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263B1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263B1
KR100737263B1 KR1020060011913A KR20060011913A KR100737263B1 KR 100737263 B1 KR100737263 B1 KR 100737263B1 KR 1020060011913 A KR1020060011913 A KR 1020060011913A KR 20060011913 A KR20060011913 A KR 20060011913A KR 100737263 B1 KR100737263 B1 KR 100737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air
headrest
plates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주)현대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공업 filed Critical (주)현대공업
Priority to KR102006001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면패드(50)가 탑승자의 편안한 후두부 지지 및 안치를 위하여 일정 각도(θ)의 단계적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통상 자동차의 시트 상단부에 장착되어 자동차 추돌사고시 탑승자의 후두부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목 부상을 최소화하거나, 운전중 탑승자의 후두부를 편안하게 받쳐주어 안전하고 쾌적한 운전에 일조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선호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전면패드(50) 각도(θ)를 용이하게 조절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수동으로 작동되는 레버(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면패드(50)내에 장착된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가 상호 수평상태에서 오목한 형태로 동시에 단계적인 각도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탑승자가 후부두의 안치 감각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헤드레스트, 각도, 각도조정캠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Adjust structure of headrest angle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도플레이트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내장된 헤드레스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플레이트
11 : 각도플레이트
12 : 제1힌지핀
13 : 비틀림스프링
14 : 제1힌지
20 : 배면플레이트
21 : 제2힌지핀
22 : 제2힌지
23 : 지지브래킷
24 : 슬라이드홈
30 : 후부커버
31 : 관통홀
40 : 각도조정캠
40a: 끼움홀
41 : 레버
42 : 샤프트
43 : 커버브래킷
43a: 끼움홀
44 : 스테이로드(Stay rod)
45 : 수평부
50 : 전면패드
51 : 후면패드
S0 : 초기상태
S1 : 1단
S2 : 2단
S3 : 3단
θ : 각도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면패드가 탑승자의 편안한 후두부 지지 및 안치를 위하여 일정각도의 단계적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통상 자동차의 시트 상단부에 장착되어 자동차 추돌사고시 탑승자의 후두부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목 부상을 최소화하거나, 운전중 탑승자의 후두부를 편안하게 받쳐주어 안전하고 쾌적한 운전에 일조하는 구성이다.
개인마다 후두부의 크기가 다르고 또한, 후두부에서 느끼는 안치 감각이 달라 혹자는 평평한 헤드레스트를 좋아하는가 하면, 혹자는 후두부를 감싸주는 오목한 형태의 헤드레스트를 선호하기도 하며, 혹자는 후두부 안치각도의 변형이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선호하여 승차피로 감각에 따라 안치각도를 변형시켜 후두부의 피로를 해소하기도 한다.
이에따라 종래에도 헤드레스트의 전면패드의 양측이 일정각도로 조정되어 지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어 탑승자의 선호에 따라 각도를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선호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전면패드 각도를 용이하게 조 절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수동으로 작동되는 레버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면패드내에 장착된 한쌍의 각도플레이트가 상호 수평상태에서 오목한 형태로 동시에 단계적인 각도변형이 이루어지므로, 탑승자가 후부두의 안치 감각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전면패드(50)와 후면패드(51)로 구분되며, 전면패드(50)내에는 후두부 안치를 위한 각도 조절시 레버(41)의 작동에 따라 각도가 형성되는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가 구성된다.
이 각도플레이트(11)는 도 1, 2에서와 같이 중앙플레이트(10)를 중심으로 좌.우에 결합되되, 제1힌지핀(12)을 축으로 탄성 회전되어 각도 조정될 수 있도록 비틀림스프링(13)이 제1힌지(14)에 삽입된 제1힌지핀(12)에 외삽된 형태로 결합된다.
각도플레이트(11)의 배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한쌍의 지지브래킷(23)이 장착되는 배면플레이트(20)가 좌.우 한쌍을 이루며 통상의 접합 방법으로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접합 방법이란 접착제에 의한 접합 및 후크에 의한 조립식 접합 등 공지된 통상적인 접합기술을 지칭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지지브래킷(23)은 배면플레이트(20)에 형성된 제2힌지(22)에 삽입된 제2힌지핀(21)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지지브래킷(23)의 선단에는 종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24)이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홈(24)은 레버(41)의 작동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하는 각도조정캠(40)의 외측면이 삽입되어 각도(θ) 조절중 지지브래킷(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요홈으로 형성한다.
한편, 도 5의 후면패드(51)내에는 헤드레스트를 자동차 시트 상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스테이로드(44, Stay rod)의 수평부(45)가 내장되고, 이 수평부(45)에는 도 1, 3과 같이 상기 배면플레이트(20)와 접합되는 후부커버(30)를 부착하기 위한 커버브래킷(43)이 고정되며, 커버브래킷(43)의 끼움홀(43a)에는 한쌍의 각도조정캠(40)이 장착 고정된 샤프트(42)가 일단에 레버(41)가 장착된 상태로 삽입된다.
도 3의 결합사시도와 같이 후부커버(30)의 관통홀(31)을 통과한 지지브래킷(23)의 선단 슬라이드홈(24)은 각도조정캠(40)의 외측면과 면접촉하게 되며, 이 지지브래킷(23)과 각도조정캠(40)을 이용한 각도플레이트(11)의 작동원리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레버(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면패드(50)내에 장착된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가 상호 수평상태에서 오목한 형태로 동시에 단계적인 각도 변형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 구조의 특징적 구성요소인 각도플레이트(11), 지지브래킷(23) 및 각도조정캠(40)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후부커버(30)는 도시하지 않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는 중앙플레이트(10)의 좌.우에 제1힌지핀(12)을 축으로 비틀림스프링(13)의 탄력을 받으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에서와 같이 각도플레이트(11)를 각도(θ) 조절하기 위해 지지브래킷(23)의 선단 슬라이드홈(24)에 각도조정캠(40)의 외측면이 면접촉하게 되며, 각도조정캠(40)이 부착 고정된 샤프트(42)를 레버(41)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의 상단 도면과 같이 상호 수평상태에 있던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가 일정 각도(θ)로 변형된다.
이러한 각도플레이트(11)의 각도(θ) 변화는 각도조정캠(40)의 회전된 위치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도 4의 하단 좌측 원내확대도와 같이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가 수평상태일 경우에는 각도조정캠(40)의 위치가 초기상태(S0)에 위치한 것이며, 도 4의 하단 우측 원내확대도와 같이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가 가장 오목한 각도(θ)를 이룬 경우에는 각도조정캠(40)의 위치가 3단(S3)에 위치한 상태이다.
상기 각도조정캠(40)은 샤프트(42)가 삽입되는 끼움홀(40a)이 편심된 다각형의 형상으로 끼움홀(40a)과 각도조정캠(40)의 외측면간의 거리 즉, 초기상태(S0), 1단(S1), 2단(S2) 및 3단(S3)에 해당되는 외측면간의 각 직선거리는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형상이어서, 레버(4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이와 연동되는 각도조정캠(40)이 지지브래킷(23)의 슬라이드홈(24)내에서 단계적으로 1단(S1), 2단(S2) 및 3단(S3)으로 위치 변형되는 지렛대의 기능을 하여 결국에는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가 각도조정캠(40)의 회전위치에 따라 일정 각도(θ)로 조절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탑재된 헤드레스트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전면패드(50) 각도(θ)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레버(41)를 후면패드(51) 의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하며, 이로써 탑승자는 선호하는 후두부 안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하여 헤드레스트의 전면패드가 오목한 형태의 일정각도로 단계적 변형이 가능함에 따라 탑승자가 선호하는 가장 편안한 후두부 안치 각도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한손을 사용하여 헤드레스트의 전면패드 양측을 동시에 각도 조절하는 레버 회전식 연동 조절임을 감안할 때 조작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면패드(50) 양측이 일정 각도(θ)로 조절 가능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에 있어서,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는 중앙플레이트(10)의 좌.우 제1힌지(14)에 제1힌지핀(12)을 축으로 제1힌지핀(12)에 외삽된 비틀림스프링(13)의 탄력을 받으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의 배면에는 제2힌지(22)가 형성된 한쌍의 배면플레이트(20)가 결합되되, 선단에 종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24)이 형성된 지지브래킷(23)이 제2힌지(22)에 삽입된 제2힌지핀(21)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쌍의 지지브래킷(23)의 슬라이드홈(24)은 후부커버(30)의 관통홀(31)을 통과하여 편심된 끼움홀(40a)이 형성된 다각형의 각도조정캠(40)의 각각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되,
    각도조정캠(40)은 레버(41)가 부착된 샤프트(42)에 고정되며, 샤프트(42)는 스테이로드(44)의 수평부(45)에 설치된 커버브래킷(43)의 끼움홀(43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버(41)의 회전운동과 연동되는 각도조정캠(40)이 지지브래킷(23)의 슬라이드홈(24)내에서 위치 변형되는 지렛대 기능을 하여 상호 수평상태의 한쌍의 각도플레이트(11)가 오목한 형태로 단계적인 각도(θ)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KR1020060011913A 2006-02-08 2006-02-08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KR10073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913A KR100737263B1 (ko) 2006-02-08 2006-02-08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913A KR100737263B1 (ko) 2006-02-08 2006-02-08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263B1 true KR100737263B1 (ko) 2007-07-09

Family

ID=3850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913A KR100737263B1 (ko) 2006-02-08 2006-02-08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2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44B1 (ko) * 2012-05-23 2013-01-28 (주)조양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장치
CN104442486A (zh) * 2014-12-12 2015-03-25 重庆宏立至信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座椅头枕倾角机构
KR20180039864A (ko) 2016-10-11 2018-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윙 아웃 헤드레스트의 플레이트연결수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833A (ko) * 1994-12-06 1996-07-18 전성원 좌우 지지대가 있는 자동차용 머리 받침대
KR20020051684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 장치
JP2005058287A (ja) * 2003-08-19 2005-03-10 Araco Corp スピーカー付きヘッドレスト
KR20050047777A (ko)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분할형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833A (ko) * 1994-12-06 1996-07-18 전성원 좌우 지지대가 있는 자동차용 머리 받침대
KR20020051684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 장치
JP2005058287A (ja) * 2003-08-19 2005-03-10 Araco Corp スピーカー付きヘッドレスト
KR20050047777A (ko)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분할형 헤드레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44B1 (ko) * 2012-05-23 2013-01-28 (주)조양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장치
CN104442486A (zh) * 2014-12-12 2015-03-25 重庆宏立至信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座椅头枕倾角机构
CN104442486B (zh) * 2014-12-12 2016-07-06 重庆宏立至信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座椅头枕倾角机构
KR20180039864A (ko) 2016-10-11 2018-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윙 아웃 헤드레스트의 플레이트연결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799B2 (en) Armrest tilting device
EP2923897B1 (en) Vehicle seat
US7159934B2 (en) Vehicle seat and head restraint assembly
US8926019B2 (en) Seat back latch for motor vehicle
US20070164593A1 (en) Articulating headrest assembly
JP5613838B2 (ja) 車両座席用ヘッドレスト
JP2010502498A (ja) 車両座席
WO2006037470A3 (de) Verstellvorrichtung und fahrzeugsitz
KR100737263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구조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N113619460B (zh) 车辆座椅的扶手
JP4492372B2 (ja) 自動車の着座姿勢調整装置
JP410405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716976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JP2015112975A (ja) 前倒式ヘッドレスト
KR200237335Y1 (ko)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KR100399420B1 (ko) 차량용 시트의 각도조정장치
US20110176233A1 (en) Mirror device
KR10114378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JP2000270958A (ja) 可動式ヘッドレスト装置
JP4079741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10051385A (ja) アームレスト
JPH09224776A (ja) 後部座席のヘッドレスト
KR20070050289A (ko)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