 초기 상태로 리턴하는 제1탄성부재(6)가 지지축(2)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커버(1)와 폴가이드(3) 사이에 설치되고, 축핀(4)을 중심으로 정회전과 역회전 중의 어느 하나로 탄성력을 상기 폴(5)에 부여하는 제2탄성부재(7)가 상기 폴(5)과 회전커버(1)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6)는 상기 회전커버(1)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회전커버(1)를 리턴하는 다른 탄성체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지지축(2)과 회전커버(1) 사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탄성부재(7)는 상기 폴(5)의 선단부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도면과 같은 구조로 하지 않고 다른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7)에 의하여 폴(5)이 정회전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폴(5)의 선단부가 상기 폴가이드(3)의 장공(3a)의 대직경부(3c)에 밀착하게 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7)에 의하여 폴(5)이 역회전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폴(5)의 선단부가 상기 폴가이드(3)의 장공(3a)의 대직경부(3c)로부터 이격된다.
물론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폴가이드(3)의 폴리턴삽입부(3b)는 상기 폴가이드(3)의 장공(3a)의 한쪽 즉 도면상 하단부에 상기 폴(5)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크기와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5)의 선단부와 폴가이드(3)의 장공(3a)의 대직경부(3c)에 0.5mm이하의 높이를 보유한 다수의 요철부(3d,5a)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비교적 작은 높이의 요철부(3d,5a)를 형성하는 것은 다단계로 회전커버(1)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미세한 각도로 회전커버(1)를 조정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요철부(3d,5a)의 높이가 0.5mm이상이면 다단계의 각도 조정과 미세한 각도의 조정을 실현하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는 도 2, 도 3 및 도 4와 같이 단계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초기에 도 2의 실선과 같이 제2탄성부재(7)에 의하여 폴(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탄성력으로 작동되어 폴(5)의 선단면이 폴가이드(3)의 장공(3a)의 대직경부(3c)에 밀착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부(3d,5a)에 의하여 전혀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커버(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10)나 암레스트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커버(1)를 정지하면 폴(5)의 선단부가 폴가이드(3)의 장공(3a)의 대직경부(3c)에 밀착 고정되어 도 2의 쇄선 및 도 3의 실선과 같이 되고, 상기 회전커버(1)의 회전중심과 폴(5)의 회전중심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폴(5)에 의하여 회전커버(1)가 제1탄성부재(6)의 탄성력에 의하여 리턴되지 않게 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1)와 폴(5)가 마지막 단계로 회전하게 되면 도 3의 쇄선과 도 4의 실선과 같이 폴(5)의 후단부가 폴가이드(3)의 장공(3a)의 폴리턴삽입부(3b)에 삽입되어 폴(5)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탄성부재(7)에 의하여 폴(5)이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이다.
이 때 폴(5)의 선단부가 폴가이드(3)의 장공(3a)의 대직경부(3c)와 이격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도 4의 쇄선과 같이 제1탄성부재(6)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커버(1)와 폴(5)이 초기 상태로 리턴되고, 초기 상태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폴(5)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탄성부재(7)의 탄성력이 폴(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게 되어 초기 상태 즉 도 2의 실선과 같이 리턴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는 회전커버를 미세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커버에 결합된 헤드레스트 또는 암레스트의 회전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는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의 각도를 무단으로 조정하기 때문에, 미세한 각도로도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를 조정할 수 있어 탑승자의 신체에 맞추어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탑승자의 안락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단력이 대부분 폴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보강되어 제품의 수명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으며, 폴의 선단부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어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단가를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의 회전 중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의 회전각을 조정하는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와 암레스트 중의 하나와 연동하는 회전커버가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장자리부위에 원호 형상의 장공을 형성하는 폴가이드가 상기 회전커버에 근접하여 상기 지지축에 고정되며, 상기 폴가이드의 장공에 위치하는 축핀이 상기 회전커버에 설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폴가이드의 장공의 대직경부에 밀착되는 폴이 상기 폴가이드의 장공에 위치하여 상기 축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커버를 초기상태로 리턴하는 제1탄성부재가 지지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커버와 폴가이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폴을 축핀을 중심으로 정회전과 역회전 중의 어느 하나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재가 상기 폴과 회전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폴가이드의 장공의 한쪽에 상기 폴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폴리턴삽입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선단부와 폴가이드의 장공의 대직경부에 0.5mm이하의 높이를 보유한 다수의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KR2020010000164U 2001-01-04 2001-01-04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KR200237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64U KR200237335Y1 (ko) 2001-01-04 2001-01-04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164U KR200237335Y1 (ko) 2001-01-04 2001-01-04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318A Division KR100399420B1 (ko) 2001-01-04 2001-01-04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335Y1 true KR200237335Y1 (ko) 2001-09-25

Family

ID=7309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164U KR200237335Y1 (ko) 2001-01-04 2001-01-04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3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311A (zh) * 2019-06-25 2019-09-20 上海国琻汽车科技有限公司 角度调节机构及包含其的汽车座椅扶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311A (zh) * 2019-06-25 2019-09-20 上海国琻汽车科技有限公司 角度调节机构及包含其的汽车座椅扶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4172B2 (ja) 車両用シート
EP2179886A1 (en) Seat back frame and vehicle seat
EP1726476A2 (en) Vehicle seat and method of supporting driver/passenger using the same
JP2017039468A (ja)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
KR200237335Y1 (ko)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KR100399420B1 (ko)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JPH10258654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4492372B2 (ja) 自動車の着座姿勢調整装置
KR100737263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0196165B1 (ko) 시트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KR100297135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JP200530632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9224776A (ja) 後部座席のヘッドレスト
KR102647189B1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KR100461113B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장치
KR19980038923U (ko) 등받이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백
JPH06278514A (ja) 自動車の後部シート構造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20040042388A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
KR200145175Y1 (ko)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100410728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틸팅구조
KR0128698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KR20030037001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